KR100859406B1 -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406B1
KR100859406B1 KR1020070008732A KR20070008732A KR100859406B1 KR 100859406 B1 KR100859406 B1 KR 100859406B1 KR 1020070008732 A KR1020070008732 A KR 1020070008732A KR 20070008732 A KR20070008732 A KR 20070008732A KR 100859406 B1 KR100859406 B1 KR 10085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nd
support
support band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905A (ko
Inventor
윤진상
Original Assignee
윤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상 filed Critical 윤진상
Priority to KR102007000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4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the member having the form of a closed ring, e.g. used for the function of two adjacent pip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20); 고정부(20)에 지지되며,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3); 몸체(33)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면에 복수의 록킹홈(36)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지지밴드(37); 몸체(33)의 내부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한 쌍의 밴드관통홀(31)을 통과하는 파이프지지밴드(37)와의 접촉에 의해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복수의 록킹홈(36)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록커(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 행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 몸체, 밴드관통홀, 파이프지지밴드, 록킹홈, 록커

Description

파이프 행거 {PIPE 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사용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지지부 록킹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이프 20 : 고정부
22a,22b : 통과홀 30 : 지지부
31 : 밴드관통홀 32 : 도구삽입홀
33 : 몸체 34 : 록커
36 : 록킹홈 37 : 파이프지지밴드
본 발명은 파이프 행거(Pipe Hang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형의 파이프를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도시가스 및 각종 전기시설과 관련된 파이프가 설치되며, 파이프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을 따라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된다.
이러한 파이프는 처짐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 행거를 통해 지지된다.
종래의 파이프 행거 대부분은 천장 또는 벽면에 매설된 앵커볼트와 연결되는 연결부;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밴드부로 구성된다. 밴드부는 연결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파이프를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편 및 힌지부에 의해 받침편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젖힘편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젖힘편은 연결부에 볼트 및 나비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이프 행거는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상당히 복잡할 뿐 아니라 밴드부의 젖힘편을 연결부에 결합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볼트 및 나비너트를 들고 다니며 결합해야 하므로 조립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연결부 및 밴드부가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함은 물론이고 밴드부의 구조적 특징상 파이프를 완전히 밀착 지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밴드부를 통해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의 직경이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결국, 파이프 행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할 뿐 아니라 파이프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며,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면에 복수의 록킹홈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지지밴드; 상기 몸체의 내부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밴드관 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파이프지지밴드와의 접촉에 의해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상기 복수의 록킹홈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파이프지지밴드의 록킹상태 해제시 드라이버 등과 같은 작업도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도구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는 고정부(20); 고정부(20)에 연결되어,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20)는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지지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부(20)는 그 하단이‘∪’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통과홀(22a,22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의 하단 바닥면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고정부(20)는 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내구성 및 내강도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재질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고정부(20)의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지지부(30)와 연계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30)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고,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한다.
지지부(30)는 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성형되는 구조를 가진다.
지지부(30)는 고정부(20)에 지지되며,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3); 몸체(33)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면에 복수의 록킹홈(36)이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지지밴드(37); 몸체(33)의 내부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한 쌍의 밴드관통홀(31)을 통과하는 파이프지지밴드(37)와의 접촉에 의해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복수의 록킹홈(36)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록커(34)를 포함한다.
몸체(33)는 내부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몸체(33)는‘∪’형상의 고정부(20) 하단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되며, 한 쌍의 밴드관통홀(31)은 고정부(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홀(22a,22b)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지지밴드(37)가 통과홀(22a,22b) 및 밴드관통홀(31)을 통과 가능하게 된다.
몸체(33)의 크기 및 형상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몸체(33)는 스크류를 비롯한 공지된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부(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몸체(33)의 일 측면에는 파이프지지밴드(37)의 록킹상태 해제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작업도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도구삽입홀(32)이 형성되어 있다. 도구삽입홀(32)의 크기 및 형상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록커(34)는 그 형상 및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파이프지지밴드(37)와의 접촉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되어, 파이프지지밴드(37)를 안정적으로 록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록커(34)는 파이프지지밴드(37)와의 접촉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파이프지지밴드(37)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36)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파이프지지밴드(37)의 전진(조임) 동작시에는 그 이동에 전혀 간섭되지 않아 록킹홈(36)에 선택적으로 록킹 가능하나, 후진 동작시에는 파이프지지밴드(37)의 이동을 간섭하여 록킹홈(36)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그 록킹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록커(34)의 록킹구조를 통해 파이프(10)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록커(34)는 파이프지지밴드(37)의 후진 동작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선단부 가 밴드관통홀(31) 상에 위치한다. 록커(34)의 형상은 파이프지지밴드(37)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36)과의 록킹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파이프지지밴드(37)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36)은 일렬로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록킹홈(36)은 파이프지지밴드(37)의 내측면 일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파이프지지밴드(37)의 내측면 전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지지밴드(37)의 지지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파이프(10)를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파이프지지밴드(37)는 몸체(33)와 일체로 성형되는 구조를 가지며, 파이프(10)를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진다.
록킹홈(36)은 나사산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의 홈을 비롯하여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파이프 행거의 지지부 록킹상태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파이프지지밴드(37)를 이용하여 파이프(10,도4참조)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파이프지지밴드(37)의 선단부를 고정부(20)의 통과홀(22a,22b) 및 몸 체(33)의 밴드관통홀(31)로 통과시켜 파이프(10,도4참조)가 파이프지지밴드(37)의 내측면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잡아당긴다.
이 과정에서 파이프지지밴드(37)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36)이 록커(34)의 선단부에 접촉됨에 따라, 록커(34)는 도 5a에서와 같이 탄력적으로 하강된다.
그리고 파이프지지밴드(37)가 이동함에 따라 록커(34)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되어 도 5b에서와 같이 복수의 록킹홈(36) 중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파이프지지밴드(37)의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이 근복적으로 차단된다.
한편, 파이프(10,도4참조)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드라이버 또는 핀셋 등과 같은 공지된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록커(34)의 선단부를 누른 상태에서 파이프지지밴드(37)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파이프의 지지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지지밴드에 록킹홈이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파이프 행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 다.
그리고 지지부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고정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파이프 행거의 조립성은 물론이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하단이‘∪’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 바닥면에 안착 지지되며,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관통홀이 상기 통과홀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됨과 아울러 작업도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도구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면에 복수의 록킹홈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지지밴드; 상기 몸체의 내부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밴드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파이프지지밴드와의 접촉에 의해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상기 복수의 록킹홈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록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행거.
  2. 삭제
  3. 삭제
KR1020070008732A 2007-01-29 2007-01-29 파이프 행거 KR10085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732A KR100859406B1 (ko) 2007-01-29 2007-01-29 파이프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732A KR100859406B1 (ko) 2007-01-29 2007-01-29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05A KR20080070905A (ko) 2008-08-01
KR100859406B1 true KR100859406B1 (ko) 2008-09-22

Family

ID=3988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732A KR100859406B1 (ko) 2007-01-29 2007-01-29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943B1 (ko) * 2011-01-14 2013-01-17 윤진상 파이프 행거
KR20190001362U (ko) 2017-11-30 2019-06-10 현관수 파이프 행거
KR102652791B1 (ko) 2023-09-25 2024-03-28 반명환 배관용 행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640Y1 (ko) * 1995-10-24 1998-08-17 노정웅 파이프와 관상물의 결속구
JPH10336858A (ja) * 1997-05-29 1998-12-18 Sumitomo Wiring Syst Ltd 線材保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640Y1 (ko) * 1995-10-24 1998-08-17 노정웅 파이프와 관상물의 결속구
JPH10336858A (ja) * 1997-05-29 1998-12-18 Sumitomo Wiring Syst Ltd 線材保持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943B1 (ko) * 2011-01-14 2013-01-17 윤진상 파이프 행거
KR20190001362U (ko) 2017-11-30 2019-06-10 현관수 파이프 행거
KR102652791B1 (ko) 2023-09-25 2024-03-28 반명환 배관용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05A (ko) 200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122B2 (ja) パイプ保持装置
KR100859406B1 (ko) 파이프 행거
JP2009113863A (ja) スタッドに固定するためのファスナ
US20070031187A1 (en) Tubing frame connection insert
KR101222943B1 (ko) 파이프 행거
KR102262354B1 (ko) 관 조인트 락킹 공구
WO2008047463A1 (fr) Cylindre de pression de fluide avec élément de support de tourillon
US10317059B2 (en) Interlock arrangement for a luminaire
JP2002354637A (ja) 配線・配管材の固定具
JP2005509118A (ja) 物体のためのホルダ及び固定装置
JP2018529891A (ja) 飲料充填システムにおいて管路を保持するための装置
KR200454303Y1 (ko) 원터치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JP4613902B2 (ja) トラニオン支持金具付き流体圧シリンダ
JP4676351B2 (ja) 配管類固定具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JP2009270699A (ja) 支持取着具
US8403282B2 (en) Clamp device
JP4545411B2 (ja) ガスメータの支持装置及び仮固定具
JP3997546B2 (ja) チャンネル材用固定金具
JP2007046276A (ja) 手摺り取り付け構造
JP2007248116A (ja) ガスメータの支持装置
JP3847942B2 (ja) ケーブル、鞘管の懸架用管
JP2005273859A (ja) 長尺体支持具
JP2012000686A (ja) 接続金具ホルダー及び該接続金具ホルダーを備えた管体への接続金具取付用治具
JP4751729B2 (ja) ガス栓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