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171B1 -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 Google Patents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171B1
KR100859171B1 KR1020080022850A KR20080022850A KR100859171B1 KR 100859171 B1 KR100859171 B1 KR 100859171B1 KR 1020080022850 A KR1020080022850 A KR 1020080022850A KR 20080022850 A KR20080022850 A KR 20080022850A KR 100859171 B1 KR100859171 B1 KR 10085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cylinder
water
automatic start
underwater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수
Original Assignee
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수 filed Critical 정종수
Priority to KR102008002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수중브릿지; (B) 상기 수중브릿지상에 설치되어 승하강운동하는 공압실린더; (C) 상기 공압실린더 로드말단에 설치된 홀더; 및 (D)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보트 등과 관련된 수상경기에서 보트 등에 동일한 출발선을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출발시각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수상경기, 카누, 조정, 요트, 보트, 출발, 부표

Description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본 발명은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누·조정 등의 수상경기 시 운영요원의 도움없이 각 레인의 출발선 및 출발시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경기의 운영을 공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누 또는 조정경기는 순위를 다투는 속도경기로서 참가 카누·조정 모두가 동일 출발선에서 동일 시각에 출발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경기가 강·호수·댐 등의 수상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물의 흐름에 의해 레인별 출발위치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 경기 운영요원들이 출발선 후방에서 각 레인에 위치한 배가 동일한 출발 선상에 위치하도록 돕거나, 고정 출발대를 경기장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운영요원이 관여하는 경우 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 정확한 동시출발을 유도하기 어려우며, 고정 출발대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및 유지보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특허공개 제2005-177419호(조정경기용발정대)에는 게이트를 모터에 연결된 와이어로 끌어올리고 보트 출발시에 원격제어장치의 작동으로 게이트가 수중으로 회동·하강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경기용 출발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와이어에 의해 게이트가 당겨져서 게이트가 닫혀 있다가 출발시 와이어를 풀어주어 중력에 의 해 게이트가 회동·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출발대로 이루어진 경우 와이어의 길이가 전부 상이하므로 전체 출발대에서 게이트가 동시에 정확하게 열리기 어렵다. 또한 보트가 출발대에 의해 전-좌-우가 감싸인 형태로 되어 있어 전력을 다한 출발시에 보트나 노가 출발대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한국특허 제733552호(공압을 이용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는 각 레인의 수중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단부 지점으로 회동되며, 상기 지점에 대향되는 상단으로 정지판이 설치된 스타팅바와; 스타팅바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공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스타팅바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이 장착되고, 레인의 수중 중앙부에 근접되어 설치되는 지지트러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스타팅바의 회전축이 크고, 정지판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회동·하강시에 물의 저항 때문에 큰 용량의 공압실린더가 필요하며, 정지판과 스타팅바의 급속한 회동·하강에 의해 보트의 전방에 수류의 교란이 발생하여 보트의 자연스런 출발에 영향을 준다. 또한 스타팅바와 정지판이 고정된 길이이므로 경기장의 깊이에 따른 높이 조정이 불가능하며, 정지판의 회동·하강-회동·상승을 위해 복잡한 장치구성(공압실린더-힌지결합부-스타팅바-정지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보트 등에 부자연스러운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출발선 및 출발시각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높이의 조절이 자유로운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수중브릿지; (B) 상기 수중브릿지상에 설치되어 승하강운동하는 공압실린더; (C) 상기 공압실린더 로드말단에 설치된 홀더; 및 (D)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통상의 카누나 조정 등 수상 경기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수면상에 다수의 레인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부표와, 상기 부표를 고정하도록 수중으로 연결된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압축탱크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탱크에서 상기 공압실린더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공압실린더 및 그의 주변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압실린더는 최대 행정(stroke)을 조정할 수 있는 복동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실린더의 최대 행정(즉, 로드의 최대 인출 길이)을 조정할 수 있다면 경기장의 조건에 따라 상기 홀더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출발장치의 설치와 운전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공압실린더의 안정적 고정을 위해 공압실린더의 중간을 잡아주는 한개 이상의 보조축(도시 생략)을 두는 것도 가능하며, 보조축의 존재여부가 본 발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상기 수중브릿지의 양 끝단에 인접한 다른 수중브릿지와의 연결수단이 추가되어 필요한 경기장 레인의 수에 대응된 수의 수중브릿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중브릿지 마다의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된 콘트롤박스가 추가되어 각 레인마다 동시 출발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압실린더의 하부 말단을 상기 수중브릿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출발장치의 운반, 설치 및 보관시에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출발신호에 따른 홀더의 하강시에 홀더와 뱃머리의 마찰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홀더에 복수개의 롤러를 장착하는 것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보트 등과 관련된 수상경기에서 보트 등에 동일한 출발선을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출발시각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경기장의 상태(경기장이 되는 강, 호수, 댐 등의 수면 아래의 조건과 상태)에 무관하게 출발장치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수상경기의 운영을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로서 저렴하며, 보관·이용·관리가 간편하므로 수상경기의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경기장 수면 아래의 상태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의 공압실린더 및 홀더의 작동상태에 따른 보트의 출발 전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에서 운반, 설치 및 보관시에 공압실린더가 접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가 복수개 연결된 수상경기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카누 또는 조정경기장은 보통 호수나 강과 같은 실외에 설치되며 이들은 각각 소정 폭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레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부표가 설치되는데, 이 부표는 수중에 설치된 와이어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는 승하강운동하는 공압실린더(20)와, 상기 공압실린더(20) 로드말단에 설치된 홀더(30)와, 상기 공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40)과, 이들이 장착되는 수중브릿지(10)로 구성된다(도 1). 이때 상기 수중브릿지(10)는 경기장의 조건에 따라 수중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고, 수중 바닥에 안착될 수도 있다. 수중 바닥에 안착되는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수평을 맞춘다. 상기 공압실린더(20)의 로드는 수면쪽으로 상승되어 있다가 출발신호에 의해 빠르게 수축되어 수면 아래로 하강한다. 공압실린더(20)의 로드 선단에는 카누·조정의 스턴포스트 또는 노즈콘의 최선단부와 맞닿아 카누·조정의 요동 및 진행을 방지하는 홀더(30)가 설치된다. 상기 홀더(30)는 로드 말단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공압실린더(2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는 공압실린더(20), 구동수단(40), 솔레노이드밸브(도시 생략)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였으나 당업계에서는 이들 일체를 공압실린더 시스템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공압실린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공압실린더 시스템은 통상 ① 압축공기를 만드는 전동식 공기압축기(42)(air compressor) 및 에어탱크(44) ② 공기필터, 밸브, 공기이송관, 압력게이지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공급유니트 ③ 액추에이터인 공압실린더(20) ④ 공기의 방향을 바꿔서 실린더의 로드가 상하로 구동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⑤ 상기 공기압축기(42)의 작동과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콘트롤박스)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압실린더(20)는, 경기장의 조건에 따라 상기 홀더(3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도 2), 최대 행정(stroke)을 조정할 수 있는 복동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압축기(42)는 지면 또는 수면상에 설치되고 공기이송관(도시 생략)에 의해 수중에 설치되는 상기 에어탱크(44)와 연결되어 있으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탱크(44)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에어탱크(46)를 둘 수 있다. 보조에어탱크(46)는 상기 공기압축기(42)에서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였다가 다시 상기 에어탱크(44)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동력이 끊긴 경우에도 소정 횟수 이상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작동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는, 출발신호 전에는 상기 공압실린더(20)가 확장되어 로드 말단의 홀더(30)가 수면위로 올라온 상태가 유지되어 보트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였다가, 출발시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작동되어 상기 홀더(30)가 수중(보트의 최저면 이하)으로 하강하여 보트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후발 경기를 위해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작동하여 홀더(30)를 처음 위치로 복귀시킨다(도 3a, 3b).
한편, 상기 홀더(30)는 카누·조정의 스턴포스트 또는 노즈콘의 최선단부와 맞닿게 되는데, 홀더(30)의 상하이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보트의 선단부가 손상받지 않도록 홀더(30)에 복수개의 롤러를 수평으로 장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홀더(30)는 보트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공압실린더(20)의 하부 말단은, 상기 자동출발장치의 운반, 설치 및 보관시에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수중브릿지(10)에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공압실린더(20)의 구조와 작동에 관한 것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전기적 배선, 프로그램된 PLC회로 및 전기신호 발생에 의한 작동 등 구체적인 공압실린더(20)의 구조와 작동방식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중브릿지(10)는 사다리모양의 구조체로 제작될 수 있는데, 카누·조정 경기장의 한개 레인의 폭과 같거나 작은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중브릿지(10)는 이동의 편의성(경량성) 및 물에 대한 내식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좋다.
경기장의 수중 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수중브릿지(10)의 양측 말단 좌우에, 수평유지부표(62)와 수평유지와이어(64)로 된 수평유지수단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12)을 설치하여 수중브릿지(10) 설치시 수평이 유지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의 수평유지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레인을 표시하기 위해 경기장에 이미 설치해 둔 레인용 와이어에 상기 연결수단(12)을 연결하여 수중브릿지(10)가 경기장에 설치될 때 일정한 높이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중브릿지(10)는 복수개의 레인에 적용될 것을 고려하여 양측 말단에 인접한 다른 수중브릿지(10)와의 연결수단(12)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중브릿지(10)가 복수개 연결되는 경우(도 5), 상기 수중브릿지(10) 마다의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된 콘트롤박스(48)가 추가될 수 있다. 즉, 지상에 설치된 상기 콘트롤박스(48)로부터 각 레인별로 설치된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배선하여 상기 콘트롤박스(48)에서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 레인에 설치된 공압실린더(20)가 동일 시점에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에는 이동의 편의를 위해 바퀴(14)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설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통상의 카누나 조정 등 수상 경기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수면 상에 다수의 레인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부표와, 상기 부표를 고정하도록 수중으로 연결된 와이어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를 카누·조정 등의 수상경기가 개최되는 장소에 설치한 뒤에 공기압축기(42)를 작동시켜 에어탱크(44)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미리 저장시켜 둔다. 경기 시작 전, 상기 공압실린더(20)를 확장시켜 로드 상단의 홀더(30)가 수면위로 상승되도록 하여 보트가 출발선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한다. 출발을 알리는 신호음과 동시에 콘트롤박스(48)의 스타트 버튼을 누르게 되면(출발신호음과 콘트롤박스(48)의 버튼 전기신호가 동시에 자동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음) 콘트롤박스(48)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 레인의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가 동시에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4)의 압축공기는 상기 공압실린더(20)를 수축작동시켜 홀더(30)가 수면 아래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보트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한다. 보트의 출발완료 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콘트롤박스(48)로부터 원상복귀 전기신호가 각 솔레노이드밸브에 전달되면 에어탱크(44)의 압축공기가 공압실린더(20)를 확장작동시켜 홀더(30)가 다시 수면위로 상승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경기장 수면 아래의 상태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의 공압실린더(20) 및 홀더(30)의 작동상태에 따른 보트의 출발 전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에서 운반, 설치 및 보관시에 공압실린더(20)가 접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가 복수개 연결된 수상경기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중브릿지 12 연결수단
14 바퀴 20 공압실린더
30 홀더 40 구동수단
42 공기압축기 44 에어탱크
46 보조에어탱크 48 콘트롤박스
62 수평유지부표 64 수평유지와이어

Claims (7)

  1.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있어서,
    (A) 수중브릿지(10);
    (B) 상기 수중브릿지(10)상에 설치되어 승하강운동하는 공압실린더(20);
    (C) 상기 공압실린더(20) 로드말단에 설치된 홀더(30); 및
    (D) 상기 공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공기압축기(42);
    상기 공기압축기(42)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압축탱크(44);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탱크(44)에서 상기 공압실린더(2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20)는 최대 행정(stroke)을 조정할 수 있는 복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브릿지(10)의 양 끝단에 인접한 다른 수중브릿지(10)와의 연결수 단(12)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브릿지(10)가 복수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수중브릿지(10) 마다의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된 콘트롤박스(48)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20)의 하부 말단은, 상기 자동출발장치의 운반, 설치 및 보관 시에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수중브릿지(1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에는 하강 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KR1020080022850A 2008-03-12 2008-03-12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KR10085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850A KR100859171B1 (ko) 2008-03-12 2008-03-12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850A KR100859171B1 (ko) 2008-03-12 2008-03-12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171B1 true KR100859171B1 (ko) 2008-09-19

Family

ID=4002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850A KR100859171B1 (ko) 2008-03-12 2008-03-12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552B1 (ko) 2011-04-11 2011-08-23 (주)에이스마린 수상 경기용 스타트 브릿지
KR101109664B1 (ko) 2011-09-05 2012-02-20 이문기 사계절 썰매장
KR101206746B1 (ko) 2012-08-03 2012-11-30 정종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419A (ja) 2003-12-19 2005-07-07 康平 ▲萱▼原 漕艇競技用発艇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419A (ja) 2003-12-19 2005-07-07 康平 ▲萱▼原 漕艇競技用発艇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552B1 (ko) 2011-04-11 2011-08-23 (주)에이스마린 수상 경기용 스타트 브릿지
KR101109664B1 (ko) 2011-09-05 2012-02-20 이문기 사계절 썰매장
KR101206746B1 (ko) 2012-08-03 2012-11-30 정종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171B1 (ko)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JP2593458B2 (ja) 係船装置および係船装置の設置方法
CN108516058A (zh) 一种用于深海观测数据实时回收的无人船
US11201991B1 (en) Binocular robot for bridge underwater detection based on 5G communication
EP2862828A1 (en) A device for winding up and unwinding a cable and method for winding up a cable
CN107217609A (zh) 一种城市涉水路段警示标杆及使用方法
NO20101207A1 (no) Anordning for holding og posisjonering av utstyr ved - samt fremgangsmate ved fôring av fisk i - en fiskemerd
CA291676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CN103129725A (zh) 一种水下可视化钓鱼艇
CN108082394A (zh) 一种可调式节能漂浮航标
CN209927885U (zh) 一种测量流速的浮标
KR101206746B1 (ko)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SE533589C2 (sv) Anordning, system, struktur, förfarande, datorprogramprodukt och styrsystem
US20130269583A1 (en) Boat docking apparatus that maintains boat away from shallow waters
KR100733552B1 (ko) 공압을 이용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KR102024242B1 (ko)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019916B1 (ko) 스마트형 세일링 요트
CN207985142U (zh) 一种快速拼装的水上浮动平台
KR200432266Y1 (ko) 공압을 이용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CN210187532U (zh) 一种喷泉固定装置
CN109378774A (zh) 可调节式内河航道岸电至船电的智能化电缆连接系统
CN114674293A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海洋测绘设备
CN205620551U (zh) 一种淡水鱼群检测设备
CN207000758U (zh) 一种起锚机
US20040143896A1 (en) Traveling cover bench system with hydraulic fluid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