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242B1 -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242B1
KR102024242B1 KR1020190098123A KR20190098123A KR102024242B1 KR 102024242 B1 KR102024242 B1 KR 102024242B1 KR 1020190098123 A KR1020190098123 A KR 1020190098123A KR 20190098123 A KR20190098123 A KR 20190098123A KR 102024242 B1 KR102024242 B1 KR 10202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block
rod
pin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종
박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엘
Priority to KR102019009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대한 자연적 또는 인공적 변화에 따라 내비게이션에 출력되는 지도이미지를 수정해서 현재의 지역 모습과 유사한 지도이미지를 출력시킬 수 있고, 지도작성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며, 지도작성부로 공급하는 전원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이고 원활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onfirms and corre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round point and reference point}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대한 자연적 또는 인공적 변화에 따라 내비게이션에 출력되는 지도이미지를 수정해서 현재의 지역 모습과 유사한 지도이미지를 출력시킬 수 있고, 지도작성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며, 지도작성부로 공급하는 전원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이고 원활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등에 널리 활용되는 지피에스(GPS) 기술 및 수치지도 제작기술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인간의 일상 생활에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더불어, 내비게이션의 지도이미지는 2차원의 단순 도화이미지를 벗어나, 항공촬영이미지와 같은 실사 이미지로 발전하였고, 더 나아가 3차원의 입체 영상이미지로도 개량 발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지도이미지는 일단 제작이 완료되면 지도이미지가 갱신되지 않는 이상 그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다.
즉, 자연의 흐름 또는 인공적인 변화 등과는 상관없이 고정된 지도이미지가 내비게이션 장치에 그대로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늘 동일한 지도이미지를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동일성은 반복적으로 통행하는 지역에 대한 지도이미지의 구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주지만, 내비게이션은 사용자가 낯선 지역에서 자신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활용되는 수단인만큼, 상기 낯선 지역의 변화가 내비게이션의 지도이미지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낯선 지역을 통과할 때는 상기 낯선 지역의 변화가 내비게이션의 지도이미지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어서, 현재 통과하고 있는 낯선 지역의 실제 모습과 유사한 지도이미지가 내비게이션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지도이미지와 실제 모습을 비교해 자신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전술한 장점에 불구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반기술이 전혀 제시되거나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의 경우, 지도작성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모색이 더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2099호(2011.01.25.),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특정 지역에 대한 자연적 또는 인공적 변화에 따라 내비게이션에 출력되는 지도이미지를 수정해서 현재의 지역 모습과 유사한 지도이미지를 출력시킬 수 있고, 지도작성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며, 지도작성부로 공급하는 전원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이고 원활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도작성부(100)와, 특정 지점을 기준점으로 해서 설치되는 정보발생부(200)와, 정보발생부(200)로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기(300)를 포함하는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도작성부(100)는 지도이미지를 저장하는 맵DB(110)와, 공지의 GPS 전용 인공위성(AS)과 통신하면서 지도작성부(100)가 현재 위치한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하는 지피에스(120)와, 지피에스(120)에서 확인한 좌표값에 따라 맵DB(110)에서 해당하는 지도이미지를 검색하고 수치지도로 완성하는 도화모듈(130)과, 정보발생부(200)로부터 지리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40)과, 도화모듈(130)에서 완성한 수치지도와 수신모듈(140)에서 수신한 지리정보를 병합해서 상기 수치지도를 수정하는 수정모듈(150)과, 수정모듈(150)이 수정해 완성한 수치지도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60)을 포함하고;
상기 지도작성부(100)가 설치되는 차량의 바닥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400)가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는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요철 형태로 사각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홈(410)들을 가로질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의 상면에는 고정판(53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530)의 상면 일측에는 팬박스(520)가 고정되고, 상기 팬박스(520)의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블럭형 보드(500)가 구비되며,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도작성부(100)를 구성하는 모듈들과 DB들이 장착되도록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슬롯(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530)에는 고정대(540)가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540)의 상단에는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평대(55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수평대(550)에는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상단 양측이 회전축(5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57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570)의 하단은 팬박스(52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태의 송풍구(SLT)와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팬박스(520) 내부에는 크로스플로우팬(FAN)이 내장되고, 상기 팬박스(520)의 일측면에는 흡입공(522)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슬롯(510)들 사이의 벽면에는 상기 공기유로(57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출공(524)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팬박스(520)의 일단 상면에는 보조편(526)이 더 고정되며, 상기 보조편(526)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일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스토퍼나사(528)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의 상면 일측에는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드접속단자(1500)가 설치되고, 상기 보드접속단자(1500)에는 통전연결단자(1400)가 개폐식으로 접속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전연결단자(1400)는 제1수직편부(1402)와 제1수평편부(14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직편부(1402)에는 축공(1406)이 형성되어 통전연결단자(1400)를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편부(1404)에는 선단면에 호형상으로 요홈(1408)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408)에는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접지된 상태에서 돌출되게 출몰되는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이 구비되며, 상기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간격을 두고 그와 반대 형상의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이 상기 제1수평편부(1404)의 선단면 일측을 통해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출몰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제1수평편부(1404)에는 내부에 피니언작동홈(PION)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작동홈(PION)에는 피니언기어(1454)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454)의 중심에는 피니언축(1452)이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축(1452)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핸들(1450)이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피니언작동홈(PION)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각각 제1,2로드홈(HOM1,HOM2)이 형성되며, 상기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의 단부에는 제1로드(1462)가 연장되고, 상기 제1로드(1462)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454)에 기어결합하는 제1래크기어(1464)가 형성되며, 상기 제1로드(1462)는 상기 제1로드홈(HOM1)에 삽입되고, 상기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의 단부에는 제2로드(1472)가 연장되며, 상기 제2로드(1472)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454)에 기어결합하는 제2래크기어(1474)가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1472)는 상기 제2로드홈(HOM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 대한 자연적 또는 인공적 변화에 따라 내비게이션에 출력되는 지도이미지를 수정해서 현재의 지역 모습과 유사한 지도이미지를 출력시킬 수 있고, 지도작성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며, 지도작성부로 공급하는 전원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이고 원활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작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정보발생부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의 활용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의 활용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작시스템에 의해 수치지도의 수정된 지도이미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중 지도작성부의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형 보드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형 보드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발췌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도작성부(100)와, 특정 지점을 기준점으로 해서 설치되는 정보발생부(200)와, 정보발생부(200)로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기(300; 도 5 참조)로 구성된다.
이때, 지도작성부(100)는 지도이미지를 저장하는 맵DB(110)와, 공지의 GPS 전용 인공위성(AS)과 통신하면서 지도작성부(100)가 현재 위치한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하는 지피에스(120)와, 지피에스(120)에서 확인한 좌표값에 따라 맵DB(110)에서 해당하는 지도이미지를 검색하고 수치지도로 완성하는 도화모듈(130)과, 정보발생부(200)로부터 지리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40)과, 도화모듈(130)에서 완성한 수치지도와 수신모듈(140)에서 수신한 지리정보를 병합해서 상기 수치지도를 수정하는 수정모듈(150)과, 수정모듈(150)이 수정해 완성한 수치지도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6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도작성부(100)의 맵DB(110), 지피에스(120), 도화모듈(130) 및 출력모듈(160)은 공지, 공용의 내비게이션에 구성된 해당 기능을 갖는 장치와 각각 동일하고, 이를 위한 설계 구조 및 상호 간 연동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루는 새로운 구성과 연관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아울러, 수신모듈(140)은 정보발생부(200)로부터 전송되는 지리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지리정보의 내용을 포함한 주파수대역의 아날로그신호를 무선 수신한 후 이를 필터링 및 증폭하고, A/D변환을 통해 최종 디지털데이터를 추출하는 통상적인 무선데이터 처리기술이 적용된다.
또한, 수정모듈(150)은 상기 디지털데이터 형식의 지리정보를 확인해서 도화모듈(130)이 완성한 수치지도를 수정한다.
그런데, 해안선 주변의 지리정보는 해안선을 따라 일렬로 결정된 기준점의 위치정보와, 현재의 수위정보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정모듈(150)은 상기 수위정보를 토대로 해수와 도로 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한 지점을 일렬로 연결해 이미지화한 후 이를 상기 수치지도에 적용해 수정한다.
한편, 정보발생부(200)는 해저면의 정해진 기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 개가 해안선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정보발생부(200)는 기준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는 승강장치(210)와, 기준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발신기(300)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 감지하는 감지장치(220)와, 정보발생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30)와, 수위정보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장치(240)와, 정보발생부(200)가 수집한 지리정보를 지도작성부(100)로 전송하는 통신장치(250)를 포함하고, 승강장치(210)와 감지장치(220)와 제어장치(230)와 수위감지장치(240) 및 통신장치(250) 등을 상기 기준점에 고정하면서 그 기능이 발휘되도록 기계적으로 구성되는 앵커(260)와 함체(270)를 더 포함한다.
앵커(260)는 정보발생부(200)를 해저면에 단단히 고정해서, 파력에 의해 휩쓸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암나사(261a)가 형성되어 해저면에 깊이 박히는 핀(261)과, 암나사(261a)에 맞물리는 수나사(262a)가 형성되고 상단에 고정체(262b)가 형성된 링커(262)로 구성된다.
따라서, 링커(262)의 회전방향에 따라 링커(262)와 핀(261)은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될 것이다. 여기서, 고정체(262b)의 상면에는 홈이 형성되어서, 나사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드라이버와 같은 기구를 이용해 링커(26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앵커(260)의 핀(261)은 링커(262)를 매개하지 않고 함체(27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핀(261)과 함체(270)가 분리 구성되되 현장에서 용접 등과 같은 주지,관용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함체(270)는 감지장치(220)와 제어장치(23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방수되도록 수용하는 수용공간(271)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링커(262)의 고정체(262b)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고정홈(272)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272)으로 고정체(262b)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한다.
이는 해저면에 핀(261)을 박아넣은 후 고정체(262b)를 고정홈(272)에 맞물려 끼운 후 링커(262)를 회전시켜서, 암나사(261a)와 수나사(262a)가 자연스럽게 나사산 결합하면서 앵커(260)와 함체(27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링커(262)가 핀(261)에 충분히 결합되면, 덮개(273)를 씌워서 고정체(262b)의 노출을 차단함과 더불어 방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계속해서, 수용공간(271)에는 제어장치(230)와 감지장치(220)가 삽입되며, 제어장치(230)와 감지장치(220)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승강장치(210)는 제어장치(230)의 제어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211)와, 구동모터(2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회전하는 스크류(212)와, 스크류(212)를 감싸도록 맞물리는 관 형상을 이루면서 스크류(212)의 회전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대(213)와, 승강대(213)를 감싸도록 맞물리는 관 형상을 이루면서 승강대(213)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지지관(214)을 포함한다.
구동모터(211)는 제어장치(23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며, 수용공간(271)에 설치된다. 구동모터(211)는 일반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회전력은 회전축대(211a)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대(211a)는 효과적인 회전력 전달을 위해 십자형태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구동모터(211)는 회전축대(211a)의 회전횟수를 확인하는 회전횟수감지센서(미도시함)가 구성되어서, 회전횟수감지센서가 확인한 회전횟수는 감지장치(220)로 전달된다.
여기서 구동모터(211)의 회전횟수는 승강대(213)의 승,하강 길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이는 스크류(212)와 승강대(213)의 피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동모터(211)의 회전횟수와 승강대(213)의 승,하강 길이 간의 연관성은 다수의 실험을 통해 확정될 것이다.
스크류(212)는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회전축대(211a)와 맞물리는 맞물림홈(212a)이 형성되어서, 구동모터(2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된다.
한편, 상단면에는 축구멍(212b)이 형성되는데, 상기 축구멍(212b)으로는 수위감지장치(240)의 연결대(241)가 결합한다.
승강대(213)는 암나사산(213a)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스크류(212a)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면서 상호 나사산 결합하도록 해서, 스크류(2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된다.
이때, 승강대(213)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213b)이 형성되며, 외면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라인(213c)이 형성된다.
안내홈(213b)은 연결대(241)의 안내돌기(241c)와 맞물려서 연결대(241)가 스크류(212)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가이드라인(213c)은 지지관(214)의 레일(214a)과 맞물려서 승강대(213)가 스크류(212)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지지관(214)은 함체(270)의 상면에 고정돼 입설되면서, 스크류(212)와 승강대(213)를 수용하는 것으로, 내면에
는 레일(214a)이 형성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213)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지지한다.
수위감지장치(240)는 스크류(212)의 상단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241)와, 와이어(W)를 매개로 연결되는 부유체(242)와, 와이어(W)를 권취하면서 회전각을 측정하는 활차(243)와, 활차(243)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롤(244)을 포함한다.
연결대(241)는 스크류(212)의 축구멍(212b)으로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241a)을 포함하고, 측면에는 승강대(213)의 안내홈(213b)과 맞물리는 안내돌기(241c)가 형성되며, 상면 개구된 중공(241b)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스크류(212)가 회전하더라도 연결대(241)는 회전하지 않고 현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부유체(242)는 내측에 공간(S)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공간(S)으로는 헬륨, 수소 등과 같이 밀도가 낮은 기체를
주입해서, 부유체(242)가 해수면으로 쉽게 부양할 수 있도록 한다.
활차(243)는 연결대(241)의 중공(241b)에 설치되며 와이어(W)를 자동 권취하는 것으로, 회전각센서(미도시함)가 연결되어서 와이어(W)가 풀릴 때 회전하는 활차(243)의 회전각을 확인해 와이어(W)의 권출 길이를 측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와이어(W)가 감겨진 활차(243)의 둘레길이는 와이어(W)의 길이에 상응하므로, 활차(243)의 회전각 확인을 통해 권출된 와이어(W)의 길이를 알 수 있다.
활차(243)에 연결되는 회전각센서의 구조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기 회전각센서의 회로구조 및 동작 원리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활차(243)가 갖는 자동 권취력은 부유체(242)의 부력보다 약하
도록 되어서, 부유체(242)가 부력을 받아 부상하면 상기 부력에 의해 와이어(W)를 권출하도록 된다. 물론, 와
이어(W)의 권출 길이는 부유체(242)가 부유한 높이에 상응할 것이다.
가이드롤(244)은 중공(241b)의 입구에서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사이로 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활차(243)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롤(244)을 경유해 인출되는 와이어(W)는 부유체(242)가 해수의 유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고, 이는 정확한 수위 측정에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물론, 유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상태이므로 상기 오류는 크지 않을 것이나,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위 측정을 위해서는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이드롤(244)의 회전축에 전후 방향으로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연동시켜서, 압력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압력으로 부유체(242)가 받는 해수의 유력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부유체(242)는 해수의 유력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현실적으로 부유체(242)는 해저면에 설치된 정보발생부(200)의 본체 직상방에 위치할 수는 없다.
물론, 이렇게 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유체(242)와 상기 본체 간의 길이가 대각방향으로 더욱 길어지게 되므로, 해저면으로부터 해수면까지의 수직길이인 수위가 정확히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부유체(242)가 해수의 유력으로 이동하면 서 와이어(W)가 가이드롤(244)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의 세기에 대한 와이어(W)의 기울어진 정도를 확인해서 실제 수위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해수의 유력이 커질수록 와이어(W)가 가이드롤(244)의 회전축에 가하는 압력이 증가할 것이고, 이로 인한 와이어(W)의 기울기 정도도 비례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부유체(242)가 받는 유력 대비 가이드롤(244)이 받는 압력과, 상기 압력 대비 와이어(W)의 경사각 등의 내용을 다수의 실험으로 확인해 데이터로 확보하고, 상기 데이터를 기준으로 실제 수위를 정확히 측정해낼 수 있도록 한다.
감지장치(220)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압력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면 이를 확인해 현상태의 실제 수위를 연산한다. 참고로, 한 쌍의 가이드롤(244)을 중심으로 한 종선을 기준으로 해서 와이어(W)의 기울어진 각도를 'θ'라고 할 때, 실제 수위는 '권출된 와이어의 길이'와 'cosθ'를 곱한 값이 될 것이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통상적인 압전소자를 활용한 공지,공용의 기기이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롤(244)이 받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장치(250)는 제어장치(230)로부터 전송된 지리정보를 지도작성부(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부유체(242)에 내설되고,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부유체(242)의 상방으로 인출되는 안테나(A)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지도작성부(100)로의 전송을 위해 제어장치(230)로부터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지리정보는 스크류(212)와 연결대(241)를 관통한 후 통신장치(250)와 연결되는 라인(미도시함)을 통해 통신장치(250)로 전달된다.
연결대(241)에는 이를 위한 통로(R)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정보발생부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의 활용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의 활용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서 앞서 설명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200)의 동작모습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200)는 승강장치(210)가 동작하면서, 도 4(a)(b)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대(213)를 승,하강시킨다.
한편, 승강대(213)의 외면에는 수신망(221)과 수광수단(222)이 설치되어서, 발신기(300)로부터 발신되는 주파수 신호와 광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망(221)은 감지장치(220)에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레이더(RADAR) 기술을 활용해 상기 주파수 신호를 감지장치(220)로 전송해서 감지장치(220)가 이를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수광수단(222)은 발신기(300)로부터 발신된 광을 수광하도록 한다.
감지장치(220)는 기준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 확인 없이 정보발생부(200)를 우선 설치한 후에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조석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 간조시에 다수의 정보발생부(200)를 해안선을 따라 일렬로 설치하고, 발신기(300)와 감지장치(220)를 이용해 정보발생부(20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신기(300)는 주파수 신호와 광신호를 동일한 시간에 발신하고, 감지장치(220)의 수신망(221) 및 수광수단(222)은 상기 주파수 신호와 광신호를 각각 시차를 두고 수신한다.
이는 주파수 신호와 광신호의 속도차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 시차는 발신기(300)와 정보발생부(200) 간의 거리가 멀수록 증가한다.
감지장치(220)는 이러한 시차를 이용해 발신기(300)와 정보발생부(200)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수광수단(222)은 수신망(221)의 상단에 배치되고, 발신기(300)는 광신호를 수평으로 조사한다.
이때 광신호는 레이저 광과 같이 직진성이 뚜렷한 빛이 될 것이다. 제어장치(230)는 승강장치(210)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키면서 수광수단(222)으로부터 광신호 수신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승강장치(21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횟수감지센서는 구동모터(211)의 회전횟수를 확인해서 감지장치(220)로 전달하고, 감지장치(220)는 전달된 상기 회전횟수 정보를 통해 승강대(213)의 승강 높이(d)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승강장치(210)의 동작이 정지되었음을 측정자가 인식해야 하므로, 제어장치(230)는 발성(發聲)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자는 제어장치(230)의 대기소리를 듣고 정보발생부(200)의 대기 완료를 인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수신망(2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형태를 이루면서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므로, 감지장치(220)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수신망(221)의 위치를 확인해서 상기 주파수 신호의 발신지를 추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발신기(300)를 기준으로 정보발생부(200)가 위치한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발신기(300)는 미리 정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는 감지장치(220)에 이미 입력된 상태이므로, 발신기(300)로부터 발신된 주파수 신호 및 광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발생부(200, 200', 2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최종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발신기(300)가 설치되는 정한 위치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도로의 경계 등이 될 것이다.
상기 기준점의 위치에는 발신기(300)와 정보발생부(200) 간 거리(L)이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절차에 따라 정보발생부(200)의 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제어장치(230)는 승강장치(210)를 제어해서 도 4(a)와 같이 승강대(213)를 지지관(214)에 삽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발생부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시스템에 의해 수치지도의 수정된 지도이미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에서 만조가 시작되면 해수가 육지 쪽으로 밀려오고, 부유체(242)는 부력에
의해 해수면으로 부양한다. 이때, 부유체(242)의 부양으로 인해 활차(243)로부터 와이어(W)가 권출되고, 전술한 회전각센서는 와이어(W)의 권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감지정보를 감지장치(220)로 전송한다.
또한, 가이드롤(244)의 압력감지센서는 와이어(W)가 가하는 압력정보를 감지장치(220)로 전송한다.
감지장치(220)는 상기 감지정보 및 입력정보를 통해 해저면에 설치된 정보발생부(200)의 본체로부터 부유체(242) 간의 거리 d'을 확인할 수 있고, 이렇게 확인된 상기 거리 d'을 활용해 해수면이 육지와 닿는 경계라인으로부터 정보발생부(200) 본체까지의 거리인 L'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5의 d 및 L을 변의 길이로 하는 직각삼각형이 도 7(a)의 직각삼각형과 닮은 꼴이고, 이러한 상기 직각삼각형의 닮은 꼴 비율을 활용함으로서 상기 L'의 연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아울러, 감지장치(220)는 이렇게 연산된 상기 L'을 활용해서 도로의 경계와 해수면의 경계라인 간의 거리 B를 연산한다. 상기 B는 L에서 L'을 제한 길이이므로, 이 또한 용이하게 확인된다.
도 7(b)는 만조가 더욱 진행되어서 d" 및 L"의 길이가 d' 및 L'의 길이보다 길어지고, 상대적으로 B'는 짧아진 모습을 보인 것이다.
B 및 B'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수위정보는 통신장치(2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지도작성부(100)의 수정모듈(150)은 수신모듈(140)을 통해 상기 B 및 B'를 수신해서, 기존 지도이미지의 도로 경계로부터 B 및 B'에 상응하는 B1 내지 B4를 활용해 해수면 경계라인(C)을 도시하고 이를 수치지도로 완성해 출력한다.
덧붙여, 상기 지도작성부(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DB와 모듈들은 엄청난 양의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보통 함체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운용되기 때문에 심한 발열로 인해 적절하게 냉각시켜 주지 않으면 쉽게 열화되어 그 수명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다.
그런데, 함체는 구조적 특성상 적절하게 냉각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모듈들을 수리 교체해야할 경우 함체 방식에서는 함체 도어를 열고 모듈(주로 카드 방식)을 탈거시킨 후 다시 함체를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함체 방식이 아닌 블럭식 DB 및 모듈 탑재 구조를 갖추어 자연냉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화를 억제하고, 모듈 교체시에도 쉽고 빠르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지도작성부(100)가 설치되는 차량의 바닥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400)가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는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요철 형태로 사각홈(4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사각홈(410)은 공기의 순환통로이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유로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지도작성부(100)가 설치된 차량의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갈 경우 공조기와 연계하여 냉기를 공급할 때 공간 상부가 아닌 상기 사각홈(410)을 통해 공급하여 상방으로 퍼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균일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400) 상에 설치된 블럭형 보드(500)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럭형 보드(500)는 일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슬롯(510)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510)은 상술한 지도작성부(100)를 구성하는 DB 혹은 모듈들이 실장되는 공간이며, 나사고정되어 안정적인 접속관계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바, 이는 일반적인 보드 실장구조를 블럭형태로 확장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하부에는 그 하단과 간격을 두고 팬박스(520)가 구비되고, 상기 팬박스(520)의 하단면에는 고정판(53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530)에는 고정대(540)가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540)의 상단에는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평대(550)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수평대(550)에는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상단 양측이 회전축(5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블럭형 보드(500)는 상기 팬박스(520)의 상단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들떠 있고, 그 상단이 회전축(560)을 중심으로 힌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시계방향 혹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물론, 전기 공급을 위한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방향은 특정방향으로 결정됨이 바람직하고, 플렉시블한 코일형 리드선을 이용하여 블럭형 보드(500)가 회전할 때 리드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내부에는 도 10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로(57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570)의 하단은 팬박스(52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태의 송풍구(SLT)와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팬박스(520) 내부에는 크로스플로우팬(FAN)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팬박스(520)의 일측면에는 흡입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슬롯(510)들 사이의 벽면에는 상기 공기유로(57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출공(524)이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크로스플로우팬(FAN)이 가동되면 건조한 실내공기가 흡입공(522)으로 흡입된 후 송풍구(SLT)를 거쳐 공기유로(570), 배출공(524)을 순차로 흐르면서 배출되어 슬롯(510)에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모듈들과 DB를 냉각시키게 된다.
특히, 작은 구멍을 강한 압력으로 통과할 때 온도 강하 현상이 나타나므로 압력을 높이면 더욱 더 효과적인 약간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팬박스(520)의 일단 상면에는 보조편(526)이 더 고정되고, 상기 보조편(526)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일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스토퍼나사(5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블럭형 보드(500)를 고정시켜 둘 때는 스토퍼나사(528)를 체결시켜 두고, 유지 보수를 위해 회전시킬 때는 스토퍼나사(528)를 풀면 된다.
또한, 도 10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530) 상에 히팅할 수 있는 열선(HET)을 배열 설치하게 되면 블럭형 보드(500)를 냉각이 아닌 온풍시켜야 할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혹한기 불측의 상황이 발생하여 블럭형 보드(500)들이 설치된 차량 내부공간이 냉방상태가 되어 가온이 필요한 경우 시스템 보호를 위해 열선(HET)을 가동시킨 후 크로스플로우팬(FAN)을 동작시키면 열선(HET)에서 발생된 열기가 공기유로(570)를 거쳐 슬롯(510)들 사이로 퍼져 나가면서 적정온도로 가온하게 되어 이들 슬롯(510)에 장착되어 있는 모듈들과 DB들이 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다른 방식으로는 도 11의 예시와 같이, 사각홈(410)과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판(530)에 일정크기의 설치홀(580)을 타공하고, 상기 설치홀(580)에 대응되는 크기의 블럭형 열전소자(590)를 상기 설치홀(580)에 삽입 고정하되, 흡열쪽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발열쪽이 상기 사각홈(410)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그러면, 전기가 가해졌을 때 흡입공(522)을 통해 흡입하여 슬롯(510) 쪽을 송풍하는 부분은 항상 냉각된 공기가 만들어지고, 사각홈(410) 쪽으로는 더운 공기가 흘러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대류가 이루어져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효과적인 냉각과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럭형 보드(5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단자 접속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는데, 차량의 흔들림에 유의하고, 안정적인 접속 및 사용자 직접 작동형 단자 연결접속 구조를 갖추어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도 12와 같은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400)의 상면 일측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보드접속단자(15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드접속단자(1500)는 +,- 한 쌍이 동일하게 구비되며, 이하 설명되는 통전연결단자(1400)도 한 쌍이 구비되지만 구체적인 설명인 도 13 및 도 14에서는 편의상 하나만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통전연결단자(1400)는 제1수직편부(1402)와 제1수평편부(1404)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된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제1수직편부(1402)와 제1수평편부(1404)가 별개로 만들어진 상태에서 두 개가 서로 접합되어 한 몸체를 이룬 것이 아니라, 캐스팅할 때 처음부터 한 몸체를 갖도록 성형해야 한다. 이것은 통전시 접합부에서의 전기저항이 커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통전연결단자(1400) 몸체 자체에서 접합부를 없애 전기저항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편부(1402)의 일측에는 공급용 전원이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제1수직편부(1402)에는 축공(1406)이 형성되어 통전연결단자(1400)를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1수평편부(1404)에는 선단면에 호형상으로 요홈(1408)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408)에는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접지된 상태에서 돌출되게 출몰되는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간격을 두고 그와 반대 형상의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이 상기 제1수평편부(1404)의 선단면 일측을 통해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출몰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은 모두 도전체이다.
아울러, 상기 제1수평편부(1404)에는 내부에 피니언작동홈(PION)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작동홈(PION)에는 피니언기어(1454)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454)의 중심에는 피니언축(1452)이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축(1452)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핸들(1450)이 조립되어 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작동홈(PION)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각각 제1,2로드홈(HOM1,HOM2)이 형성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제1수평편부(1404)의 상면에서 일정깊이 내부에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해당 부분을 깍아 내면서 상술한 구성들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해당 부품들이 조립된 후에는 커버 등으로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면 충분히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평편부(1404)는 어느 정도 두께를 가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의 단부에는 제1로드(1462)가 연장되고, 상기 제1로드(1462)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454)에 기어결합하는 제1래크기어(1464)가 형성되며, 상기 제1로드(1462)는 상기 제1로드홈(HOM1)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의 단부에는 제2로드(1472)가 연장되고, 상기 제2로드(1472)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454)에 기어결합하는 제2래크기어(1474)가 형성되며, 상기 제2로드(1472)는 상기 제2로드홈(HOM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래크기어(1464,1474)는 상기 피니언기어(1454)를 사이에 두고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맞물려 있게 된다.
때문에, 상기 피니언기어(14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2래크기어(1464,1474)는 출몰이 서로 반대로 동작되게 된다.
그리하여, 핸들(1450)을 '조임' 위치에서 '풀림'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보드접속단자(1500) 맞물려 있던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이 서로 벌어지면서 접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때문에, 상하로 끼웠다 빼기 쉽고, 결합시에는 상하로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접속 후 진동 흔들림에도 분리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1450)을 잡고 상하방향으로 다시 선회시키면 축공(1406)에 결합된 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그런 후, 다시 접속시킬 때는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수행하면 두 개의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이 보드접속단자(1500)를 서로 맞물면서 통전 고정시키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다.
100; 지도작성부 110; 맵DB 120; 지피에스
130; 도화모듈 140; 수신모듈 150; 수정모듈
160; 출력모듈 200; 정보발생부 210; 승강장치
220; 감지장치 230; 제어장치 240; 수위감지장치
250; 통신장치 260; 앵커 270; 함체
300; 발신기

Claims (1)

  1. 차량에 설치되어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도작성부(100)와, 특정 지점을 기준점으로 해서 설치되는 정보발생부(200)와, 정보발생부(200)로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기(300)를 포함하는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도작성부(100)는 지도이미지를 저장하는 맵DB(110)와, 공지의 GPS 전용 인공위성(AS)과 통신하면서 지도작성부(100)가 현재 위치한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하는 지피에스(120)와, 지피에스(120)에서 확인한 좌표값에 따라 맵DB(110)에서 해당하는 지도이미지를 검색하고 수치지도로 완성하는 도화모듈(130)과, 정보발생부(200)로부터 지리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40)과, 도화모듈(130)에서 완성한 수치지도와 수신모듈(140)에서 수신한 지리정보를 병합해서 상기 수치지도를 수정하는 수정모듈(150)과, 수정모듈(150)이 수정해 완성한 수치지도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60)을 포함하고;
    상기 지도작성부(100)가 설치되는 차량의 바닥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400)가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는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요철 형태로 사각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홈(410)들을 가로질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의 상면에는 고정판(53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530)의 상면 일측에는 팬박스(520)가 고정되고, 상기 팬박스(520)의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블럭형 보드(500)가 구비되며,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도작성부(100)를 구성하는 모듈들과 DB들이 장착되도록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슬롯(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530)에는 고정대(540)가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540)의 상단에는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평대(55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수평대(550)에는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상단 양측이 회전축(5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57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570)의 하단은 팬박스(52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태의 송풍구(SLT)와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팬박스(520) 내부에는 크로스플로우팬(FAN)이 내장되고, 상기 팬박스(520)의 일측면에는 흡입공(522)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슬롯(510)들 사이의 벽면에는 상기 공기유로(57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출공(524)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팬박스(520)의 일단 상면에는 보조편(526)이 더 고정되며, 상기 보조편(526)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일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스토퍼나사(528)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의 상면 일측에는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드접속단자(1500)가 설치되고, 상기 보드접속단자(1500)에는 통전연결단자(1400)가 개폐식으로 접속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전연결단자(1400)는 제1수직편부(1402)와 제1수평편부(14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직편부(1402)에는 축공(1406)이 형성되어 통전연결단자(1400)를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편부(1404)에는 선단면에 호형상으로 요홈(1408)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408)에는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접지된 상태에서 돌출되게 출몰되는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이 구비되며, 상기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간격을 두고 그와 반대 형상의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이 상기 제1수평편부(1404)의 선단면 일측을 통해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출몰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제1수평편부(1404)에는 내부에 피니언작동홈(PION)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작동홈(PION)에는 피니언기어(1454)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454)의 중심에는 피니언축(1452)이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축(1452)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핸들(1450)이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피니언작동홈(PION)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각각 제1,2로드홈(HOM1,HOM2)이 형성되며, 상기 푸쉬호미걸이접속편(1460)의 단부에는 제1로드(1462)가 연장되고, 상기 제1로드(1462)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454)에 기어결합하는 제1래크기어(1464)가 형성되며, 상기 제1로드(1462)는 상기 제1로드홈(HOM1)에 삽입되고, 상기 풀호미걸이접속편(1470)의 단부에는 제2로드(1472)가 연장되며, 상기 제2로드(1472)의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454)에 기어결합하는 제2래크기어(1474)가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1472)는 상기 제2로드홈(HOM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0190098123A 2019-08-12 2019-08-12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02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23A KR102024242B1 (ko) 2019-08-12 2019-08-12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23A KR102024242B1 (ko) 2019-08-12 2019-08-12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242B1 true KR102024242B1 (ko) 2019-09-23

Family

ID=6806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123A KR102024242B1 (ko) 2019-08-12 2019-08-12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02B1 (ko) * 2019-10-24 2020-12-04 김은경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86003B1 (ko) * 2019-10-24 2020-12-04 김은경 수치지도의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상물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99B1 (ko) 2010-09-10 2011-02-01 (주)선운 이앤지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KR101795010B1 (ko) * 2017-04-14 2017-12-01 대한항업(주)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99B1 (ko) 2010-09-10 2011-02-01 (주)선운 이앤지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KR101795010B1 (ko) * 2017-04-14 2017-12-01 대한항업(주)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02B1 (ko) * 2019-10-24 2020-12-04 김은경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86003B1 (ko) * 2019-10-24 2020-12-04 김은경 수치지도의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상물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242B1 (ko)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012099B1 (ko)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CN108844600A (zh) 一种基于网络技术的可调式水库水位测量装置
KR102036501B1 (ko)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상물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012095B1 (ko) 지리정보에 따른 지도이미지 편집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CN109490897B (zh) 一种基于声呐的水下图像信息传输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492929B1 (ko) 지피에스(gps) 측량을 이용한 중요 지형의 수치지도 정보 보정 시스템
KR101233720B1 (ko)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20190037642A (ko) 반잠수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0132B1 (ko) 지아이에스(gis)와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025650B1 (ko) 지형지물 위치 확인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의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319044B1 (ko)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JP6947043B2 (ja) 水流発電装置の浮体測位装置
CN206002558U (zh) 一种带有激光校准功能的超声波测风仪
KR101342628B1 (ko) 지피에스 측량을 활용한 지형의 수치지도 정보 보정시스템
KR100859171B1 (ko)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CN219871775U (zh) 一种河道异物探测设备
CN210802921U (zh) 试验箱
CN114562821A (zh) 一种户外野营用的太阳能发电车
KR102329001B1 (ko)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갱신 시스템 운용방법
CN112729416A (zh) 一种NB-IoT温湿度采集器
CN211954238U (zh) 一种新型海岛环境综合监测站
CN106124002A (zh) 基于无线传输手段的水位传感系统
KR101485089B1 (ko)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gps)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012436B1 (ko) 도심 외 지역의 지리정보 변화에 따라 지도영상이미지의 편집을 처리하는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