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048B1 - 전원제어시스템,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제어시스템,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048B1
KR100859048B1 KR1020067018455A KR20067018455A KR100859048B1 KR 100859048 B1 KR100859048 B1 KR 100859048B1 KR 1020067018455 A KR1020067018455 A KR 1020067018455A KR 20067018455 A KR20067018455 A KR 20067018455A KR 100859048 B1 KR100859048 B1 KR 10085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oint
error
power control
control groups
regul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451A (ko
Inventor
알라인 차푸이스
Original Assignee
파워-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파워-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9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제어그룹을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으로서 각각의 그룹은 각각 조정된 전압출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개별적 부하점 조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점 조정기는 상기 부하점조정기부하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전원제어그룹을 포함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중간버스제어기는 각각의 그룹에 공통적인 시리얼 데이터버스 인터페이스 및 각각의 그룹을 위한 오케이상태선을 통하는 상기 전원제어그룹과 연결된다. 전면말단 조정기는 각각 복수의 전원제어그룹 및 상기 중간버스제어기에 제공한다. 각각 그룹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는 오류상태를 감지하는 오류관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상태의 통지를 상기 그룹 및 상기 중간버스제어기의 복수의 부하점 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통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오류상태에 대한 공통적인 응답은 상기 그룹 및 다른 그룹의 상기 부하점조정기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오류, 전원제어, 시스템, 부하, 중간버스,

Description

전원제어시스템,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POWER CONTROL SYSTEM, METHOD FOR MANAGING FAULT CONDITIONS IN THE SAME, POINT-OF-LOAD REGULATOR FOR USE IN THE SAME, AND METHOD FOR PROGRAMM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제어시스템,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고급 계산 및 통신장치들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s")), 및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s")) 등과 같은 최적화된 집적회로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회로들에 대한 실리콘 공정들은 비용을 줄이고 성능을 최대화하도록 선택 및 마련된다. 이는 각각의 회로에 대한 다른 전원 공급 요구조건, 즉 다른 별개의 전압 및 전류 레벨을 야기한다. 또한, 이런 회로들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예를 들면, 1v 또는 그 이하),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예를 들면 200A)를 요구한다. 많은 이유 때문에 낮은 전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를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걸쳐 전기 장치를 통해 전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첫째, 낮은 전압, 높은 전류선들의 상대적으로 긴 물리적 거리(run)는 회로보드 면적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회로보드 상의 신호선들의 라우팅(routing)을 혼잡하게 한다. 둘째, 높은 전류를 전송하는 선들의 임피던스(impedance)는 많은 전원을 흩어져 없어지게 하고 부하 조정(load regulation)을 복잡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부하 요구조건에서 변화를 수용하도록 전압/전류 특징을 맞추는 것이 어렵다.
분산된 전원구성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전원공급요구조건을 주소지정(address)하도록 개발된다. 이러한 전원구성에서, 중간버스전압은 상기 전기시스템을 통해 분산되고, 개별 부하점조정기(즉 직류/직류 변환기)는 전기 시스템 내의 전원소모의 지점에 위치된다. 각각의 부하점조정기는 중간버스전압을 대응하는 전기회로에 의하여 요구되는 수준으로 변환된다. 이상적으로, 부하점조정기는 낮은 전압의 길이, 전기 시스템을 통하여 높은 전류선들을 최소화하도록 대응하는 전기회로에 인접하도록 물리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중간버스전압은 손실을 최소화하는 낮은 전류선들을 이용하는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분산공정(decentralization process)은 장치에서 대부분의 모든 부하(마이크로프로세서, FPGAs 등)가 그들 자신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할 때까지 추진될 수 있다. 한편, 장치(전체로서)가 단일 주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의 전원공급장치 시스템(전원을 여기에 위치한 칩에 제공한다)은 개별적, 독자적(stand alone) 부하점조정기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전원공급장치 시스템의 결점은 상기 부하점조정기가 제공하고 있는 상기 부하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하는 것에 실패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부하점조정기가 실패하면, 변환기에 의하여 공급된 회로는 제1회로에 의존하는 다른 칩들을 무력화하거나 통지함이 없이 실패할 것이다. 이는 부하의 예상치 못한 기능고장을 야기하거나 다른 칩 및/또는 관련된 부하점조정기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장치 시스템에 추가적인 손상을 준다. 종래의 전원공급장치 시스템은 전원-양호(power-good)신호의 형태로 매우 간단한 오류관리만을 제공하였는데, 장치는 특정 부하점조정기의 결점이 있는 전원공급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었다. 이는 오류의 경우에서 부하에 대한 시스템수준 보호를 제공하기에 불충분하다.
따라서,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를 구비하는 분산된 전원시스템에서 오류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구비하는 것은 이롭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 시스템에서 오류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하점조정기는 공급하는 부하의 특징에 따라 가상 그룹들로 할당된다. 부하점조정기의 하나의 오류상태의 경우에, 오류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조정작동(corrective action)은 유사방법으로 동일한 그룹의 부하점조정기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오류가 아주 심각하다면, 상기 오류상태는 지속적인 조정작동을 위하여 다른 그룹들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전원제어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전원제어그룹은 각각 조정된 전압출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개별적인 부하점조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점조정기는 상기 부하점조정기에 의해 제공된 부하의 특징에 기반한(based on) 전원제어그룹에 포함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중간버스제어기는 각각의 전원제어그룹에 공통되는 시리얼 데이터 버스 인터페이스와 각각의 전원제어그룹을 위한 오케이상태선(OK status line)을 통하여 각각의 전원제어그룹에 연결된다. 전면말단 조정기는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 및 상기 중간버스제어기에 중간버스전압을 제공한다. 각각의 그룹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는 오류상태를 탐지하도록 마련된 오류관리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중간버스제어기로 상기 오류상태의 통지를 선택적으로 통신한다. 이런 방법으로, 상기 오류상태에 대한 공통 응답이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및 다른 그룹들의 상기 부하점조정기에 의해 얻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중간버스제어기는 상기 오케이 상태선을 통해 각각의 그룹과 통신하는 주오류관리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주오류관리기는 오류상태의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그룹에 상기 통지를 선택적으로 통신하는데 상기 각각의 그룹에서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할 수 있다. 상기 부하점조정기는 각각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의 데이터기록이 저장된 상태레지스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태레지스터는 감지된 오류상태의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필드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오류상태의 심각성의 서로 다른 정도를 반영하는 것과 같다. 감지된 오류의 유형에 따라, 상기 부하점조정기의 오류관리기는 복수의 조정작동을 수행하는데, 복수의 조정동작은 a) 상기 오류상태 중 하나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휴지기간 후에 무력화된 부하점조정기를 다시 기능하게 하거나, b)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이런 상태에서 무력화된 부하점조정기를 래칭(latching)하거나 c)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휴지기간 후에 무력화된 부하점조정기를 다시 기능하게 하며, 상기 오류가 지속이 되면 특정한 복수의 횟수 동안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다시 기능하게 하도록 시도하며, 이것이 성공적이지 않다면 무력화 상태에서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래칭한다.
상기 각각의 부하점조정기의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오케이상태선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하여 상기 중간 버스제어기로 상기 오류상태의 통지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중 하나의 상기 부하점조정기의 상기 오류관리기는 동일한 그룹의 부하점조정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오류상태의 통지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그룹 중 몇몇의 부하점조정기의 동기식 작동/무력화(enabling/disabling)를 보증하는 상기 중간버스제어기 내의 상기 주오류관리기로부터 오류상태의 통지를 수신한다. 시스템 확장 오류에 응답하여, 상기 중간버스제어기는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중간버스전압을 컷오프(cut-off)하기 위하여 전면말단 조정기를 무력화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은 상기 중간버스전압을 접지(ground)에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버스제어기에 응답하는 쇠지레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는 이용자에게 오류를 통지해 주기 위한 시스템제어기에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오류의 심각성 수준에 따라 조정작동이 실시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는 상기 오류상태가 관리되고 다른 부하점조정기 및/또는 그룹에 전달되는 방법을 정의하기 위하여 상기 부하점조정기 및/또는 상기 중간버스제어기의 프로그래밍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각각의 그룹의 각각의 부하점조정기 내에 국소적인 오류상태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그룹의 부하점조정기의 다른 하나 및/또는 다른 그룹으로 오류상태의 통지를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의 복수의 부하점조정기 및/또는 다른 그룹에 의해 오류상태의 통지에 응답하여 공통 조정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추가적으로 상기 오류상태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다른 그룹에 통지를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작동은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휴지기간 후에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다시 기능하게 하는 단계,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상기 무력화 상태에서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래칭하는 단계, 상기 그룹 중 하나의 모든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는 단계, 또는 모든 그룹의 모든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스템 확장 기반에서, 상기 조정 응답(corrective response)은 각각의 상기 전원제어그룹에 제공되는 입력전압을 컷오프(cut-off)하거나 각각의 상기 전원제어그룹에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압을 접지(ground)에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시스템에서 오류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당업자에게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하점(point of load, POL)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하나의 예에 따른 부하점조정기(POL regulator)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하나의 예에 따른 중간버스제어기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오류상태 및 관련된 응답을 나타내는 부하점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그룹 내의 다른 부하점들로 전달된 오류상태를 나타내는 부하점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시스템 내의 모든 그룹들로 전달된 오류상태를 나타내는 부하점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부하점 제어시스템에서 오류를 관리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부하점 제어시스템 내의 부하점조정기를 그룹화하는 것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도시한 스크린샷이다.
도 9는 부하점 제어시스템 내에서 부하점조정기를 처리하고 오류탐지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GUI를 도시하는 다른 예에 따르는 스크린샷이다.
도 10은 부하점 제어시스템에 대한 오류전달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GUI를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스크린샷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를 구비하는 분산된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서술하는 내용은 동일한 도면부호가 하나 또는 복수의 도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하점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은 중간버스제어기(102), 전면말단 조정기(104, front-end regulator) 및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120, 130, 140, 150, 이하 '그룹'이라 약칭한다)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그룹은 복수의 개별적인 부하점조정기를 포함하는데, 그룹A(102)는 부하점조정기들(122, 124, 126), 그룹B(130)는 부하점조정기들(132, 134, 136), 그룹C(140)는 부하점조정기들(142, 144, 146) 및 그룹D(150)는 부하점조정기들(152, 154, 156)을 포함한다. 상기 부하점조정기는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당업자에게 부하점조정기, 부하전압 조정기, 직류/직류 변환기, 전압 조정기 및 모든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전압 또는 전류조정장치가 포함되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그룹의 부하점조정기는 대응하는 부하에 제공되는 복수의 출력전압을 생산한다. 상기 부하점조정기는 제공된 상기 부하의 특징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에 높은 의존성을 제공하는 부하점조정기는 하나의 그룹에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CPU 코어전압을 제공하는 모든 부하점조정기는 하나의 그룹(예를 들면 그룹A)에 위치될 수 있고 보조회로를 제공하는 부하점조정기는 다른 그룹(예를 들면 그룹B)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를 함께 그룹화 하는 것에 의해, 그룹 내의 상기 부하점조정기는 오류상태의 경우에서 동일한 응답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그룹의 부하점조정기는, 물리적이 아닌, 부하점조정기의 가상 그룹화를 나타낸다. 특정 그룹의 상기 부하점조정기는 각각의 전기시스템 내로의 다른 것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는 도 1은 각각의 그룹에 도시된 복수의 그룹 및 부하점조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그룹 내에 보다 많은 또는 보다 적은 수의 그룹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말단 조정기(104)는 중간전압버스를 통하여 복수의 그룹에 중간전압(VIN)을 제공한다. 상기 전면말단 조정기(14)는 또 다른 부하점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중간전압버스로부터 전원을 끌어쓴다. 별개의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 및 전면말단 조정기(104)는 단일 유닛에서 함께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말단 조정기(104)는 복수의 중간전압버스를 통해 부하점조정기의 그룹에 복수의 중간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도 1에 상기 싱크/데이터(이하 SD라고 함)로 도시된 단방향 또는 양방향 시리얼버스를 통하여 디지털데이터(동기식 또는 비동기식)를 쓰기 및/또는 읽음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와 통신한다. 상기 SD선은 동기식(즉, 클럭신호에 동기화됨)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허용하는 단일선 시리얼버스 또는 비동기식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허용하는 양선 시리얼 버스(예를 들면, I2C)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그룹에서 특정 부하점조정기를 주소지정(address)하기 위해, 각각의 부하점조정기는 특정 주소로 식별되는데, 특정 주소는 상기 부하점조정기에 배선에 의해 접속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도 1에 OKA, OKB, OKC 및 OKD선(또한 각각의 OK선 아래참조)으로 도시된 단방향 또는 양방향 시리얼선을 통해 오류관리를 위한 복수의 그룹 중 하나와 각각 통신한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 세팅(setting) 및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시리얼 데이터버스(예를 들면 I2C)를 통하여 이용자 시스템과 통신한다. 메모리장치(108)는 프로그래밍 및 초기상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기 시리얼데이터버스에 연결된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의 개시(start-up) 동안 초기상태데이터를 검색하는 것과 같이 상기 시리얼데이터버스를 통하여 메모리(108)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상기 교류 주 공급장치(AC main supply)의 장애를 반영하는 입력신호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교류 장애신호 같은 것의 수신에 의해,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상기 부하점조정기의 순차적인 차단을 명령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시스템확장 오류(system-wide fault)의 경우에 전면말단 조정기의 실행을 무력화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선(FE EN)을 통해 상기 전면말단 조정기(104)와 통신한다. 상기 부하점조정기 중 하나에서 부품장애가 있다면, 부하점조정기의 출력은 각각의 부하에 손상을 입힐 초과전압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가 감지될 때 상기 중간버스전압을 가능한 빨리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은 상기 중간전압버스에 연결된 임의의 쇠지레회로(1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전압버스에 잔류하는 상기 전압을 접지(ground)에 구동하고 이에 따라 부하점조정기에 대한 상기 중간전압을 컷오프(cuts-off)하고 초과전압상태를 방지한다.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의 부하점조정기(122)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다른 부하점조정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부하점조정기(122)는 전원변환회로(162), 상태센서(164), 상태레지스터(166), 오류관리기(168), 시리얼 인터페이스(172) 및 메모리(174)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는 시리얼 인터페이스(172)를 통하여 수신된 세팅(setting)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세팅(setting)에 따라 상기 중간전압(VIN)을 바람직한 출력전압(VOUT)으로 변환한다.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는 종래의 벅(conventional buck), 부스트(boost), 벅부스트(buck-boost) 또는 다른 공지의 직류-직류 변환토폴로지(DC-to-DC converter topolog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센서(164)는 상기 출력전압과 전류, 작동온도 및 국소적 제어를 위하여 이용되는 다른 외부 파라미터를 모니터한다. 상기 상태센서(164)는 상기 부하점조정기에서 오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런 감지된 오류상태는 오류상태의 격렴함(severity)에 따라 하부카테고리로 분류되는데, 예를 들면 (ⅰ) 낮음(즉, 초과된 특정 허용오차(tolerance)(예를 들면 온도는 높고, 출력전압은 타이트한 허용오차 밴드(band)의 외부에 있다 등)를 초과한 파라미터를 경고), (ⅱ) 중간(즉, 오류상태는 조정작동(corrective action)을 요청하지만 급하지는 않음(예를 들면 한계를 초과하는 온도, 한계를 밑도는 출력전압, 한계를 초과하는 출력전류 등)) 및/또는 (ⅲ) 높음(상기 부하점, 부하 또는 전체시스템에 손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즉시 조정작동이 요구되는 치명적인 에러(예를 들면, 한계를 초과하는 출력전압, 단락에서 전원변환회로의 전원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감지된 오류상태의 다른 분류가 이롭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태레지스터(166)는 상기 상태센서(164)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의 상태기록을 유지한다. 오류상태가 상기 상태센서(164)에 의해 감지되면 대응하는 데이터기록 또는 플래그는 상기 상태레지스터(166)에 기록된다.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상태레지스터(166)를 모니터하고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에 대한 적합한 작동을 판단한다.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류관리기(168)의 구성은, 예를 들면 (ⅰ) 상기 상태레지스터를 폴링(polling)하고 그룹에 속하는 상기 개별적인 부하점조정기(122) 및/또는 상기 전체 부하점 제어시스템을 보호하도록 작동한다, (ⅱ)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휴지기간 후에 다시 기능하게 한다(즉, 자동 회복모드), (ⅲ) 상기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상기 오류를 래치(latch)한다, (ⅳ) 그룹 내의 오류를 전달한다, (ⅴ) 외부오류의 경우에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를 무력화일 수 있다.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오케이선(OK line)의 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및/또는 상기 SD선을 통해 메시지를 통신하는 것에 의해 다른 부하점조정기 및/또는 다른 그룹에 이런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그룹의 각각의 다른 부하점조정기는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에서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의한 오류상태를 탐지하고, 각각의 오류관리기는 대응하는 작동(action)을 취한다.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기능불량을 래치하기 위해 프로그램되고 상기 오류트리거(fault trigger)가 사라질 때 상기 부하점조정기(122)의 재시작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오류트리거가 사라진 후 또는 일정 시간 후에 부하점조정기가 자동으로 재시작되도록 한다. 상기 부하점조정기가 재시작을 시도하면, 제1부하점조정기에 의해 탐지된 상기 오류 때문에 무력화된 그룹 내의 다른 부하점조정기와 동기적으로(synchronously) 유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은 중간버스제어기(102)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상태센서(182), 시스템 상태레지스터(184), 오류관리기(186), 복수의 그룹상태레지스터(188a~d), 시리얼 인터페이스(192) 및 메모리(19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상태센서(164)와 같이, 상태선서(182)는 운영온도, 교류선장애, 중간버스전압수준 및 제어시스템전원에 이용되는 다른 외측 방해요인과 같은 시스템수준오류상태(system level fault condition)를 모니터한다. 상술한 탐지된 오류상태는 오류상태의 심각성에 따라 하부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하부카테고리는 (ⅰ)낮음(예를 들면, 온도는 높다등), (ⅱ) 중간(예를 들면, 한계를 초과하는 온도, 교류선장애등), 및/또는 (ⅲ) 높음(예를 들면, 시스템수준 장애등)이다. 감지된 오류상태의 다른 분류가 이롭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상태레지스터(184)는 상기 상태센서(182)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의 상태기록을 유지한다. 오류상태가 상기 상태센서(182)에 의해 감지될 때 대응하는 데이터기록 또는 플래그는 상기 시스템 상태레지스터(184)에 기록된다. 상기 그룹 상태레지스터(188a-d) 각각은 각각의 오케이선을 통하여 대응하는 그룹과 연결된다. 상기 그룹 상태레지스터(188a-d)는 상기 부하점조정기 오류관리기 중 하나로부터 정보의 통신을 기반하는 상기 그룹 중 하나의 상태로의 변화를 반영한다.
상기 시스템 오류관리기(186)는 도 2의 상기 오류관리기(168)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시스템 오류류관리기(186)는 상기 시스템 상태레지스터(184) 및 상기 그룹 상태레지스터(188a-d)와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 오류관리기(186)는 시리얼 인터페이스(192)의 사용에 의하여 시리얼 데이터를 통하여 그룹들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상태레지스터(184) 또는 상기 그룹 상태레지스터(188a-d) 중 하나에 의하여 보고된 오류상태의 심각성에 따라, 상기 시스템 오류관리기(186)는 오류상태를 다른 그룹들 또는 전체 시스템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심각한 오류상태의 경우에, 시스템오류관리기(186)는 상기 전면 말단 조정기(104)를 무력화하고 및/또는 접지(ground)에 중간전압버스를 쇼트(short) 하기 위하여 상기 쇠지레회로(106)를 트리거(trigger)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94)는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를 위한 디폴트구성데이터(default 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한다. 상기 디폴트 구성은 중간버스제어기(102)가 프로그래밍신호가 없을 때 '안전'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과 같이 선택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시스템 오류관리기(186)는 상기 시스템 상태레지스터(184) 및 그룹 상태레지스터(188a-c)를 모니터하고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를 위한 적합한 작동을 판단한다. 시스템확장 오류가 상기 시스템 상태레지스터에 감지되면, 상기 오류관리기(186)는 시스템확장 조정작동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그룹 및 상기 전면말단 조정기(104)를 차단한다. 오류상태가 탐지되고 상기 그룹 중 하나에만 영향을 미친다면, 상기 오류관리기(18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류관리기(186)는, (ⅰ)상기 그룹 상태레지스터(188)를 폴링(polling)하고 상기 개별 그룹을 보호하도록 작동한다 (ⅱ) 상기 그룹의 각각의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휴지기간 후에 다시 기능하게 한다(즉, 자동회복모드), (ⅲ) 상기 그룹의 각각의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고 상기 무력화 상태를 래치(latch)한다, (ⅳ) 다른 그룹으로 상기 오류상태를 전파한다 및/또는 (ⅴ) 상기 전면말단 조정기를 차단하고 및/또는 상기 쇠지레회로(106)를 활성화함에 의해 전체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오류관리기(186)는 상기 대응하는 그룹 오케이선의 상태를 변경함에 의하여 및/또는 상기 SD선을 통해 메시지를 통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전파할 수 있다. 각각의 그룹은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에 변화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오류상태를 감지 및/또는 상기 SD선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오류상태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관리기는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도 7은 부하점 조정기의 오류관리기(168)에 의한 오류관리를 위한 처리(200)를 도시한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단계(202, 210)는 초기루프를 반영한 것으로서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외부 및 내부 오류(또는 상태 내에서 변화)의 존제를 각각 체크 한다. 이러한 오류(또는 상태에서 변화)가 없을 때,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02, 210)를 통해 연속적으로 루프(loop) 한다. 외부오류(또는 상태에서 변화)는 단계(204-208)를 포함하는 공정의 일부분에 의해 처리된다. 내부오류는 단계(212-242)를 포함하는 공정의 개별적인 부분에 의해 처리된다.
단계(202)에서 시작하여,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시스템오류관리기(186)에 의하여 또는 상기 동일한 그룹의 다른 부하점조정기의 오류관리기에 의하여 전달되는 상기 오케이선 상태에서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 한다. 상기 특정 부하점 조정기에 의해 탐지된 내부오류에 대항(OPPOSE)함에 따라,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에서 변화는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 또는 다른 부하점조정기에 의한 외부오류(즉 상기 특정 부하점조정기의 외부)를 처리하는 것을 반영한다. 상기 오케이선은 (1) 소거상태(즉 어떠한 오류도 나타나지 않는 상태) 및 (2) 설정상태(즉, 오류상태)와 같이 두 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전 오류상태를 소거하는 수단을 설정하는 것으로부터 오케이선의 상태에서의 변화가 결정되고 소거되며, 오류상태를 소거하는 수단을 설정하는 것으로부터 상태의 변화는 상기 시스템 오류관리기(186) 또는 상기 동일한 그룹의 다른 부하점 조정기의 오류관리기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그룹에 전파된다.
외부오류(또는 상태에서의 변화)가 있다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04)를 통과하는데, 여기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를 설정 또는 소거되도록 변화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06)에서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를 차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오류상태를 상기 부하점 조정기에 국부적으로 전달한다. 반대로, 상기 상태가 소거되도록 변화되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08)에서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시스템 오류상태의 소거를 전달한다.
단계(206, 208) 중 하나에 따르거나 또는 단계(202)에서 감지된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에 변화가 없다면, 상기 오류관리기는 내부오류상태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단계(210)를 통과한다. 내부오류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02)로 복귀하고 초기 체크 루프 공정을 반복한다. 하지만 내부오류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12)에서 상기 오류상태를 소거하도록 복구공정을 시작할지 여부와 상기 오류상태를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230-242)는 내부 오류상태 설정 공정을 나타낸다.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내부오류 이벤트(event)가 처음으로 감지될 때 단계(212)에서 내부 오류 설정 공정을 선택한다. 그 후, 단계(230)에서,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의 심각성 수준을 판단하는데, 이는 상기 상태레지스터(166)를 체크 하는 것에 의한다. 상기 심각성 수준이 낮으면, 상기 오류상태를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에 보고하는 것보다 어떤 조정작동이 필요하지 않다. 단계(242)에서,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SD선을 통하여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에 대응하는 통지메시지를 통신한다. 상기 부하점 조정기의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는 작동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공정은 시작점으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심각성이 낮지 않다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32)에서 심각성 수준이 중간 또는 높은지를 판단된다. 어느 한 경우에도, 심각성 수준에 따라 다른 비율임에도 불구하고, 오류관리기(168)는 부하점조정기의 전원변환회로(162)를 턴오프(turn off)시킨다. 상기 심각성 수준이 높으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36)에서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즉시 차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심각성 수준이 중간이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보다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인 공정(예를 들면, 갑작스럽게 차단되는 것보다 소정의 비율 또는 순서에서 상기 출력전압을 램프다운 한다)에 따라 단계(240)에서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를 차단한다.
중간단계(234, 238)에서,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를 변화시킴에 의하여 상기 동일한 오케이선에 연결된 다른 부하점 및/또는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로 상기 오류상태를 추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오류를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 즉, 단계(234, 238))로 전달하기 위한 결정은 상기 부하점조정기의 초기 프로그래밍에 기초한다.
단계(214-222)는 상기 내부 오류소거(즉, 복구)공정을 나타낸다.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내부상태오류가 사전에 탐지된 후에 상기 공정을 통해 연속적인 통과(pass)에 따라 단계(212)에서 상기 내부오류소거공정을 선택한다. 단계(230)로서,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태레지스터(166)를 체크하는 것과 같이 상기 탐지된 오류상태의 심각성 수준을 단계(214)에서 결정한다. 상기 심각성 수준이 낮으면 상기 오류상태를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에 보고하는 것보다 어떠한 조정작동이 필요 없다. 단계(222)에서,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SD선을 통해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에 통신통지메시지를 통신한다. 상기 부하점 조정기의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는 작동상태에 잔류하고 상기 공정은 시작점으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심각성 수준이 낮지 않으면,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는 단계(236 또는 240)를 통과하는 사전통과(previous pass)에서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단계(216)에서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를 재시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결정은 상기 부하점 조정기의 초기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류상태가 소정의 시간보다 적은 과도 이벤트(transient event)이면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는 재시작된다. 상기 결정이 전원변환회로(122)를 재시작하지 않으면, 이를테면 상기 오류상태가 특히 심각하거나 장기간 지속 되거나 또는 상기 동일 오류상태가 성공적인 재시작된 후에 재발하면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는 상기 오프 상태로 래치(latch) 되는데 즉, 진단평가 또는 상기 부하점 조정기에 서비스를 유지하는 작동을 처음 전도하는 것 없이 상기 전원변환회로(162)의 재시작을 제외한다. 반면, 상기 결정이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를 재시작하도록 결정되면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를 변화하는 것에 의한 작동상태에서 상기 변화의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를 통지한다. 상기 오류관리기(168)는 상기 전원변환회로(162)를 재시작하고 상기 처리는 시작점으로 복귀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내에서 오류상태의 관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은 두 개의 부하점을 구비하는 각각의 그룹과 함께 두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는 부하점을 구비하는 전원관리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오류상태는 그룹 A의 부하점1에서 감지된다. 부하점1의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의 심각성에 의해 지시된 것처럼, 출력전압의 정상 램프다운 또는 즉시 차단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회로(X로 표기됨)를 차단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를 변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오류를 전달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된다. 따라서, 상기 동일그룹에서 부하점2는, 그룹B(상기 체크마크로 도시됨)의 부하점3 및 부하점4처럼,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잔류한다. 부하점1의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오류를 래치하는지 또는 부하점1의 자동복구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5에서 오류상태는 그룹 A의 부하점1에서 감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점1의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의 심각성에 의해 지시된 것처럼, 출력전압의 정상 램프다운 또는 즉시 차단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회로(X로 표기된)를 차단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전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오케이선의 상태를 변화시킴에 의하여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오류를 전달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따라서, 상기 동일 그룹의 부하점2는 차단되지만, 그룹 B의 부하점3 및 부하점4는 작동(상기 체크마크로 도시된)하도록 남아 있는다. 부하점1의 상기 오류관리기가 자동복구를 수행하도록 결정하면, 부하점1 및 부하점2는 동기식으로 재시작한다.
도 6에서, 오류상태는 그룹 A의 부하점1에서 감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점1의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감지된 오류상태의 심각성에 의해 지시된 것처럼, 출력전압의 정상 램프다운 또는 즉시 차단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회로(X로 표기된)를 차단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전의 실시예와 달리, 오류 관리기는 중간버스제어기(102)에 오류 상태를 전달하도록 프로그램되고, 차례로 오류를 그룹 B에 전달한다. 그룹B의 부하점3과 부하점4는 차단된다. 부하점1의 오류 관리기가 자동복구를 수행하도록 결정되면, 각 그룹의 부하점들은 순차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에 따라 재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는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의 프로그래밍 및 모니터링 수행을 위한 이용자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이용자 시스템은 상기 인터페이스와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는 컴퓨터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간버스제어기(102)와 통신하도록 마련된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한다. 종래기술로서, 상기 컴퓨터는 마이크로윈도우사의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것과 같은 이동가능한 창, 아이콘 및 마우스와 같은 그래픽기반 이용자 인터페이스(이하 GUI라고 함)를 갖추고 있다. 상기 GUI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텍스트 및 그래픽을 나타내는 표준 사전프로그램된 포맷(standard preprogrammed format)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버스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상기 GUI에 의해 컴퓨터 스크린에 표시되고, 상기 이용자는 상기 GUI의 특정 스크린에 변화를 일으킴에 의하여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의 작동을 프로그램 및 모니터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부하점 제어시스템을 위한 오류 및 에러감지를 프로그래밍하도록 이용되는 GUI의 스크린샷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부하점 제어시스템 내에 부하점조정기의 구성을 정의하도록 이용되는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부하점 수(00-31)를 정의하는 수평축과 그룹(A-D)을 정의하는 수직축을 갖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이용자는 개별적인 부하점조정기를 선택된 부하점 수 및 그룹의 교차점에 위치된 관련 아이콘을 활성화(예를 들면, 클릭)하는 것에 의해 그룹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부하점 수(00 및 02)는 그룹A에, 부하점 수(04)는 그룹C에, 부하점 수(06)은 그룹D에 할당된다. 상기 스크린은 장애, 중간버스전압 과전압 및 저전압 보호, 및 다른 수행특징의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용자는 GUI 스크린을 이용하는 구성파일들을 생성, 저장 및 수정할 수 있다.
도 9는 부하점 조정기를 위한 구성파일을 프로그램하도록 이용되는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오류트리거(fault trigger) 유형 및 심각성을 확인하는 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오류트리거 유형은 심각성에 따라 순서대로 열거되고, 경고로서 열거된 온도 높음 및 전원 양호(power good), 오류로서 열거되는 차별 추적, 과잉온도, 과전류 및 저전압, 에러로서 열거되는 과전압과 위상에러(phase error)를 포함한다. 각각의 오류유형은 상기 오류관리기에 의한 처리를 바람직하게 지정하기 위한 대응하는 선택가능한 필드를 구비하고, 선택가능한 필드는 전파(즉, 상기 오류상태가 상기 오케이선의 상기 상태를 변화하는 것에 의해 전파된다), 래칭(즉, 상기 오류상태가 상기 전원변환회로의 차단 및 상기 차단상태에서 래칭하는 것을 유발한다), 가동(즉, 상기 오류상태가 보고되지 않는다) 및 중간버스제어기로의 보고를 포함한다. 다른 오류트리거유형 및 프로그램된 처리의 다른 선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시스템은 상기 프로그래밍이 하나의 부하점조정기에 적용되거나 그룹의 모든 부하점 조정기에 적용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의 모든 부하점조정기(및 그룹)에 적용되는지를 판단한다.
도 10은 상기 부하점 제어시스템에 대한 오류 및 에러전파를 프로그램하는데 이용되는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크린은 오류상태가 발생하는 그룹 정체(identity)을 반영하는 제 1박스 및 상기 오류상태가 전파된 그룹 정체를 반영하는 제 2박스를 그래픽적으로 나타낸다.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다른 그룹까지의 통신을 반영하는 선들 사이의 교차점을 갖는, 상기 두 개의 박스를 연결하는 일련의 선들이 있다. 상기 이용자는 바람직한 전달경로를 정의하는 선들 사이의 교차점에서 선택적으로 아이콘을 활성화시킴에 의하여 구성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용자는 그룹 A의 오류상태를 그룹 D를 제외한 그룹 B 및 그룹 C에 전달하도록 아이콘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상기 전면말단(104)를 오프하는지 및 오류상태의 경우에 상기 쇠지레회로(106)를 활성화하는지 여부를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6)

  1.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그룹 각각은 각각 조정된 전압출력을 제공하도록 각각 마련된 복수의 개별 부하점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각각에 공통되는 시리얼 데이터 버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전원제어그룹 각각에 유일한(unique) 오케이(OK)상태선을 통하여 상기 전원제어그룹과 통신하는 중간버스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각각에 중간 버스 전압을 제공하는 전면 말단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는 오류 상태들을 탐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각각의 오류 관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그룹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의 다른 일부로 및 상기 중간 버스 제어기로 상기 오류 상태의 통지들을 선택적으로 통신하며, 그래서 상기 오류 상태들에 대한 공통 응답이 상기 전원제어그룹 및 다른 그룹들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의 일부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버스제어기는 상기 오케이 상태선들을 통하여 각각의 상기 전원제어그룹들과 통신하는 주오류관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오류관리기는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제어그룹들러 상기 통지를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각각은 탐지된 상기 오류 상태들의 데이터 기록을 저장하는 상태 레지스터(regis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레지스터는 탐지된 상기 오류 상태들의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각각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에 응답하는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disabl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각각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휴지기간 후에 상기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다시 기능하게(re-enable)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각각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즉시 무력화하도록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각각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램프다운율(ramp-down rate)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도록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각각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무력 상태에서 상기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래치(latch)하도록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각각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상기 오케이상태선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하여 상기 중간 버스 제어기로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을 통신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기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중 하나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제어기들 각각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중 상기 하나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을 수신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중 하나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모두의 상기 오류 관리기는 상기 중간 버스 제어기로부터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을 수신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버스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각자로부터 상기 중간 버스 전압을 컷오프(cut off)하도록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말단 조정기를 무력화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접지(ground)로 상기 중간 버스 전압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중간 버스 제어기에 응답하는 쇠지레(crowbar)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버스 제어기는 상기 오류 관리기들의 작동을 프로그램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데이터의 통신을 허용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버스제어기는 상기 오류상태의 상기 통지를 이용자에게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7. 복수의 전원제어그룹을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의 오류 상태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각각은 각각의 조정된 전압 출력들을 제공하도록 각각 마련된 복수의 개별 부하점조정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전원제어그룹의 각각의 부하점조정기 내에 국부적으로 오류 상태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그룹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다른 하나로 및 상기 전원제어그룹의 다른 하나로 상기 오류 상태들의 통지를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전원제어그룹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 중 일부에 의하여 공통된 방법으로 상기 오류 상태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중 다른 일부로 상기 통지들을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탐지된 상기 오류 상태들의 데이터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은 탐지된 상기 오류 상태들의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에 응답하는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휴지기간 후에 상기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다시 기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무력화 상태에서 상기 대응하는 부하점조정기를 래칭(latch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4. 제 17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오케이상태선을 통하여 상기 오류 상태들의 통지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중 하나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제어그룹들 중 하나의 모든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상기 무력화된 부하점조정기를 동시에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가 제거된 후에 상기 무력화된 부하점조정기를 동시에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2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모든 전원제어그룹의 모든 부하점조정기를 무력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상기 무력화된 부하점조정기를 동시에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 중 하나가 제거된 후에 상기 무력화된 부하점조정기를 동시에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3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각자로 제공되는 입력 전압을 컷오프(cut off)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3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들의 상기 통지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각각으로 제공되는 입력 전압을 접지(ground)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3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점조정기에 의해 공급되는 부하의 특징들에 기초한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하기 위한 상기 부하점조정기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관지하는 방법.
  35. 제 17항에 있어서,
    통지들을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상태를 감지하는 방법.
  36. 복수의 유사(like) 부하점조정기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에 있어서,
    중간버스전압을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도록 마련된 전원변환회로;
    상기 전원변환회로의 복수의 오류상태를 탐지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전원변환회로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류 상태의 탐지에 따라 조정작동(corrective actions)을 하기 위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오류 상태의 통지를 선택적으로 통신하며, 및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다른 하나의 오류 상태의 유사(like) 통지를 수신하는 오류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오류관리기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류상태의 데이터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상태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레지스터는 상기 오류상태의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3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복수의 오류상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무력화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휴지기간 후에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다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복수의 오류상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즉시 무력화하게 하도록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42.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복수의 오류상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램프다운율(ramp-down rate)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무력화하도록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43.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무력화 상태에서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래치(latch)하도록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44.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관리기는 상기 조정작동을 정의하는 프로그래밍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점조정기.
  45.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 각각을 식별하는 제1축 및 복수의 가상 전원제어그룹을 식별하는 제2축을 포함하는 매트릭스(matrix)를 도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표시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매트릭스(matrix)는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 각각 사이에 교차를 정의하는 복수의 이용자 선택가능 아이콘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선택가능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중 하나에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선택된 하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중 특정한 하나로 할당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탐지된 오류상태들은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중 특정한 하나로 할당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다른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며(propagate), 그래서 상기 오류상태들에 대한 공통 응답(common response)이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중 특정한 하나로 할당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각각 하나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중 하나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할당을 정의하는 구성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제어그룹들 중 하나로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할당을 정의하는 저장된 구성파일을 수정하기 위해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48.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을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잠재 오류상태 및 상기 잠재 오류상태에 응답하여 얻어지는 조정작동들의 선택가능한 유형들을 도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조정작동들의 선택가능한 유형들 중 일부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로그래밍 단계에 따라 실제 오류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조정작동들의 선택된 유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상태의 선택 가능한 유형들은 과열, 과전류, 저전압, 과전압 및 위상전압에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50.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작동의 선택가능한 유형은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변환회로를 무력화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지연(delay) 후에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재시작하는 단계, 무력화 상태에서 상기 전원변환회로를 래칭(latch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들 중 다른 하나로 오류상태 통지를 전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51.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 중 하나에 적용되는 상기 조정작동의 선택된 유형인지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52.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가상그룹의 모든 부하점조정기에 적용되는 상기 조정작동의 선택된 유형인지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53.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의 모든 부하점조정기에 적용되는 상기 조정작동의 선택된 유형인지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54.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 사이의 통신경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표시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 중 각각은 여기에 할당된 각각의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의 일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상전압제어그룹들의 다른 것들까지의 상기 오류통지의 전달을 정의하는 상기 통신 경로들 중 선택된 하나를 기능하게 하는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 중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하점조정기는 상기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오류통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의 일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상전압제어그룹들의 다른 것들까지의 상기 오류통지의 전달에 부가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 중 각각으로 입력 전압을 제공하는 전면말단(front end)을 무력화하기 위한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의 일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상전압제어그룹들의 다른 것까지의 상기 오류통지의 전달에 부가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전원제어그룹들 중 각각으로 입력 전압을 쇼트(short)하기 위한 쇠지레 회로(crowbar circuit)를 제동(trigger)하기 위한 이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KR1020067018455A 2004-02-12 2005-01-28 전원제어시스템,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KR100859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456904P 2004-02-12 2004-02-12
US60/544,569 2004-02-12
US10/890,573 2004-07-13
US10/890,573 US7372682B2 (en) 2004-02-12 2004-07-13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ult in a pow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451A KR20060129451A (ko) 2006-12-15
KR100859048B1 true KR100859048B1 (ko) 2008-09-17

Family

ID=3484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455A KR100859048B1 (ko) 2004-02-12 2005-01-28 전원제어시스템,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372682B2 (ko)
EP (1) EP1714369B1 (ko)
KR (1) KR100859048B1 (ko)
WO (1) WO20050817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06983D0 (en) * 2004-03-29 2004-04-28 Brison Paul Wireless controlled intelligent outdoor dimmer module
US7590890B2 (en) * 2006-08-23 2009-09-15 Micrel, Inc. Hot-swap power controller generating sequenced power-good signals
JP4886562B2 (ja) * 2007-03-19 2012-02-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器及び多入出力電力変換器
US8386806B2 (en) * 2007-12-17 2013-02-26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power management logic
US8390148B2 (en) * 2008-08-13 2013-03-05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upply wear leveling in a blade server chassis
EP2164276A1 (en) * 2008-09-16 2010-03-17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system with distributed sensors
TWI422128B (zh) * 2008-10-23 2014-01-01 Intersil Inc 功率調節器及用於控制功率調節器輸出的系統和方法
JP4821875B2 (ja) * 2009-03-25 2011-11-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負荷制御システム
CN102025284B (zh) * 2009-09-10 2013-08-2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交错式脉波宽度调变控制的电力模块系统及其操作方法
US8575910B2 (en) * 2010-01-20 2013-11-05 Intersil Americas Inc. Single-cycle charge regulator for digital control
US9252773B2 (en) * 2010-01-26 2016-02-02 Intersil Americas LLC Application specific power controller configuration technique
CN102201699A (zh) * 2010-03-23 2011-09-28 百富(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具有提供数字闭环功率控制的数字电源管理器的分布式供电系统
GB2484524A (en) 2010-10-14 2012-04-18 Powervation Ltd Pin programming a power supply controller
US8731730B2 (en) 2011-04-27 2014-05-20 Ev Patent Holdings, Llc Electric vehicle clustered charge distribution and prioritiz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EP2624428A1 (de) * 2012-02-06 2013-08-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dulare DC Stromversorgung mit unabhängigen Ausgangswandlern
EP2820748B1 (en) 2012-03-01 2016-1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 power converter module and a device therefor
US9478982B2 (en) 2013-07-22 2016-10-25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9760451B2 (en) * 2015-07-28 2017-09-12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oordinated storage of operating data among multiple voltage regulators in response to a fault condition
US10002263B2 (en) * 2016-03-16 2018-06-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munications bus line isolator
JP6664009B2 (ja) * 2016-12-26 2020-03-13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システム
US11031804B2 (en) * 2017-11-06 2021-06-08 Nxp B.V. Power controller
DE102018000063B4 (de) * 2018-01-08 2024-05-2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pannungsdiagnoseschaltung
JP7131136B2 (ja) * 2018-07-04 2022-09-06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バ装置,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監視制御装置
CN112152736B (zh) * 2020-09-22 2022-11-15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客户前置设备、客户前置设备的故障检测方法以及存储介质
US11835550B2 (en) 2021-08-11 2023-12-05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conversion, fault management, and notif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6219B1 (en) * 2000-03-24 2001-06-12 The Boeing Company String switc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trollably connecting the output of a solar array string to a respective power bus
US6778414B2 (en) * 2002-12-20 2004-08-17 The Boeing Company Distributed system and methodology of electrical power regulation, conditioning and distribution on an aircraft

Family Cites Families (1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429A (en) * 1872-01-02 Improvement in propelling canal-boats
US33152A (en) * 1861-08-27 Improvement in combination cement and metal pipes
US73347A (en) * 1868-01-14 of same place
US27101A (en) * 1860-02-14 Twine-holdek
US429581A (en) * 1890-06-03 parmelee
US201761A (en) * 1878-03-26 Improvement in motors
US3660672A (en) * 1971-02-25 1972-05-02 Pioneer Magnetics Inc Power supply dual output
GB1536046A (en) * 1976-06-30 1978-12-20 Ibm Data processing system power control
US4194147A (en) * 1977-12-05 1980-03-18 Burr-Brown Research Corporation Parallel connected switching regulator system
DE2904786C2 (de) 1979-02-08 1981-02-1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erfahren zur Regelung von Wechselrichtern im Parallelbetrieb und Schaltungsanordnunge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335445A (en) * 1979-02-26 1982-06-15 Kepco, Inc. System for interfacing computers with programmable power supplies
US4350943A (en) 1980-04-04 1982-09-21 Pritchard Eric K Amplifier for inductive loads with corrective current sensing
US4451773A (en) * 1982-04-02 1984-05-2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Rectifier control system for a DC power plant system
EP0096370B1 (en) * 1982-06-04 1987-02-04 Nippon Chemi-Con Corporation Power supply device
US4538073A (en) * 1983-05-09 1985-08-27 Convergent Technologies, Inc. Modular power supply system
US4607330A (en) * 1983-11-29 1986-08-19 Parallel Computers, Inc. Fault-tolerant power supply system
US4622627A (en) 1984-02-16 1986-11-11 Theta-J Corporation Switching electrical power supply utilizing miniature inductors integrally in a PCB
US4677566A (en) * 1984-10-18 1987-06-30 Burroughs Corporation Power control network for multiple digital modules
US4654769A (en) * 1984-11-02 1987-03-3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ransformerless dc-to-dc converters with large conversion ratios
US4616142A (en) 1984-12-31 1986-10-07 Sundstrand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parallel-connected semiconductor switch elements
US4630187A (en) 1985-09-09 1986-12-16 Sperry Corporation Power converter with duty ratio quantization
US4761725A (en) 1986-08-01 1988-08-02 Unisys Corporation Digitally controlled A.C. to D.C. power conditioner
US5168208A (en) 1988-05-09 1992-12-01 Onan Corporation Microprocessor based integrated generator set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US4988942A (en) 1988-11-08 1991-01-29 Spectra-Physics, Inc. Switched resistor regulator control when transfer function includes discontinuity
US5053920A (en) 1989-06-09 1991-10-0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Integrated power conversion
US4940930A (en) * 1989-09-07 1990-07-10 Honeywell Incorporated Digitally controlled current source
US5004972A (en) * 1989-12-26 1991-04-02 Honeywell Inc. Integrated power level control and on/off function circuit
FR2656932B1 (fr) 1990-01-09 1992-05-0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de mesure du courant dans un transistor mos de puissance.
US5270904A (en) 1990-05-02 1993-12-14 Zdzislaw Gulczynski Switching power apparatus with 3-state driver
US5033920A (en) * 1990-06-04 1991-07-23 Tony Cantanese Drill chuck lock apparatus
US5073848A (en) 1990-11-21 1991-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distribution system
US5117430A (en) * 1991-02-08 1992-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nodes in a network
US5079498A (en) * 1991-03-26 1992-01-07 Vickers Systems Limited Digital pulse-width-modulation generator for current control
US5610826A (en) 1991-04-30 1997-03-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nalog signal monitor circuit and method
US6115441A (en) 1991-07-09 2000-09-05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Temperatur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DE4122945A1 (de) 1991-07-11 1993-01-14 Philips Patentverwaltung Mikroprozessorgesteuerter gleichspannungswandler
US5229699A (en) * 1991-10-15 1993-07-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ID controller tuning
US5481140A (en) * 1992-03-10 1996-0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mand control apparatus and power distribution control system
US5426425A (en) * 1992-10-07 1995-06-20 Wescom, Inc. Intelligent locator system with multiple bits represented in each pulse
JP2508616B2 (ja) * 1992-12-21 1996-06-19 日本プレシジョン・サーキッツ株式会社 サンプリングレ―トコンバ―タ
US5377090A (en) 1993-01-19 1994-12-27 Martin Marietta Corporation Pulsed power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 voltages
JP3191275B2 (ja) 1993-02-22 2001-07-23 横河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481178A (en) 1993-03-23 1996-01-02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over broad current ranges in a switching regulator circuit
US5489904A (en) 1993-09-28 1996-02-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alog current mode analog/digital converter
US5684686A (en) 1994-01-12 1997-11-04 Deltec Electronics Corporation Boost-input backed-up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6121760A (en) 1994-03-17 2000-09-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urn-on controller for switch-mode regulator
US5532577A (en) * 1994-04-01 1996-07-02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output regulation in a step-down switching regulator
US5508606A (en) 1994-04-25 1996-04-16 Eaton Corporation Direct current sensor
US5627460A (en) * 1994-12-28 1997-05-06 Unitrode Corporation DC/DC converter having a bootstrapped high side driver
US5949226A (en) 1995-04-10 1999-09-0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 DC/DC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on and improved efficiency
US5727208A (en) * 1995-07-03 1998-03-10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processor operating parameters
US5752047A (en) * 1995-08-11 1998-05-12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Modular solid state power controller with microcontroller
US5646509A (en) * 1995-12-01 1997-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capacity test and electronic system utilizing same
US5631550A (en) * 1996-04-25 1997-05-20 Lockheed Martin Tactical Defense Systems Digital control for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US5675480A (en) 1996-05-29 1997-10-0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icroprocessor control of parallel power supply systems
US5943227A (en) * 1996-06-26 1999-08-24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synchronous step down DC-DC converter controller
US5815018A (en) 1996-07-16 1998-09-29 Systech Solutions, Inc. Pulse modulator circuit for an illuminator system
JP3042423B2 (ja) * 1996-09-30 2000-05-15 日本電気株式会社 直並列型a/d変換器
US5929620A (en) * 1996-11-07 1999-07-27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s having a synchronizable oscillator frequency with constant ramp amplitude
US5847950A (en) 1997-02-19 1998-12-08 Electronic Measurements, Inc. Control system for a power supply
US5889392A (en) * 1997-03-06 1999-03-30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witch-mode regulators and methods providing transient response speed-up
US5892933A (en) * 1997-03-31 1999-04-06 Compaq Computer Corp. Digital bus
US5872984A (en) * 1997-04-01 1999-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roviding continuous power mainstore function for a computer system
US5946495A (en) * 1997-04-08 1999-08-31 Compaq Computer Corp. Data communication circuit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redundant power supplies and peripheral devices
US5905370A (en) * 1997-05-06 1999-05-1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step down DC-DC converter controller
US5883797A (en) * 1997-06-30 1999-03-16 Power Trends, Inc. Parallel path power supply
US5917719A (en) * 1997-08-11 1999-06-29 Power Ten, Inc. Internally programmable modular power supply and method
US5935252A (en) * 1997-08-18 1999-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setting system device configuration relating to power and cooling using VPD circuits associated with system devices
US6000042A (en) 1997-08-25 1999-12-07 3Com Corporation Fault detection on a dual supply system for a universal serial bus system
US6005377A (en) 1997-09-17 1999-12-21 Lucent Technologies Inc. Programmable digital controller for switch mode power conversion and power supply employing the same
US5870296A (en) * 1997-10-14 1999-02-0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Dual interleaved DC to DC switching circuits realized in an integrated circuit
US6079026A (en) * 1997-12-11 2000-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nterruptible memory backup power supply system using threshold value of energy in the backup batteries for control of switching from AC to DC output
US5990669A (en) 1997-12-15 1999-11-23 Dell Usa, L.P. Voltage supply regulation using master/slave timer circuit modulation
US6136143A (en) 1998-02-23 2000-10-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face treating article including a hub
JP3744680B2 (ja) * 1998-03-31 2006-02-15 富士通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電源回路の制御方法
JP3702091B2 (ja) * 1998-03-31 2005-10-05 富士通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電源回路の制御方法
FI107418B (fi) * 1998-05-22 2001-07-31 Muuntolaite Oy Menetelmä ja laitteisto teholähdejärjestelmän ohjaamiseksi
US5929618A (en) * 1998-06-04 1999-07-27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d interleaving power modules
US6199130B1 (en) * 1998-06-04 2001-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current maintenance for PCI based DASD subsystem with concurrent maintenance message being communicated between SPCN (system power control network) and I/O adapter using PCI bridge
US6055163A (en) * 1998-08-26 2000-04-25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Communications processor remote host and multiple unit control devices and methods for micropower generation systems
US6177787B1 (en) * 1998-09-11 2001-01-23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iming and slope compensation in switching regulators
US6304823B1 (en) 1998-09-16 2001-10-16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icroprocessor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programmable power supply and a programmable brownout detector
US6100676A (en) * 1998-10-30 2000-08-08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voltage regulation
US6198261B1 (en) * 1998-10-30 2001-03-06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 power transistor in a digital voltage regulator
US6268716B1 (en) * 1998-10-30 2001-07-31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Digital voltage regulator using current control
US6181029B1 (en) * 1998-11-06 2001-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back-up for multiple power supplies
US6163178A (en) 1998-12-28 2000-12-19 Rambus Incorporated Impedance controlled output driver
US6021059A (en) * 1998-12-31 2000-02-01 Honeywell Inc. Integrated synchronous rectifier for power supplies
WO2000044098A1 (en) * 1999-01-19 2000-07-27 Steensgaard Madsen Jesper Residue-compensating a / d converter
US6137280A (en) 1999-01-22 2000-10-24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Universal power manager with variable buck/boost converter
US6194856B1 (en) 1999-01-25 2001-02-27 Hitachi, Ltd. Motor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ized current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160697A (en) 1999-02-25 2000-12-12 Edel; Thomas G.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zing and demagnetizing current transformers and magnetic bodies
US6355990B1 (en) * 1999-03-24 2002-03-12 Rockwell Collins, Inc.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4219562B2 (ja) * 1999-04-13 2009-02-04 セミトゥ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ークピースを電気化学的に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6111396A (en) 1999-04-15 2000-08-29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ny value, temperature independent, voltage reference utilizing band gap voltage reference and cascode current mirror circuits
US6917186B2 (en) * 2000-04-24 2005-07-12 S & C Electric Co. Monitoring and control for power electronic system
JP3644531B2 (ja) 1999-07-06 2005-04-2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オンディレイ補償用アームオン検出回路
US6057607A (en) * 1999-07-16 2000-05-02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regulation in multi-output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US6191566B1 (en) * 1999-08-26 2001-02-20 Lucent Technologies Inc. Board moun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multi-function control pin
US6294954B1 (en) 1999-09-23 2001-09-25 Audiologic, Incorporated Adaptive dead time control for switching circuits
US6157093A (en) 1999-09-27 2000-12-05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Modular master-slave power supply controller
US6211579B1 (en) * 1999-09-29 2001-04-03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output converter having a low power dissipation cross regulation compensation circuit
US6392577B1 (en) * 1999-10-05 2002-05-21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an alternator
US6208127B1 (en) * 1999-11-02 2001-03-2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redictably change the output voltage of regulators
WO2001055823A2 (en) * 2000-01-27 2001-08-02 Primarion, Inc. Apparatus for providing regulated power to an integrated circuit
US6396169B1 (en) * 2000-02-29 2002-05-28 3Com Corporation Intelligent power supply control for electronic systems requiring multiple voltages
US6385024B1 (en) * 2000-03-07 2002-05-07 Ss8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urrent consumption from current share components
US6291975B1 (en) 2000-03-27 2001-09-18 Rockwell Collins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regulating power supply voltages with reduced propagation of power transients capable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US6150803A (en) 2000-03-28 2000-11-21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Dual input, single output power supply
US6856225B1 (en) * 2000-05-17 2005-02-15 Xerox Corporation Photolithographically-patterned out-of-plane coil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US6373334B1 (en) 2000-06-12 2002-04-16 Cirrus Logic, Inc. Real time correction of a digital PWM amplifier
US6249111B1 (en) * 2000-06-22 2001-06-19 Intel Corporation Dual drive buck regulator
US6465909B1 (en) * 2000-07-31 2002-10-15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oad sharing by multiple power supplies
US6396250B1 (en) * 2000-08-31 2002-05-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rol method to reduce body diode conduction and reverse recovery losses
IT1318879B1 (it) * 2000-09-19 2003-09-10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controllore di tensione/corrente, in particolare perregolatori switching interleaving.
US6320768B1 (en) 2000-10-06 2001-11-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upply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ystem
EP1325546A2 (en) * 2000-10-10 2003-07-09 Primar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highly phased power regulation
US7007176B2 (en) * 2000-10-10 2006-02-28 Primar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highly phased power regulation using adaptive compensation control
IT1319007B1 (it) * 2000-10-16 2003-09-19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di gestione di una pluralita' di moduli vrm e relativo metododi sincronizzazione
US6654264B2 (en) * 2000-12-13 2003-11-25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a regulated voltage with high current capability and low quiescent current
TW554605B (en) * 2000-12-20 2003-09-21 Delta Electronics Inc Output voltage adjustable electrical power switcher
US6421259B1 (en) * 2000-12-28 2002-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ular DC distribution system for providing flexible power conversion scalability within a power backplane between an AC source and low voltage DC outputs
US6411071B1 (en) 2000-12-29 2002-06-25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Lag compensating controller having an improved transient response
US6686831B2 (en) * 2001-01-23 2004-02-03 Invensys Systems, Inc. Variable power control for process control instruments
US6975494B2 (en) * 2001-01-29 2005-12-13 Primar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deband power regulation to a microelectronic device
US6366069B1 (en) 2001-02-01 2002-04-02 Intel Corporation Hysteretic-mode multi-phase switching regulator
TW575949B (en) * 2001-02-06 2004-02-11 Hitachi Ltd Mixed integrated circuit devic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6800957B2 (en) * 2001-02-06 2004-10-05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distribution system for 36V automobiles
US6400127B1 (en) * 2001-02-12 2002-06-04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Dual mode pulse-width modulator for power control applications
US6683494B2 (en) * 2001-03-26 2004-01-2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igital signal processor enhanced pulse width modulation amplifier
US6731023B2 (en) * 2001-03-29 2004-05-04 Autoliv Asp, Inc. Backup power supply for restraint control module
US6411072B1 (en) * 2001-04-17 2002-06-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WM power supply with constant RMS output voltage control
US6915440B2 (en) * 2001-06-12 2005-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program product and method of performing power fault analysis in a computer system
US6744243B2 (en) * 2001-06-28 2004-06-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gulating a step down power supply
US6577258B2 (en) * 2001-10-01 2003-06-10 Nokia Corporation Adaptive sigma-delta data converter for mobile terminals
US7554828B2 (en) * 2001-12-03 2009-06-30 Igo, Inc. Power converter with retractable cable system
US6903949B2 (en) * 2001-12-12 2005-06-07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Resonant converter with phase delay control
US6717389B1 (en) * 2001-12-21 2004-04-06 Unisy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t controlled transient reduction in a voltage regulator
US20030122429A1 (en) * 2001-12-28 2003-07-03 Zhang Kevin X.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upply voltages for a processor
US6930893B2 (en) * 2002-01-31 2005-08-16 Vlt, Inc. Factorized power architecture with point of load sine amplitude converters
US6850426B2 (en) * 2002-04-30 2005-02-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nchronous and bi-directional variable frequency power conversion systems
US6693811B1 (en) * 2002-07-02 2004-02-17 Tyco Electronics Power Systems, Inc. Integrated controller,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power supply employing the same
US6977492B2 (en) * 2002-07-10 2005-12-20 Marvell World Trade Ltd. Output regulator
US6949916B2 (en) * 2002-11-12 2005-09-27 Power-On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int-of-load regulator
US7394445B2 (en) * 2002-11-12 2008-07-01 Power-One, Inc. Digital power manager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an array of point-of-load regulators
US7049798B2 (en) * 2002-11-13 2006-05-23 Power-On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oltage regulator
US7000125B2 (en) * 2002-12-21 2006-02-14 Power-On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an array of point-of-load regulators
US6801028B2 (en) * 2002-11-14 2004-10-05 Fyre Storm, Inc. Phase locked looped based digital pulse converter
US7266709B2 (en) * 2002-12-21 2007-09-04 Power-On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rray of point-of-load regulators and auxiliary devices
US7373527B2 (en) * 2002-12-23 2008-05-13 Power-On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leaving point-of-load regulators
US6771052B2 (en) * 2003-01-03 2004-08-03 Astec International Limited Programmable multiple output DC-DC isolated power supply
US7023672B2 (en) * 2003-02-03 2006-04-04 Primarion, Inc. Digitally controlled voltage regulator
US6850046B2 (en) * 2003-02-10 2005-02-01 Power-One Limited Digital signal processor architecture optimized for controll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7023190B2 (en) * 2003-02-10 2006-04-04 Power-One, Inc. ADC transfer function providing improved dynamic regulation in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JP2004259951A (ja) * 2003-02-26 2004-09-16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US6936999B2 (en) * 2003-03-14 2005-08-30 Power-On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timing parameters of power converters
US6888339B1 (en) * 2003-04-03 2005-05-0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us voltage control using gated fixed energy pulses
US6853174B1 (en) * 2003-08-11 2005-02-08 Micrel, Inc. Selective high-side and low-side current sensing in switching power supplies
US20050093594A1 (en) * 2003-10-30 2005-05-05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Delay locked loop phase blender circuit
US7366709B2 (en) * 2004-04-02 2008-04-29 Xpertunivers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questions and answers using subject lists styles
US7142140B2 (en) * 2004-07-27 2006-11-28 Silicon Laboratories Inc. Auto scanning ADC for DPWM
WO2007059440A2 (en) * 2005-11-11 2007-05-24 L & L Engineering Llc Non-linear pwm controller for dc-to-dc convert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6219B1 (en) * 2000-03-24 2001-06-12 The Boeing Company String switc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trollably connecting the output of a solar array string to a respective power bus
US6778414B2 (en) * 2002-12-20 2004-08-17 The Boeing Company Distributed system and methodology of electrical power regulation, conditioning and distribution on an ai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4369A2 (en) 2006-10-25
EP1714369A4 (en) 2011-09-21
US7583487B2 (en) 2009-09-01
US20050180065A1 (en) 2005-08-18
WO2005081771A2 (en) 2005-09-09
US7372682B2 (en) 2008-05-13
US7554778B2 (en) 2009-06-30
KR20060129451A (ko) 2006-12-15
US20080049363A1 (en) 2008-02-28
EP1714369B1 (en) 2017-05-17
WO2005081771A3 (en) 2007-06-28
US20080052016A1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048B1 (ko) 전원제어시스템,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오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점조정기 및 상기 전원제어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US6000042A (en) Fault detection on a dual supply system for a universal serial bus system
US6781807B2 (en) Field device power supply failure detection
US8312300B2 (en) Limiting power in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s
JP2001075880A (ja) バスに接続されているモジュールの供給電流を電子的に監視する装置
GB2389471A (en) Latent fault detection in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s
JP2019128761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0566067C (zh) 管理电源系统内的故障的系统和方法
US5679985A (en) Power supply with automatic recovery system
CN114335764B (zh) 控制方法及装置、储能系统及非易失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0661802A1 (en) Operational amplifier protection circuit using, either in working conditions or at start-up, identical circuit elements for detecting permanent output abnormal conditions
US6222716B1 (en) Power line protec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overload protection to multiple outputs
US8020019B2 (en) Managing voltage supply in multiple linked systems
CN113632358A (zh) 在相位冗余电压调节器设备内共享冗余调节器相位
JPS626268Y2 (ko)
JPH10229678A (ja) インバータ
JP3846363B2 (ja) 過電圧保護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過電圧保護回路及び方法
CN101621423A (zh) 线卡故障检测方法
EP3591779B1 (en) Electronic circuit breaker
CN115236438A (zh) 一种功能切换电路、功能切换方法及用电设备
JPH0576128A (ja) 回路保護装置
WO2000059088A1 (en) Power line protection devices and methods capable of preventing false fault reporting
JPS6138363Y2 (ko)
KR20110032473A (ko) 디스플레이장치
JPH0568322A (ja) 回路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