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175B1 -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 Google Patents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175B1
KR100858175B1 KR20067014207A KR20067014207A KR100858175B1 KR 100858175 B1 KR100858175 B1 KR 100858175B1 KR 20067014207 A KR20067014207 A KR 20067014207A KR 20067014207 A KR20067014207 A KR 20067014207A KR 100858175 B1 KR100858175 B1 KR 10085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information
information
formula
sentence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1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108A (ko
Inventor
야스히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06701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1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17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간단한 조작으로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을 작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는, 유저가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영상 및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하는 수식 정보 테이블과, 유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로부터 최적의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하는 수식 정보 검출부와, 그 수식 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부가하는 수식 정보 부가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식 정보의 조합을 미리 기억해 놓고, 유저는 문장의 입력 시에 테마 등을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수식 정보를 문장에 부가할 수 있다.
수식 정보 테이블, 수식 정보 부가부, 수식 정보 검출부, 수식 정보의 조합

Description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DEVICE FOR CREATING SENTENCE HAVING DECO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수식 정보가 부가된 문장을 작성하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상에 문장을 겹쳐 표시하는 데 적합한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텍스트 형식의 문장에, 하선, 해칭 등의 수식 정보를 부가하는 경우, 문자 입력 조작과는 별도로 수식 정보를 부가하는 조작을 행해야만 하였다. 예를 들면, 문자 입력 화면과는 별도의 문자 수식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소정의 문자 영역을 선택하여, 수식 정보의 설정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1개의 문장에 복수의 수식 정보를 부가하는 경우, 조작이 복잡해진다. 일본 특개평8-44733호 공보에는, 수식 정보를 부가하는 조작을 간단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예에서는, 미리 기억된 복수의 수식 정보로부터 소정의 수식 정보를 선택하고, 그것을 문장에 부가함으로써 조작을 경감할 수 있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개평8-44733호 공보
<발명의 개시>
종래의 방법에서는, 유저가 작성한 수식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 유저는, 한 번은, 수식 정보를 작성해야만 한다. 또한, 문장에 복수의 수식 정보를 부가하는 경우에는, 워드 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고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에서는 실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문장에 수식 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가 간소한 것으로서도 문장에 수식 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식 정보의 조합을 미리 기억해 놓고, 유저는 문장의 입력 시에 테마 등을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수식 정보를 문장에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는, 유저가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영상 및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하는 수식 정보 테이블과, 유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로부터 최적의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하는 수식 정보 검출부와, 그 수식 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부가하는 수식 정보 부가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을 작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에서,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의 작성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에서, 외부로부터의 수식 정보의 취득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식 정보 테이블 및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입력부
2 : 표시부
3 : 제어부
4 : 수식 정보 검출부
5 :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
6 : 수식 정보 부가부
7 : 외부 입출력 장치
8 : 수식 정보 해석 등록부
21 :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
22 :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
23 :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
24 :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예의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는, 입력부(1), 표시부(2), 제어부(3), 수식 정보 검출부(4),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5), 수식 정보 부가부(6), 외부 입출력 장치(7), 수식 정보 해석 등록부(8),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 및,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24)를 갖는다.
입력부(1)는, 유저가 텍스트 형식의 문장 또는 문자열의 입력, 수식 정보의 선택을 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고, 키보드, 조작 버튼, 마우스 등일 수 있다. 표시부(2)는, 영상 및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표시한다. 제어부(3)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의 내부의 각 구성부에 동작 요구, 정보 통지를 행한다. 수식 정보 검출부(4)는,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 또는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을 참조하여, 최적의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한다.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5)는,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24)를 참조하여, 송신 상대 정보를 검출한다. 수식 정보 부가부(6)는, 수식 정보 검출부(4)에 의해 검출된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부가한다. 외부 입출력 장치(7)는, 외부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파일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수식 정보 해석 등록부(8)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의 수식 정보를 해석하고, 그것을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 및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에 등록한다.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은, 테마별로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한다.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은, 키워드마다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한다.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은, 송신 상대마다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한다. 이들 테이블(21, 22, 23)은, 수식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기등록부, 수식 정보를 유저가 신규로 저장하는 신규 저장부, 및, 외부로부터 취득한 수식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정보 저장부의 3개의 저장부를 갖는다.
여기서, 수식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정하고 있는 수식 정보는 문자에 부가할 수 있는 모든 장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자색, 배경색, 글자체(볼드체 글자, 이탤릭체, 하선, 취소선), 글자의 크기, 하이라이트(광휘부), 브링크(점멸), 스크롤(문장 이동), 그림 문자를 포함한다. 그림 문자는, 문장(어구)에 대응한 수식 정보로서 취급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에는, 예를 들면, 「전광 게시판」이라는 테마에 대하여, 「문자색」이 「오렌지」, 「배경색」이 「흑」, 「가로 스크롤」이라는 수식 정보의 조합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가, 예를 들면, 「테마」로서, 「전광 게시판」을 선택하고, 문장으로서 「뉴스를 알려드립니다.」를 입력한 경우, 「뉴스를 알려드립니다.」의 문장이 흑색의 배경 위에 오렌지색으로 표시되며 또한 가로로 스크롤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수식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예를 들면, 화상 신호에 다중화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화상 상에 「뉴스를 알려드립니다.」의 문장이 스크롤 표시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에는, 예를 들면, 「유효 기간」이라는 키워드에 대하여, 「문자색」이 「흑」,「배경색」이 「황」, 「글자체」가 「그림 문자」 등의 수식 정보의 조합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가, 예를 들면, 「키워드」로서, 「유효 기간」을 선택하고, 문장으로서 「유효 기간이 지났기 때문에 알려드립니다.」를 입력한 경우, 「유효 기간이 지났기 때문에 알려드립니다.」의 문장이 황색의 배경 위에 흑색으로 꽃 문자로 표시된다. 이러한 수식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예를 들면, 화상 신호에 다중화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화상 상에 「유효 기간이 지났기 때문에 알려드립니다.」의 문장이 표시된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에는, 예를 들면, 「송신 상대」가 「A」에 대하여, 「문자색」이 「적」, 「배경색」이 「백」, 「글자체」가 「이탤릭체」 등의 수식 정보의 조합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가, 예를 들면, 「송신 상대」로서, 「A」를 선택하고, 문장으로서 「대답해 주십시오.」를 입력한 경우, 「대답해 주십시오.」의 문장이 백색의 배경 위에 적색으로 이탤릭체 문자로 표시된다. 이러한 수식 정보가 부가된 텍스트를, 예를 들면, 화상 신호에 다중화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화상 위에 「대답해 주십시오.」의 문장이 표시된다.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24)는, 유저가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을 송신하는 상대, 송신 상대가 속하는 그룹 번호, 메일 어드레스(전화 번호), 송신 방법 등을 저장하여, 어드레스북으로서 기능한다. 그룹 번호 는, 예를 들면, 친구, 직장, 취미 등의 분야마다, 유저가 설정한다.
본 예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는,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 및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색하고, 자동적으로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는, 입력부(1)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입력하고, 입력한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부가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식 정보가 부가된 문장을 작성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제어부(3)는, 표시부(2)에 「문서」 및 「적용 범위」의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문서」는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된다. 「적용 범위」는, 문장에 수식 정보를 부가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전문, 1∼3행, 3페이지 등이다. 제어부(3)는, 유저에 의한 「문서」 및 「적용 범위」의 입력을 검출하면,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 제어부(3)는, 표시부(2)에 「수식 정보의 검출 방법」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수식 정보의 검출 방법」으로서, 「테마 대응」, 「키워드 대응」 및 「송신 상대 대응」 및 「직접 입력」의 4개의 방법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어느 하나의 선택을 요구한다.
스텝 S13에서, 제어부(3)는, 유저가 「테마 대응」, 「키워드 대응」, 「송신 상대 대응」 및 「직접 입력」 중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정한다. 「테마 대응」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S14로 진행하고, 「키워드 대응」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S15로 진행하며, 「송신 상대 대응」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 행하고, 「직접 입력」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 「테마 대응」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는, 표시부(2)에, 「테마」의 입력 또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화면 상에서 「테마」를 입력 또는 선택한다. 제어부(3)는, 유저로부터 얻어진 「테마」를 수식 정보 검출부(4)에 송신한다.
스텝 S15에서, 「키워드 대응」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는, 표시부(2)에, 「키워드」의 입력 또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화면 상에서 「키워드」를 입력 또는 선택한다. 제어부(3)는, 유저로부터 얻어진 「키워드」를 수식 정보 검출부(4)에 송신한다.
스텝 S16에서, 「송신 상대 대응」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는, 표시부(2)에, 「송신 상대」의 입력 또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화면 상에서 「송신 상대」를 입력 또는 선택한다. 제어부(3)는, 유저로부터 얻어진 「송신 상대」를 수식 정보 검출부(4)에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송신 상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입력 또는 선택해도 되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검출해도 된다. 우선,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5)는, 외부 입출력 장치(7)로부터 송신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송신처에 관한 정보에는, 송신 방법 및 송신처의 어드레스, 전화 번호 등이 있다. 송신 방법은, 예를 들면, 파일 출력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텔레비전 전화 등의 회선 출력 등이다.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5)는, 외부 입출력 장치(7)로부터 얻어진 송신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24)로부터 송신 상대를 검출한다.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5)는,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24)로부터 얻어진 송신 상대를 수식 정보 검출부(4)에 송신한다.
스텝 S17에서, 「직접 입력」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유저가 직접 입력한 문자의 선택 범위, 수식 정보를 모두 입력하여, 텍스트를 작성한다. 작성 후,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 수식 정보 검출부(4)는,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 및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한다. 유저가 「테마 대응」을 선택한 경우에는, 유저가 선택한 「테마」에 기초하여,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색한다. 유저가 「키워드 대응」을 선택한 경우에는, 유저가 선택한 「키워드」에 기초하여,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색한다. 유저가 「송신 상대 대응」을 선택한 경우에는, 유저가 선택한 「송신 상대」 또는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5)로부터 제공된 송신 상대에 기초하여,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색한다. 수식 정보 검출부(4)는 검출한 수식 정보의 조합을 수식 정보 부가부(6)에 제공한다.
스텝 S19에서, 수식 정보 부가부(6)는 유저가 입력한 텍스트 형식의 문장에 수식 정보의 조합을 부가한다. 스텝 S20에서, 제어부(3)는 표시부(2)에 수식 정보의 조합이 부가된 문장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승인을 구한다. 스텝 S21에서, 유저로부터 승인이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승인이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22로 진행하고, 승인이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8로 되돌아가서, 재차, 수식 정보의 조합의 검출을 행한다.
스텝 S22에서, 수식 정보 부가부(6)는 수식 정보의 조합이 부가된 문장을 외부 입출력 장치(7)에 출력한다. 외부 입출력 장치(7)는 수식 정보의 조합이 부가된 문장의 출력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파일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다중화 처리를 행하고, 텔레비전 전화 등의 회선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송신 처리를 행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에서, 외부로부터의 취득 데이터로부터 수식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31에서, 외부 입출력 장치(7)는, 외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분리하고, 그것을 수식 정보 해석 등록부(8)에 송출한다.
스텝 S32에서, 수식 정보 해석 등록부(8)는, 텍스트 형식의 문장에 포함되는 수식 정보를 해석한다. 스텝 S33에서, 제어부(3)는, 표시부(2)에서, 유저에게 「외부로부터 취득한 수식 정보를 등록할지의 여부」의 판단을 요구한다. 유저로부터의 「등록한다」의 지시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34로 진행하고, 유저로부터의 「등록한다」의 지시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4에서, 수식 정보 해석 등록부(8)는, 외부로부터 취득한 수식 정보를 테마별 수식 정보 테이블(21),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22) 및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23)의 신규 등록부에 저장한다.
본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와 같이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가 간소한 기기라도, 기기측에 유저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수식 정보의 조합을 보존함으로써,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수식 정보가 부가된 문장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유저가 선택한 테마, 키워드 및 송신 상대에 따라 수식 정보의 조합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문장에 부가한다. 또한, 부가하는 수식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식 정보의 작성이 용이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로서,
    유저가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영상 및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하는 수식 정보 테이블과, 유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로부터 최적의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하는 수식 정보 검출부와, 이 수식 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부가하는 수식 정보 부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은 키워드마다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하는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을 갖고, 상기 수식 정보 검출부는 유저가 입력한 문장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별 수식 정보 테이블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4.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로서,
    유저가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영상 및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하는 수식 정보 테이블과, 유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로부터 최적의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하는 수식 정보 검출부와, 이 수식 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식 정보의 조합을 문장에 부가하는 수식 정보 부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은 송신 상대마다 수식 정보의 조합을 저장하는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을 갖고, 상기 수식 정보 검출부는 유저가 입력한 송신 상대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송신 상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와, 외부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외부 입출력 장치와, 그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상대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송신 상대를 검출하는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수식 정보 검출부는, 상기 송신 상대 정보 검출부에 의해 얻어진 송신 상대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상대별 수식 정보 테이블로부터 수식 정보의 조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외부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의 수식 정보를 해석하고, 그것을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에 등록하는 수식 정보 해석 등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정보 테이블은, 처음부터 수식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기등록부와, 유저가 신규로 수식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신규 등록부와, 외부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수식 정보를 등록하는 외부 등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KR20067014207A 2003-12-16 2004-12-08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KR100858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7014207A KR100858175B1 (ko) 2003-12-16 2004-12-08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8214 2003-12-16
KR20067014207A KR100858175B1 (ko) 2003-12-16 2004-12-08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108A KR20070017108A (ko) 2007-02-08
KR100858175B1 true KR100858175B1 (ko) 2008-09-10

Family

ID=4164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14207A KR100858175B1 (ko) 2003-12-16 2004-12-08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1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328A (ja) * 1992-10-09 1994-04-28 Fujitsu Ltd 文書編集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328A (ja) * 1992-10-09 1994-04-28 Fujitsu Ltd 文書編集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108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3015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724430B2 (ja) 情報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129927A1 (en) HTML e-mail cre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HTML e-mail cre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2779613A1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document processing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40298164A1 (en) Electronic book production apparatus, electronic book system, electronic book produ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O2012086359A1 (ja) ビューワ装置、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58175B1 (ko) 수식 정보를 갖는 문장 작성 장치
JP2000048215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H07121539A (ja) 機械翻訳装置
JPWO2005059769A1 (ja) 修飾情報付文章作成装置
JP5321661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705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40081622A1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is recorded
CN110990419A (zh) 电子辞典装置、电子辞典的检索方法
JP2019096173A (ja) 和文字変換プログラム及び和文字変換装置
JP2020160112A (ja) 電子機器、テキスト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198664A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及び日本語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H0962670A (ja) 自動ルビ付加装置
JP2007219141A (ja) 音声学習器、音声学習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3174958A (ja) テキスト読み上げ装置およびテキスト読み上げ方法
JPH03273449A (ja) 機械翻訳装置
JP2010102619A (ja) 仮名ローマ字対応表、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サーバ及び文字入力システム
JPS6039226A (ja) 文書作成装置
JPH10187681A (ja) 文書入力システム
JPH0934885A (ja) 文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