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395B1 - 칼 연마기 - Google Patents

칼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395B1
KR100855395B1 KR1020080053773A KR20080053773A KR100855395B1 KR 100855395 B1 KR100855395 B1 KR 100855395B1 KR 1020080053773 A KR1020080053773 A KR 1020080053773A KR 20080053773 A KR20080053773 A KR 20080053773A KR 100855395 B1 KR100855395 B1 KR 10085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s
plate
pair
m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철
Original Assignee
양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철 filed Critical 양승철
Priority to KR102008005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 연마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칼 연마기는 설치구멍이 형성된 커버에 의해 개방된 상면이 차폐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외부 판스프링 및 이들 외부 판스프링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형상의 외부본체 그리고 상기 외부본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내부 판스프링 및 이들 내부 판스프링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동되게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설치구멍에 위치되는 지지구가 구비되는 ′∩′ 형상의 내부본체 및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편심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일측이 상기 외부본체에 결합 고정되는 모터 및 이 모터의 편심 회전축과 내부본체에 일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절링크로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구에 하부가 끼움 구비되어 연동되는 것으로 상부에 연삭숫돌이 구비된 연마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종전의 연삭휠을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닌 연삭숫돌을 직진 왕복 이동시키는 방식이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낮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연삭숫돌에 접촉하는 칼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칼날을 예리하게 또는 무디게 연마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칼, 칼날, 연마, 연삭,

Description

칼 연마기{Pre-drying Device}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연삭숫돌을 가동시켜 칼날에 대한 연마를 실시하는 칼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삭숫돌을 전·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칼날에 대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상의 칼날 연마를 가능하게 하는 칼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칼이나 과일 등을 깍는데 사용하는 과도를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칼날이 무디어져 칼이 잘 들지 않게 되고, 이럴 경우 통상의 직사각형 형상의 숫돌상에 칼날을 대고 물을 뿌려가면서 왕복으로 이동시켜 칼날을 세우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는 양측 원통형의 연마봉 사이에 칼을 끼우고 이 역시 왕복으로 이동시키면서 칼날의 연마작업을 수행하는바, 상기 전.후자의 경우 모두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고도의 숙련성이 요구되었으며, 또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게되어 대부분이 칼을 새로 교체하는 비경제적인 폐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구동원을 이용하여 한쌍의 연마휠을 회전시키고 그 사이에 칼날을 진입시켜 칼날을 세우는 칼 연마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칼 연마기는 연마휠이 마모되는 경우 더 이상 칼 연마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339789(기술평가 유지결정) 및 실용신안등록 제339790호(기술평가 유지결정)를 통해 개선된 칼 연마기를 등록출원 한 바 있으며, 본 출원인이 선 등록한 칼 연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측부가 개방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의 개방된 측부를 커버하는 이동 케이스가 서로 탄성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와 이동 케이스에는 각각 좌·우 연마휠이 브라켓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연마휠의 아래쪽에는 모터가 구비되어 좌·우 연마휠과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칼 연마기는 좌·우 연마휠이 모터와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들 사이에 칼의 날부분을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마 작업이 실시되게 된다. 또한, 연마휠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좌·우 연마휠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 케이스와 이동 케이스가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탄성력을 받게 되어 상기 좌·우 연마휠은 상호 적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등록한 칼 연마기는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좌·우 연마휠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 저하로 인한 간격조절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좌·우 연마휠이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마모 현상이 가속화되어 연마휠의 수명이 대폭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좌·우 연마휠은 편마모가 발생하는 경우 안정된 연마성능을 보장할 수 없게 되므로 부득이 연마휠을 교체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65658호(기술평가 유지결정)를 통해 개선된 "칼 연마기"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칼 연마기는 커버에 의해 개방된 상면이 차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된 일측 끝에 핸들이 구비되는 스크류축을 구성하고, 이 스크류축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안내축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시 축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들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스크류축에 직교 배치되는 편심 회전축과 이들 편심 회전축의 전방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요철면을 형성하는 연마휠을 구성하고 편심 회전축의 후방측으로는 모터와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핸들 조작에 의한 한쌍의 연마휠간의 간격조절을 가능하게 하면서, 요철 형태로 맞물리는 좌·우 연마휠의 구조를 통해 연마휠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인 연마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칼 연마기는 칼날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 칼날의 끝부분에 대해서만 연마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칼날 끝부분의 연마 각도가 예리하지 못하고 둔각에 가깝에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 제점을 해소하고자 특허출원 제2005-0125073호를 통해 개선된 칼 연마기를 출원하여 공고결정을 받은 바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이 기존에 출원하였던 칼 연마기들은 기본적으로 한쌍의 연마휠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들 연마휠 사이에 칼날을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마를 실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칼 연마기는 칼날을 갈기 위한 별도의 기술을 익히지 않아도 간소한 작업만으로도 칼날 연마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어 요식업소 등에서의 활용성이 높으나, 전문 요리사의 경우 통상의 주방용 칼에 비해 예리하게 연마된 칼을 사용하기 때문에 직사각 형상을 갖는 숫돌을 이용하여 칼날을 연마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상의 연삭숫돌을 직선 왕복 이동되게 하여 칼날에 대한 연마각도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최상의 칼날 연마를 보장하면서 기존의 수작업 방식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칼 연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 연마기는, 설치구멍이 형성된 커버에 의해 개방된 상면이 차폐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외부 판스프링 및 이들 외부 판스프링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형상의 외부본체 그리고 상기 외부본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내부 판스프링 및 이들 내부 판스프링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동되게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설치구멍에 위치되는 지지구가 구비되는 ′∩′ 형상의 내부본체 및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외부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편심 회전축이 상기 내부본체의 일측과 이절링크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본체와 내부본체간의 탄력유동을 발생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구에 하부가 끼움 구비되어 연동되는 것으로 상부에 연삭숫돌이 구비된 연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외부본체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바닥판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외부측판 및 이들 외부측판을 연결하는 것으로 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본체는 상기 외부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측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내부측판 및 이들 내부측판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 지지구가 결합되는 내부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외부 판스프링은 각각 상단이 하우징의 내벽에 연결되고 하단은 마주보는 외부측판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내부 판스프링은 각각 상단이 마주보는 외부측판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마주보는 내부측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외부 판스프링 또는 내부 판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면에 고무재, 합성수지재, 실리콘재, 우레탄재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된 탄성판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 연마기는, 종전의 모터를 이용하여 연삭휠을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닌 연삭숫돌을 직진 왕복 이동시키는 방식이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연삭숫돌에 접촉하는 칼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칼날을 예리하게 또는 무디게 연마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칼 연마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 연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연마수단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구동수단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칼 연마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 연마기(1)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칼날에 대한 연마를 실시하는 연마수단(20)과, 상기 연마수단(20)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수단(3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중앙부에 직사각 형상의 설치구멍(14h)이 형성되고 그 주위로 플랜지(14)가 돌출 형성된 커버(13)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상부 내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걸림턱(11a)이 돌출 형성되며, 이 걸림턱(11a)은 상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부면을 차폐하는 커버(13)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은 바닥면에 바퀴를 부가 구성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13)는 상기 하우징(11)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상부를 통해 삽입 구비되며, 상술한 걸림턱(11a)에 의해 하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13)는 칼 연마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수구멍(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구멍은 상기 하우징(11)의 외부 일측에 연결된 배수관(미부호)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케이스(10)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연삭숫돌(23)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13)의 설치구멍(14h)으로는 상기 구동수단(30)의 일요소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마수단(20)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를 상술한 원통형이 아닌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변형 실시하여도 가능하다.
연마수단(20)은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삭숫돌(23)과, 상기 연삭숫돌(23)의 하부가 슬라이드 끼움으로 구비되는 판재형의 지지요소로써, 후술할 구동수단(30)의 지지구(36c)와 나사체결로 결합되는 거치판(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삭숫돌(23)은 경도(硬度)가 큰 지립(砥粒)을 적당한 접착재로 접착 성형한 것으로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거치판(2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의 설치구멍(14h)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하부 테두리가 하향 연장된 판재형상을 갖는 요소로, 상기 연삭숫돌(23)의 양측부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끼움되는 레일(미부호)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연마수단(20)은 후술할 구동수단(30)의 일 요소인 지지구(36c)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구동력을 받아 수평 방향으로 전·후 이동된다.
덧붙여, 상기 연마수단(20)의 이동 방향은 직사각형상을 갖는 연삭숫돌(23)의 길이 방향이 아닌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수단(30)은 크게 외부본체(31)와 내부본체(36) 그리고 상기 하우징(11)과 외부본체(31) 사이에 구비되는 외부 판스프링(33)과, 상기 외부본체(31)와 내부본체(36)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 판스프링(38) 그리고 상기 외부본체(31)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본체(36)에 수평 방향으로의 탄성 유동을 발생시키는 모터(m)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본체(3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 형상이 되게 금속판재를 벤딩 또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한 부재로써, 상호 간격을 두고 바닥판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한쌍의 외부측판(31a)과, 이들 외부측판(31a)을 연결하는 것으로 후술할 모터(m)의 측부가 고정 설치되는 후판(31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외부측판(31a)은 그 외측으로 판재형의 외부 판스프링(33)이 각각 위치하여 간격유지구(32a,32b)를 통해 연결된다.
즉, 상기 외부측판(31a)과 상기 외부 판스프링(3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 간격유지구(32a)를 사이에 두고 나사부재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판스프링(33)은 상기 하우징(11)의 내벽면과 마주보는 상부측에 상 간격유지구(32b)가 나사부재로 결합되고, 이 상 간격유지구(32b)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벽에 브라켓트(35)를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된다.
상기 내부본체(36)는 상기 외부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본체(31)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재를 벤딩 또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자 형상이 되게 구비한 것으로써,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의 아래측에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내부상판(36b)과, 이 내부상판(36b)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어 상기 외부본체(31)의 외부측판(31a)과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내부측판(36a) 그리고 상기 내부상판(36b)의 상부에 나사체결로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술한 연마수단(20)의 거치판(21)과 나사체결로 결합되는 직사각형상의 블록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구(36c)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부본체(36)는 ′∩′ 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외부본체(31)는 ′∪′ 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내부본 체(36)는 외부본체(31)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내부본체(36)는 상기 외부본체(31)와 내부 판스프링(38)으로 연결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판스프링(38)은 상기 내부본체(36)의 양측 즉, 상기 내부본체(36)의 내부측판(36a)과 상기 외부본체(31)의 외부측판(31a)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판스프링(38)의 하단과 상기 내부본체(36)의 내부측판(36a) 하부 사이에 하 간격유지구(37a)가 개재되며 나사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 내부 판스프링(38)은 상기 외부본체(31)의 외부측판(31a)과 마주보는 상단부에 상 간격유지구(37b)가 개재되며, 이들 상 간격유지구(37b)를 사이에 두고 내부 판스프링(38)과 외부측판(31a)은 나사부재로 결합된다. 이들 외부본체(31)와 내부본체(36) 그리고 외부 판스프링(33)과 내부 판스프링(38)의 결합 관계를 간략하게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외부본체(31)가 배치되고, 이 외부본체(31)의 내부로 내부본체(36)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내벽과 외부본체(31)을 구성하는 한쌍의 외부측판(31a) 사이에는 각각 외부 판스프링(33)이 배치되며, 이때의 외부 판스프링(33)은 각각 간격유지구(32a,32b)와 함께 외부본체(31) 및 하우징(11)과 나사부재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부본체(31)의 외부측판(31a)과 상기 내부본체(36)의 내부측판(36a) 사이에는 내부 판스프링(38)이 배치되며, 이때의 상기 내부 판스프링(38)은 각각 간격유지구(36a,36b)와 함께 내부본체(36) 및 외부본체(31)와 나사부재로 결합된다.
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면 하우징(11)의 내벽을 기준으로 브라켓트(35) - 상 간격유지구(32b) - 외부 판스프링(33) - 하 간격유지구(32a) - 외부측판(31a) - 상 간격유지구(37b) - 내부 판스프링(38) - 하 간격유지구(37a) - 내부측판(36a) 순이다.
상기 모터(m)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내부본체(36)를 구성하는 한쌍의 내부측판(36a) 사이에 배치되고, 그 일측이 상기 외부본체(31)의 후판(31b)에 결합 고정 설치되는 구조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스위치로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터(m)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편심 회전축(sd)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모터(m)는 상기 편심 회전축(sd)에 이절링크(39)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이절링크(39)는 상기 모터(m)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부본체(36)에 전달하여 진동을 유발하는 요소로써,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m)의 편심 회전축(sd)에 일단이 연결되는 회동링크(39a)와, 상기 회동링크(39a)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내부본체(36)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링크(39b)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절링크(39)는 상기 모터(m)의 편심 회전축(sd)이 일방향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링크(39a) 및 고정링크(39b)로 이루어진 이절링크(39)가 연동하여 내부본체(36)를 수평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절링크(39)와 연결된 내부본체(36)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본체(3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판스프링(38)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본체(36)는 상기 이절링크(39)를 통해 전달된 힘에 의해 한쌍의 내부 판스프링(38)이 탄력 유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즉, 도 6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된다.
또한, 상기 외부본체(31)는 상기 내부본체(36)와 상대되는 외부본체(31)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 판스프링(33)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외부 판스프링(33)이 탄력 유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탄력 유동을 갖게 된다.
요약하면, 상기 모터(m)는 몸체 부분이 외부본체(31)에 결합 고정되어 있고, 편심 회전축(sd) 부분은 이절링크(39)를 통해 내부본체(36)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모터(m)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외부본체(31)와 내부본체(36)가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본체(31)는 상기 하우징(11)에 외부 판스프링(33)으로 지지된 상태이고, 상기 내부본체(36)는 내부 판스프링(38)을 통해 상기 외부본체(31)에 지지된 상태이며, 이들 외부 판스프링(33)과 내부 판스프링(38)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대향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외부본체(31)와 내부본체(36)는 도 6에서 보면 좌·우 방향으로 수평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본체(36)의 내부상판(36b)에 구비된 지지구(36c)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지지구(36c)와 나사체결된 연마수단(20)이 연동 하여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판스프링(33)과 내부 판스프링(38)은 박판의 금속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 변형시 휨에 의한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도록 외면에 고무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 우렌탄재 등과 같은 탄성판(38r)이 부착되거나 도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36c)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본체(36)의 운동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술한 연마수단(20)의 연삭숫돌(23)을 비스듬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칼의 연마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마 작업시 연삭숫돌(23)의 상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칼 연마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모터(m)에 전원이 공급되면 편심 회전축(sd)이 일방향 회전을 하게 되고, 이 편심 회전축(sd)에 축결합된 이절링크(39)를 구성하는 회동링크(39a)와 고정링크(39b)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내부본체(36)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내부본체(36)는 외부본체(31)와 내부 판스프링(38)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이절링크(39)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내부 판스프링(38)이 탄성 변형되는 방향으로 즉, 도 6에서 보면 좌·우 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본체(36)와 내부 판스프링(38)으로 연결된 외부본체(31) 역시 상기 내부본체(36)의 유동성을 내부 판스프링(38)을 통해 전가 받게 되므로 결 과적으로 외부 판스프링(33)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여 좌·우 방향의 유동성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30)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30)을 구성하는 일 요소인 지지구(36c)와 나사체결된 연마수단(20)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연마수단(20)을 구성하는 연삭숫돌(23)에 칼날을 접촉시키면 연마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 연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연마수단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구동수단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칼 연마기 10 : 케이스 11 : 하우징
11a : 걸림턱 13 : 커버 14 : 플랜지
14h : 설치구멍 20 : 연마수단 21 : 거판
23 : 연삭숫돌 30 : 구동수단 31 : 외부본체
31a : 외부측판 31b : 외부후판 33 : 외부 판스프링
35 : 브라켓트 36 : 내부본체 36a : 내부측판
38 : 내부 판스프링 36b : 내부상판 38r : 탄성판
39 : 이절링크 39a : 회동링크 39b : 고정링크
32a,32b,37a,37b : 간격유지구

Claims (3)

  1. 설치구멍(14h)이 형성된 커버(13)에 의해 개방된 상면이 차폐되는 하우징(11)을 구비한 케이스(10)와;
    상기 하우징(11) 내벽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외부 판스프링(33) 및 이들 외부 판스프링(33)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형상의 외부본체(31) 그리고 상기 외부본체(31)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내부 판스프링(38) 및 이들 내부 판스프링(38)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동되게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설치구멍(14h)에 위치되는 지지구(36c)가 구비되는 ′∩′ 형상의 내부본체(36) 및 상기 내부본체(36)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편심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일측이 상기 외부본체(31)에 결합 고정되는 모터(m) 및 이 모터(m)의 편심 회전축(sd)과 내부본체(36)에 일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절링크(39)로 이루어진 구동수단(30)과;
    상기 지지구(36c)에 하부가 끼움 구비되어 연동되는 것으로 상부에 연삭숫돌(23)이 구비된 연마수단(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연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본체(31)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바닥판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외부측판(31a) 및 이들 외부측판(31a)을 연결하는 것으로 모 터(m)가 고정 설치되는 후판(3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본체(36)는 상기 외부본체(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측판(31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내부측판(36a) 및 이들 내부측판(36a)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 지지구(36c)가 결합되는 내부상판(36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외부 판스프링(33)은 각각 상단이 하우징(11)의 내벽에 연결되고 하단은 마주보는 외부측판(31a)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내부 판스프링(38)은 각각 상단이 마주보는 외부측판(31a)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마주보는 내부측판(36a)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연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판스프링(33) 또는 내부 판스프링(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면에 고무재, 합성수지재, 실리콘재, 우레탄재 중 어느 하나로 된 탄성판(38r)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연마기.
KR1020080053773A 2008-06-09 2008-06-09 칼 연마기 KR10085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773A KR100855395B1 (ko) 2008-06-09 2008-06-09 칼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773A KR100855395B1 (ko) 2008-06-09 2008-06-09 칼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395B1 true KR100855395B1 (ko) 2008-09-04

Family

ID=4002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773A KR100855395B1 (ko) 2008-06-09 2008-06-09 칼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3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375A (zh) * 2012-11-09 2013-02-13 无锡市普天铁心有限公司 硅钢片剪切直刀磁力磨刀架
CN106217144A (zh) * 2016-08-25 2016-12-14 周瑛 一种防潮家用磨刀工具
CN106272124A (zh) * 2016-08-25 2017-01-04 周瑛 一种家用磨刀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799U (ko) * 1989-09-04 1991-04-30
JPH0529661U (ja) * 1991-09-30 1993-04-20 新和工業株式会社 刃物研磨装置
JPH06190711A (ja) * 1992-12-24 1994-07-12 Fukoku Co Ltd 振動式砥石装置
KR200237825Y1 (ko) 2001-03-29 2001-10-10 박대복 칼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799U (ko) * 1989-09-04 1991-04-30
JPH0529661U (ja) * 1991-09-30 1993-04-20 新和工業株式会社 刃物研磨装置
JPH06190711A (ja) * 1992-12-24 1994-07-12 Fukoku Co Ltd 振動式砥石装置
KR200237825Y1 (ko) 2001-03-29 2001-10-10 박대복 칼갈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375A (zh) * 2012-11-09 2013-02-13 无锡市普天铁心有限公司 硅钢片剪切直刀磁力磨刀架
CN106217144A (zh) * 2016-08-25 2016-12-14 周瑛 一种防潮家用磨刀工具
CN106272124A (zh) * 2016-08-25 2017-01-04 周瑛 一种家用磨刀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3612B2 (en) Tool sharpener with adjustable support guide
KR101908010B1 (ko) 칼갈이 장치
US7854650B2 (en) Knife sharpener
KR100855395B1 (ko) 칼 연마기
KR101379478B1 (ko) 칼 연마기
CN214418338U (zh) 磨刀器
PL377559A1 (pl) Narzędzie ścierne dla przyrządu do szlifowania z napędem obrotowo-oscylacyjnym i przyrząd do szlifowania z napędem obrotowo-oscylacyjnym oraz zastosowanie narzędzia ściernego
CN105965331A (zh) 一种自动磨刀装置
KR101653941B1 (ko) 목재 패널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연마장치
KR101473889B1 (ko) 텅스텐 전극봉 연마 장치
KR200411645Y1 (ko) 전동식 칼 연마기
KR100897765B1 (ko) 전동식 칼 연마기
CN1386084A (zh) 手持式研磨工具
KR20070058274A (ko) 칼 연마기
KR200410944Y1 (ko) 칼 연마기
US20100099338A1 (en) Knife Sharpener
KR200408787Y1 (ko) 칼 연마기
KR200456205Y1 (ko) 칼 갈이 기구
KR101634156B1 (ko) 전동식 네일 연마기
KR20170022046A (ko) 휴대용 칼갈이 장치
CN104989077A (zh) 铲墙机的磨刀器
US798538A (en) Grinding-machine.
CN204826559U (zh) 铲墙机的磨刀器
KR20070064701A (ko) 칼 연마기
KR200314805Y1 (ko) 동력을 이용한 칼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