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179B1 -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179B1
KR100855179B1 KR1020080049570A KR20080049570A KR100855179B1 KR 100855179 B1 KR100855179 B1 KR 100855179B1 KR 1020080049570 A KR1020080049570 A KR 1020080049570A KR 20080049570 A KR20080049570 A KR 20080049570A KR 100855179 B1 KR100855179 B1 KR 10085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ear
rod
sta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충환
Original Assignee
차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충환 filed Critical 차충환
Priority to KR102008004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179B1/ko
Priority to CN200980000095A priority patent/CN101711175A/zh
Priority to PCT/KR2009/001512 priority patent/WO200914542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Weight selec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Jib Cran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는, 베이스를 갖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도르레,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부로 세워진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에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의 사이에 웨이트 선택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웨이트 스택, 상기 웨이트 선택공에 관통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걸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웨이트 스택을 지지하여 함께 승강시키는 웨이트 봉, 상기 웨이트 봉을 회전시켜 상기 핀 걸림부와 상기 웨이트 스택 간의 걸림 여부를 선택하여 웨이트 중량을 조절하는 중량 조절부, 그리고 상기 웨이트 봉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르레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어 외력을 부여받는 핸들을 포함하는 외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웨이트 스택의 중량조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으며, 보다 경량화되고 소형화된 웨이트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웨이트 스택, 운동기구, 웨이트 봉, 웨이트 선택공, 핀 걸림부, 베벨 기어

Description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WEIGHT CONTROL DEVICE OF THE DEVICE'S WEIGHT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 조절하는 웨이트 스택의 중량을 보다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근력을 키우기 위해 각종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로는 다양한 것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상체와 하체에 대한 운동을 실시하고 있다.
이하, 일반적인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 1은 종래 기술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79522호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웨이트 선택핀 체결구조를 보인 분해 상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웨이트 선택핀 체결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웨이트 선택핀 체결구조는, 다단으로 적층된 웨이트 스택(1)들을 상하로 관통하 는 웨이트 봉(10)의 외주면에는 웨이트 스택(1)들의 체결공(1a)과 대응되는 핀 걸림부(11)가 다단으로 형성되며, 웨이트 선택핀(20)은 웨이트 스택(1)의 체결공(1a)을 관통하여 웨이트 봉(10)의 핀 걸림부(11)에 집게형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집게 편(22,23)은 손잡이(22a,22b)가 눌리게 되면 그 선단부가 벌어져 웨이트 봉(10)의 핀 걸림부(11)에 끼워지고, 누르고 있던 손잡이(24)에서 손을 놓으면 원상태로 복원되어 웨이트 봉(10)을 집게형태로 잡게 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중량 가변식 웨이트 운동기구는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맞게 중량을 설정하여 사용하는데, 중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웨이트 스택(1)의 측면에 마련되는 체결공(1a)과 이 웨이트 스택(1)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웨이트 봉(10)의 핀 걸림부(11)에 웨이트 선택핀(20)을 삽입하여 필요한 중량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웨이트 스택(1)의 중량을 바꾸기 위해서는 선택되어 질 웨이트 스택(1)의 체결공(1a)의 작은 구멍을 찾아 웨이트 선택핀(20)을 다시 삽입하기란 매우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 조절 장치 부분을 반드시 개방구조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웨이트 스택(1) 부분에 커버를 장착할 경우 디자인상의 많은 제약을 갖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이트 스택의 중량조절이 용이한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중량 조절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고가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가격을 낮추어 폭넓은 보급을 이룰 수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는, 베이스를 갖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도르레,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부로 세워진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에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의 사이에 웨이트 선택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웨이트 스택, 상기 웨이트 선택공에 관통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걸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웨이트 스택을 지지하여 함께 승강시키는 웨이트 봉, 상기 웨이트 봉을 회전시켜 상기 핀 걸림부와 상기 웨이트 스택 간의 걸림 여부를 선택하여 웨이트 중량을 조 절하는 중량 조절부, 그리고 상기 웨이트 봉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르레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어 외력을 부여받는 핸들을 포함하는 외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트 스택은 상기 웨이트 선택공의 양쪽으로 관통 형성된 볼트공, 그리고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의 돌출된 길이만큼 상측 및 하측의 웨이트 스택 간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핀 걸림부가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웨이트 선택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걸림부가 연접하여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량 조절부는 상기 웨이트 봉과 같이 회전되게 결합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된 제2 기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2 기어와 같이 회전되게 결합된 조정 샤프트, 그리고 상기 조정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는 베벨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웨이트 봉은 외측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웨이트 봉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다각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량 조절부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기어에 각각 탄력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는, 웨이트 스택의 중량조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는, 소형화에 의한 부피와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운동기구의 중량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고가인 운동기구의 가격을 낮추어 폭넓은 보급을 이루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에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가 설치된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스택이 가이드에 결합된 상 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스택 및 웨이트 봉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부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는, 프레임(10), 웨이트 스택(20), 웨이트 봉(30), 중량 조절부(40), 그리고 외력 전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10)을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프레임(10)은 건조물의 구성 부재, 바닥면 등의 서로 부동의 관계에 있는 구조물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10)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거치되는 곳으로, 불투명한 소재에 의해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외면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12)를 갖는 지지대(14), 상기 지지대(14)의 상부에 결합된 도르레(16), 그리고 상기 지지대(14)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1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가이드(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8)에는 후술되는 다수 개의 웨이트 스택(2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 스택(20)들은 방진고무와 같은 완충구(12a)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12) 위에 올려지도록 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20)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감쇠토록 하여 기계 요소간의 마찰을 저감시켜 기계적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웨이트 스택(20)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웨이트 스택(20)은 소정의 중량을 지니는 원형 또는 직육면체 등으로 형성되는 금속체로 가이드공(22)과 웨이트 선택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공(22)은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18)를 통해서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선택공(24)은 상기 가이드공(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특히 상기 웨이트 스택(20)의 정면을 이루는 면의 가운데에 상기 웨이트 스택(20)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 선택공(24)은 후술되는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핀 걸림부(3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핀 걸림부(32)의 적어도 하나가 연접하여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 웨이트 스택(20)의 웨이트 선택공(24)의 형상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웨이트 스택(20)이 제1웨이트 스택(20a), 제2웨이트 스택(20b) 그리고 제3웨이트 스택(20c) 모두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웨이트 스택(20a)의 웨이트 선택공(24a)의 형상은 후술되는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웨이트 스택(20b)의 웨이트 선택공(24b)은 후술되는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의 2개가 연접하여 관통된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웨이트 선택공(24b)을 기준으로 약 30°정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더 넓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웨이트 스택(20c)의 웨이트 선택공(24c)은 후술되는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의 3개가 연접하여 관통된 형상을 가지는데, 웨이트 선택공(24a)을 기준으로 약 60°정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더 넓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중량 조절부(60)에 의해 웨이트 봉(30)의 각도가 30°씩 회전될 때 핀 걸림부(32)도 역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상기 핀 걸림부(32)가 이러한 웨이트 선택공(24a,24b,24c)들을 통과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30°씩 각도 차를 둔 것은 최선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각도 차에 의해 다수의 웨이트 선택공(24a,24b,24c)의 형상을 구비하더라도 본 발명의 취지는 동일하다.
한편, 상기 웨이트 선택공(24)의 상하 양쪽으로 볼트공(2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공(26)에는 일측으로 길게 돌출되는 볼트(28)가 결합되어 상기 볼트(28)의 돌출된 길이만큼 상·하측의 웨이트 스택(20)들 간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된 공간에 후술되는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웨이트 봉(30)을 설명한다.
상기 웨이트 봉(30)은 직육면체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외주면에 상기 웨이트 스택(20)의 웨이트 선택공(24)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 걸림부(32)가 돌 출 형성되어 상기 핀 걸림부(3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웨이트 스택(20)의 저면을 지지하여 함께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핀 걸림부(32)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이트 스택(20)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이 구비되며, 인접하는 핀 걸림부(32) 간은 상기 웨이트 스택(20)들 간의 이격된 공간만큼 상하로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 핀 걸림부(32)의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웨이트 봉(3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핀 걸림부(32)가 웨이트 스택(20a,20b,20c)들과 마찬가지로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이트 봉(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들 핀 걸림부(32a,32b,32c)가 상기 웨이트 스택(20a,20b,20c)들에 형성된 각각의 웨이트 선택공(24a,24b,24c)들을 통과할 수 있느냐 통과할 수 없느냐에 따라서 웨이트 스택(20)의 개수 및 중량이 정해지도록 한 것이다. 즉, 후술되는 중량 조절부(40)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가 회전되어 해당 웨이트 스택(20)의 저면에서 웨이트 선택공(24)과 어긋나게 위치되어 핀 걸림부(3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웨이트 스택(20)들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한편,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핀 걸림부(32)가 상기 웨이트 스택(20)의 저면에 면접된 상태로 선택된 중량의 웨이트 스택(20)들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들어올린 후 다시 내려놓 을 때에는 인접하는 웨이트 스택(20)들 간에는 볼트(28)에 의해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핀 걸림부(32)에는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중량 조절부(40)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 조절부(40)는 상기 웨이트 봉(30)과 같이 회전되게 결합된 제1 기어(42), 상기 제1 기어(42)와 치합된 제2 기어(44),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2 기어(44)와 같이 회전되게 결합된 조정 샤프트(46), 그리고 상기 조정 샤프트(46)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42)는 상기 웨이트 봉(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어(42)의 중앙부에는 다각구멍(42a)이 천공되어 외측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웨이트 봉(30)과 같이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42)에는 제2 기어(44)가 수직하게 설치되어 치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42)와 상기 제2 기어(44)는 베벨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기어(42)와 상기 제2 기어(44)를 베벨 기어에 의한 중량 조절부(40)를 개시하였지만, 웜기어 등과 같은 다른 기어수단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어(44)에는 프레임(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정 샤프트(46)가 연결되고, 상기 조정 샤프트(46)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웨이트 스택(20)의 하중을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8)는 그 표면에 너링 가공된 요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 중량 조절부(40)는 상기 웨이트 봉(30)을 회전시켜 상기 핀 걸림부(32)와 상기 웨이트 스택(20) 간의 걸림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기어(42)에 걸림되어 이의 회전을 구속하는 래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5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 기어(42)에 탄력적으로 걸림된다. 이때, 제1 기어(42)인 베벨 기어의 기어이(42b)는 원활한 회전 및 역회전을 위한 형상을 갖는다. 즉, 래치(50)의 경사면(50a)과 접촉하는 기어이(42b) 내부 양측벽은 완만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기어(42)인 베벨 기어의 회전시에는 래치(50)의 경사면(50a)과 기어이(42b)의 원만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 내부 양측벽이 접촉하여 회전이 원활하고, 또한 중량을 다시 내리기 위해 손잡이(48)를 역회전시켜 제1 및 제2 기어(42,44)가 역회전 되더라도 원만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 내부 양측벽이 접촉하여 역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48)의 회전에 의한 제1 기어(42)와 제2 기어(44)가 한 번 맞물려서 회전하는 회전각도는 상기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가 다음 핀 걸림부(32)의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외력 전달부(60)를 설명한다.
상기 외력 전달부(60)는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웨이트 스택(20)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때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도르레(16) 등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웨이트 봉(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62)이나 와이어, 벨트 등이 구비되며, 타단은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64)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봉과 웨이트 스택의 걸림 결합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봉과 웨이트 스택의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웨이트 봉(30)의 무게를 5kg이라고 하고, 웨이트 스택(20) 하나의 무게를 5kg이라고 설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웨이트 봉(30)에 돌출 형성된 웨이트 스택(20)들은 웨이트 스택(20)의 웨이트 선택공(24)을 모두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력 전달부(60)의 핸들(64)을 잡아당기면 케이블(62)과 연결된 웨이트 봉(30)의 무게인 5kg만큼 중량이 선택되어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웨이트의 무게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웨이트 봉(30)을 회전시키면 되는데,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 조절부(40)의 손잡이(48)를 일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손잡이(48)와 연결되어 있는 조정 샤프트(46)가 함께 회전되고, 조정 샤프트(46)와 이에 회전불가하게 결합된 제2 기어(44)인 베벨 기어의 축에 의해서 이에 치합된 제1 기어(42)인 베벨 기어가 90°회전되고, 제1 기어(42)인 베벨 기어도 래치(5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면서 회전된다.
제1 기어(42)인 베벨 기어가 90°회전하게 되면, 제1 기어(42)인 베벨 기어와 상대 회전불가하게 결합된 웨이트 봉(30)이 90°회전되면서 핀 걸림부(32)가 90°회전되고, 이때 웨이트 봉(30)과 케이블(62)로 연결된 핸들(64)을 잡아당기게 되면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와 어긋나게 위치된 상부의 3개의 웨이트 스택(20)들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한편,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웨이트 봉(30)의 무게인 5kg과 웨이트 스택(20) 3개의 무게인 15kg을 함께 들어올리게 되므로 20kg의 무게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웨이트 스택(20)의 기본 무게의 설정과 웨이트 스택(20) 개수의 조합에 의하여 얼마든지 다양한 무게를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는 웨이트 스택(20)의 중심에 장착된 웨이트 봉(30)이 웨이트 스택(20)에 형성된 웨이트 선택공(24)을 통해 수직으로 승강되고, 이때 원하는 중량의 웨이트 스택(20)에 결합되도록 웨이트 봉(30)의 핀 걸림부(32)를 회전시켜 웨이트 스택(20)의 저면에 접면되도록 하여 웨이트의 중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중량 조절부(40)의 손잡이(48)를 돌리기만 하면 원하는 웨이트 스택(20)의 중량이 조절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일일이 웨이트 스택(20)의 좁은 구멍에 웨이트 선택핀을 찾아서 넣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 조절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고가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가격을 낮 추어 웨이트 운동기구의 폭넓은 보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웨이트 선택핀 체결구조를 보인 분해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웨이트 선택핀 체결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가 설치된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스택이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스택 및 웨이트 봉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봉과 웨이트 스택의 걸림 결합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봉과 웨이트 스택의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2: 베이스
14: 지지대 16: 도르레
18: 가이드 20: 웨이트 스택
22: 가이드공 24: 웨이트 선택공
26: 볼트공 28: 볼트
30: 웨이트 봉 32: 핀 걸림부
40: 중량 조절부 42: 제1 기어
42a: 다각구멍 42b: 기어이
44: 제2 기어 46: 조정 샤프트
48: 손잡이 50: 래치
50a: 경사면 60: 외력 전달부
62: 케이블 64: 핸들

Claims (7)

  1. 베이스를 갖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도르레,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부로 세워진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에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의 사이에 웨이트 선택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웨이트 스택,
    상기 웨이트 선택공에 관통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걸림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웨이트 스택을 지지하여 함께 승강시키는 웨이트 봉,
    상기 웨이트 봉을 회전시켜 상기 핀 걸림부와 상기 웨이트 스택 간의 걸림 여부를 선택하여 웨이트 중량을 조절하는 중량 조절부, 그리고
    상기 웨이트 봉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르레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어 외력을 부여받는 핸들을 포함하는 외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웨이트 스택은,
    상기 웨이트 선택공의 양쪽으로 관통 형성된 볼트공, 그리고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트의 돌출된 길이만큼 상측 및 하측의 웨이트 스택 간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핀 걸림부가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웨이트 선택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걸림부가 연접하여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중량 조절부는,
    상기 웨이트 봉과 같이 회전되게 결합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된 제2 기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2 기어와 같이 회전되게 결합된 조정 샤프트, 그리고
    상기 조정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는 베벨 기어로 이루어지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웨이트 봉은 외측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웨이트 봉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다각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중량 조절부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기어에 각각 탄력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래치를
    더 포함하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KR1020080049570A 2008-05-28 2008-05-28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KR10085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70A KR100855179B1 (ko) 2008-05-28 2008-05-28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CN200980000095A CN101711175A (zh) 2008-05-28 2009-03-25 重量运动器械的重量调节装置
PCT/KR2009/001512 WO2009145421A2 (ko) 2008-05-28 2009-03-25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70A KR100855179B1 (ko) 2008-05-28 2008-05-28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179B1 true KR100855179B1 (ko) 2008-08-29

Family

ID=3987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570A KR100855179B1 (ko) 2008-05-28 2008-05-28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55179B1 (ko)
CN (1) CN101711175A (ko)
WO (1) WO200914542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654A2 (ko) * 2009-08-06 2011-02-10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KR101441803B1 (ko) * 2013-04-25 2014-11-03 임원택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KR101637146B1 (ko) 2016-02-25 2016-07-07 서정근 하체 운동기구의 가변 중량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1360A2 (pt) * 2009-04-22 2011-01-04 Takashi Nishimura mecanismo eletromecánico para controle de pesos fracionários em estação de musculação
CN109507019A (zh) * 2019-01-11 2019-03-22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砝码自动加载装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60U (ko) * 1998-07-02 1998-10-26 한상현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중량 자동설정 장치
KR200368301Y1 (ko) 2004-06-17 2004-11-18 김형태 운동기기용 웨이트 블록
US20060205571A1 (en) 2004-12-14 2006-09-14 Krull Mark A Exercise weight stack methods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029A (en) * 1977-11-11 1980-02-12 Brower Harold E Multiple use weight lifting exercis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260U (ko) * 1998-07-02 1998-10-26 한상현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중량 자동설정 장치
KR200368301Y1 (ko) 2004-06-17 2004-11-18 김형태 운동기기용 웨이트 블록
US20060205571A1 (en) 2004-12-14 2006-09-14 Krull Mark A Exercise weight stack methods and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654A2 (ko) * 2009-08-06 2011-02-10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WO2011016654A3 (ko) * 2009-08-06 2011-06-30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KR101441803B1 (ko) * 2013-04-25 2014-11-03 임원택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KR101637146B1 (ko) 2016-02-25 2016-07-07 서정근 하체 운동기구의 가변 중량체
WO2017146549A1 (ko) * 2016-02-25 2017-08-31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하체 운동기구의 가변 중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5421A3 (ko) 2010-01-21
CN101711175A (zh) 2010-05-19
WO2009145421A2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179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US4542899A (en) Exercise device
US7285078B1 (en) Adjustable dumbbell
US9327160B2 (en) Modular self-spotting safety device for weightlifting
US7374519B2 (en) Dynamically controlled resistance exercise machine
US9682269B2 (en) Weight lifting arrangement and weight selector apparatus for a weight lifting arrangement
WO2015191445A1 (en)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US20150238801A1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EP3302722B1 (en) Exercise device
KR20110137329A (ko) 운동 장치 및 웨이트 선택 시스템
US20060162870A1 (en) Roman blind without any pull rope
KR101078332B1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US10398920B2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US10960253B2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KR100984258B1 (ko) 운동 기구용 가변 부하 조절 장치
TW201811402A (zh) 可調整配重之壺鈴
KR20170004009U (ko) 바벨 랙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0515686B1 (ko) 웨이트 트레이닝용 운동기구
KR20220073311A (ko) 운동기구
KR100867117B1 (ko) 다용도 헬스기구
TW201334835A (zh) 可調式之重量訓練安全結構
KR100728821B1 (ko) 프레스 운동기구
WO2018132354A1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