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16654A2 -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16654A2
WO2011016654A2 PCT/KR2010/005073 KR2010005073W WO2011016654A2 WO 2011016654 A2 WO2011016654 A2 WO 2011016654A2 KR 2010005073 W KR2010005073 W KR 2010005073W WO 2011016654 A2 WO2011016654 A2 WO 201101665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ercise load
spring
state
weight train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50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16654A3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주식회사엔티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주식회사엔티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엘에스
Publication of WO201101665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16654A2/ko
Publication of WO201101665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1665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number of springs in charge of the exercise load by generating a spring in place of a weight body.
  • One such weight training apparatus is to mount a plurality of weights in series and use them as exercise loads.
  •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of this type adjusts the exercise load by selecting one or more weights among a plurality of weights according to the user's capability.
  • Another type of weight training apparatus is to mount a spring to use the elastic deforma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spring is compressed or tensioned as the exercise loa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41685 is disclosed as one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es in this manner.
  •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disclosed in this patent is characteriz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ension springs in parallel and adjusting the number of springs acting as an exercise load using a clutch.
  • the disclosed weight train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main shaft connected to the operation bar on the pair of plates.
  • the rotor is installed on the main shaft, and the rotor is equipped with a number of tension springs acting as a motion load.
  • the pair of plates are provided with a clutch rod, the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provided with a rocker is coupled to the clutch rod. Therefore,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fixed to the rotor, and the other end is removably coupled to the clutch rod via the rocker.
  • a clutch is provided to engage or disengage the rocker and the clutch rod, and the clutch rod having the clutch groove is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Therefore, the exercise load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prings engaged with the clutch rod by the clutch.
  • Weight training devic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eights in series adjusts the exercise load by inserting a pin into the weight that the user wants to act as an exercise load, so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due to the removal of the pin, and the weight is mounted in series. There is a problem of large volume and weight. In addition,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of weights is also generated.
  • Patent training No. 10-0641685 weight training device is a structure that uses the tension spring to generate the movement load to the clutch r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nsion spring is broken.
  •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and the cable f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clutch rod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ble is broken.
  • the clutch rod is to be easi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clutch groove of the rock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intermittent groove formed in the clutch rod and the rock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lutch rod is not easily coupled.
  • such a weight train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bulky and excessive production cost occur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training apparatus that can adjust the exercise loa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training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adjust the exercise load by a simple lever or handle operation.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training device with low risk and low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 Weight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operation between the user to operat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fixed to the main body and compressed to generate a basic exercis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between the operation
  • the rod is manipulated to be in the fastened state or the detached state, and in the fastened state includes an operation unit to adjust the total amount of additional exercise loa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movable rods to be fastened.
  •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lever, a lever guide plate having a position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lever, a moving selection plate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ever, and moving toward and away from the moving ro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It includes a coupling piece to form a fastened state or a separated state.
  • the position fix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number of the moving rods to maintain the fastening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is adjusted the total amount of the variable exercise load.
  • the moving selection plate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fastening protrusions and sea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osition fixing grooves, the pin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is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or the fastening protrusions.
  • the coupling piece and the movable rod are kept in a separated state.
  • the coupling piece and the movable rod are held in a fastened state.
  • the fastening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to adjust the total amount of the variable exercise load.
  • the lever and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are connected by a link.
  • the operation unit a handle, a pinion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a movement selection plate provided with a rack to linearly mov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inion,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It comprises a coupling piece for advancing toward the moving rod to form the fastened state or the separated state.
  • the moving selection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and mounting grooves, the coupling piece is coupled to the pin is located in the mounting grooves or the fastening protrusions.
  • the coupling piece and the movable rod are kept in a separated state.
  • the coupling piece and the movable rod are held in a fastened state.
  • the fastening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to adjust the total amount of the variable exercise load.
  • the moving rod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for maintaining the fastening state with the coupling piece.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ifting frame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to rise and compress the compression spring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oper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xed frame in which the lifting rod is lowered and forms the box together with the lifting frame to form the fixed rod and the movable rod.
  • the movable rods are arranged in a row or in a circle.
  •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can be simplified, and the volume and weight can be reduced.
  • the movement load can be easily adjusted by simply moving or rotating the lever or the handl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movement.
  • a compression spring instead of the weight, there is little effect of noise during exercise and low risk.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ercise load control device shown in FIG.
  • FIG. 4 is a view for showing the action state of the basic exercise load in the exercise load control device shown in FIG.
  • FIG. 5 is a view for showing the action state of the variable exercise load in the exercise load control device shown in FIG.
  • FIG. 6 is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unit in the exercise load adjustment device shown in FIG.
  •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exercise load device in the exercise load control device shown in FIG.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late guide plate shown in FIG.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pin guide plate illustrated in FIG. 9.
  • FIG. 12 is a state diagram for sequentially showing the exercise load adjustment of one embodiment of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ercise load control device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shown in FIG.
  • Figure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in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ercise load control device shown in FIG.
  • FIG. 17 is a state diagram for sequentially showing the exercise load control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shown in FIG. 15 and FIG.
  •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50 includes a main body 51, a support 52 installed below the main body 51, and which the user can sit, and the user to apply external force. It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rod 53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51 to be applied.
  • the main body 50 is provided with an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100 configured to generate an exercise load using an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not a weight body, and an operation unit 110 which is actually operated by a user for adjusting the exercise load. Is installed.
  • the cable 6 is installed between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100 and the operating rod 53 to transmit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operating load 53 to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100.
  • the left side shows the user exercising while pushing the operation 53
  • the right side shows the user exercising while pulling the operation 53.
  •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100 includes a frame 101 installed on the main body 51, a fixed rod 2 installed on the frame 101, and a movable rod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xed rod 2. 3) is provided.
  • a plurality of fixing rods 2 are installed in the frame 101 side by side, the moving rod 3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ide is located in the frame 101 and the lower side thereof extends below the frame 101.
  • the compression spring (1) is mounted on the fixed rod (2) and the moving rod (3), respectively.
  • the operation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frame 101 as a part which the user manipulates to adjust the exercise load, and the lever guide plate 14 for guiding and fixing the lever 8 and the position of the lever 8. And a bracket 15 for attaching the lever guide plate 14 to the frame 101.
  • the lever guide plate 14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03 for guiding the shanghaidong of the lever 8 and a position fixing groove 13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ver 8.
  • the bracket 15 is provided with a link 16, and one end of the link 16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lever groove 104 in which the lever 8 is inserted and move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16 is provided.
  • the moving selection plate 9 for selecting the moving rod 3 for generating the exercise load is installed.
  • the frame 101 of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100 includes a lifting frame 4 and a fixed frame 5, and a cable 6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of the lifting frame 4.
  • the outermost fixed rod (2) is provided with a guide rod 102 penetrating upwards and upwards through the elevating frame (4) and the fixing frame (5)
  • the elevating frame (4) is a guide rod 102 Ascend and descend.
  • a plurality of fixed rods 2 and movable rods 3 are arranged in parallel, respectively, and a compression spring 1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 a stopper 10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rod 2 and the movable rod 3 to prevent the compression spring 1 from being separated.
  • the lower end of the fixed rod 2 and the middle of the movable rod 3 are elevated.
  • the lower plate of the frame 4 is inserted in a liftable manner. Therefore, the compression spring 1 is mounted between the stopper 105 and the lower plate of the lifting frame 4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rod 2 and the movable rod 3.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lifting frame 4 is lowered, the lifting frame 4 and the fixed frame 5 form a box shape, and the portion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1 of the fixed rod 2 and the movable rod 3 is mounted is It is built in the box-shaped frame 101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the lower end of the fixed rod (2) is fixed to the fixed frame (5), and can not be lifted,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rod (3)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lower plate of the lifting frame (4) and the fixed frame (5).
  • a fastening groove 7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movable rod 3 so that the above-described movement selecting plate 9 can be fastened.
  • 4 (a) is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operation 53, that is, the state before the user exercises. In this state, since the cable 6 is not pulled, the lifting frame 4 maintains the lowered state.
  • 4 (b) is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on section 53, that is, the user lifts the operation section 53, and the lifting frame 4 is raised to generate an exercise load. That is, as the lifting frame 4 is raised, the compression spring 1 is compress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motion load.
  • 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operating sections 53, that is, before the user exercises.
  • the lifting frame 4 maintains the lowered state.
  • 5 (b) shows that the lifting frame (9)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7 of the moving rod 3, even if the lifting frame 4 is raised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53, the lifting frame ( 4) together with the moving rod (3) also rises and does not generate a predetermined exercise load.
  • 5 (c) shows that the movement selecting plate 9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7 of the moving rod 3, and when the lifting frame 4 rises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53, the moving rod 3. ) Does not rise and the lifting frame 4 rises to generate a predetermined movement load while compressing the compression spring 1.
  • FIG. 6 shows the state where the lever 8 is located in the lowermost position fixing groove 13, and the dashed-dotted line shows the lever 8 upwards so that the lever 8 has the second position fixing groove from above. It shows the state located at (13).
  • the movement selecting plate 9 does not move and is not engaged with any one of the moving rods 3. Therefore, in this state, no additional exercise load occurs except the basic exercise load.
  • the lever 8 is positioned upward and the lever 8 is located in the upper position fixing groove 13, the movement selecting plate 9 is moved to engage with at least one of the moving rods 3. Therefore, in this state, an additional exercise load is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basic exercise load.
  • a lever guide groove 17a of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lever guide 17 installed on the bracket 15.
  • the lever bar 18 on which the lever 8 is mounted is provided in the groove 17a.
  • a spring groove 19a is formed in the lever bar 18, and a spring 19 for elastically restor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bar 18 is provided in the spring groove 19a, and the spring 19 is provided.
  • a spring stopper 19b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pring is inserted.
  • the moving selection plate 9 connected to the link 16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1 so as to be movable therein, and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groove 7 of the moving rod 3 via the pin 10 and the coupling piece 11. Fastened or disconnected.
  • the pin guide plate 22 and the coupling plate guide plate 12 are sequentially installed below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9 of the housing 21.
  • the pin 10 moves back and forth toward the moving rod 3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9, and the coupling piece 11 to which the pin 10 is coupled moves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pin 10 to move the coupling piece. 11 is fastened or separated to the fastening groove 7 of the movable rod (3).
  • the engaging piece guide plate 12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2a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engaging piece 11, and the engaging piece 11 and the engaging piece 11 are formed in the guide groove 12a.
  • the spring 12b is provided, and the coupling piece 11 is pushed elastically.
  • the groo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7 so as to be easily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7 of the moving rod 3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iece 11 has moved toward the moving rod 3 at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piece 11. Is formed.
  • the hole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iece 11 and the spring 12b i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oving rod 3 passes.
  • a plurality of coupling pieces 11 are arranged up and down about the center line of the coupling piece guide plate 12, in this embodiment three (11a, 11b, 11c) on the upper side and two (11d, 11e) on the lower side Is placed.
  • three pins 10a, 10b and 10c on the upper side and two 10d and 10e on the lower side ar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pieces 11a, 11b, 11c, 11d and 11e, respectively.
  • the pin guide grooves 22a, 22b, 22c, 22d, and 22e are formed in the pin guide plate 22 to move the pins 10a, 10b, 10c, 10d, and 10e, respectively.
  • the holes form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pin guide grooves 22a, 22b, 22c, 22d, and 22e that is,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n guide plate 22, are holes through which the movable rod 3 passes.
  •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20b, 20c, 20d, and 20e are sequentially shortened in length, and the recessing grooves 40a, 40b, 40c, 40d, and 40e are sequentially formed long in length. Therefore, the fastening protrusion 20a and the seating groove 40a, the fastening protrusion 20b and the seating groove 40b, the two fastening protrusions 20c and the seating groove 40c, the fastening protrusion 20d and the seating groove 40d, The fastening protrusions 20e and the seating grooves 40e are pai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pair of fastening protrusions and seating grooves are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f pins and coupling pieces one by one.
  • FIG. 12 (d) shows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exercise load of three stages is generated
  • FIG. 12 (e) shows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exercise load of four stages
  • Figure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 cross sectional view thereof.
  • the movable rod 3 and the fixed rod 2 are arranged in a circle
  • the movable selection plate 9 actuated by the lever 8 is also arranged in a circle.
  •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f the pin and the coupling piece are also circular. Arranged to achieve. Sin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iece and the moving rod are fastened by moving the lever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in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shown in FIG. 15,
  • FIG. 16 is a state diagram for sequentially showing the exercise load adjustment state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shown in FIG.
  • the third embodiment is generally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00. That is,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100 ′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xed rod 2 and a movable rod 3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xed rod 2. A plurality of fixed rods 2 are installed in the outermost side by side, and a plurality of movable rods 3 are arranged in parallel inside the fixed rods 2. In addition, the movable rod 3 is installed so that its upper side is located in the frame and the lower side thereof extends downward of the frame. In addition, the compression spring (1) is mounted on the fixed rod (2) and the moving rod (3), respectively.
  • the frame of the exercise load adjusting device 200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lifting frame 4 and a fixed frame 5.
  • the outermost fixed rod (2) is provided with a guide rod 102 penetrating upwards and upwards through the elevating frame (4) and the fixing frame (5)
  • the elevating frame (4) is a guide rod 102 Ascend and descend.
  • a stopper 10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rod 2 and the movable rod 3 to prevent the compression spring 1 from being separated.
  • the lower end of the fixed rod 2 and the middle of the movable rod 3 are elevated.
  • the lower plate of the frame 4 is inserted in a liftable manner.
  • the compression spring 1 is mounted between the stopper 105 and the lower plate of the lifting frame 4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rod 2 and the movable rod 3.
  • the lower end of the fixed rod (2) is fixed to the fixed frame (5), and can not be lifted,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rod (3)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lower plate of the lifting frame (4) and the fixed frame (5).
  • a fastening groove 7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movable rod 3 so that the moving selection plate 9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 the operation unit 200 is a part which the user manipulates to adjust the exercise load, and includes a rotary type handle 201 and a rotating shaft 202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201. Between the handle 201 and the rotating shaft 202, a pair of bevel gears 203 and 204 are provided as a rotational motion transmission mechanism.
  • the pinion 205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202.
  •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9 '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ion 205, and the pin 10 and the coupling piece 11 are advanced and moved toward the movement rod 3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9'.
  •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9 ' is provided with a rack 9a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inion 205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see FIG. 17).
  • five fastening protrusion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and five seating grooves 240a, 240b, 240c, 240d and 240e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selection plate 9 ′.
  • the fastening protrusion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are set to have their lengths sequentially shortened, and the mounting grooves 240a, 240b, 240c, 240d, and 240e have their lengths sequentially. It is formed to be long.
  • the fastening protrusion 210e and the seating groove 240e are paired with each other.
  • a pair of fastening protrusions and seating grooves are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f pins and coupling pieces one by one.
  • FIG. 1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five pins 10a, 10b, 10c, 10d, and 10e are seated in the corresponding seating grooves 240a, 240b, 240c, 240d, and 240e, respectively.
  • the handle 201 is located in the first end,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9 ') is not moved, no coupling piece 1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7) of the moving rod (3). Therefore, even if the user lifts the operation 53, no additional exercise load occurs in addition to the basic exercise load.
  • the handle 201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201 by one step and horizontally moves the movement selection plate 9 'by one step, the state becomes as shown in FIG.
  • FIG. 17 (c) shows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exercise load of three stages is generated
  • FIG. 17 (e) shows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exercise load of four stages and FIG. 17 (e) is generated. It 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운동부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를 개시한다. 트레이닝 장치는 본체와 작동간, 기본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이 탑재된 고정봉, 체결상태에서는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추가적인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이 탑재된 다수의 이동봉, 이동봉이 상기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가 되도록 조작하고, 상기 체결상태에서는 체결되는 상기 이동봉의 수를 조절하여 추가적인 운동부하의 총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는, 레버 또는 핸들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선택판과 이동선택판의 이동에 따라 이동봉을 향하여 진퇴하여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를 형성하는 결합편을 구비한다. 이동선택판에는 가변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가 다른 체결돌부와 안착홈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본 발명은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체 대신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운동부하를 발생시키고, 운동부하를 담당하는 스프링의 수를 조절할 수 있는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웨이트 트레이닝 위한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중의 하나는 다수의 웨이트를 직렬로 장착하여 운동부하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는 사용자의 역량에 따라 다수의 웨이트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웨이트를 선택함으로써 운동부하를 조절한다. 다른 방식의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는 스프링을 장착하여 스프링의 압축 또는 인장 시 발생하는 탄성 변형력을 운동부하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하나로 한국 특허등록 제10-0641685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는 다수의 인장스프링을 병렬로 배치하고, 클러치를 이용하여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스프링의 수를 조절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개시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에는 한 쌍의 플레이트에 작동바와 연결된 메인샤프트가 설치된다. 메인샤프트에는 로터가 설치되며, 로터에는 운동부하로 작용하는 다수의 인장스프링이 장착된다. 또한, 한 쌍의 플레이트에는 클러치봉이 설치되고, 인장스프링의 단부에는 로커가 설치되어 클러치봉과 결합된다. 따라서 인장스프링의 일단부는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로커를 개재하여 클러치봉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로커와 클러치봉을 결합하거나 결합해제하기 위해 클러치가 마련되고, 클러치홈을 가진 클러치봉은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클러치에 의해 클러치봉과 결합된 스프링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운동부하가 조절된다.
다수의 웨이트를 직렬로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는 사용자가 운동부하로 작용하길 원하는 웨이트에 핀을 삽입해서 운동부하를 조절하므로 핀의 삽탈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웨이트가 직렬로 장착되어 있어 부피와 중량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웨이트의 충돌에 의한 소음도 발생한다.
특허등록 제10-0641685호의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는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인장스프링을 클러치봉에 걸어 사용하는 구조로써, 인장스프링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러치봉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핸들과 케이블 등의 구성이 복잡하고, 케이블이 파단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클러치봉이 로커의 클러치홈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해제되어야 하는데, 클러치봉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봉에 형성된 단속홈과 로커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는 부피가 크고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고, 부피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레버나 핸들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의 작동에 의한 소음이 적고 위험성이 낮은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작동시키는 작동간,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기본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이 탑재된 고정봉, 상기 본체에 대하여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상태에서는 상기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추가적인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이 탑재된 다수의 이동봉, 상기 이동봉이 상기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가 되도록 조작하고, 상기 체결상태에서는 체결되는 상기 이동봉의 수를 조절하여 추가적인 운동부하의 총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레버가이드판과, 상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선택판과 상기 이동선택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봉을 향하여 진퇴하여 상기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를 형성하는 결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고정홈은 다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이동봉의 수가 결정되어 상기 가변 운동부하가 총량이 조절된다.
상기 이동선택판에는 상기 위치고정홈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체결돌부와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핀이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 또는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한다.
상기 핀이 상기 안착홈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분리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핀이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다수의 체결돌부와 상기 다수의 안착홈은 상기 가변 운동부하의 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레버와 상기 이동선택판은 링크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조작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래크가 마련된 이동선택판과, 상기 이동선택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봉을 향하여 진퇴하여 상기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를 형성하는 결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선택판에는 다수의 체결돌부와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핀이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 또는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한다.
상기 핀이 상기 안착홈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분리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핀이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다수의 체결돌부와 상기 다수의 안착홈은 상기 가변 운동부하의 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봉에는 상기 결합편과 체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은 상기 작동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작동간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승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승강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프레임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프레임과 함께 박스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봉과 상기 이동봉을 내장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봉은 일렬로 배치되거나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스프링을 병렬로 배치함으로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고, 부피와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순히 레버나 핸들을 이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용이하게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어 운동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체 대신에 압축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운동 중의 소음 발생이 적고, 위험성이 낮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운동부하 조절장치에서 기본 운동부하의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운동부하 조절장치에서 가변 운동부하의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운동부하 조절장치에서 조작부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운동부하 조절장치에서 가변 운동부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결합판안내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핀가이드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운동부하 조절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에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운동부하 조절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상태도이다.
1: 압축스프링 2: 고정봉
3: 이동봉 4: 승강프레임
5: 고정프레임 7: 체결홈
8: 레버 9, 9': 이동선택판
10: 핀 11: 결합편
12: 결합편안내판 13: 위치고정홈
20a, 20b, 20c, 20d, 20e,210a, 210b, 210c, 210d, 210e : 체결돌부
40a, 40b, 40c, 40d, 40e, 240a, 240b, 240c, 240d, 240e : 안착홈
53: 작동간 201: 핸들
205: 피니언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50)는 본체(51)와, 본체(51)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지지대(52)와,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본체(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간(53)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50)에는 중량체가 아닌 압축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이용해 운동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부하 조절장치(100)가 설치되고, 실제로 운동부하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10)가 설치된다. 운동부하조절장치(100)와 작동간(53) 사이에는 케이블(6)이 설치되어 작동간(53)에 작용한 외력을 운동부하조절장치(100)에 전달한다. 도 1에서 왼쪽은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밀어 올리면서 운동하는 것을 보여주고, 오른쪽은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끌어당기면서 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운동부하조절장치(100)는 본체(51)에 설치된 프레임(101)과 이 프레임(101)에 설치된 고정봉(2)과 이 고정봉(2)과 병렬로 설치된 이동봉(3)을 구비한다. 고정봉(2)은 프레임(101) 내에 여러 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이동봉(3)은 그 상측은 프레임(101) 내에 위치하고 그 하측은 프레임(101)의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고정봉(2)과 이동봉(3)에는 압축스프링(1)이 각각 탑재된다. 또한 조작부(110)는 운동부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으로 프레임(101)에 설치되며, 레버(8)와 이 레버(8)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고정하기 위한 레버가이드판(14)과, 이 레버가이판(14)을 프레임(101)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5)을 구비한다. 레버가이드판(14)에는 레버(8)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03)과 레버(8)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홈(13)이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15)에는 링크(16)가 설치되며, 이 링크(16)의 일단에는 레버(8)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긴 형태의 레버홈(104)이 마련되고, 이 링크(16)의 타단에는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이동봉(3)을 선택하기 위한 이동선택판(9)이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운동부하조절장치(100)의 프레임(101)은 승강프레임(4)과 고정프레임(5)을 구비하며, 이 승강프레임(4)의 상판에 케이블(6)이 연결된다. 또한 가장 외측의 고정봉(2)에는 승강프레임(4)과 고정프레임(5)을 관통하는 안내봉(102)이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며, 승강프레임(4)은 이 안내봉(102)을 따라 승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봉(2)과 이동봉(3)은 각각 다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며, 그 외주에는 각각 압축스프링(1)이 탑재된다. 또한 고정봉(2)과 이동봉(3)의 상단에는 압축스프링(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05)가 설치되고, 고정봉(2)의 하단과 이동봉(3)의 중간부위에는 승강프레임(4)의 하판이 승강하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1)은 고정봉(2)과 이동봉(3)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105)와 승강프레임(4)의 하판 사이에 탑재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4)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승강프레임(4)과 고정프레임(5)은 박스 형상을 이루게 되고, 고정봉(2)과 이동봉(3)의 압축스프링(1)이 탑재된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이 박스 형상의 프레임(101) 내에 내장된다. 한편, 고정봉(2)의 하단은 고정프레임(5)에 고정되므로 승강하지 못하고, 이동봉(3)의 하단은 승강프레임(4)과 고정프레임(5)의 하판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한다. 이 이동봉(3)의 연장부의 상단에는 전술한 이동선택판(9)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7)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기본부하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4의 (a)는 작동간(5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 즉 사용자가 운동하기 전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케이블(6)이 당겨지지 않으므로 승강프레임(4)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의 (b)는 작동간(53)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 즉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들어 올린 상태로, 승강프레임(4)이 상승하여 운동부하를 발생시킨다. 즉, 승강프레임(4)이 상승하면서 압축스프링(1)을 압축하여 소정의 운동부하를 발생시킨다.
도 5를 참조하여 가변부하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5의 (a)는 작동간(5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 즉 사용자가 운동하기 전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케이블(6)이 당겨지지 않으므로 승강프레임(4)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의 (b)는 이동선택판(9)이 이동봉(3)의 체결홈(7)에서 분리된 상태로, 작동간(53)에 외력이 가해져 승강프레임(4)이 상승하더라도 승강프레임(4)과 함께 이동봉(3)도 상승하므로 소정의 운동부하를 발생시키지 못한다. 도 5의 (c)는 이동선택판(9)이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체결된 상태로, 작동간(53)에 외력이 가해져 승강프레임(4)이 상승하면 이동봉(3)은 상승하지 못하고 승강프레임(4)이 상승하여 압축스프링(1)을 압축하면서 소정의 운동부하를 발생시킨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조작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의 실선은 레버(8)가 최하단의 위치고정홈(13)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1점쇄선은 레버(8)을 상측으로 위치시켜 레버(8)가 위에서 2번째 위치고정홈(13)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레버(8)가 최하단의 위치고정홈(13)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이동선택판(9)이 이동하지 않아 어느 하나의 이동봉(3)과도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기본 운동부하 이외에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레버(8)을 상측으로 위치시켜 레버(8)가 상측의 위치고정홈(13)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이동선택판(9)이 이동하여 이동봉(3)의 하나 이상과 체결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기본 운동부하 이외에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레버(8)와 레버가이드(17)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브래킷(15)에 설치되는 레버가이드(17)에는 장공의 레버가이드홈(17a)이 형성되고, 이 레버가이드홈(17a)에 레버(8)가 장착된 레버바(18)가 설치된다. 또한 레버바(18)에는 스프링홈(19a)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홈(19a)에 레버바(18)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19)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19)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프링 스토퍼(19b)가 삽입 설치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이동선택판(9)과 이동봉(3)의 체결구조를 설명한다. 링크(16)와 연결된 이동선택판(9)은 하우징(21)에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핀(10)과 결합편(11)을 개재하여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체결되거나 분리된다. 하우징(21)의 이동선택판(9)의 하방에는 핀가이드판(22)과 결합판안내판(12)이 차례로 설치된다. 이동선택판(9)의 좌우 이동에 따라 핀(10)이 이동봉(3)을 향하여 전후로 진퇴하고, 핀(10)이 결합된 결합편(11)이 핀(10)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여 결합편(11)이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체결되거나 분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안내판(12)에는 결합편(11)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2a)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12a)에는 결합편(11)과 대향하여 스프링(12b)이 설치되어, 결합편(11)을 탄성적으로 밀고 있다. 결합편(11)의 선단부에는 결합편(11)이 이동봉(3)을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체결홈(7)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도 10에서 결합편(11)과 스프링(12b) 사이에 형성된 구멍은 이동봉(3)이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또한 결합편(11)은 결합편안내판(12)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3개(11a, 11b, 11c)와 하측에 2개(11d, 11e)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핀(10)도 상측에 3개(10a, 10b, 10c)와 하측에 2개(10d, 10e)가 각각 결합편(11a, 11b, 11c, 11d, 11e)과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가이드판(22)에는 핀가이드홈(22a,22b,22c,22d,22e)이 형성되어 각각 핀(10a, 10b, 10c, 10d, 10e)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 11에서 핀가이드홈(22a,22b,22c,22d,22e)의 단부에, 즉 핀가이드판(22)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은 이동봉(3)이 관통하는 구멍이다.
다음에는 도 12를 참조하여, 이동선택판(9)의 구조 및 핀(10)과 결합편(11)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도 12 (a) 내지 (f)를 참조하여 이동선택판(9)의 좌우 이동에 따라 결합편(11)이 이동봉(3)을 향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선택판(9)의 내면에는 5개의 체결돌부(20a, 20b, 20c, 20d, 20e)와 5개의 안착홈(40a, 40b, 40c, 40d, 40e)이 형성된다. 체결돌부(20a, 20b, 20c, 20d, 20e)는 그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게 설정되며, 안착홈(40a, 40b, 40c, 40d, 40e)은 이와 반대로 그 길이가 순차적으로 길게 형성되다. 따라서 체결돌부(20a)와 안착홈(40a), 체결돌부(20b)와 안착홈(40b), 2체결돌부(20c)와 안착홈(40c), 체결돌부(20d)와 안착홈(40d), 체결돌부(20e)와 안착홈(40e)이 각각 짝을 이룬다. 또한 짝을 이루는 체결돌부와 안착홈에는 핀과 결합편의 결합체가 하나씩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레버(8)의 조작으로 이동선택판(9)이 이동할 경우 순차적으로 결합편과 이동봉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레버(8)를 1단 조작하면, 1개의 핀(10a)이 대응하는 체결돌부(20a)에 올라 타서 결합편(11a)과 상응하는 1개의 이동봉(3)과 체결된다. 레버(8)를 2단 조작하면, 2개의 핀(10a)(10b)이, 대응하는 체결돌부(20a)(20b)에 각각 올라탄 상태에서 결합편(11a)(11b)과 대응하는 2개의 이동봉(3)과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레버(8)를 3단 조작하면, 3개의 결합편(11a)(11b)(11c)과 3개의 이동봉(3)과 체결되고, 레버(8)를 4단 조작하면, 4개의 결합편(11a)(11b)(11c)(11d)이 4개의 이동봉(3)과 체결되고, 레버(8)를 5단 조작하면, 5개의 결합편(11a)(11b)(11c)(11d)(11e)이 5개의 이동봉(3)과 체결된다. 따라서 가변 운동부하의 총량이 조절된다. 이를 이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 (a)는 5개의 핀(10a,10b,10c,10d,10e))이 각각의 대응하는 안착홈(40a,40b,40c,40d,40e)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는 레버(9)가 최하단의 위치고정홈(13)에 위치하며, 이동선택판(9)은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써, 어떠한 결합편(11)도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들어 올리더라도 기본 운동부하 이외에 어떠한 추가적인 운동부하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8)를 1단계 이동하여 이동선택판(9)을 1단계 수평이동시키면 도12의 (b)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선택판(9)의 이동과 연동하여 핀(10a)가 체결돌부(20a) 위로 올라타게 되고, 따라서 결합편(11a)가 이동봉(3)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응하는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들어올리면, 기본 운동부하 이외에 1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한다. 다음에 레버(9)와 이동선택판(9)을 좀 더 이동시키면,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0a)가 체결돌부(20a)에 올라탄 상태에서 두 번째 핀(10b)이 대응하는 체결돌부(20b)에 올라타게 되고, 따라서 2개의 이동봉(3)이 결합편(11a.11b)과 결합하여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이 때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들어 올리면 2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8)의 점진적인 동작에 의해 이동선택판(9)을 더 많이 이동시키면,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더 많은 수의 핀(10)과 결합편(11)을 밀어 이동봉(3)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12 (d)는 3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 (e)는 4단계, 도 12 (e)는 5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그 횡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이동봉(3)과 고정봉(2)이 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레버(8)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선택판(9)도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핀과 결합편의 결합체도 다수 개가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레버를 움직여서 결합편과 이동봉이 체결되는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에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운동부하 조절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의 운동부하 조절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조작부(200)의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제1 실시예와 대체로 비슷하다. 즉 제3 실시예의 운동부하조절장치(100')는, 고정봉(2)과, 이 고정봉(2)과 병렬로 설치된 이동봉(3)을 구비한다. 고정봉(2)은 최외곽에 복수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이동봉(3)은 다수 개가 고정봉(2)의 내측에 병렬로 배치된다. 또한 이동봉(3)은 그 상측이 프레임 내에 위치하고 그 하측은 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고정봉(2)과 이동봉(3)에는 압축스프링(1)이 각각 탑재된다.
제3 실시예의 운동부하조절장치(200)의 프레임은 승강프레임(4)과 고정프레임(5)을 구비한다. 또한 가장 외측의 고정봉(2)에는 승강프레임(4)과 고정프레임(5)을 관통하는 안내봉(102)이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며, 승강프레임(4)은 이 안내봉(102)을 따라 승강한다. 또한 고정봉(2)과 이동봉(3)의 상단에는 압축스프링(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05)가 설치되고, 고정봉(2)의 하단과 이동봉(3)의 중간부위에는 승강프레임(4)의 하판이 승강하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1)은 고정봉(2)과 이동봉(3)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105)와 승강프레임(4)의 하판 사이에 탑재된다. 한편, 고정봉(2)의 하단은 고정프레임(5)에 고정되므로 승강하지 못하고, 이동봉(3)의 하단은 승강프레임(4)과 고정프레임(5)의 하판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한다. 이 이동봉(3)의 연장부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이동선택판(9')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7)이 형성된다.
한편, 조작부(200)는 운동부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으로, 로터리 타입의 핸들(201)과, 이 핸들(201)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02)을 구비한다. 핸들(201)과 회전축(202) 사이에는 회전운동전달기구로서 한 쌍의 베밸기어(203)(204)가 설치된다. 회전축(202)의 하단에는 피니언(205)이 설치된다. 또한 피니언(205)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선택판(9')가 설치되며, 이 이동선택판(9')의 이동에 따라 이동봉(3)을 향해 진퇴하는 핀(10)과 결합편(11)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또한 이동선택판(9')에는 피니언(205)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래크(9a)가 마련된다(도 17참조).
다음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선택판(9')의 내면에는 5개의 체결돌부(210a, 210b, 210c, 210d, 210e)와 5개의 안착홈(240a, 240b, 240c, 240d, 240e)가 형성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돌부(210a, 210b, 210c, 210d, 210e)는 그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도록 설정되며, 안착홈(240a, 240b, 240c, 240d, 240e)은 이와 반대로 그 길이가 순차적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되다. 따라서 체결돌부(210a)와 안착홈(240a), 체결돌부(210b)와 안착홈(240b), 2체결돌부(210c)와 안착홈(240c), 체결돌부(210d)와 안착홈(240d), 체결돌부(210e)와 안착홈(240e)이 각각 짝을 이룬다. 또한 짝을 이루는 체결돌부와 안착홈에는 핀과 결합편의 결합체가 하나씩 설치된다.
도 17 (a)는 5개의 핀(10a,10b,10c,10d,10e))이 각각의 대응하는 안착홈(240a,240b,240c,240d,240e)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는 핸들(201)이 제1단에 위치하며, 이동선택판(9')은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써, 어떠한 결합편(11)도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들어 올리더라도 기본 운동부하 이외에 어떠한 추가적인 운동부하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201)을 1단계 회동하여 이동선택판(9')을 1단계 수평이동시키면 도17의 (b)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선택판(9')의 이동과 연동하여 핀(10a)가 체결돌부(210a) 위로 올라 타게 되고, 따라서 결합편(11a)이 이동봉(3)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응하는 이동봉(3)의 체결홈(7)에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들어 올리면, 기본 운동부하 이외에 1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한다. 다음에 핸들(201)과 이동선택판(9')을 좀 더 이동시키면, 도 17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0a)가 체결돌부(210a)에 올라 탄 상태에서 두 번째 핀(10b)이 대응하는 체결돌부(210b)에 올라 타게 되고, 따라서 2개의 이동봉(3)이 결합편(11a.11b)과 결합하여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이 때 사용자가 작동간(53)을 들어 올리면 2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핸들(201)의 점진적인 회전에 의해 이동선택판(9')을 더 많이 이동시키면,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더 많은 수의 핀(10)과 결합편(11)을 밀어 이동봉(3)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17 (d)는 3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 (e)는 4단계, 도 17 (e)는 5단계의 추가적인 운동부하가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4)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작동시키는 작동간,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기본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이 탑재된 고정봉,
    상기 본체에 대하여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상태에서는 상기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추가적인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이 탑재된 다수의 이동봉,
    상기 이동봉이 상기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가 되도록 조작하고, 상기 체결상태에서는 체결되는 상기 이동봉의 수를 조절하여 추가적인 운동부하의 총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레버가이드판과, 상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선택판과 상기 이동선택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봉을 향하여 진퇴하여 상기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를 형성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홈은 다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이동봉의 수가 결정되어 상기 가변 운동부하가 총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선택판에는 상기 위치고정홈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체결돌부와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핀이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 또는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 상기 안착홈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분리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핀이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다수의 체결돌부와 상기 다수의 안착홈은 상기 가변 운동부하의 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이동선택판은 링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래크가 마련된 이동선택판과, 상기 이동선택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봉을 향하여 진퇴하여 상기 체결상태 또는 분리상태를 형성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선택판에는 다수의 체결돌부와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핀이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 또는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 상기 안착홈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분리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핀이 상기 체결돌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편과 상기 이동봉은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다수의 체결돌부와 상기 다수의 안착홈은 상기 가변 운동부하의 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10.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에는 상기 결합편과 체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작동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작동간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승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승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프레임과 함께 박스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봉과 상기 이동봉을 내장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을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PCT/KR2010/005073 2009-08-06 2010-08-02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WO201101665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335A KR100984258B1 (ko) 2009-08-06 2009-08-06 운동 기구용 가변 부하 조절 장치
KR10-2009-0072335 2009-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6654A2 true WO2011016654A2 (ko) 2011-02-10
WO2011016654A3 WO2011016654A3 (ko) 2011-06-30

Family

ID=4313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5073 WO2011016654A2 (ko) 2009-08-06 2010-08-02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4258B1 (ko)
WO (1) WO201101665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5215A1 (fr) * 2020-10-18 2022-04-22 Henri Miceli Système de réglage de la force de traction ou de poussée pour les appareils de musculation et de rééducation tel que banc de musculation avec chariot, potence verticale ou aut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390B1 (ko) 2011-04-15 2011-07-19 오리코스포텍(주) 노인친화형 펌프 운동기구
TWM462133U (zh) * 2013-06-07 2013-09-21 Jin-Cheng Chuang 健身器
KR102514579B1 (ko) * 2020-11-18 2023-03-29 에버엑스 주식회사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12B1 (ko) * 2002-01-28 2004-04-13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497315B1 (ko) * 2002-11-12 2005-06-28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650450B1 (ko) * 2004-09-15 2006-11-27 (주)개선스포츠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중량셋트 및 이에 사용되는무게블럭 제조방법
KR100855179B1 (ko) * 2008-05-28 2008-08-29 차충환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273A (en) 1987-07-09 1989-06-27 Reinhard Schmeiss Variable compressio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5431617A (en) 1993-08-20 1995-07-11 Rattray, Jr.; Samuel W. Resilient cord exercise device for attachment to a static structure
US7037246B2 (en) 2003-09-12 2006-05-02 Kellion Corporation Spring pack
US7887468B2 (en) 2007-07-20 2011-02-15 Exersmart, Llc Resistance system for fitness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12B1 (ko) * 2002-01-28 2004-04-13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497315B1 (ko) * 2002-11-12 2005-06-28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650450B1 (ko) * 2004-09-15 2006-11-27 (주)개선스포츠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중량셋트 및 이에 사용되는무게블럭 제조방법
KR100855179B1 (ko) * 2008-05-28 2008-08-29 차충환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5215A1 (fr) * 2020-10-18 2022-04-22 Henri Miceli Système de réglage de la force de traction ou de poussée pour les appareils de musculation et de rééducation tel que banc de musculation avec chariot, potence verticale ou aut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6654A3 (ko) 2011-06-30
KR100984258B1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6654A2 (ko)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RU2500448C2 (ru) Тренажер, имеющий гибкий элемент
US20140121071A1 (en) Movable Pulley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xercise Machines
US20040157711A1 (en) Multi-function exercising apparatus
US20150111708A1 (en) Squat exercise apparatus
US20090163332A1 (en) Weight stack selector
US20090163333A1 (en) Weight stack selector
US20090163334A1 (en) Incremental weight and selector
US8968167B1 (en) Resistance system for an exercise device
MX2014014824A (es) Sistema de resistencia hibrido.
EP1852152B1 (en) Multifunctional trainer for strength training
EP1017454A1 (en) Weight release mechanism for weight-lifting equipment
WO2011090304A2 (ko) 경기용 이동식 농구대
CN110917594B (zh) 一种啦啦操转体训练辅助装置及方法
CN109431082A (zh) 一种远程计算机教学装置
WO2013035905A1 (ko) 운동기구
WO2011034289A2 (ko) 상체운동 자전거
IT201600068777A1 (it) Telaio di supporto per una macchina ginnica, in particolare per un dispositivo di simulazione ciclistica.
WO2023277478A1 (ko) 트램폴린 운동기구
KR101764906B1 (ko) 근력 훈련장비용 부하저항 발생장치
CN113304434B (zh) 一种健身运动器材的档位切换系统
EP0643983A1 (en) Automatic weight adjusting system for exercising apparatus
CN215995453U (zh) 一种力量训练装置
CN220736091U (zh) 一种体育锻炼用引体向上训练架
DE102016100434B4 (de) Fitness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066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066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