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812B1 -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812B1
KR100425812B1 KR10-2002-0004744A KR20020004744A KR100425812B1 KR 100425812 B1 KR100425812 B1 KR 100425812B1 KR 20020004744 A KR20020004744 A KR 20020004744A KR 100425812 B1 KR100425812 B1 KR 10042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xing device
stack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447A (ko
Inventor
이병돈
Original Assignee
이병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돈 filed Critical 이병돈
Priority to KR10-2002-000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812B1/ko
Priority to PCT/KR2002/002184 priority patent/WO2003105968A1/en
Priority to JP2004512864A priority patent/JP4024245B2/ja
Priority to CNB028276132A priority patent/CN1306974C/zh
Priority to EP20020790970 priority patent/EP1469916A1/en
Priority to US10/502,168 priority patent/US7473211B2/en
Publication of KR2003006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4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by moving the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트레이닝(Weight Training) 기구의 사용자가 자신의 체력에 적합한 스택(Stack)의 중량을 조절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에 연결된 플레이트에 가이드를 설치하고,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고정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스택의 위치에 멈추어 스택에 물리도록 하는 보다 간편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기존 기구의 중량 장치인 스택의 구멍에 고정구를 삽입하는 경우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DEVICE FOR CONTROLING WEIGHT OF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웨이트트레이닝(Weight Training) 기구의 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사용자가 자신의 체력에 맞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을 조절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에 연결된 플레이트의 일측에 가이드를 설치하고,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고정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스택(Stack)의 위치에 멈추어 스택에 물리도록 하는 보다 간편한 장치로 사용자가 기존의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스택의 구멍에 고정구를 삽입하는 경우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란 손잡이가 달린 와이어에 다수개의 스택이 선택적인 수량으로 물릴 수 있도록 장착하여 사용자가 일정한 중량이 되게 스택을 물리도록 하여 손잡이를 당겨 일정량의 스택을 들어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발명된 기구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11)를 갖는 지지대(10)의 상부에 도르래(12)를 장착하고, 일측에 플레이트(14)가 연결된 와이어(13)가 지지대(10)의 상부에 장착된 도르래(12)에 감기도록 장착된다. 또한 플레이트(14)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고정봉(15)이 그 중앙의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지지대(10)의 중앙부에는 한쌍의 가이드(16)가 세워져 상기 플레이트(14)가 상기 가이드(1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이드(16)에는 상기 고정봉(15)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스택(17)이 상하로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택(17)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봉(15)의 구멍에 상응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는 플레이트(14)의 하부에 장착된 고정봉(15)이 수직으로 스택(17)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고정구(18)를 원하는 중량이 고정봉(15)에 결합되도록 어느 스택(17)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스택(17)과 고정봉(15)을 결합되게 하여 중량을 조절하고 있다.
상체, 하체, 기타 근육 부위별로 운동케 하는 20여종의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는공통적으로 상기와 같은 중량조절장치를 공통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조절장치는 장착할 경우 각 기구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복잡한 기계구조를 갖는다. 복잡한 기구일수록 아래와 같은 불편한 점 및 제약적 요소를 더욱 갖는다.
a)중량조절시, 각 기구의 기계구조에 따라 몸을 굽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몸을 움직여 "고정구"에 접근해서 고정구를 분리시키고, 중량을 선택하여 다시 삽입하여야하는데, 이 경우 고정구에 접근하는 자체가 불편하며, 또한, 고정구에 접근 후 선택되어질 스택의 "작은 구멍"을 찾아 고정구를 다시 삽입하기란 상기와 같은 자세에서는 매우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몸이 불편한 재활치료자들이 보조자의 도움 없이 중량을 조절한다는 것이 매우 힘들고 어려웠다.
b) 현재 로딩(loading)되어진 중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a)항목과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하는 불편한 점도 있다.
c) 잠금 장치가 없는 기존의 고정구는 운동 도중 스택으로부터 이탈될 수 도 있는데, 이 경우 손잡이가 무부하인 상태가 되어 기구에 따라 의자에서 뒤로 떨어지거나 무거운 손잡이가 머리 또는 얼굴을 가격하게 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d) 운동시, 한가지 고정된 무게로만 운동을 하여 운동시 지루함을 느껴 보다 나은 운동 효과의 기대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e) 중량조절장치 부분을 반드시 개방 구조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택 부분에 커버를 장착할 경우 디자인상의 많은 제약을 갖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스택의 중량 파악과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고, 둘째, 고정장치를 통해 스택과 고정봉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에 있고, 셋째, 부하량의 자동 조절 기능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운동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함에 있고, 넷째, 신체부자유자 또는 재활치료자 등과 같이 보조자의 도움을 얻어 운동을 하여야 하는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고, 다섯째, 보다 진보된 디자인을 가능케 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특징은 베이스에 장착된 지지대의 사이에 장착되는 한쌍의 가이드에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스택과 스택의 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고정봉으로 구성되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스택은 일측면이 우묵하게 패인 벽돌 형상으로 우묵하게 패인 부분의 측면에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플레이트는 일측단부에 스택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에 위치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스택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에 위치되는 가이드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멈춤홈이 형성되며, 스택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에 위치되는 가이드에는 중앙에 측면상으로 관통되도록 수용실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수용실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 단부에 손잡이를 갖는 고정핀과; 몸체의 측면상으로 형성되는 구멍에 볼과 볼의 일측에 장착되는 스프링 및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무드볼트로 구성되는 위치결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고정장치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조절장치는 전면에 슬롯 형상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멈춤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중앙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일측단부에 손잡이가 장착된 작동봉이 삽입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볼과 상기 볼을 멈춤구멍에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무드볼트로 구성되어 슬라이더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는 위치결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각각의 와이어에 의해 고정장치에 연결되어 고정장치를 상,하로 작동되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량 조절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축설되는 감속기와; 봉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외주면이 기어가 형성되고, 상단부가 감속기에 결합되는 한편,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와 고정장치를 관통하여 고정장치내의 내접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기어봉; 및 고정장치의 손잡이의 일측에 플런저가 결합되게 위치되게 장착되는 전자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고정장치를 상,하로 작동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부분 절개된 측면도,
도 2는 종래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부분 절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조절장치가 장착된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부분 절개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조절장치가 장착된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부분 절개된 평단면도,
도 6은 고정장치몸체가 정 위치에 멈추도록 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고정장치의 고정봉이 스택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조절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 결합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어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
도 10은 슬라이더가 정위치에 멈추도록 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제어판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조절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결합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중량 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고정장치 130 ... 고정핀
210 ... 플레이트 211 ... 고정봉
310 ... 스택 311 ... 삽입구멍
500 ... 제어장치 520 ... 슬라이더
610 ... 모터 611 ... 기어봉
612 ... 감속기 700 ... 솔레노이드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 및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조절장치를 갖는 일 실시예의 웨이트트레이닝 기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는 지지대(미도시)가 장착되는 베이스(410)의 상부에는 두 개의 가이드(4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가이드(420)에는 플레이트(210)가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플레이트(210)의 중앙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단계의 삽입구멍(212)을 갖는 고정봉(211)이 장착되고, 플레이트(210)의 하부 일측단부에는 한쌍의 가이드(230)가 아래의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410)의 상부에 장착된 가이드(420)에는 다수개의 스택(310)이 장착되는데, 상기 스택(310)은 일측면이 우묵하게 패인 벽돌 형상으로 양측단부에 가이드(4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베어링(312)이 장착되고, 중앙부에는 고정봉(211)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며, 또한 스택(310)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의 측면에는 이하 설명되는 고정장치(100)의 고정핀(13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311)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0)의 일측단부에 장착된 가이드(230)는 상기 스택(310)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23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구멍(311)과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멈춤홈(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30)에는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고정장치(10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단부에 가이드(23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가이드(230)의 멈춤홈(231)의 위치에 고정장치(100)가 멈출 수 있도록 가이드(230)가 관통되는 고정장치 몸체(110)의 위치에 측면상으로 형성된 구멍에 볼(150)이 장착되고, 상기 볼(150)을 가이드(23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볼(150)의 일측에 스프링(160)이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160)이 빠지지 않도록 무드볼트(17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100)는 가이드(230)에 형성된 멈춤홈(231)에 상기 볼(150)이 맞물리게 되어 정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몸체(110)의 중앙에는 측면상으로 관통되도록 수용실이 형성되어 스프링(140)이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핀(130)이 상기 스택(31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구멍(311)을 관통하여 고정봉(211)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구멍(212)에 끼워지도록 장착되며, 상기 고정핀(130)의 일측면에는 손잡이(12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230)에 장착되는 고정장치(100)는 고정핀(130)과 결합된 손잡이(120)를 당기면, 스프링(140)이 압축되면서 고정핀(130)이 상기 고정봉(211)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구멍(212)과 스택(31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구멍(311)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장치(100)를 상,하로 움직여 원하는 중량의 스택(310)이 고정봉(211)에 물리도록 위치를 변동시킨 후에 상기 손잡이(120)를 놓으면, 고정핀(130)이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택(310)의 삽입구멍(311)과 고정봉(211)의 삽입구멍(212)을 관통하여 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장치(100)를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고정장치 몸체(110)에 장착된 볼(150)이 상기 가이드(230)의 측면에 형성된 멈춤홈(231)과 맞물리면서 고정장치(100)가 멈출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는 사용자가 중량 조절 장치 현장에서 직접 수동으로 조작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용이하게 원하는 스택을 고정봉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원거리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정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하는 제어장치(500)를 장착하여 구성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500)는 다수개의 와이어(501)(503)를 상기 고정장치 몸체(510)와 손잡이(120)에 연결하여 원거리에서도 고정장치(10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가이드(420)에 장착된 플레이트(210)에 와이어(501)를 수직으로 작동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 몸체(110)에는 손잡이(120)를 감싸도록 케이스(180)가 결합되고, 상기 각 와이어(501)(503)가 각각 케이스(180)의 상부와 손잡이(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와이어(501)(503)는 제어장치(500)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장치(50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제어장치(500)는 몸체(510)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 형상의 가이드구멍(5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511)의 양측으로 상기 고정장치(100)가 장착되는 가이드(230)에 형성된 멈춤홈(231)과 상응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멈춤홈(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구멍(511)에는 플랜지 형상을 갖는 슬라이더(520)가 장착되는데, 상기 슬라이더(52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정장치(100)를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하는 와이어(501)가 연결된다. 그리고, 슬라이더(520)의 중앙부는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일측단부에 손잡이(540)가 장착된 작동봉(530)이 삽입되게 장착되고, 상기 작동봉(530)의 다른 일측단부에는 고정장치(100)의 손잡이(120)에 연결된 와이어(503)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장치(500)의 전면부와 맞닿는 슬라이더(520)의 단부에는 고정장치(100)에 위치결정을 위해 장착된 멈춤수단(볼과 스프링 등)과 마찬가지로구멍이 형성되어 볼(521)과 상기 볼(521)을 멈춤구멍(512)에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무드볼트(523)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장치(500)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는 상,하로 유동되게 되는데, 제어장치(500)의 손잡이(540)를 당기면, 와이어(503)가 당겨지면서, 고정장치(100)의 손잡이(120)를 당기게 된다. 그 후에 제어장치(500)의 손잡이(54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이면, 반대로 고정장치(100)는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501)에 의해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어장치(500)를 사용자가 운동하는 거리와 근접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도중 스택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움직이지 않고 바로 스택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500)와는 다른 또 하나의 제어수단으로 도 12와 도 13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700)를 이용한 제어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수단은 상기 플레이트(210)의 일측에 모터(610)를 장착한다. 상기 모터(610)의 축에는 감속기(612)가 설치되고, 이 감속기(612)에는 봉상으로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기어봉(611)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고정장치(100)의 몸체(110)를 관통하게 되는데, 몸체(110)내의 내접기어(612b)에 기어 결합되는 한편,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여 그 단부에는 스토퍼(613)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는 기어봉(611)의 외주면에는 베어링(612a)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치(100)의 몸체(110)를 관통하는 기어봉(611)의 외주면에는 내접기어(612b)가 기어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장치(100)의 손잡이(120)의 일측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700)를 장착하고, 상기 솔레노이드(700)의 플런저(710)에 상기 손잡이(120)를 결합하여 솔레노이드(700)가 작동될 때 플런저(710)가 후방으로 밀려 손잡이(120)가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모터(610)와 솔레노이드(700)는 전자회로가 장착된 제어패널(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패널(C)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어패널(C)을 통해 스택(310)의 중량을 선택하게 되면, 솔레노이드(700)가 작동되어 손잡이(120)를 당겨 고정핀(130)을 고정봉(211)과 스택(310)에서 분리되게 되고, 그 후 모터(610)가 회전하여 감속기(612)에 의해 기어봉(611)이 회전함과 동시에 고정장치(100)의 몸체(110)내의 내접기어(612a)에 의해 고정장치(100)의 몸체(110)가 기어봉(611)을 따라 승,하강되게 함과 동시에 고정장치(1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고정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MS)가 각 스택(310)에 구비되는 센서(S1,S2,S3,S4,S5,S6)를 감지하여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 후에 다시 솔레노이드(700)의 작동이 해제되어 고정핀(130)은 스택(310)의 구멍(311)을 관통하여 고정봉(211)의 구멍(212)에 끼워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택의 원격 중량 조정이 가능하며, 중량 파악과 조절이 용이하게 되고,
둘째, 고정장치를 통해 스택과 고정봉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되고,
셋째, 부하량의 자동 조절 기능으로 여러 가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내장할 수있어 운동자의 흥미를 유발케 하는 운동 동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되고,
넷째, 신체부자유자 또는 재활치료자 등과 같이 보조자의 도움을 얻어 운동을 하여야 하는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섯째, 보다 진보된 디자인을 가능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베이스에 장착된 지지대의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스택과 스택의 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고정봉으로 구성되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택(310)은 일측면이 우묵하게 패인 벽돌 형상으로 우묵하게 패인 부분의 측면에 삽입구멍(311)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10)는 일측단부에 상기 스택(310)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에 위치되는 가이드(23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30)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멈춤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30)에는 중앙에 측면상으로 관통되도록 수용실을 갖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수용실에 장착되는 스프링(140)과; 스프링(140)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단부에 손잡이(120)를 갖는 고정핀(130)과; 몸체(110)의 측면상으로 형성되는 구멍에 볼(150)과 볼(150)의 일측에 장착되는 스프링(160) 및 스프링(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무드 볼트(170)로 구성되는 위치결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고정장치(10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조절장치는 전면에 슬롯 형상의 가이드구멍(5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511)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멈춤홈(512)이 형성되는 몸체(510)와; 중앙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일측단부에 손잡이(540)가 장착된 작동봉(530)이 삽입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520)와; 볼(521)과 상기 볼(521)을 멈춤구멍(512)에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무드볼트(523)로 구성되어 슬라이더(520)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는 위치결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500)는 각각의 와이어(501)(503)에 의해 고정장치(100)에 연결되어 고정장치(100)를 상,하로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조절장치는 상기 플레이트(210)에 장착되는 모터(610)와; 모터(610)의 축에 축설되는 감속기(612)와; 봉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외주면이 기어가 형성되고, 상단부가 감속기(612)에 결합되는 한편,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210)와 고정장치(100)를 관통하여 고정장치(100)내의 내접기어(612b)에 기어 결합되는 기어봉(611); 및 고정장치(100)의 손잡이(120)의 일측에 플런저(710)가 결합되게 위치되게 장착되는 솔레노이드(7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고정장치(100)를 상,하로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 조절장치.
KR10-2002-0004744A 2002-01-28 2002-01-28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42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744A KR100425812B1 (ko) 2002-01-28 2002-01-28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PCT/KR2002/002184 WO2003105968A1 (en) 2002-01-28 2002-11-22 Device for controlling weight of a weight training machine and its method
JP2004512864A JP4024245B2 (ja) 2002-01-28 2002-11-22 ウエイトトレーニング器具の重量調節装置
CNB028276132A CN1306974C (zh) 2002-01-28 2002-11-22 负重训练器具的重量调节装置及其方法
EP20020790970 EP1469916A1 (en) 2002-01-28 2002-11-22 Device for controlling weight of a weight training machine and its method
US10/502,168 US7473211B2 (en) 2002-01-28 2002-11-22 Device for controlling weight of a weight training machine and it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744A KR100425812B1 (ko) 2002-01-28 2002-01-28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605U Division KR200275232Y1 (ko) 2002-01-28 2002-01-28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447A KR20030064447A (ko) 2003-08-02
KR100425812B1 true KR100425812B1 (ko) 2004-04-13

Family

ID=3221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744A KR100425812B1 (ko) 2002-01-28 2002-01-28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74B1 (ko) 2005-05-11 2007-02-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자동분동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분동 이송식압력교정기
WO2011016654A2 (ko) * 2009-08-06 2011-02-10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03B1 (ko) * 2013-04-25 2014-11-03 임원택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KR102226469B1 (ko) * 2019-07-02 2021-03-11 조규식 옥외용 매입형 중량조절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74B1 (ko) 2005-05-11 2007-02-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자동분동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분동 이송식압력교정기
WO2011016654A2 (ko) * 2009-08-06 2011-02-10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WO2011016654A3 (ko) * 2009-08-06 2011-06-30 주식회사케이엘에스 운동부하용 스프링을 장착한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447A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029B2 (en) C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9827458B2 (en) Recumbent step exerciser with self-centering mechanism
JP6706410B2 (ja) 角度調節及びスイング可能なスミスマシン
JP4024245B2 (ja) ウエイトトレーニング器具の重量調節装置
US6786847B1 (en) Automated complete exercise system
US4799671A (en) Weight lifting exercise apparatus
US20150352396A1 (en)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JP2005519722A5 (ko)
US7563207B1 (en) Stretching machine with real time flexibility feedback
US20070184952A1 (en) Training apparatus
KR100657716B1 (ko)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하중제거장치
CN112642106B (zh) 一种用于田径运动员腿部训练装置
US20080070759A1 (en) Dumbbell Supporting Device
US20080194389A1 (en) Physical Training and Activity Center for Children
KR100425812B1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200275232Y1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76682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 운동기구의 하중 조절장치
CN217773140U (zh) 健身设备的摆臂连接结构和具有其的健身设备
KR102057071B1 (ko) 장애인용 운동기구
KR100515686B1 (ko) 웨이트 트레이닝용 운동기구
KR100425813B1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425814B1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200275236Y1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JP3994093B2 (ja) 筋肉トレーニング方法
KR200334044Y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