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803B1 -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803B1
KR101441803B1 KR1020130046106A KR20130046106A KR101441803B1 KR 101441803 B1 KR101441803 B1 KR 101441803B1 KR 1020130046106 A KR1020130046106 A KR 1020130046106A KR 20130046106 A KR20130046106 A KR 20130046106A KR 101441803 B1 KR101441803 B1 KR 10144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ock
bevel gear
key block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택
Original Assignee
임원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택 filed Critical 임원택
Priority to KR102013004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Weight sel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the weights being lifted by rigid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간단한 조작만으로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이 쉽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개선된 웨이트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는 웨이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핸들이 변위 조절되도록 장착되는 프레임(101);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가로로 고정 부착되는 상부 고정판(108); 상기 프레임의 내부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 베이스판(162)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 상에 상하로 적층되는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110~150); 및 일단이 상기 상부 고정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10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웨이트 블럭은 중앙부에 제1키블럭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양측에 가이드봉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전방에는 전방 요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후방측에는 승강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하며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는 가이드 블럭과, 상기 가이드 블럭에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단에 휠이 장착되고, 중앙부에는 제2키블럭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에서 전방측으로 요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키블럭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의 후방에 구멍의 폭이 서로 다른 제1개방공과 제2개방공이 전후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 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웨이트 블럭 상에는 상단에 고정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하단이 상기 승강핀 삽입공과 상기 제1개방공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핀 결합체가 형성되며,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키홈(171)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키블럭(170) 이 상기 각 웨이트 블럭의 제1키블럭 통과공 및 제2키블럭 통과공에 삽입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A weight lifting machine with an improved weigt control structure}
본 발명은 근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간단한 조작만으로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이 쉽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개선된 웨이트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 운동 기구란 앉아서 또는 서서 다단계의 무계추와 같은 웨이트 블럭을 승강시킴으로써 가슴, 허리, 등 부위 등의 근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헬스 운동 기구의 일종이다.
도11은 종래의 일반적인 웨이트 운동 기구의 일종으로서 등록특허 제10-0549407호에 개시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웨이트 운동기구에서는 동일한 중량의 웨이드 블럭(17)을 상하 다단으로 적층한 후 조절핀(130)의 삽입 위치를 변경시켜가며 사용자에 알맞은 무게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운동중 들어올리는 무게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자에서 일어나서 몸을 뒤로 돌려 새로운 위치의 웨이트 블럭에 조절핀을 다시 꽂아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그대로 조절 노브만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목표 중량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웨이트 운동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0549407호 "웨이트 운동기구 핀장치 및 웨이트 운동기구" 등록실용신안 제20-0248827호 "웨이트 운동기구" 등록특허 제10-1224547호 "조절핀과 웨이트 블럭의 수평조절기능이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웨이트 운동기구의 목표 중량을 올리거나 내리고자 할 때 자세를 변경하여 일일이 조절핀을 뽑아서 새로운 위치에 다시 꽂을 필요가 없이 앉은 자세에서 그대로 조절노브만을 조작함으로써 편리하게 웨이트 블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는 웨이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핸들이 변위 조절되도록 장착되는 프레임(101);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가로로 고정 부착되는 상부 고정판(108); 상기 프레임의 내부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 베이스판(162)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 상에 상하로 적층되는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110~150); 및 일단이 상기 상부 고정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10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웨이트 블럭은 중앙부에 제1키블럭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양측에 가이드봉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전방에는 전방 요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후방측에는 승강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하며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는 가이드 블럭과, 상기 가이드 블럭에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단에 휠이 장착되고, 중앙부에는 제2키블럭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에서 전방측으로 요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키블럭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의 후방에 구멍의 폭이 서로 다른 제1개방공과 제2개방공이 전후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 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웨이트 블럭 상에는 상단에 고정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하단이 상기 승강핀 삽입공과 상기 제1개방공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핀 결합체가 형성되며,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키홈(171)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키블럭(170) 이 상기 각 웨이트 블럭의 제1키블럭 통과공 및 제2키블럭 통과공에 삽입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다단의 웨이트 블록들의 전방 요입홈 내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푸쉬 돌기(183)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배치되는 제1베벨기어축(18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축의 상단에는 제1베벨기어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베벨기어에는 제2베엘기어축(184)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베벨기어(185)가 치합하고, 상기 제2베벨기어축의 타단에는 조절노브(190)가 고정 결합하고, 상기 조절노브와 상기 제2베벨기어 사이의 제2베벨기어축 상에는 다수의 볼 플런저(188)가 방사형으로 내장되는 블플런저 블럭(187)의 내경 측에 장착되는 회전체(189)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는 외주면이 연속하는 유선형 볼록부(189a)와 유선형 오목부(189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운동하다가 중량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앉은 자세에서 그대로 조절노브만을 돌려 원하는 단계의 중량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특히 조절핀이 구멍에 끼이거나 완전히 삽입되지 않거나 하는 종래 제품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배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블럭의 평면도.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블럭의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블럭의 분해 조립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핀결합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키블럭과 웨이트 블럭의 위치 결합 관계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
도8은 웨이트 블럭과 푸쉬 돌기 결합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9는 웨이트 블럭 조절용 회전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10은 볼플런저 블럭과 이에 결합하는 회전체의 평면도.
도11은 종래의 웨이트 운동 기구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배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따로 언급하지 않는 한 도1을 기준으로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을 정면 또는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고 정의하며, 도1의 웨이트 운동기구(100)를 중심으로 좌우측을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100, 이하 간략히 웨이트 운동기구라고 약칭한다)는 크게 프레임(101), 상기 프레임(101)에 제1샤프트(10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102), 상기 제1샤프트(103) 상에 축설되는 구동기어(103a), 상기 구동기어(103a)에 치합하는 피동기어(104a)가 축설되는 제2샤프트(104), 일단(상단)이 상기 제2 샤프트(104)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하단)이 승강 베이스판(161)에 고정되는 체인(105), 상기 체인(105)에 의하여 당겨져 승강하는 다단의 웨이트 블록들(110~150) 및 상기 웨이드 블록들(110~15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하여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축(181)과 상기 제1베벨기어축(181)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베벨기어(182)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07은 의자를 나타낸다.
상기 프레임(101)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 내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판(108)이 좌우를 가로지르도록 고정 결합한다.
상기 프레임(101)의 하단에는 하부 고정 베이스판(162)이 고정 결합하고, 그 위에 다단의 웨이트 블럭(110~150)들이 얹혀진다.
본 실시예에서 웨이트 블럭(110~150)은 총 5단으로 구성되는데 제1단 내지 제5단 웨이트 블럭(110~150)들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적층하여 배치된다.
최상단의 제1웨이트 블럭(110)의 상단에는 승강 베이스판(161)이 고정 결합하고, 상기 체인(105)의 하단이 상기 상부 고정판(108)을 통과하여 상기 승강 베이스판(161)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상부 고정판(108)과 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16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109)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봉(109)의 일단은 상부 고정판(108)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다수의 웨이트 블럭(110~150)들을 순서대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162)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봉(109)의 외주면에는 탄성 스프링(109a)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각 웨이트 블럭(110~150)들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웨이트 블럭(11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2 내지 제5 웨이드 블럭들의 구성요소 중 제1웨이트 블럭(110)의 해당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은 모두 제1웨이트 블럭(110)과 동일한 원칙하에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제1웨이트 블럭(110)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11), 상기 상판(111)의 하방에 결합하는 가이드 블럭(112) 및 상기 가이드 블럭(112)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블럭(113) 및 핀결합체(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11)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또는 입체 블럭 형상의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면의 전단 측에 전방 요입홈(111b)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단측 판면에 원형의 승강핀 삽입공(111c)이 형성되고, 상기 전단 요입홈(111b)과 승강핀 삽입공(111c)의 사이 중앙부에 사각 형상의 제1키블럭 통과공(111d)이 형성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11a는 가이드봉 통과공을 나타내고, 111e는 체결공을 나타낸다.
상기 상판(111)의 저면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블럭(112)이 고정 결합하는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112)의 내부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12a)이 내장된다.
상기 가이드 블럭(112)에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블럭(113)이 상기 스프링(112a)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113)의 중앙부 근처의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111d)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사각 형상의 제2키블럭 통과공(113e)이 형성되고, 전단에는 휠(11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113e)의 전방측으로는 휠(114)이 장착되는 전단부를 향하여 더욱 오목하게 함몰되는 요입홈(113b)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요입홈(113b)의 양 측에 키블럭 결합돌기(113a)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113e)의 후방 측 판면에는 상기 상판(111)의 승강핀 삽입공(111c)에 대응하도록 제1 및 제2개방공(113c,113d)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공(113c)은 그 폭 또는 직경이 상기 승강핀 삽입공(111c)과 비슷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공(113d)은 상기 제1개방공(113c)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 둘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룬다.
즉, 상기 제1개방공(113c)의 폭이나 직경은 최소한 후술할 승강핀(125d)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이고, 상기 제2개방공(113d)의 폭이나 직경은 상기 승강핀(125d)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승강핀(125d)은 상기 제2개방공(113d)으로는 관통하여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 웨이트 블럭(110)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씩의 핀 결합체(125)가 형성된다. 도6에는 제2 내지 제4웨이트 블럭(120~14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핀 결합체(125)는 상단에 고정핀(125c)이 형성되는 하우징(125a), 상기 하우징(125a)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125b), 일단이 상기 하우징(125a)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125b)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25a)의 외부로 노출되는 승강핀(125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핀(125d)은 상판(121)의 승강핀 삽입공(121c)을 삽입하여 통과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고정핀(125c)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고정핀(125c)은 직경이 전술한 제2개방공(123d) 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6에서 제2웨이트 블럭(120) 상의 승강핀(125d)은 슬라이드 블럭(123)의 제1개방공(123c)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1웨이트 블럭(110)과 제2웨이트 블럭(120)이 동시에 중량 선택되어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제3 내지 제5 웨이트 블럭(130~150)들은 제자리에 위치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제3웨이트 블럭(130) 상에 형성되는 핀결합체(135)의 승강핀(135d)은 하방의 제3웨이트 블럭(140) 상에 형성되는 고정핀(145c)에 의하여 눌려져 슬라이드 블럭(133)의 제1개방공(133c)에서 이탈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즉 도6에서 제2웨이트 블럭(120)의 슬라이드 블럭(123)은 스프링(112a)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퇴한 위치에서 승강핀(125d)에 의하여 제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제3 웨이트 블럭(130)의 슬라이드 블럭(133)은 승강핀(135d)이 슬라이드 블럭(133)의 제1개방공(133c)에서 이탈함으로써 전진한 상태를 이룬다.
이때 나머지 웨이트 블럭들의 슬라이드 블럭들 역시 모두 전진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오로지 제2웨이트 블럭(120)의 슬라이드 블럭(123)만이 선택되어 후퇴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7은 승강 베이스판(161), 제1 내지 제5 웨이트 블럭(110~150), 하부 고정 베이스판(162)이 상하 순서대로 적층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서 상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키홈(171)이 형성되는 키블럭(170)이 각 블럭들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하고 있다.
즉, 상기 키블럭(170)의 상단이 상기 승강 베이스판(161)에 고정되고, 하단이 개방된 자유단을 이룬다. 상기 키홈(171)의 갯수는 웨이트 블럭의 단수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키블럭(170)의 상하로 총 5개의 키홈(171)이 형성되며, 각 키홈(171)은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 내지 제5웨이트 블럭(110~150)에 각각 대응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웨이트 블럭(110~150)들의 전방 요입홈(111b)에는 제1베벨기어축(181)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축(181)의 외주면에는 상하로 이격하여 다수의 푸쉬돌기(183)들이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벨기어축(181)이 회전하면 맨 위의 푸쉬돌기(183)가 회전하면서 제일 먼저 제1웨이트 블럭(110)의 슬라이드 블럭(113)의 전단에 장착되는 휠(114)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블럭(113)을 뒤로 후퇴시키게 된다.
이때,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키블럭 통과공(111d,113e)에 위치하는 키블럭(170)의 키홈(171)에 후퇴하는 키블럭 결합돌기(113a)가 삽입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승강핀(115d)은 슬라이드 블럭(113)의 제1개방공(113c)에 삽입되므로 제1웨이트 블럭(110)을 들어올리는 경우 삽입된 승강핀(115d)에 의하여 슬라이드 블럭(113)이 더 이상 앞으로 전진하여 원위치로 가지 못하고 구속된다. 따라서 키홈(171)에 키블럭 결합돌기(113a)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웨이트 블럭(110)만이 선택되어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나머지 제2 내지 제5웨이트 블럭(120~150)들은 모두 비선택되어 제 위치에 그대로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1베벨기어축(181)을 더 회전시키면 순서대로 제2 내지 제5웨이트 블럭(120~150)들이 차례로 선택되어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9는 웨이트 블럭 조절용 회전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10은 볼플런저 블럭과 이에 결합하는 회전체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푸쉬 돌기(183)들이 형성되는 제1베벨기어축(181)의 상단에는 제1베벨기어(18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182)에는 제2베벨기어축(184)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베벨기어(185)가 치합한다.
상기 제2베벨기어축(184)의 타단에는 조절노브 또는 회전 손잡이(190)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86은 베어링을 나타낸다.
상기 제2베벨기어(185)와 조절노브(190) 사이의 제2베벨기어축(184) 상에는 다수의 유선형 볼록부(189a)와 유선형 오목부(189b)가 번갈아 연속하여 형성되어 원주단을 이루는 회전체(189)가 축결합하고, 상기 회전체(189)는 블플런저 블럭(187)의 내경측에 위치한다.
상기 볼플런저 블럭(187)에는 다수의 볼플런저(188)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각 볼플런저(188)는 상단의 볼(188a), 상기 볼(188a)을 떠 받치는 로드(188b) 및 상기 로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하방의 스프링(188c)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에 의하여 볼(188a)을 항상 회전체(189) 측으로 밀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190)를 돌리면 볼 블런저(188) 및 유선형 볼록부(189a)와 유선형 오목부(189b)에 의하여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웨이트 블록의 중량 단수가 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체(189)의 유선형 볼록부(189a)가 볼 플런저(188)의 볼(188a)을 밀면서 회전하다가 이어서 오게되는 유선형 오목부(189b)를 만나면서 딸깍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노브(190)에 선택하고자 하는 웨이트 블럭의 단수를 표기하여 놓으면 사용자가 조절노브(190)를 돌리면서 현재 몇 단계의 웨이트 블럭을 선택하고 있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목표 중량의 웨이트 블럭을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헬스장, 실내외 설치용 웨이트 근력 운동 기구 등에 적용하면 좋을 것이다.
100: 웨이트 운동기구 101: 프레임
102: 핸들 103: 제1샤프트
103a: 구동기어 104: 제2샤프트
104a: 피동기어 105: 체인
107: 의자 108: 상부 고정판
109: 가이드봉 109a: 스프링
110: 제1웨이트 블럭 111,121: 상판
111a: 가이드봉 통과공 111b: 전방 요입홈
111c: 승강핀 삽입공 111d: 제1키블럭 통과공
111e: 체결공 112,122: 가이드 블럭
112a: 스프링 113,123: 슬라이드 블럭
113a: 키블럭 결합돌기 113b: 요입홈
113c: 제1개방공 113d: 제2개방공
113e: 제2키블럭 통과공 114:휠
120: 제2웨이트 블럭 121: 상판
125: 핀 결합체 125a: 하우징
125b: 스프링 125c: 고정핀
125d: 승강핀 130: 제3웨이트 블럭
140: 제4웨이트 블럭 150: 제5웨이트 블럭
161: 승강 베이스판 162: 하부 고정 베이스판
170: 키블럭 171: 키홈
181: 제1베벨기어축 182: 제1베벨기어
183: 푸쉬돌기 184: 제2베벨기어축
185: 제2베벨기어 186: 베어링
187: 볼플런저 블럭 188: 볼플런저
189: 회전체 189a: 유선형 볼록부
189b: 유선형 오목부 190: 조절노브

Claims (4)

  1.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는 웨이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핸들이 변위 조절되도록 장착되는 프레임(101);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가로로 고정 부착되는 상부 고정판(108);
    상기 프레임의 내부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 베이스판(162)
    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 상에 상하로 적층되는 다단의 웨이트 블럭(110, 120, 130, 140, 150)들; 및
    일단이 상기 상부 고정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단의 웨이트 블럭들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10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웨이트 블럭은 중앙부에 제1키블럭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양측에 가이드봉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전방에는 전방 요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키블럭 통과공의 후방측에는 승강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하며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는 가이드 블럭과, 상기 가이드 블럭에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단에 휠이 장착되고, 중앙부에는 제2키블럭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에서 전방측으로 요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키블럭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키블럭 통과공의 후방에 구멍의 폭이 서로 다른 제1개방공과 제2개방공이 전후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 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웨이트 블럭 상에는 상단에 고정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하단이 상기 승강핀 삽입공과 상기 제1개방공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핀 결합체가 형성되며,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키홈(171)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키블럭(170) 이 상기 각 웨이트 블럭의 제1키블럭 통과공 및 제2키블럭 통과공에 삽입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웨이트 블록들의 전방 요입홈 내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푸쉬 돌기(183)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배치되는 제1베벨기어축(18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축의 상단에는 제1베벨기어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벨기어에는 제2베엘기어축(184)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베벨기어(185)가 치합하고, 상기 제2베벨기어축의 타단에는 조절노브(190)가 고정 결합하고, 상기 조절노브와 상기 제2베벨기어 사이의 제2베벨기어축 상에는 다수의 볼 플런저(188)가 방사형으로 내장되는 블플런저 블럭(187)의 내경 측에 장착되는 회전체(18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외주면이 연속하는 유선형 볼록부(189a)와 유선형 오목부(189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KR1020130046106A 2013-04-25 2013-04-25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KR10144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106A KR101441803B1 (ko) 2013-04-25 2013-04-25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106A KR101441803B1 (ko) 2013-04-25 2013-04-25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803B1 true KR101441803B1 (ko) 2014-11-03

Family

ID=5228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106A KR101441803B1 (ko) 2013-04-25 2013-04-25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8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47A (ko) * 2002-01-28 2003-08-02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425813B1 (ko) * 2002-01-28 2004-04-13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EP1614450A1 (en) * 2004-07-07 2006-01-11 Overseas Trade Limited Set of weights and blocking device
KR100855179B1 (ko) * 2008-05-28 2008-08-29 차충환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47A (ko) * 2002-01-28 2003-08-02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100425813B1 (ko) * 2002-01-28 2004-04-13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EP1614450A1 (en) * 2004-07-07 2006-01-11 Overseas Trade Limited Set of weights and blocking device
KR100855179B1 (ko) * 2008-05-28 2008-08-29 차충환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220B2 (en) Push actuated positional adjustment of strength machines
US6196952B1 (en) Adjustable dumbbell
US7090625B2 (en) Dumbbell adjustable in weight
US20020025888A1 (en) Programmable exercise machine
US7708672B2 (en) Incremental weight and selector
US20050164853A1 (en) Dynamically controlled resistance exercise machine
US20150238801A1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US20080254952A1 (en) Exercise machine having rotatable weight selection index
US20090163332A1 (en) Weight stack selector
US20040157711A1 (en) Multi-function exercising apparatus
US7850580B2 (en)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AU2023200206B2 (en) Adjustable Weight Dumbbells
KR20110004642U (ko) 복합 운동기구
KR101441803B1 (ko) 웨이트 블럭의 중량 조절 기능을 개선한 웨이트 운동기구
US20220362620A1 (en) Rally fitness equipment
CN110478857A (zh) 一种带有旋转和拉伸机构的体育运动综合型训练装置
DE202012000433U1 (de) Kombiniertes Twistscheibe-Fitnessgerät
US10398920B2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244716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US10960253B2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573410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부하 조절 장치
CA3049012C (en) Exercise weight selection device and method
WO2016018253A1 (en) Exercise machine
CN206631074U (zh) 可调整的运动健身器具
CN107998590B (zh) 可调整配重的壶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