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821B1 - 프레스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프레스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821B1
KR100728821B1 KR1020050090499A KR20050090499A KR100728821B1 KR 100728821 B1 KR100728821 B1 KR 100728821B1 KR 1020050090499 A KR1020050090499 A KR 1020050090499A KR 20050090499 A KR20050090499 A KR 20050090499A KR 100728821 B1 KR100728821 B1 KR 10072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oad
bushing
benc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746A (ko
Inventor
김홍곤
Original Assignee
(주)소프트인하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프트인하드 filed Critical (주)소프트인하드
Priority to KR102005009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8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속근육까지 운동시킬 수 있는 프레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대는 벤치(10)와; 벤치(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하중바아(21)를 가지는 것으로서, 하중바아(21)를 강제 상승시킬 때 하중을 발생시키는 하중발생부(20)와; 하중바아(21)의 상단에서 벤치(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바아(30)와; 제1바아(31)의 양단에서 벤치(10)의 길이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2바아(40)와; 제1바아(30)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분기되는 제3바아(50)와; 제2바아(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벤치(10)의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부싱(61) 및 제1부싱(6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관통공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부싱(62)으로 구성되는 이동부(60)와; 제2부싱(62)의 제2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바아(70); 및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3바아(50)가 관통되는 제3부싱(81)이 형성되는 지지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스 운동기구{a health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이동부와, 제1,2,3바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벤치 20 ... 하중발생부
21 ... 하중바아 22 ... 도르레
30 ... 제1바아 40 ... 제2바아
50 ... 제3바아 60 ... 이동부
61 ... 제1부싱 62 ... 제2부싱
70 ... 손잡이바아 80 ... 지지대
81 ... 제3부싱 120 ... 하중발생장치
121 ... 와이어
본 발명은 프레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평소에 잘 사용하 지 않는 속근육까지 운동시킬 수 있는 프레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를 이용하는 운동기구중엔, 원반모양의 웨이트원반을 봉에 끼워서 활용하는 프리웨이트 운동기구와, 벽돌모양의 웨이트블럭을 가이드에 의지시켜 이용하는 가이드웨이트 운동기구가 있다.
가이드웨이트 운동기구는 웨이트블럭이 가이드에 의지되는 구조이므로, 운동시 프리웨이트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것에 비하여 안전하였다.
그러나 가이드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운동방식은, 정해진 동작만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근육만 계속 사용되고 다른 속근육은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프리웨이트 운동기구는 웨이트원반이 가이드에 의지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운동시 웨이트원반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봉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 이때 균형을 잡는 과정에서 여러 근육을 사용하게끔 되어, 가이드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운동방식에 비하여 큰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프리웨이트 운동기구의 경우 웨이트원반이 가이드에 의지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운동하는 도중에 힘이 빠질 경우 운동기구가 기울어지거나 사용자를 가압하는등 가이드웨이트 운동기구에 비하여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근육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근육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보 다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프레스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기대는 벤치(10); 상기 벤치(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하중바아(21)를 가지는 것으로서, 하중바아(21)를 강제 상승시킬 때 하중을 발생시키는 하중발생부(20); 상기 하중바아(21)의 상단에서 상기 벤치(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바아(30); 상기 제1바아(31)의 양단에서 상기 벤치(10)의 길이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2바아(40); 상기 제1바아(30)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분기되는 제3바아(50); 상기 제2바아(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벤치(10)의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부싱(61) 및 상기 제1부싱(6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관통공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부싱(62)으로 구성되는 이동부(60); 상기 제2부싱(62)의 제2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바아(70); 및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바아(50)가 관통되는 제3부싱(81)이 형성되는 지지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바아(40)는 그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이동부(60)의 제1부싱(61)의 제1관통공 역시 다각형을 이룬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이동부와, 제1,2,3바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기대는 벤치(10)와; 벤치(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하중바아(21)를 가지는 것으로서, 하중바아(21)를 강제 상승시킬 때 하중을 발생시키는 하중발생부(20)와; 하중바아(21)의 상단에서 벤치(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바아(30)와; 제1바아(31)의 양단에서 벤치(10)의 길이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2바아(40)와; 제1바아(30)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분기되는 제3바아(50)와; 제2바아(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벤치의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부싱(61) 및 제1부싱(6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관통공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부싱(62)으로 구성되는 이동부(60)와; 제2부싱(62)의 제2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바아(70)와;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3바아(50)가 관통되는 제3부싱(81)이 형성되는 지지대(80);를 포함한다.
벤치(10)는 운동을 위한 목적에 맞게 다양한 것으로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벤치프레스, 인클라인프레스에 맞게끔 선택할 수 있다.
하중발생부(20)는 하중바아(21)를 상승시킬 때 하중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출원 2003-11245호의 "웨이트 운동기구용 하중발생장치"에 기재된 하중발생장치(120)와 와이어(121)로 연결되어 하중을 발생한다. 즉, 하중발생장치(120)에는 그 내부로 몰입되어 있다가 당길때 하중을 발생시키는 와이어(121)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와이어(121)는 도르레(22)에 의하여 하중바아(21)와 연결된 다. 따라서 하중바아(21)를 상승시키게 되면 와이어(121)가 당겨지면서 하중바아(21)에 하중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중발생장치(120)는 상기한 출원번호에 의하여 공개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바아(30)와 제2바아(40)와 제3바아(50)는 상호 직각되게 연결되는데, 제2바아(40)에는 후술할 이동부(6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바아(50)는 후술할 지지대(80)의 제3부싱(81)에 지지된다.
제2바아(40)는 그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을 이룬다. 제2바아(40)의 단면이 사각형을 이룸으로써 이동부(60)의 제1부싱(61)의 제1관통공 역시 사각형을 이룬다. 제2바아(40)의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제1관통공이 다각형을 이룸으로써, 이동부(60)는 제2바아(4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고 그 제2바아(40)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이다.
손잡이바아(70)는 이동부(60)의 제2부싱(6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2부싱(62)의 내부에는 손잡이바아(7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80)는 벤치(10) 또는 하중발생부(20)에 고정되고, 제3바아(50)는 지지대(80)의 양단에 고정된 제3부싱(81)에 지지된다.
다음 상기한 구조의 프레스 운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벤치에 누워서 손잡이바아(70)를 잡고 들어올리게 되면, 제1,2,3바아(30)(40)(50)가 상승하면서 하중바아(21)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하중발생장치(120)에 연결된 와이어(121)가 당겨지면서 손잡이바아(70)에 하중이 발생되도록 하 여 운동이 된다. 이때, 손잡이바아(70)는 이동부(60)의 제2부싱(62)에서 회전가능하면서 제1부싱(61)에 의하여 제2바아(40)를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손잡이바아(70)를 들어올리는 동안에도 균형을 잡아야 한다.
예를 들면, 운동기구중 짐볼의 그 모양이나 크기가 그리 관심을 끌지 못할 정도로 작다. 그러나 직경 80cm 정도의 자그마한 짐볼은, 사용자가 짐볼의 상부에 앉아서 균형을 잡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열량이 소모된다. 이는 균형을 잡는 것만으로도 많은 운동이 됨을 의미한다.
본원의 손잡이바아(70) 역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손잡이바아(7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이동되지 않도록 균형을 맞추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속근육이라 불리우는 다양한 근육들까지 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근육을 운동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열량이 소되되므로, 큰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손잡이바아를 단순히 들어올리는 것 이외에도 손잡이바아가 회전 및 이동되지 않도록 균형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 속근육등 다양한 근육을 사용하게끔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근육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많은 열량을 소모시켜 큰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운동도중에 사용자가 힘이 빠지더라도, 사용자가 위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운동을 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용자가 기대는 벤치(10);
    상기 벤치(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하중바아(21)를 가지는 것으로서, 하중바아(21)를 강제 상승시킬 때 하중을 발생시키는 하중발생부(20);
    상기 하중바아(21)의 상단에서 상기 벤치(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바아(30);
    상기 제1바아(31)의 양단에서 상기 벤치(10)의 길이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2바아(40);
    상기 제1바아(30)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분기되는 제3바아(50);
    상기 제2바아(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벤치(10)의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부싱(61) 및 상기 제1부싱(6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관통공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부싱(62)으로 구성되는 이동부(60);
    상기 제2부싱(62)의 제2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바아(70); 및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바아(50)가 관통되는 제3부싱(81)이 형성되는 지지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아(40)는 그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이동부(60)의 제1부싱(61)의 제1관통공 역시 다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운동기구.
KR1020050090499A 2005-09-28 2005-09-28 프레스 운동기구 KR10072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499A KR100728821B1 (ko) 2005-09-28 2005-09-28 프레스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499A KR100728821B1 (ko) 2005-09-28 2005-09-28 프레스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46A KR20070035746A (ko) 2007-04-02
KR100728821B1 true KR100728821B1 (ko) 2007-06-14

Family

ID=3815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499A KR100728821B1 (ko) 2005-09-28 2005-09-28 프레스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62B1 (ko) 2011-04-27 2013-03-25 이종춘 운동기구
KR101259744B1 (ko) 2011-12-07 2013-04-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하중 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62B1 (ko) 2011-04-27 2013-03-25 이종춘 운동기구
KR101259744B1 (ko) 2011-12-07 2013-04-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하중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46A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2314A (en) Device for performing weight-lifting exercises
KR101394117B1 (ko) 케이블 운동기구
JP4413192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6920772B2 (ja) ウエイト運動器具
RU2403936C2 (ru) Тренажер для силовых упражнений и реабилитации
JPWO2005097266A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5378209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rms and legs vertically
KR101904909B1 (ko) 무게추를 갖는 헬스기구
KR100728821B1 (ko) 프레스 운동기구
JP5116064B2 (ja) ベンチプレス・フルスクワット・懸垂装置
US20050124470A1 (en) Exercise apparatus
KR100984258B1 (ko) 운동 기구용 가변 부하 조절 장치
US6641509B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KR200421999Y1 (ko)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ITMI20112184A1 (it) Macchina per esercizi ginnici, particolarmente per l&#39;allenamento dei muscoli addominali.
KR200400524Y1 (ko)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KR101017241B1 (ko) 스텝 앤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494068Y1 (ko) 케이블 운동기구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KR101549450B1 (ko) 체중을 이용한 상체 운동기구
CN218046296U (zh) 一种个人使用的综合训练器
KR102374185B1 (ko) 상완삼두근 단련용 운동기구
DE102004027524A1 (de) Multifunktionales Trainingsgerät zur Stärkung der Bein- und Rückenmuskulatur
EP4356983A1 (en) Fitness exercise apparatus
CN209662544U (zh) 一种下肢力量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