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122061 에서는,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를 구속하는 하나의 니볼스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결과,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에 상기 니볼스터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니볼스터와 오목볼록한 차량 실내 벽의 표면 형상을 맞추기가 어렵고, 차량 실내 벽에서 니볼스터 장착부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한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의 다리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탑승자 다리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탑승자 다리 보호 장치는, 전방 좌석의 앞에 배치되며,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차량 실내 벽, 상기 차량 실내 벽에 장착되어 차체 충돌시에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좌측 다리부를 구속하는 좌측 다리 보호 수단, 상기 차량 실내 벽에 장착되어 차체 충돌시에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우측 다리부를 구속하는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을 구비하며, 이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좌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 좌측 다리 보호 수단과 우측 다리 보호 수단 모두가 전방 좌석의 앞에 배치되고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차량 실내 벽에 장착된다. 또한, 차체 충돌시에는, 좌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되어,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를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하게 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의 위치와 상관없이, 좌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가 동시에 같은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고, 탑승자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탑승자 다리 보호 장치는, 전방 좌석의 앞에 배치되는 차량 실내 벽, 상기 차량 실내 벽에 장착되어 차체 충돌시에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좌측 다리부를 구속하는 좌측 다리 보호 수단, 및 차체 충돌시에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우측 다리부를 구속하기 위해 차량 실내 벽에 장착된 우측 다리부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우측 다리부 보호 장치는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좌측 다리 보호 수단의 수납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의 수납 위치가 상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좌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차체 길이 방향의 수납 위치가 상이한 좌측 다리 보호 수단과 우측 다리 보호 수단 모두가 전방 좌석의 앞에 배치되는 차량 실내 벽에 장착된다. 또한, 차체 충돌시에는, 좌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되어,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는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의 위치와 상관없이, 좌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가 동시에 같은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고, 탑승자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좌측 다리 보호 수단과 우측 다리 보호 수단 중 하나는 고정식의 니볼스터이고, 다른 하나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액티브 니볼스터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 상기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더하여, 수납 위치와 고정식 니볼스터의 다리 구속 위치가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소정의 조건 하에서, 액티브 니볼스터는 수납 위치로부터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하여서, 고정식 니볼스터의 다리 구속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 좌측 다리 보호 수단과 우측 다리 보호 수단 중 하나는 고정식의 니볼스터이고, 다른 하나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하는 액티브 니볼스터이다. 따라서, 액티브 니볼스터와 고정식 니볼스터에 의해서,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는 동일한 위치에서 동시에 신뢰성있게 구속되고, 탑승자의 다리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좌측 다리 보호 수단 및 우측 다리 보호 수단 모두는 소정의 조건 하에서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액티브 니볼스터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에 더하여, 차체 충돌시에 소정의 조건하에서, 좌우의 액티브 니볼스터는 차체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수납 위치로부터, 차체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한다.
본 양태에 있어서, 좌측 다리 보호 수단 및 우측 다리 보호 수단 모두는 소정의 조건 하에서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하는 액티브 니볼스터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효과에 더하여, 두 액티브 니볼스터는 탑승자의 다리를 고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될 수 있고, 탑승자의 다리부는 구속됨과 동시에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상기 좌측 다리 보호 수단과 상기 우측 다리 보호 수단 중 하나는 고정식 니볼스터이고, 다른 하나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팽창 전개하게 되는 에어 백 본체를 구비한 니 에어 백 장치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더하여, 수납 위치와 고정식 니볼스터의 다리 구속 위치는 동일한 위치이다. 차체 충돌시에, 소정의 조건하에서, 니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본체가 수납 위치로부터 다리 구속 위치로 팽창 전개하여, 고정식 니볼스터의 다리 구속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 좌측 다리 보호 수단과 우측 다리 보호 수단 중 하나는 고정식 니볼스터이고, 다른 하나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팽창 전개하게 되는 에어 백 본체를 구비한 니 에어 백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특징의 효과에 더하여, 고정식 니볼스터 및 에어 백 본체에 의해, 탑승자의 다리는 동시에 동일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구속될 수 있어서, 탑승자의 다리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는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태의 좌측 다리 보호 수단과 상기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의 모두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팽창 전개하게 되는 에어 백 본체를 구비한 니 에어 백 장치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 제 1 양태에 기재된 내용에 더하여, 좌우 니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본체는 차체 충돌시에 소정의 조건하에서,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수납 위치로부터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 좌측 다리 보호 수단 및 우측 다리 보호 수단 모두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팽창 전개하게 되는 에어 백 본체를 구비한 니 에어 백 장치이다. 따라서, 제 1 양태에 기재된 내용에 더하여, 두 에어 백 본체는 탑승자의 다리부를 구속하기에 최적인 위치로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다리부를 동시에 구속하여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는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태의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팽창 전개하게 되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를 구비한 니 에어 백 장치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 제 1 양태에 기재된 내용에 더하여,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좌측 다리 구속부와 우측 다리 구속부가 상이한 수납 위치에 있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측 다리 구속부의 위치와 우측 다리 구속부의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등한 위치가 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 좌측 다리 보호 수단 및 우측 다리 보호 수단 모두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다리 구속 위치로 팽창 전개하게 되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를 구비한 니 에어 백 장치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에어 백 본체의 전개된 두께는 계기 패널 등의 차량 실내 벽의 형상에 따라 설정하면 충분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에어 백 본체의 설계는 종래의 니 에어 백 장치로부터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양태의 특징에 더하여, 차량 실내 벽 설계의 자유도가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탑승자 다리 보호 장치는, 전방 좌석의 앞에 배치되어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인 차량 실내 벽이고, 상기 차량 실내 벽에 장착되어 차체 충돌시에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를 구속하는 에어 백 본체를 포함하고, 팽창 전개 상태에서 차체의 평면도에서 볼 때 차량의 조작 페달의 윗쪽이 되는 영역인 에어 백 본체의 영역의 차체 길이 방향 두께는 팽창 전개 상태에서 차체의 평면도에서 볼 때 인접하는 좌우 영역의 차체 길이 방향 두께보다 작다.
본 양태에 있어서, 전방 좌석의 앞에 배치되고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형상인 차량 실내 벽에 탑승자의 좌우측 다리부를 구속하는 에어 백 본체가 장착된다. 또한, 탑승자의 다리부가 차량의 조작 페달을 조작하는 부위를 향해 가압하는 경우에는, 에어 백 본체에 있어서의 좌우 부위보다 차체 평면도에 있어서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차체 길이 방향 두께가 작은 영역에서 탑승자의 다리부가 구속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 탑승자의 다리부가 차량의 작동 페달을 작동하는 영역에서 가압되는 경우에도, 탑승자의 다리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실내 벽의 설계 자유도는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1 실시형태가 도 1 ~ 도 4 에 따라서 설명된다.
도면에서, 화살표 (FR) 는 차량 전방 방향을, 화살표 (UP) 는 차량 윗쪽 방향을, 화살표 (IN) 는 차량 가로 내부 방향을 나타냄을 주의해야 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는, 차체 (10) 의 감속을 탐지하고 차체 (10) 의 충돌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12) 를 갖추고 있다. 또, 가속도 센서 (12) 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갖춘 제어 회로 (14) 에 접속되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10) 의 전방 좌석 (20) 의 차체 전방측에는 차량 실내 벽으로서 역할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가 있다. 이 벽부 (24) 는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와 우측 다리부 (22B) 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에 대향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의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가,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에 대향하는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보다 차체 후방측을 향해(탑승자를 향해) 돌출하여서,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벽부 (24) 는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면 형상을 갖는다.
계기 패널 (18) 내의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의 차체 전방 측에는, 좌측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의 액티브 니볼스터(knee bolster) (28) 가 벽부 (24) 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장착 위치는 전방 좌석 (20) 의 좌석 쿠션 (20A) 의 대각선 방향 전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티브 니볼스터 (28) 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와 이 본체 (30) 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 (32) 를 구비한다.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액츄에이터 (32) 는 차체 강화 부재인 계기 패널 보강부 (34) 에 브래킷 (36) 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에 있는 기판 (30A) 은 납작한 판상이고,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 에너지 흡수재 (EA재) (30B) 가 기판 (30A) 의 탑승자측 면에 장착된다. 또한, 수지 등으로 형성된 표피 (30C) 가 EA 재 (30B) 의 탑승자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EA 재 (30B) 의 탑승자측 면과 표피 (30C) 의 각 형상은, 평면도에서 볼 때에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4 에 도시된 측면도에서는 차체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이고, 차체 전방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후방 상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 (30C) 는 벽부 (24) 의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박벽화된 취약부 (31) 가 표피 (30C)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액티브 니볼스터 (28) 가 작동하면, 취약부 (31) 가 파단하여 표피 (30C) 가 벽부 (24) 로부터 분리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액츄에이터 (32) 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 회로 (14) 가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면, 제어 회호 (14) 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액츄에이터 (32) 를 작동시키고, 실린더 내의 로드가 축방향으로 신장하게 되어 있다.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는 기판 (30A) 의 하부에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장착된 지지축 (38) 에 의해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 (30) 는, 도 4 에 실선으로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탑승자 (22) 의 다리부 (22A) 의 방향 (도 4 의 화살표 (A) 방향) 으로, 지지축 (38) 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로 인해 액츄에이터 (32) 의 로드가 늘어나면,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는 수납 위치로부터 다리 구속 위치로 회전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 패널 (18) 내의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의 차체 전방 측에는, 우측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의 고정식 니볼스터 (42) 가 벽부 (24) 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니볼스터 (42) 는,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와 이 본체 (44) 를 계기 패널 보강부 (34) 에 고정하는 브래킷 (46) 을 구비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에 있는 기판 (44A) 은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고, 기판 (44A) 의 탑승자측 면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EA재 (44B) 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수지 등으로 형성된 표피 (44C) 가 EA재 (44B) 의 탑승자측 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볼스터 (42) 의 EA재 (44B) 의 탑승자측 면과 표피 (44C) 의 각 형상은, 평면도에서 볼 때에는 차량 가로 방향 외측 앞에부터 차량 가로 방향 내측 후방을 향해 신장된 직선 형상이고, 도 3 에 도시된 측면도에서 보면, 차체 전방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후방 상측을 향해 연장하고, 차체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이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 (44C) 는 벽부 (24) 의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수납 위치와 다리 구속 위치는 동일하여서, 수납 위치에 있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저장 위치가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저장 위치보다 더 차체 전방에 있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다리 구속 위치와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다.
즉, 도 2 에 도시된 니볼스터 (42)의 본체 (44) 의 다리 구속 위치이고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에 맞닿는 표피 (44C) 의 탑승자측 면의 폭 (W) 의 중앙 위치, 및 상하 길이 (L) 의 중앙 위치이고 또한 도 3 에 도시된 표피 (44C) 에서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 (H) 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 (P1) 및, 도 2 에 도시된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다리 구속 위치이고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에 맞닿는 표피 (30C) 의 탑승자측 면의 폭 (V) 의 중앙 위치, 및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길이가 대략 0 이 되고 있기때문에 도시되지 않음), 또한 도 4 에 도시된 표피 (30C) 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 (K) 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 (P2) 가 동일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니볼스터 (42)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용의 에어백 본체 (52) 가 구비된 에어 백 장치가 핸들 (50) 에 수납되어 있다. 이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는 제어 회로 (14)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조수석용의 에어백본체를 갖춘 에어백 장치가 계기 패널 (18) 의 상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 에어 백 장치를 작동시키는 인플레이터도 제어 회로 (14) 에 접속되고 있다.
도 3 및 도 4 의 번호 "54" 는 안전 벨트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체 (10) 가 충돌하면,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여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액츄에이터 (32) 를 작동시킨다.
이 결과, 액츄에이터 (32) 의 로드가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연장되고,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는 지지축 (38) 을 중심으로 도 4 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4 에 실선으로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도 4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다리 구속 위치로 회전이동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된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구속 위치는, 차체 길이 방향에서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구속 위치와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니볼스터 (42) 에 의해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수납 위치가,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수납 위치보다 더 차량 후방쪽에 있다. 이 결과,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니볼스터 (42) 는,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의 벽부 (24) 를 따라 계기 패널 (18)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 벽인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일 필요가 없고, 벽부 (24)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은 고정식 니볼스터 (42) 이기 때문에, 우측 다리 보호 수단도 액티브 니볼스터인 구성보다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5 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에 있어서,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가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보다 차체 후방측 (탑승자측) 으로 더 돌출하여서, 벽부 (24) 는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이다.
또한, 계기 패널 (18) 내의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에는, 좌측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 고정식 니볼스터 (42) 가 벽부 (24) 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계기 패널 (18) 내의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의 차체 전방 측에는, 우측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 액티브 니볼스터 (28) 가 벽부 (24) 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니볼스터 (42) 및 액티브 니볼스터 (28)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수납 위치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수납 위치보다 더 차체 후방쪽에 있다.
이 결과,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니볼스터 (42) 는,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 벽부 (24) 를 따라 계기 패널 (18)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애 따라, 차량 실내 벽이 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일 필요가 없고, 벽부 (24)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6 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식 니볼스터를 대신하여, 우측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 액티브 니볼스터 (60) 가 계기 패널 (18) 내의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에서 벽부 (24) 와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액티브 니볼스터 (60) 는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및, 이 본체 (62) 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 액츄에이터 (64) 를 갖추고 있다.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의 작동 기구가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액츄에이터 (64) 는 계기 패널 보강부 (34) 에 브래킷 (66) 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에 있는 기판 (62A) 의 탑승자측 면에 장착된 EA재 (62B) 의 탑승자측 면과 표피 (62C) 의 각 형상은, 평면도에서 볼 때에서는 차량 가로 방향 외측 앞에부터 차량 가로 방향 내측 후방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이고, 도시가 생략된 측면도에서 보면,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마찬가지로 차체 전방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후방 상측으로 연장하며 차체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이다. 또한, 표피 (62C) 는 벽부 (24) 의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6 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에 있는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의 수납 위치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수납 위치보다 더 차체 후방쪽에 있다.
도 6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한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의 다리 구속 위치와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다리 구속 위치는 동일한 위치이다.
즉,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의 다리 구속 위치에 있어서,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에 맞닿는 표피 (62C) 의 탑승자측 면의 폭 (W) 의 중앙 위치, 길이 방향의 길이 (L) 의 중앙 위치, 또한 상하 길이 (측면도에서는 나타나있지 않음) 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 (P1) 과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의 다리 구속 위치에 있어서,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에 맞닿는 표피 (30C) 에서의 탑승자측 면의 폭 (V) 의 중앙 위치,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방향 길이가 대략 0 이기때문에 도시되지 않음), 및 상하 길이 K (도 4 참조) 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 (P2) 가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액티브 니볼스터 (60) 로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체 (10) 가 충돌했을 때에,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여,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액츄에이터 (32) 와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액츄에이터 (64) 를 작동시킨다.
이 결과,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액츄에이터 (32, 64) 의 로드가 연장되고, 액티브 니볼스터 (28, 60) 의 본체 (30, 62) 는 도 6 에 실선으로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도 6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다리 구속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다리 구속 위치와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액티브 니볼스터 (60) 모두에 의해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니볼스터 (60) 의 본체 (62) 의 수납 위치는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의 수납 위치보다 더 차체 후방쪽에 있다. 이 결과,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의 벽부 (24) 를 따라, 액티브 니볼스터 (28) 와 액티브 니볼스터 (60) 가 계기 패널 (18)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 벽이 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일 필요가 없고, 벽부 (24)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우의 다리 보호 수단은 액티브 니볼스터 (28, 60) 이기 때문에, 벽부 (24)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는, 다리 보호 수단 중 하나를 고정식의 니볼스터로 하는 구성보다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7 및 도 8 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번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액티브 니볼스터 대신에, 좌측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 니 에어백 장치 (70) 가 계기 패널 (18) 내의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의 차체 전방 측에서 벽부 (24) 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 에어백 장치 (70) 의 케이스 (72) 는 브래킷 (74) 을 통하여 계기 패널 보강부 (34)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72) 의 차체 후측부에 장착된 상하 덮개부 (72A, 72B) 가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에 있는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니 에어백 장치 (70) 의 케이스 (72) 의 내부에는, 구동 수단으로서 인플레이터 (76) 및 에어 백 본체 (78) 가 수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76)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에어 백 본체 (78) 는 도 8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를 향해 팽창 전개한다.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수납 위치는, 도 7 에 실선으로 도시된 접어진 상태로 수납 위치에 있는 에어 백 본체 (78) 의 수납 위치보다 더 차체 후방쪽에 있다.
또한, 에어 백 본체 (78) 가 팽창 전개할 때, 케이스 (72) 의 덮개부 (72A, 72B) 는 도 8 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외부로 열리게 되어 있다.
니 에어백 장치 (70) 의 인플레이터 (76) 는 제어 회로 (14) 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면 인플레이터 (76) 를 작동하게 되어 있다.
도 7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78) 의 다리 보호부 (78A) 의 구속 위치와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구속 위치는 차체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이다.
즉,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다리 구속 위치에서,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에 맞닿는 표피 (44C) 의 탑승자측 면의 폭 (W) 의 중앙 위치, 전후 길이 (L) 의 중앙 위치, 및 상하 길이 (H) (도 3 참조) 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 (P1) 와 니 에어백 장치 (70) 의 에어 백 본체 (78) 의 다리 구속 위치에 있어서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에 맞닿는 탑승자측 면의 폭 (M) 의 중앙 위치와 도 8 에 도시된 상하 길이 (N) 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 (P3) 가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에어 백 본체 (78) 및 니볼스터 (42) 로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체 (10) 가 충돌했을 때,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여 니 에어백 장치 (70) 의 인플레이터 (76) 를 작동한다. 이 결과, 도 7 및 도 8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76) 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에어 백 본체 (78) 가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를 향해 팽창 전개된다.
또한, 도 7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78) 의 다리 보호부 (78A) 의 다리 구속 위치와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에어 백 본체 (78) 및 니볼스터 (42)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수납 위치가 도 7 에 실선으로 도시된 접어진 상태로 수납 위치에 있는 에어 백 본체 (78) 의 수납 위치보다 더 차체 후방쪽에 있다. 니볼스터 (42) 의 본체 (44) 의 수납 위치는 니 에어백 장치 (70) 보다 더 차체 후방쪽에 있다.
이 결과,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의 벽부 (24) 를 따라, 니 에어백 장치 (70) 및 니볼스터 (42) 가 계기 패널 (18) 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 벽이 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일 필요가 없고, 벽부 (24)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다리 보호 수단이 고정식의 니볼스터 (42) 이기 때문에, 우측 다리 보호 수단도 니 에어 백 장치인 구성보다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9 ~ 도 11 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체 (10) 의 전방 좌석 (20) 의 차체 전방 측에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8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벽부 (80) 는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와 우측 다리부 (22B) 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계기 패널 (18) 의 벽부 (80) 는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와 대향하는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가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와 대향하는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보다 차체 후방측 (탑승자측) 으로 더 돌출하여 있으며,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벽부 (80) 는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이다. 또, 계기 패널 (18) 내의 벽부 (80) 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좌우의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 니 에어 백 장치 (82) 가 장착되어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 에어 백 장치 (82) 의 케이스 (84) 는 브래킷 (86) 을 통해 계기 패널 보강부 (34) 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84) 의 차체 후측부에 장착된 상하 덮개부 (84A, 84B) 가 계기 패널 (18) 의 벽부 (80)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니 에어 백 장치 (82) 의 케이스 (84) 의 내부에는 구동 수단으로서 인플레이터 (88) 와 에어 백 본체 (90) 가 수납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88) 로부터 분출된 가스에 의해 에어 백 본체 (90) 는 도 11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를 향해 팽창 전개한다. 또한, 에어 백 본체 (90) 이 팽창 전개할 때, 케이스 (84) 의 덮개부 (84A, 84B) 는 도 11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수직 방향으로 외부로 열리게 된다.
도 9 에 실선으로 도시된 니 에어 백 장치 (82)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니 에어 백 장치 (82) 의 인플레이터 (88) 는 제어 회로 (14) 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면 인플레이터 (88) 를 작동시킨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백 본체 (90) 의 내부에는 에어 백 본체 (90) 의 팽창 전개 형상을 결정하는 연결재 (92) 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연결재 (92) 는 에어 백 본체 (90) 의 좌측 다리 보호부 (90A) 로부터 우측 다리 보호부 (90B) 로 에어 백 본체 (90) 의 전방 벽부 (90C) 와 후방 벽부 (90D) 를 연결한다. 연결재 (92) 에는 에어 백 본체 (90) 를 팽창 전개하게 되는 가스 환기 구멍 (93) 이 형성되어 있다.
즉,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의 차체 전방측이 되는 영역에 서는, 연결재 (92) 의 전방 가장자리 (92A) 가 에어 백 본체 (90) 의 전방 벽부 (90C) 에 봉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연결재 (92) 의 후방 가장자리 (92B) 가 에어 백 본체 (90) 의 후방 벽부 (90D) 에 봉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연결재 (92) 는 후방 가장자리 (92B) 가 차량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선이고, 전방 가장자리 (92A) 는 차량 가로 방향 외측 후방으로부터 차량 가로 방향 내측 전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상기 연결재 (92) 의 길 이 방향 폭과 관련하여, 차량 가로 방향 외측의 폭 (S1) 은 차량 가로 방향 내측의 폭 (S2) 보다 좁다.
따라서, 도 9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백 본체 (90) 가 팽창 전개했을 경우에는, 에어 백 본체 (90) 의 좌측 다리 보호부 (90A) 의 다리 구속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부 (90B) 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게 된다.
즉, 도 9 에 도시된 니 에어 백 장치 (82) 의 에어 백 본체 (90) 의 좌측 다리 보호부 (90A) 에 있고,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에 맞닿는 탑승자측 면의 폭 (Q) 의 중앙 위치이며 도 11 에 도시된 상하 길이 (R) 의 중앙 위치에 있는 점 (P4) 과 도 9 에 도시된 에어 백 본체 (90) 의 우측 다리 보호부 (90B) 에 있고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와 맞닿는 탑승자측 면의 도 11 에 도시된 상하 길이 (R) 의 중앙 위치가 되고 폭 (T) 의 중앙 위치에 있는 점 (P5) 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0) 로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면 니 에어 백 장치 (82) 의 인플레이터 (88) 를 작동시킨다.
이 결과, 도 9 및 도 11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88) 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에어 백 본체 (90) 가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를 향해 팽창 전개한다.
또한, 도 9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 (92) 에 의해 에어 백 본체 (90) 에 있어서의 좌측 다리 보호부 (90A) 의 다리 구속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부 (90B) 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게 된다.
이 결과,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가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0) 로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9 에 실선으로 도시된 니 에어 백 장치 (82) 는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의 벽부 (80) 를 갖는 계기 패널 (18) 내에 장착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실내 벽이 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80)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일 필요가 없고, 벽부 (80)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다리 보호 수단이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0) 을 갖춘 니 에어 백 장치 (82) 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좌우에서 별도의 니 에어 백 장치로 되는 구성보다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니 에어 백 장치로부터 큰 변경을 수반하는 일 없이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6 실시형태를 도 12 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기 패널 (18) 의 벽부 (80) 에 있어서의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가 차량 가로 방향 외측부보다 차체 후방측 (탑승자측) 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2 에 실선으로 도시된 니 에어 백 장치 (82)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2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백 본체 (90) 가 팽창 전개했을 경우에는, 에어 백 본체 (90) 의 좌측 다리 보호부 (90A) 의 다리 구속 위치와 우측 다리 보호부 (90B) 의 다리 구속 위치는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0)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즉, 도 12 에 도시된 니 에어 백 장치 (82) 의 에어 백 본체 (90) 의 좌측 다리 보호부 (90A) 에 있고,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에 맞닿는 탑승자측 면의 도 11 과 마찬가지로 상하 길이 (R) 의 중앙 위치가 되고 폭 (Q) 의 중앙 위치에 있는 점 (P4) 와 도 12 에 도시된 에어 백 본체 (90) 의 우측 다리 보호부 (90B) 에 있고,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에 맞닿는 탑승자측 면의 도 11 과 마찬가지로 상하 길이 (R) 의 중앙 위치가 되고 또한 폭 (T) 의 중앙 위치에 있는 점 (P5) 가 차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0)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2 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의 벽부 (80) 를 갖는 계기 패널 (18) 내에 니 에어 백 장치 (82) 가 장착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 벽이 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80)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일 필요 없고, 벽부 (80)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7 실시형태를 도 13 에 따라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 백 본체 (94) 내의 차량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된 복수의 연결재 (95, 96, 97, 98) 에 의해 팽창 전개된 에어 백 본체 (94) 의 후방 벽부 (94A) 는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94A, 94) 는 차량의 조작 페달로서의 엑셀 페달의 윗쪽이 되는 영역 (94B) 및 차량의 조작 페달로서 브레이크 페달 (102) 의 윗쪽이 되는 영역 (94C) 은 좌측 다리 보호부 (94D) 와 우측 다리 보호부 (94E) 보다 차체 상면 시에서 전개 상태에서의 차체 길이 방향 두께가 더 작고 더 차체쪽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 13 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니 에어 백 장치 (82)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3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백 본체 (94) 가 팽창 전개했을 경우에는, 에어 백 본체 (94) 의 좌측 다리 보호부 (94D) 의 다리 구속 위치 (P4) 와 우측 다리 보호부 (94E) 의 다리 구속 위치 (P5) 는 길이 방향으로 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4)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도 13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는 엑셀 페달 (100) 또는 브레이크 페달 (102) 을 조작하기 위해서 차체 전방을 향해 가압되는 경우에도,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94) 의 영역 (94B) 또는 영역 (94C) 에 의해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는 구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4) 에 있어서의 좌측 다리 보호부 (94D) 와 우측 다리 보호부 (94E) 에 의 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3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가 엑셀 페달 (100) 또는 브레이크 페달 (102) 을 조작하기 위해 차체 전방을 향해 가압되는 경우에도,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94) 의 영역 (94B) 또는 영역 (94C) 에 의해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가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차체 전방을 향한 상태로 탑승자는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우측 다리 보호 수단은 하나의 에어 백 본체 (94) 를 갖춘 니 에어 백 장치 (82) 로 구성되기 때문에, 좌우 별도의 니 에어 백 장치를 갖는 구성보다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에어 백 본체 (94) 는 1 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에어 백 본체로 분할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의 제 8 실시형태를 도 14 에 따라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4 실시형태 (도 7) 의 니볼스터 (42) 를 대신하여, 우측 다리 보호 수단으로서 니 에어 백 장치 (110) 가 계기 패널 (18) 내의 차량 가로 방향 내측부의 차체 전방 측에서 벽부 (24) 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니 에어 백 장치 (110) 는 제 6 실시형태 (도 12) 의 니 에어 백 장치 (82) 와 동일하게 연결재 (111) 를 갖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니 에어 백 장치 (110) 의 케이스 (112) 의 내부에는, 구동 수단으로서 인플레이터 (116) 과 에어 백 본체 (118) 가 수납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116)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에어 백 본체 (118) 는 도 14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를 향해 팽창 전개한다.
니 에어 백 장치 (110) 의 인플레이터 (116) 는 제어 회로 (14) 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면, 인플레이터 (76) 를 작동시킨다.
도 14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백 본체 (118) 는 연결재 (111) 에 의해, 다리 보호부 (118A) 의 탑승자측 면이 차량 가로 방향을 따르도록 팽창 전개한다. 또한, 에어 백 본체 (118) 에 있어서의 다리 보호부 (118A) 의 다리 구속 위치와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78) 에 있어서의 다리 보호부 (78A) 의 다리 구속 위치는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다.
즉, 도 14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니 에어백 장치 (70) 의 에어 백 본체 (78) 의 다리 구속 위치에 있어서,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에 맞닿는 탑승자측 면의 폭 (M) 의 중앙 위치에 있고,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 (도 8 참조) 가 되는 점 (P3) 와, 니 에어 백 장치 (110) 의 에어 백 본체 (118) 의 다리 구속 위치에 있어서, 탑승자 (22) 의 우측 다리부 (22B) 에 맞닿는 탑승자측 면의 폭 (X) 의 중앙 위치에 있고,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 (도시 생략) 가 되는 점 (P6) 가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에어 백 본체 (78, 118)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체 (10) 가 충돌했을 때, 제어 회로 (14) 는 가속도 센서 (12) 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차체 (10) 가 충돌했다고 판정하여 니 에어백 장치 (70, 110) 의 인플레이터 (76, 116) 를 작동시킨다. 이 결과, 도 14 에 2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76, 116) 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에어 백 본체 (78, 118) 가 탑승자 (22) 의 좌측 다리부 (22A) 와 우측 다리부 (22B) 를 향해 팽창 전개한다.
이때,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118) 에 있어서의 다리 보호부 (118A) 의 다리 구속 위치와 팽창 전개한 에어 백 본체 (78) 에 있어서의 다리 보호부 (78A) 의 다리 구속 위치가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차체 충돌시에,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좌우측 다리부 (22A, 22B) 는 에어 백 본체 (78, 118) 에 의해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좌석 (20) 에 착석한 탑승자 (22) 의 다리부는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4 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오목볼록한 곡선 형상의 벽부 (24) 를 갖는 계기 패널 (18) 에 니 에어백 장치 (70) 와 니 에어 백 장치 (110) 를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 벽이 되는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는 차량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일 필요가 없고, 벽부 (24)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우의 다리 보호 수단은 니 에어백 장치 (70, 110) 이기 때문에, 하나의 다리 보호 수단이 고정식의 니볼스터인 구성보다 벽부 (24) 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의 실시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니볼스터 본체의 다리 구속 위치에서 탑승자 다리부에 맞닿는 표피에 있어서의 탑승자측 면의 폭의 중앙 위치, 전후 길이의 중앙 위치, 및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과 액티브 니볼스터 본체의 다리 구속 위치에서 탑승자 다리부에 맞닿는 표피에 있어서의 탑승자측 면의 폭의 중앙 위치, 전후 길이의 중앙 위치, 및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을 동일한 위치로 하였다. 그러나, 이 대신에 다리 구속 위치에서 니볼스터 본체의 폭의 중앙 위치, 전후 길이의 중앙 위치, 및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과 액티브 니볼스터 본체의 폭의 중앙 위치, 전후 길이의 중앙 위치, 및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가 되는 점을 동일한 위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리 구속 위치에서, 니볼스터 본체의 중심이 되는 점과 액티브 니볼 스터 본체의 중심이 되는 점을 동일한 위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리 구속 위치에서, 니볼스터 본체의 탑승자 다리부와 맞닿는 개시점과 액티브 니볼스터 본체의 탑승자 다리부와 맞닿는 개시점을 동일한 위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리 구속 위치에서, 니볼스터 본체의 탑승자 다리 지지부와 액티브 니볼스터 본체의 탑승자 다리 지지부를 동일한 위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의 차량 실내 벽은 계기 패널 (18) 로 한정되지 않고, 계기 패널의 하방에 배치되는 패널 등의 다른 차량 실내 벽일 수도 있다. 또한, 계기 패널 (18) 의 벽부 (24, 80)의 곡선 형상은 상기 각 실시형태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가 지지축 (38) 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해, 액티브 니볼스터 (28) 의 본체 (30) 가 탑승자의 다리부로 향해 직선 이동하는 등 다른 이동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 (12) 에 의해 차체 (10) 의 충돌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카메라 등의 다른 충돌 감지 수단을 사용하여 차체의 충돌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우의 다리 구속 수단의 각 다리 구속 위치를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로 하였다. 그러나, 이 대신에, 탑승자의 자세, 체격, 좌석 배치 각도 등에 따라 좌우의 다리 구속 수단의 각 다리 구속 위치는, 차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서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조작 페달은 엑셀 페달 (100), 브레이크 페달 (102) 로 한정되지 않고, 크러치 페달 등의 다른 조작 페달일 수도 있다.
P1: 다리 구속 위치에 있는 니볼스터 또는 액티브 니볼스터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 및 폭의 중앙 위치인 점.
P2: 다리 구속 위치에 있는 니 볼스터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 중앙 위치,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 및 폭 방향 중앙 위치인 점.
P3: 다리 구속 위치에 있는 니 에어 백 본체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 중앙 위치 및 폭 방향 중앙 위치인 점.
P4: 다리 구속 위치에 있는 니 에어 백 본체에서의 좌측 다리 보호부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 중앙 위치 및 폭 방향 중앙 위치인 점.
P5: 다리 구속 위치에 있는 니 에어 백 본체에서의 우측 다리 보호부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 중앙 위치 및 폭 중앙 위치인 점.
P6: 다리 구속 위치에 있는 니 에어 백 본체의 탑승자측 면의 상하 길이 중앙 위치 및 폭 방향 중앙 위치인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