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891B1 -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891B1
KR100852891B1 KR1020070077959A KR20070077959A KR100852891B1 KR 100852891 B1 KR100852891 B1 KR 100852891B1 KR 1020070077959 A KR1020070077959 A KR 1020070077959A KR 20070077959 A KR20070077959 A KR 20070077959A KR 100852891 B1 KR100852891 B1 KR 10085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tabilizer
stabilizer composition
soil
wa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옥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Priority to KR102007007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1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8Prepolymers;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1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3/00Civil engineering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5/00Erosion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디비닐벤젠 및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토양안정제 조성물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안정제, 보수성, 생분해, 발아

Description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Soil Stabilizer composition and apply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토양안정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및 디비닐벤젠,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토양안정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공사 등으로 인하여 생기는 절개지나 식물이 생장하기 어려운 무식생지(無植生地)를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토양안정제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토양안정제의 일종으로 아스팔트 유제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스팔트 유제는 경화한 뒤 토양 표면에 균열이 생기고 침식이 발생하기 쉬우며, 외관이 아름답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아크릴 공중합체 등의 수성 분산물을 토양안정제로 사용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토양 표면에 충분한 내수성을 부 여할 수 없고, 강우량이 많은 경우 토양이 유출된다. 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시공시에는 토양 표면에 피막이 형성되고 토양 안정화효과가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 피막이 떨어지고, 균열이 생기며, 토양의 침식이 발생한다. 또한,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아크릴 공중합체는 다량을 사용해야 하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 제3491176호 "토양 안정화용 조성물"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중 적어도 1종과 아미노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양이온성 아크릴수지 에멀션 및 줄기로 성육하는 식물의 줄기 절단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안정화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3000cp로서 점도가 높아 침식 우려는 크지 않은 반면, 씨앗이나 번식 가능한 줄기나 가지 절단물이 도막을 뚫고 나가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강도가 높아 침식(세굴)이나 슬라이딩의 우려가 없는 토양안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강도뿐만 아니라, 물을 함유한 상태에서의 내수강도가 높아 강우 이후에도 사면을 지탱할 수 있는 토양안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성이 충분하여 건기나 우기와 같은 기후의 변화 에도 안정적으로 종자에 수분을 공급해줄 수 있는, 보수성이 높은 토양안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시간 경과 후 식생대가 안정적으로 조성되면 도막이 자연적으로 생분해되는 토양안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디비닐벤젠 및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중합반응을 실시하여 우수한 물성의 폴리머 에멀젼을 얻었다.
반응은 초기 반응과 증식 반응으로 나눌 수 있고, 초기 반응에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디비닐벤젠 및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혼합물에 소디움 도데실벤조솔폰네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와 포타슘퍼설페이트와 같은 반응 개시제를 소량 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고, 개시 반응 후 증식 단계에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디비닐벤젠 및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가한 후 일차 증식 반응이 진행되면 다시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디비닐벤젠 및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가하여 반응시켜 토양 안정제용 폴리머 에멀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 에멀젼은 디비닐벤젠 및/또는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성분 을 제외한 폴리머 에멀젼(아래 비교예 1~3 참조, 표 1 참조)과 물성을 비교한 결과 점도가 낮고, 접착강도(즉, 토양이나 경사면과 접착한 후의 강도)와 내수강도(물을 함유한 상태의 강도)가 매우 우수하며, 물을 보유하는 능력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비닐벤젠은 도막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며,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는 특별히 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도막의 강도 즉, 내수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머 에멀젼을 이용하여 토양안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토양안정제용 폴리머 에멀젼 100중량부, 식물 영양성분 10~100중량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보수성 향상제 1~30중량부, 전분 0.1~5.0중량부, 색소 0.1~0.2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이때 전분과 색소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각 성분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면, 토양 안정제용 폴리머 에멀젼은 도막을 만드는 주 소재이다. 토양안정제 도막은 물에 닿으면 수팽윤성을 가져야 한다. 이 수팽윤성이란 도막이 물을 함유할 수 있다는 증거로, 강우시 물을 도막 내에 함유하고 있다가 건조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습기가 과량 존재시에는 수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폴리머 에멀젼은 표 1과 같이 180%의 보수성을 나타내어 물을 잘 함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영양성분은 퇴비를 비롯한 각종 유기질 비료, 복합비료를 비롯한 화학 합성 비료, 소석회 등 식물에 영양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복합비료를 사용한다. 식물 영양성분은 혼합비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폴리머 에멀젼 100중량부 대비 10~1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식물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 주기가 어렵고, 100중량부 이상인 경우 전체 조성물의 중량이 증가하며,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보수성 향상제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여 폴리아크릴산염을 말하며, 친수성이 큰 고분자 물질로서 상기 도막의 주소재인 에멀젼과 같은 에멀젼형의 보수성 향상제이다. 이는 기존의 보수성 향상제인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와 대비하여 수분함유 능력이 크고 에멀젼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균일 분산이 용이하여 사용에 편리하다.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보수성 향상제는 폴리머 에멀젼 100중량부 대비 1~30중량부인 것이 경제성 및 효과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부가 가능한 요소로서, 전분은 사면에 식물이 완전히 착상된 후 즉, 에멀젼 도막의 성능 발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시점(대략 6개월 후) 도막이 생분해되도록 하는 물질로 옥수수 전분, 소맥 전분, 찰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을 사용한다. 전분도 함량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0.1~5.0중량부를 가해주면, 도막의 물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생분해를 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 가능한 구성 요소로서 색소는 바람직하게는 녹색 색소를 사용하여 절개지나 경사지의 외관을 아름답게 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토양안정제를 중량 대비 5~10배의 물에 희석한 후 식물 종자 및/또는 번식 가능한 줄기(가지 포함)를 혼합하여 절개면에 살포한다. 토양안정제의 살포량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000g/㎡으로 한다. 종래 토양안정제의 경우에는 토양안정제 중량대비 식물 종자를 2.5배 이상 가해 주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원활한 보습, 영양공급, 토양안정을 통하여 소량의 씨앗(대략 0.5~1.5배)으로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었다.
식물 종자 및/또는 번식 가능한 가지나 줄기로는 참싸리, 새발풀, 안고초를 비롯한 초본류, 줄기식물 등 사면 녹화에 널리 사용되는 식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씨앗이나 식물 줄기를 포함하여 제조된 토양안정제 조성물을 경사면에 살포하고 건조 상태와 젖은 상태에서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모두 함유한 실시예의 경우 가장 높은 경도를 나타내어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발아율 시험에서는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를 갖추지 않은 폴리머 에멀젼을 포함하는 토양안정제(74~85%의 발아율을 나타냄)에 비하여 95%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내침식성 실험에서는 유출 개시시간 150분, 유출 방지율이 95%를 나타내어 초기 다량 유출이 현저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기재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토양안정제용 에멀젼 제조
1-1) 초기반응
가) 부틸아크릴레이트 5.8㎏,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1㎏,
비닐아세테이트 0.2㎏,
메타아크릴산 0.2㎏,
디비닐벤젠 0.5㎏,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0.2㎏을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나) 소디움도데실벤조솔폰네이트 0.15㎏을 이온교환수 224.5㎏에 녹인 후 이를 가)에 투입하고 반응기를 80℃로 승온한 후 20분간 충분히 교반해 주었다.
다) 반응 개시제로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라)반응 개시 후 15분이 지나면 반응전환율이 90%에 도달하게 되었다.
1-2) 증식단계
마) 다음 비로 증식단계에 사용될 약액을 준비하였다.
부틸아크릴레이트 25.0㎏,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4.5㎏,
비닐아세테이트 22.0㎏,
메타아크릴산 4.8㎏,
디비닐벤젠 2.4㎏,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0.3㎏을 균일 교반하였다.
바) 상기 라)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상기 마)의 혼합물 29.67㎏를 투입하였다.
사) 30분 경과 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추가로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아) 상기 사)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90℃로 승온하고 상기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자) 30분 경과 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60분 후 반응을 종료하였다.
차)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로 pH를 약 8.0으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1
가) 부틸아크릴레이트 6.3㎏,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
비닐아세테이트 0.2㎏,
메타아크릴산 0.2㎏을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나) 소디움도데실벤조솔폰네이트 0.15㎏을 이온교환수 224.5㎏에 녹인 후 이를 상기 가)에 투입하고 반응기를 80℃로 승온한 후 20분간 충분히 교반해 주었다.
다) 반응 개시제로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첨가 하면 반응이 개시되었다.
라) 반응 개시 후 15분이 지나 반응전환율이 90%에 도달하게 되었다.
마) 다음 비로 증식단계에 사용될 혼합물을 준비한다.
부틸아크릴레이트 27.4㎏,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4.8㎏,
비닐아세테이트 22.0㎏,
메타아크릴산 4.8㎏을 균일 교반하였다.
바) 상기 라)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상기 마)의 증식약액 29.67㎏을 투입하였다.
사) 30분 경과 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추가로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아) 상기 사)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90℃로 승온하고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자) 30분 경과 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60분 후 반응을 종료하였다.
차)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로 pH를 약 8.0으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2
가) 부틸아크릴레이트 6.3㎏,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1㎏,
비닐아세테이트 0.2㎏,
메타아크릴산 0.2㎏,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0.2㎏를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나) 소디움도데실벤조솔폰네이트 0.15㎏을 이온교환수 224.5㎏에 녹인 후 이를 가)에 투입하고 반응기를 80℃로 승온한 후 20분간 충분히 교반해 주었다.
다) 반응 개시제로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라) 반응 개시 후 15분이 지나 반응전환율이 90%에 도달하게 되었다.
마) 다음 비로 증식단계에 사용될 혼합물을 준비한다.
부틸아크릴레이트 27.4㎏,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4.5㎏,
비닐아세테이트 22.0㎏,
메타아크릴산 4.8㎏,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0.3㎏을 균일 교반하였다.
바) 상기 라)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상기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사) 30분 경과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추가로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아) 상기 사)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90℃로 승온하고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자) 30분 경과 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60분 후 반응을 종료하였다.
차)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로 pH를 약 8.0으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3
가) 부틸아크릴레이트 6.3㎏,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
비닐아세테이트 0.2㎏,
메타아크릴산 0.2㎏을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나) 소디움도데실벤조솔폰네이트 0.15㎏을 이온교환수 224.5㎏에 녹인 후 이를 가)에 투입하고 반응기를 80℃로 승온한 후 20분간 충분히 교반해 주었다.
다) 반응개시제로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라) 반응 개시 후 15분이 지나 반응전환율이 90%에 도달하였다.
마) 다음 비로 증식단계에 사용될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부틸아크릴레이트 27.4㎏,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4.8㎏,
비닐아세테이트 22.0㎏,
메타아크릴산 4.8㎏을 균일 교반하였다.
바) 상기 라)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사) 30분 경과 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추가로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아) 사)단계가 경과하면 반응기 온도를 90℃로 승온하고 마)의 혼합물 29.67㎏을 투입하였다.
자) 30분 경과 후 포타슘퍼설페이트 0.2㎏을 물 5.498㎏에 녹여 서서히 투입하고 60분 후 반응을 종료하였다.
차)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로 pH를 약 8.0으로 조절하였다.
비교예 4
H사의 씨드 스프레이용 합성고무라텍스를 구입하였다.
실험예 1~4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4의 토양안정제 에멀젼에 대하여 물성을 비교 실험하고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고형분함량(%) pH 점도(cps) 접착강도(kgf/cm) 내수강도(kgf/cm) 보수력(%) 40.0 8.1 170 4.3 2.7 180 40.1 7.9 260 2.3 1.0 123 40.0 8.3 200 1.7 1.5 115 39.8 8.2 190 1.1 0.7 105 50.3 7.5 350 1.5 1.1 119
상기 표 1에 나타낸 각 토양안정제용 에멀젼의 보수력은 상기 에멀젼을 약 2cm*2cm*0.3cm의 필름으로 제조한 후 물속에 24시간 담갔다가 표면에 물기를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얻어진 값이다.
보수력(%) = 물속에 담근 후 무게(g)/ 건조 상태의 필름 무게(g)×100
상기 표 1에 나타낸 각 에멀젼의 접착강도는 캔버스 원단에 각 에멀젼을 500g/㎠ 도포한 후 두 면을 붙여서 1㎏/㎠로 가압한 후 항온항습조(25℃, 상대습도 60%)에서 7일간 건조 후 인스트롱 만능재료 시험기(Instron material testing system with enviromental chamb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표 1의 내수강도는 접착강도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24시간 물에 함침시킨 다음 인스트롱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토양안정제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된 토양안정제용 에멀젼을 이용하여 토양안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토양안정제용 에멀젼 100㎏, 식물 영양성분 10~100㎏,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보수성 향상제 1~30㎏, 전분 0.1~5.0㎏, 색소 0.1~0.2㎏을 혼합하였다.
구체적인 제조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된 에멀젼 100㎏을 준비하였다.
2) 보수성 향상제 10㎏을 상기 1)에 첨가한 후 5분간 교반하였다.
3) 복합비료 20㎏을 이온교환수 100㎏에 희석하였다.
4) 2)에 3)을 서서히 첨가하며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5) 4)에 전분 0.3㎏을 투입한 후 약 5분간 교반하였다.
6) 색소 0.1㎏을 이온교환수 50㎏에 희석하였다.
7) 5)에 6)을 투입한 후 약 30분간 교반하고, 추가로 물을 투입하여 고형분 함량을 20%로 조절한 토양안정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8
비교예 1~4의 에멀젼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토양안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토양안정제 시공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토양안정제 10kg를 물 100kg에 희석한 후 식물 종자 10kg을 혼합하여 고압 살포기로 절개면에 살포하였다. 토양안정제의 살포량은 1000g/㎡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경우는 25kg 이상의 씨앗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경우 원활한 보습, 영양공급, 토양안정을 통하여 소량의 씨앗으로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발현한다.
실험예 5: 토양안정제 물성 측정
공시체 제조: 30cm*30cm*5cm의 면적의 일반 사면 토양에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5~8의 토양안정제를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스프레이한 후 7일간 방치하였다.
(5-1) 경도 측정 : 산중식 토양경도계를 사용하였다.
건조 상태의 경도는 실내온도 20℃, 상대습도 60%의 조건에서 7일간 방치 후 측정하였다. 습한 상태의 경도는 실내온도 20℃, 상대습도 60%의 조건에서 물 100g을 균일하게 공시체에 분무한 후 1시간이 경과한 다음 측정하였다.
(5-2) 발아율은 상기 공시체에 1일 2회(아침, 저녁) 살수하고, 2주일 후 씨앗의 발아 정도로 측정하였다.
발아율(%) = 발아면적/전체면적×100
(5-3) 내침식성 실험 : 실내온도 20℃, 상대습도 60%의 조건에서 7일간 방치한 후 공시체를 45도 경사지게 설치한 다음 3m 높이에서 강우량을 200mm/hr로 인공살포하였다. 실험 개시 후부터 유출이 일어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실험 3시간 후의 유출방지율을 측정하였다.
유출방지율(%)=잔사 토양 중량/실험 전 공시체 토양 중량×100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경도 건조 상태 젖은 상태 발아율(%) 내침식성 실험 유출개시시간(분) 유출방지율(%) 24 19 95 150 95 15 8 74 60 50 14 10 85 70 60 12 7 77 30 40 12 8 80 60 60
본 발명의 토양 안정제 조성물은 토양에 스프레이 해주면 건조 도막을 생성한 후 보습 기능을 나타내어 씨앗 등에 수분을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수성이 커서 우기에는 수분을 흡수 저장하고, 건기에는 수분을 씨앗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토양 안정제 조성물은 경도가 커서 도막 속에 함유된 비료 등의 식물 영양성분이 한꺼번에 조기 유실되지 않도록 하므로 장기적으로 영양성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 안정제 조성물은 경도가 커서 일단 도막을 생성한 후 경사면을 충분히 고착화시키므로 슬라이딩이나 강우로 인한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토양 안정제 조성물은 점도가 매우 낮아 스프레이 방식의 시공작업이 원활하고, 도막 생성 후 씨앗의 발아나 번식 가능한 절단 된 줄기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 안정제 조성물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고분자 도막이 생분해되어 환경 친화적이며, 오염물질을 토양에 남기지 않는다.

Claims (6)

  1.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디비닐벤젠 및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제조되는 폴리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안정제 조성물.
  2.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메타아크릴산, 디비닐벤젠 및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제조되는 폴리머 에멀젼, 유기질 비료, 화학합성비료 및 소석회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 이상의 식물 영양성분 및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보수성 향상제를 포함하는 토양 안정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전분 및 색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1종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토양 안정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안정제 조성물은 폴리머 에멀젼 100중량부, 식물 영양성분 10~100중량부 및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보수성 향상제 1~30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안정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의 토양 안정제 조성물을 중량 대비 5~10배의 물에 희석한 후 식물 씨앗 및 번식 가능한 식물 줄기 절단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1종을 혼합하여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안정제 조성물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씨앗 및 번식 가능한 식물 줄기 절단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적어도 1종은 토양 안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0.8~3배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안정제 조성물 시공방법.
KR1020070077959A 2007-08-03 2007-08-03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5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59A KR100852891B1 (ko) 2007-08-03 2007-08-03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59A KR100852891B1 (ko) 2007-08-03 2007-08-03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891B1 true KR100852891B1 (ko) 2008-08-19

Family

ID=3987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959A KR100852891B1 (ko) 2007-08-03 2007-08-03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8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55B1 (ko) 2011-08-04 2011-12-01 김재호 토양 경화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4017799A1 (ko) * 2012-07-23 2014-01-30 (주)에이피더블유 사막화 지역의 식생생태계 회복을 위한 시공방법
KR101500586B1 (ko) 2014-02-12 2015-03-31 주식회사 내츄럴스페이스 친환경 식물성장촉진제 조성물
CN111499451A (zh) * 2020-03-31 2020-08-07 四川绿蕴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原退化草地的生态修复材料及生态修复方法
KR102232342B1 (ko) 2020-04-20 2021-03-26 가나조경개발(합)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704A (ja) * 1995-02-20 1996-09-03 Kindai Sangyo Kk 土壌安定化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704A (ja) * 1995-02-20 1996-09-03 Kindai Sangyo Kk 土壌安定化用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55B1 (ko) 2011-08-04 2011-12-01 김재호 토양 경화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4017799A1 (ko) * 2012-07-23 2014-01-30 (주)에이피더블유 사막화 지역의 식생생태계 회복을 위한 시공방법
KR101500586B1 (ko) 2014-02-12 2015-03-31 주식회사 내츄럴스페이스 친환경 식물성장촉진제 조성물
CN111499451A (zh) * 2020-03-31 2020-08-07 四川绿蕴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原退化草地的生态修复材料及生态修复方法
KR102232342B1 (ko) 2020-04-20 2021-03-26 가나조경개발(합)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891B1 (ko)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A1096090A (en) Lignosulfonate-based graft 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uses
WO2006131213A1 (en) Coated plant seeds and a method for coating seeds
RU2570878C2 (ru) Дисперсии полиуретан-акриловых полимер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я
CZ208092A3 (en) Multistage binding agent for for elastomeric filling pastes
KR20020065909A (ko) 멀치 조성물 및 방법
TWI642764B (zh) 土壤流失防治組成物及土壤流失防治方法
EP0999736B3 (en) Removable protective coating
US20020188042A1 (en) Tackifier Composition
CN104557342B (zh) 一种保持性尿素的制备方法
US5770639A (en) Use of selected, biologically safe stabilizers in polyvinyl-ester-based impregnating compositions for soil stabilization
KR100925817B1 (ko)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US5063091A (en) Method for use of aqueous elastomeric coatings
CN102898984B (zh) 一种硫化鞋水性胶粘剂的制备方法
US7619032B2 (en) Aqueous polymer dispersions with high unsaturated flow promoter content
CN105238200B (zh) 一种气干型丙烯酸酯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JPS6038424B2 (ja) 弾性塗料組成物
CN113853869B (zh) 一种喷播剂及其应用
CN107384166A (zh) 一种防霜防冻汽车用涂料
CN104478615B (zh) 一种小麦复混肥及其制备方法
JPH08225704A (ja) 土壌安定化用組成物
KR100314818B1 (ko) 속 고화형 습기경화 폴리우레탄 접착제
US20020165108A1 (en) Removable protective coating
CN1974620A (zh) 丙烯酸-丙烯酰胺共聚物种衣剂的制备方法
KR20120031969A (ko) 토양 녹화를 위한 코팅된 종자, 그 가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