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42B1 -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42B1
KR102232342B1 KR1020200047611A KR20200047611A KR102232342B1 KR 102232342 B1 KR102232342 B1 KR 102232342B1 KR 1020200047611 A KR1020200047611 A KR 1020200047611A KR 20200047611 A KR20200047611 A KR 20200047611A KR 102232342 B1 KR102232342 B1 KR 10223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il
slope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남석
Original Assignee
가나조경개발(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조경개발(합) filed Critical 가나조경개발(합)
Priority to KR102020004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C09K17/44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the inorganic compound being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1Aluminium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4Bentonite, e.g. montmorillo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1Paper, e.g. waste paper; Paper pulp
    • C04B18/243Waste from paper processing or recycling paper, e.g. de-inking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80Soil condit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는 화산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칼슘 50 내지 80중량부, 시멘트 50 내지 80 중량부, 해록석 30 내지 40중량부, 벤토나이트 10 내지 20중량부, 제지슬러지 50 내지 80중량부, 코코피트 10 내지 20중량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되어 있고, 인공토양은 사질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질토 40 내지 80중량부, 거정석분말 5 내지 10중량부, 유기질비료 5 내지 10중량부,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부 및 톱밥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되어 있으며,
또한, 시공하고자 하는 법면이나 비탈면을 포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정리한 다음, 앙카핀을 이용하여 부착망을 설치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토양안정제와 인공토양 및 잔디 종자을 혼합하여 물을 첨가한 다음, 압축 고속분사기로 상기 정리된 시공부위에 분사하여 절토 경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녹화시공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Greening Soil Stabilizer and Greening Method}
본 발명은 훼손된 비탈면이나 경사면의 생태복원에 사용되는 토양안정제와 그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질 재료의 수화반응과 고흡수성 폴리머를 통해 토양의 보수성, 점착성을 양호하게 하여 법면에 고압취부가 가능하게 하며, 토양 공극을 다량 형성하여 토양에 산소를 공급해 주고 보비력을 향상시켜 식물체 생장을 촉진시키는 경사면의 토양안정제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로나 공업단지 등의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사면은 장마철이나 태풍 또는 폭설 시 산사태 등을 유발할 뿐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풍화나 침식되어 낙석 및 붕괴의 위험을 초래하게 되어 절개지나 식물이 생장하기 어려운 무식생지(無植生地)를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토양안정제를 사용하여 사면에 인공적으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초지를 조성하고 녹화하는 사면 녹화 공법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면 등에 사용되는 토양안정제는 종래에는 주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아크릴 공중합체 등의 수성 분산물을 토양안정제로 사용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토양 표면에 충분한 내수성을 부여할 수 없고, 강우량이 많은 경우,토양이 유출되며,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시공시에는 토양 표면에 피막이 형성되고 토양 안정화효과가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 피막이 떨어지고, 균열이 생기며 토양의 침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안정성 뿐만 아니라 경관조성 및 복구에 이르기까지 조경적, 환경보전적 개념이 많이 포함되고 있으며, 토양의 물리성과 식생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녹화토양 안정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345720호에는 식물성 셀룰로오스 10~20중량%, 수산화칼슘(Ca(OH)2) 10~15중량%, 산화칼슘(CaO) 5~1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5~20중량%, 벤토나이트 5~10중량%, 톱밥 10~15중량%, 황토 15~25중량%로 이루어진 습식 인공토양 비탈면 녹화를 위한 안정화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제2001-7905호에는 일반토양에 피트머스, 버미큐라이트, 유기질 비료 및 복합 비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토양 안정화 제는 고착성 시멘트, 화산재 및 응회암, 제오라이트, 규조토, 반수석고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토양 고결화 방지제는 알루미늄 분말, 버미큐라이트 및 유동화재를 혼합하여 제조한 다음, 종자와 물을 교반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반응물질을 이용한 사면 녹화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발명의 명칭이 '무시멘트계 지반경화 안정처리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복토재'인 국내등록특허 제1174617호에는 무시멘트계 지반경화 안정처리재 조성물은 알루미노 규산염계 산업부산물과, 상기 알루미노 규산염계 산업부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함수율 저감용 산업부산물 1~60중량부 및 Na2O 함량이 10~15중량%인 레드머드 분말 5~70중량부 등을 포함하는 무시멘트계 지반경화 안정처리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복토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1780349호에는 플라이 애쉬 40~68 중량%; 무수석고 5~15 중량%; 시멘트 5~20 중량%; 고로슬래그 5 내지 10 중량%; 에폭시수지 5~10 중량%;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10 중량%; 아민계 경화제 2~6 중량%; 황산알루미늄 1~10 중량%; 탄산칼륨 1~5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5 중량%; 및 섬유보강재 0.1~1.5 중량%;를 포함하는 토양안정화용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564560호에는 플라이애쉬 24~28kg, 바텀애쉬 8~ 9.5kg, 제지애쉬 8~9.5kg; 무수석고 8~9.5kg; 화학석고 8~9.5kg; 고로슬래그미분말 16~19kg;초속경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실리카흄, 생석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화합물 8~10kg;볏집, 톱밥, 왕겨, 우드펠릿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친환경 식물성 보강제 5~20kg;로 조성된 지반 개량을 위한 친환경 중성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시도되고 있는 이들 공법은 사면 녹화 조성물질과 그 조성물의 구성비 등에 의해 식생 조건이 불량하고 급경사면에서는 녹화의 피복율이 떨어지고, 법면의 붕괴 위험이 크고, 급경사면에서는 시공이 어려워서 공기가 지연되므로 가격 상승 요인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강우에 토사가 유실되어 더 큰 위험이 발생하므로 상기 공법은 완만한 경사지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훼손된 비탈면을 생태복원 할 수 있는 친환경 복원용 녹화토양 안정제 조성물로 제지슬러지, 레드머드, 시멘트, 황산마그네슘, 무수석고, 버미큘라이트 및 포타슘 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녹화 안정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인 국내등록특허 제1863044호을 발명한 바 있으나, 상기의 녹화 안정제 조성물을 보다 개량시켜, 토양의 물성 향상이나 식물의 식생환경이 개선된 본 발명의 개발하게 되었다.
1. 국내등록특허 제1345720호(비교2) 1. 국내공개특허 제2001-7905호(비교3) 1. 국내등록특허 제1174617호 1. 국내등록특허 제1564560호 1. 국내등록특허 제1863044호(비교1) 1. 국내공개특허 제2007-0112919(비교6) 1. 국내등록특허 제0353923호(비교7) 1. 국내등록특허 제0852891호(비교9) 1. 국내등록특허 제1780349호(중요)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지 슬러리 및 무기질 재료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및 코코피트 등을 적절히 조성한 토양안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질토 및 사질토로 조성된 일반토양에 거정석분말, 유기질비료, 복합비료 및 톱밥으로 조성되는 인공토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한 인공토양과 녹화토양 안정제 및 잔디종자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압축 고속분사기로 시공부위에 분사하여 생태복원 녹화시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서 수화반응과 고흡수성 폴리머를 통해 토양의 보수성, 점착성을 양호하게 하며, 토양공극을 다량 형성하여 토양에 산소를 공급해 주고, 보비력을 향상시켜 식물체 생장을 촉진시키는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토양의 응결력 또는 응집력을 향상시키며,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국내등록특허 1863044호(발명의 명칭 : 녹화토양 안정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시공방법)을 개량한 것으로서, 화산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칼슘 50 내지 80중량부, 시멘트 50 내지 80 중량부, 해록석 30 내지 40중량부, 벤토나이트 10 내지 20중량부, 제지슬러지 50 내지 80중량부, 코코피트 10 내지 20중량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된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를 제공한다.
또한, 사질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질토 40 내지 80중량부, 거정석분말 5 내지 10중량부, 유기질비료 5 내지 10중량부,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부 및 톱밥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되는 인공토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기질 재료의 수화반응과 고흡수성 폴리머를 통해 토양의 보수성, 점착성을 양호하게 하며 토양 공극을 다량 형성하여 토양에 산소를 공급해 주고 보비력을 향상시켜 식물체 생장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비탈면 녹화공법에 적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 등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서술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서에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는 화산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칼슘 50 내지 80중량부, 시멘트 50 내지 80 중량부, 해록석 30 내지 40중량부, 벤토나이트 10 내지 20중량부, 제지슬러지 50 내지 80중량부, 코코피트 10 내지 20중량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화산재는 화산 활동으로 인한 충격이나 화산 가스의 침식 등으로 부서진 상태로 방출되는 암편들을 화산쇄설물이라 하며, 이 중 화산에서 분출된 용암의 부스러기 가운데 크기가 0.25 ~ 2mm 정도의 작은 알갱이들의 퇴적물을 화산재라 한다. 화산재 속에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화산재로 뒤덮였던 땅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식물이 자라기에 좋은 토양으로 변한다고 알려져 있다.
산화칼슘(CaO)은 칼슘의 산화물로 생석회, 생회(生灰), 강회(剛灰), 백회(白灰)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탄산 칼슘(CaCO3)을 공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가열하면 이산화탄소(CO2)를 잃으며 생성된다.
CaCO3(s) → CaO(s) + CO2(g) (진공에서 가열)
생석회가 물에 용해되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 칼슘(Ca(OH)2)이 생성되면서 이온화 되어 용액이 염기성을 띤다.
CaO(s) + H2O(l) → Ca(OH)2(s)
이와 같은 성질 때문에 산성비와 화학 비료 등으로 산성화된 논이나 밭을 중화시키는 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해록석은 (K,Ca,Na)(Al,FeIII,FeII,Mg)2(Si,Al)4O10(OH)2 등의 화학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철이나 칼륨 등의 함수규산염으로 분류상 운모에 가까운데 항상 미세한 입상 또는 토상(土狀)으로 사암 등의 퇴적암과 합분(合分)이 되어 있어, 해록석사암을 만든다. 녹색 또는 회록색을 띤다. 천해성(淺海性) 퇴적암이나 화산쇄설암 속에서 산출된다. 이온교환제로서 경수(硬水)의 연화나, 칼륨비료로서 이용된다. 해록석은 퇴적물과 동시생성광물인 칼륨을 함유하므로 칼륨-아르곤법(K-Ar法)으로 절대연대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지층의 연대측정에 가장 주목되는 광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해록석은 조성물 전체의 이온교환 또는 연화제 또는 혼화제로 이용하며, 사용량은 30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가 주로 들어있는 점토를 말한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등을 나타내며 주물형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석영·장석(長石)·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다. 빛깔은 백색·회색·담갈색·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벤토나이트는 수많은 친수성기를 가지고 있어 암모니아를 흡착해 보비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는 용매를 흡수하여 팽윤된 겔을 형성하는데 이는 토양사이의 공극을 넓혀주기 때문에 통기성을 좋게 해준다. 본 발명에서 벤토나이트의 사용량은 10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지슬러지는 제지를 제조하고 남은 폐기물로 제지 제조과정 중에 제지슬러지가 많은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발생하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폐기물로, 이러한 제지슬러지는 제조공장에 따라 배출량에 차이가 있으나, 1일 기준 수십톤에서 수천톤까지 막대한 양이 생성되어 이들의 처리에 막대상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지슬러지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토양 미생물의 먹이 공급원의 역할을 하고,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는 미세한 고분자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어 물과 혼합되면 점성이 증가하여 접착력이 발휘함으로써, 토양안정제의 각각의 구성성분의 유실을 최소화시켜준다. 본 발명에서의 제지슬러지의 사용량은 80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강도 발현율이 저하될 수 있고, 50중량부를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성분들과의 접착력이 떨어지므로 50 내지 8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코코피트는 야자열매(coconut)의 껍질 부위에서 야자섬유를 뽑고난 후 자연상태에서 부식시킨 다음 압축성형하여 규격화한 제품으로 자연상태에서 부식시키는 기간이 3 - 5개월 사이가 걸리므로 이 기간 동안에 식물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는 탄닌성분과 염분이 빠져나가 식물 생장에 유용한 자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코코피트는 보수력이 높고, 통기성이 좋으며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증가되어 식물 재배용의 인공토양의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고흡수 고분자 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흡수 고분자 수지는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지만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20 내지 4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중량부 미만 혼합되면 준설토를 응집 및 침전시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40 중량부 초과 혼합되면 점성이 너무 높아져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 장비에 달라붙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인공토양은 사질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질토 40 내지 80중량부, 거정석분말 5 내지 10중량부, 유기질비료 5 내지 10중량부,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부 및 톱밥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의 사질토 및 점질토는 경제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부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식물의 생육 및 성장에 적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거정석(Pegmatite)은 심성암을 함유하는 암맥에서 발견되는 조립질 화성암으로서, 심성암이 되고 남은 마그마의 진액에 염소, 플루오르, 물 등의 휘발성 물질들이 농집하여 서서히 냉각되어 생성되므로 베릴륨, 우라늄, 니오브, 탄탈, 세륨 등의 희소광물이 많이 침전되어 있고 동식물체에 유용한 필수 미네랄들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질 비료는 돈분이나 계분에 톱밥을 사용하여 최소 3개월 이상 발효시킨 것으로 유기물이 장기간 유지되므로 식물의 후기 생육을 좋게 한다. 또한, 복합비료는 유기물질이 부족한 무기질 비료를 첨가함으로서 식물이 안정되게 생육하는 데 기인한다. 상기의 유기질 비료 및 복합 비료는 식물 생장에 필수 영양요소인 유기질과 무기질을 고루 함유하고 있고 동시에 보습력, 보비력을 증가시키고 양이온 치환 능력도 고루 갖추어 식물의 생육 및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톱밥은 토양에서 공극을 넓혀주고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식물근계의 호흡증진 및 토양내 적정 수분 유지하고 토양내 비료효과와 토착미생물 활동촉진을 도우며 토양 산성화 및 토사유실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술한 성분들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토양 안정제와 인공토양은 자원의 재활용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에 효과가 있는 무기물질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단립화가 이루어지면서 보수력, 보비력, 점착성 등 토양의 물성개선에 영향을 주어 훼손된 비탈면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1공정(토양안정제 제조)
화산재 100Kg과 산화칼슘 50Kg, 시멘트 50Kg, 해록석 30Kg, 벤토나이트 10 Kg, 제지슬러지 50Kg, 코코피트 10Kg,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10Kg을 교반기에 넣고, 1,000 RPM으로 30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를 제조하였다.
제2공정(인공토양 제조)
사질토 100Kg과 하여 점질토 40Kg, 거정석분말 5Kg 유기질비료 5Kg, 복합비료 5 Kg 및 톱밥 10 Kg을 혼합하여 인공토양을 제조하였다.
제3공정(생태복원 녹화 시공)
시공하고자 하는 법면이나 비탈면을 포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정리한 다음, 앙카핀을 이용하여 부착망을 설치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공정 1에서 제조한 녹화토양안정제 5kg과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한 인공토양 95kg에 잔디 종자 0.05 kg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물 500kg을 첨가한 다음, 압축 고속분사기로 상기 정리된 시공부위에 분사하여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를 이용하여 생태복원 녹화 시공하였다.
실시예2
제4공정(토양안정제 제조)
화산재 100Kg과 산화칼슘 80Kg, 시멘트 80Kg, 해록석 40Kg, 벤토나이트 20 Kg, 제지슬러지 80Kg, 코코피트 20Kg,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20Kg을 교반기에 넣고, 1,000 RPM으로 30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를 제조하였다.
제5공정(인공토양 제조)
사질토 100Kg과 하여 점질토 80Kg, 거정석분말 10Kg, 유기질비료 10Kg, 복합비료 10Kg 및 톱밥 20 Kg을 혼합하여 인공토양을 제조하였다.
제6공정(생태복원 녹화 시공)
시공하고자 하는 법면이나 비탈면을 포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정리한 다음, 앙카핀을 이용하여 부착망을 설치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공정 3에서 제조한 녹화토양안정제 10kg과 상기 제4공정에서 제조한 인공토양 90kg에 잔디 종자 0.05 kg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물 500kg을 첨가한 다음, 압축 고속분사기로 상기 정리된 시공부위에 분사하여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를 이용하여 생태복원 녹화 시공하였다.
실험예1
실시예 1의 제3공정인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으로 경사각 45°면적 196㎠에 두께 7㎝로 사면에 시공부위에 분사하여 시공하였다.
시공 작업시 온도는 25℃이었으며, 다음날 비가 내렸으나 사면에서 세굴에서 흘러내림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부착성이 우수하고, 흡수가 잘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일 후 강우가 발생하였으나, 세굴이나 흘러내림이 전혀 없었고 표면에서 싹이 올라오기 시작하였다. 15일 후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싹이 올라와 표면의 경도가 씨앗이 발아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 및 바람직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 방법임을 말해 주는 것이다.
실험예2 : 토양안정제의 물성측정
1m×1m 면적의 사면에 7㎝ 두께의 시공제를 제조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토양안정제 및 인공토양과 등록특허 제1863044호의 토양안정제 및 인공토양(비교예 1)과 일반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K사의 토양안정제(비교예 2)를 스프레이한 후 7일간 방치하였다.
경도측정은 산중식 토양경도계를 사용하였고, 건조 상태의 경도는 실내온도 20℃, 상대습도 60%의 조건에서 7일간 방치 후 측정하였다. 발아율은 상기 공시체에 1일 2회(아침, 저녁) 살수하고, 1주일 후 씨앗의 발아 정도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경도
건조상태 25 26 23 20
젖은 상태 21 23 18 17
발아율 6 7 92 89
최초발아일 7 6 8 9
45일 경과시 잔디크기 10 12 8 7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녹화토양 안정제 조성물 및 인공토양을 함유하는 토양은 스프레이 해주면 건조 도막을 생성한 후 보습 기능을 나타내어 씨앗 등에 수분을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수성이 커서 우기에는 수분을 흡수 저장하고, 건기에는 수분을 씨앗에 공급하여 줌으로써 발아율이 비교예 1 및 비교에 2에 비하여 매우 높고, 발아일 역시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일찍 발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잔디의 생장 역시도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안정제를 함유하는 토양이 비하여 빨리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3)

  1. 삭제
  2. 화산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칼슘 50중량부, 시멘트 50 내지 80 중량부, 해록석 30중량부, 벤토나이트 10중량부, 제지슬러지 50중량부, 코코피트 10 내지 20중량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10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 경사면의 토양안정제.
  3. 화산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칼슘 50 내지 80중량부, 시멘트 50 내지 80 중량부, 해록석 30 내지 40중량부, 벤토나이트 10 내지 20중량부, 제지슬러지 50 내지 80중량부, 코코피트 10 내지 20중량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M)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되는 토양안정제를 제조하는 제1공정;
    인공토양은 사질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질토 40 내지 80중량부, 거정석분말 5 내지 10중량부, 유기질비료 5 내지 10중량부,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부 및 톱밥 10 내지 20중량부로 조성되는 인공토양을 제조하는 제2공정;
    시공하고자 하는 법면 또는 비탈면을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정리한 다음, 앙카핀을 이용하여 부착망을 설치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토양안정제 5kg과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인공토양 95kg에 잔디 종자 0.05 kg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물 500kg을 첨가한 다음, 압축 고속분사기로 상기 정리된 시공부위에 분사하는 생태복원 녹화 시공공법.
KR1020200047611A 2020-04-20 2020-04-20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KR10223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11A KR102232342B1 (ko) 2020-04-20 2020-04-20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11A KR102232342B1 (ko) 2020-04-20 2020-04-20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342B1 true KR102232342B1 (ko) 2021-03-26

Family

ID=7525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611A KR102232342B1 (ko) 2020-04-20 2020-04-20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4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05A (ko) 2000-10-20 2001-02-05 길인 수화반응물질을 이용한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2919A (ko) 2006-05-23 2007-11-28 조규형 녹화ㆍ토양안정화용 무기질재료, 그것을 이용한두께층기재종자 분무공법 또는 토양안정화방법
KR100852891B1 (ko) 2007-08-03 2008-08-19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74617B1 (ko) 2012-02-03 2012-08-16 박소민 무시멘트계 지반경화 안정처리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복토재
KR20120137132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내츄럴스페이스 친환경 식물성장촉진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성토사면 시공방법
KR101345720B1 (ko) 2013-02-28 2013-12-30 이정희 습식 인공토양 비탈면 녹화를 위한 안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안정화방법
KR20140101254A (ko) * 2013-02-08 2014-08-19 청산산업 주식회사 경사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시드 조성물 및 그에 의한 생태 복원 공법
KR101564560B1 (ko) 2014-11-18 2015-10-30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친환경 중성 지반 개량용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1780349B1 (ko) 2017-03-20 2017-09-20 주식회사 세승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및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용 조성물
KR101863044B1 (ko) 2018-01-29 2018-06-01 (주) 태호엘앤디 녹화토양 안정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05A (ko) 2000-10-20 2001-02-05 길인 수화반응물질을 이용한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3923B1 (ko) 2000-10-20 2002-09-28 길인 수화반응물질을 이용한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2919A (ko) 2006-05-23 2007-11-28 조규형 녹화ㆍ토양안정화용 무기질재료, 그것을 이용한두께층기재종자 분무공법 또는 토양안정화방법
KR100852891B1 (ko) 2007-08-03 2008-08-19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토양안정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37132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내츄럴스페이스 친환경 식물성장촉진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성토사면 시공방법
KR101174617B1 (ko) 2012-02-03 2012-08-16 박소민 무시멘트계 지반경화 안정처리재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복토재
KR20140101254A (ko) * 2013-02-08 2014-08-19 청산산업 주식회사 경사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시드 조성물 및 그에 의한 생태 복원 공법
KR101345720B1 (ko) 2013-02-28 2013-12-30 이정희 습식 인공토양 비탈면 녹화를 위한 안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안정화방법
KR101564560B1 (ko) 2014-11-18 2015-10-30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친환경 중성 지반 개량용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1780349B1 (ko) 2017-03-20 2017-09-20 주식회사 세승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및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용 조성물
KR101863044B1 (ko) 2018-01-29 2018-06-01 (주) 태호엘앤디 녹화토양 안정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7902B (zh) 以工业废弃物为主原料的绿色环保土壤固化剂及其使用方法
CN102031786B (zh) 绿化植被混凝土及其施工方法
KR101780349B1 (ko)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및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용 조성물
CN110317008B (zh) 一种植被混凝土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302750A (zh) 一种凝胶材料及适用于植物生长的混凝土
CN109626950A (zh) 生态护坡混凝土及其施工方法
CN107384424A (zh) 一种碱性土壤改良剂
KR101863044B1 (ko) 녹화토양 안정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CN109912275A (zh) 一种含有硫化铜矿酸性废水底泥的抗冻植被混凝土、制备方法及其用途
KR102125872B1 (ko) 친환경 복원 식생 녹화토양 안정제
CN112250402A (zh) 集边坡防护及植被恢复于一体的石膏基泡沫材料制备方法
CN1070905C (zh) 绿化、土壤稳定化用无机质材料及其用于种子喷播、土壤稳定方法的用途
KR102526425B1 (ko) 사면의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KR102232342B1 (ko) 경사면의 토양안정제와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녹화 시공방법
KR101435184B1 (ko) 건식과 습식 병행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공법
CN116076189A (zh) 一种促进烧结法赤泥土壤化改良及其植被恢复的方法
KR100284505B1 (ko) 비탈면보호식재용코매트조성물및이를이용한녹화공법
KR20040093832A (ko) 자연형 식생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2674116B1 (ko) 사면 녹화용 식생 기반재를 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JP4714855B2 (ja) 植物成育基盤材、それを用いた客土吹付け工法または厚層基材吹付け工法
KR102674115B1 (ko) 절개사면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KR102666381B1 (ko) 사면 안정용 토양 혼합물
KR101201999B1 (ko)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JP3649439B2 (ja) 伐採樹木を植物成育基盤材として用いた客土吹付工法または厚層基材吹付工法
KR100892730B1 (ko) 암 절개면 식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