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694B1 -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694B1
KR100851694B1 KR1020067025138A KR20067025138A KR100851694B1 KR 100851694 B1 KR100851694 B1 KR 100851694B1 KR 1020067025138 A KR1020067025138 A KR 1020067025138A KR 20067025138 A KR20067025138 A KR 20067025138A KR 100851694 B1 KR100851694 B1 KR 10085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lareol
group
skin
wrinkl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713A (ko
Inventor
교꼬 미우라
아끼노리 하라다께
슌수께 야마자끼
부니찌 오까베
다께시 이께모또
Original Assignee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4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91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35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9235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노화에 따라, 특히 노광 부위에 발생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화학식 1>

Description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WRINKLE REDUCTION AGENT AND COSMETIC SKIN PREPARATION}
본 발명은 노화에 따라, 특히 노광 부위에 발생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장기는 탄생하여 성장한 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서서히 쇠퇴하여 마침내 기능이 정지하고, 기능이 정지된 부분이 있는 일정 이상이 되면 죽음에 이른다. 그 기능이 서서히 쇠퇴해 가는 상태를 노화라 부르고 있다. 피부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고 있고, 생체 내부의 환경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모두가 기능 정지에 이르는 일은 그다지 없지만, 주름, 기미, 칙칙함, 늘어짐 등 노화 징후가 현재화되기 쉬운 장기이며, 일광에 폭로되는 노광 부위에서는 특히 현저하다.
피부의 노화가 진행되면, 산화 스트레스 등의 자극에 대한 방어가 약해져, 피부 내부 환경을 교란시키는 원인이 되어 더욱 노화를 진행시킨다. 특히, 노광 부위에서는 자외선 등 강한 산화 스트레스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노화의 진행이 현저하다. 이러한 피부 변화를 광노화라 부르고 있고, 그와 같은 피부에서는 표피가 비후하고, 진피에서는 대다수를 차지하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이 감소됨으로써 피부 표면에서 주름이 깊고 커지는 등 미용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광노화가 진행된 결과로 생기는 주름에 대하여 개선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미국에서는 레티노산이 처방전약으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부작용이 강하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승인에 이르지 못하였다(비 특허 문헌 1 참조). 따라서, 안전성이 높고 충분한 효과를 갖는 주름 개선 물질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스클라레올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테르펜 알코올로서,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는 꿀풀과 식물인 클라리 세이지 등의 추출물이나 정유로부터 얻어진다. 스클라레올은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하고 있고, 우수한 호르몬 조정 작용이 있기 때문에, 아로마테라피 등 향료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비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스클라레올을 배합함에 따른 멜라닌 생산 억제제(특허 문헌 1 참조) 등도 제안되었지만, 도포시의 안전성이나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아무런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스클라레올은 피부 감작성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즉, 스클라레올은 피부 화장료에 대한 배합량에 따라서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236130호 공보
<비 특허 문헌 1> 하마다 요시오, 후쿠세 하지메, "항주름 소재로서의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프래그랜스 저널", 프래그랜스 저널사, 1998년 4월 15일 발행, 제26권, 4호, 75-77 페이지
<비 특허 문헌 2> 이토 미쓰아키, "꿀풀과 식물의 화장품으로의 응용-익모초를 중심으로-", "프래그랜스 저널", 프래그랜스 저널사, 2001년 5월 15일 발행, 제29권, 5호, 77-80 페이지
도 1은 제조예 1에 기재한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제조예 1에 기재한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제조예 3에 기재한 스클라레올 디아세틸체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제조예 3에 기재한 스클라레올 모노아세틸체(이성체 혼합품)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는 도쿄 가세이 고교사, 시그마 알드리치사 등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스클라레올을, 팔라듐 카본 등을 이용하여 알케닐기를 환원함으로써, 또는 산 클로라이드 또는 산 무수물 등을 이용하여 아실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꿀풀과 식물인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등 스클라레올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을 그대로 환원 또는 아실화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추출물은 클라리 세이지의 전초, 잎, 꽃, 줄기, 뿌리 등 모든 부위를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을 용매, 예를 들면 액화 가스(액화 탄산, 액화 프로판, 액화 부탄 등),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류(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등), 함수 저급 알코올류,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과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산의 에스테르류(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상기 에스테르류 및 케톤류의 함수물, 할로겐화 탄화수소류(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등), 에테르류(메틸에테르, 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 탄화수소류(석유 에테르, 헥산 등)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농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용매 중에 원료 식물을 실온에서 1 내지 100 시간 정도 침지하는 방법, 또는 용매의 비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온, 교반하면서 추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료 식물에 대하여 질량비로 1 내지 100 배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배량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얻어지는 정유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추출물은 클라리 세이지의 잎부, 꽃부, 또는 전초를 석유 에테르, 헥산 등의 탄화수소류에 의해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추출 후,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류로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향료 업계에서 범용되는 콘크리트 또는 앱솔루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콘크리트란 예를 들면 꽃과 정제된 용매(석유 에테르, 헥산 등)을 추출기에 넣고, 실온에서 침지시켜 꽃 향기를 이행시킨 후, 처리가 완료된 꽃을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것이다. 또한 앱솔루트란 예를 들면 콘크리트를 고순도의 에틸 알코올에 가온 용해시켜 재추출하고, 용액을 예를 들면 -15 ℃ 내지 -25 ℃로 냉각하여 왁스 등의 불용해물을 제거한 뒤, 감압하에서 에틸 알코올을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는 시판되고 있는 스클라레올 또는 꿀풀과 식물인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등 스클라레올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그대로를 팔라듐 카본 등을 이용하여 알케닐기를 환원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이다.
또한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는 시판되고 있는 스클라레올 또는 꿀풀과 식물인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 등 스클라레올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그대로를 산 클로라이드 또는 산 무수물 등을 이용하여 아실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고, 식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지만, 단, R1 및 R2는 동시에 수소 원자일 수는 없는, 스클라레올 아실체이다.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아실체의 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고, 식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지만, 단, R1 및 R2는 동시에 수소 원자일 수는 없는, 스클라레올 아실체를 들 수 있다.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아실체는 모노아실체일 수도 있고, 디아실체일 수도 있으며, 디아실체의 경우, 2개의 아실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스클라레올 모노아실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의 예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이소부티릴기, 발레릴기, 이소발레릴기, 피발로일기, 헥사노일기, 옥타노일기, 라우로일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아실기; 또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크로토닐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불포화 아실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아실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 헥사노일기, 옥타노일기이고, 특히 아세틸기이다.
본 발명에서의 스클라레올 유도체의 배합량은 주름 개선제 또는 피부 화장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0.001 내지 10.0 질량%(이하, 단순히 %라 기록함)가 바람직하다. 이 하한 미만의 배합량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한편, 상한을 초과하여도 그 증가분에 걸맞는 효과의 향상이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의 스클라레올 유도체의 배합량은 0.01 내지 8.0%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5.0%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클라리 세이지 추출물로부터 얻어지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단리하지 않고 본 발명의 주름 개선제 또는 피부 화장료에 이용하는 경우, 함유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의 양이 상기 범위 내가 되도록 배합된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제는 피부 화장료나 외용제로서 의약품, 의약 부외품, 입욕제 등에 적용할 수 있고, 제형적으로는 예를 들면 로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에는 상기 외에 색소, 향료, 방부제, 계면 활성제, 안료, 항산화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화에 의해, 특히 노광 부위에서 현저히 현재화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 스클라레올 유도체, 특히 스클라레올의 알케닐기를 환원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 및 스클라레올의 히드록실기의 적어도 한쪽을 아실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스클라레올 아실체가 스클라레올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안전성을 갖는 동시에, 이를 배합한 피부 화장료가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식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인 경우, R3은 에틸기이고,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인 경우, R3은 에테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는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이고, R3이 에틸기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은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또한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이고, R3이 에테닐기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는 꿀풀과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추출물을 수소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는 꿀풀과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추출물을 아실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식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인 경우, R3은 에틸기이고,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인 경우, R3은 에테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은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이고, R3이 에틸기인, 청구항 6에 기재된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은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또한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이고, R3이 에테닐기인, 청구항 6에 기재된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9는 꿀풀과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의 추출물을 수소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0은 꿀풀과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의 추출물을 아실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특히 노광 부위에 발생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를 피부 과학적 및 미용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1<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제조예>
스클라레올(시그마 알드리치(SIGMA-ALDRICH), cat. No. 35,799-5) 1.5 g을 에탄올 50 mL에 녹이고, 이 용액에 팔라듐 카본(5% 팔라듐) 500 mg을 첨가하여 수소 분위기하(상압)에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 1.2 g을 얻었다.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1H-NMR로부터, 스클라레올의 1H-NMR에서 5.03 ppm(dd, J=10.8, 1.2 Hz), 5.21 ppm(dd, J=17.2, 1.4 Hz), 5.94 ppm(dd, J=17.4, 10.8 Hz)에 보이는 올레핀의 시그널의 소실, 및 0.90 ppm(t, 3H)에 올레핀의 환원에 의해 생긴 메틸의 시그널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1H-NMR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13C-NMR로부터, 스클라레올의 13C-NMR에서 111 ppm, 146 ppm에 보이는 올레핀의 시그널의 소실, 및 8.15 ppm, 35.1 ppm에 각각올레핀의 환원에 의해 생긴 메틸, 메틸렌의 시그널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2<클라리 세이지 콘크리트를 이용한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의 제조예>
클라리 세이지 콘크리트 10 g을 에탄올 500 mL에 녹이고, 이 용액에 팔라듐 카본(5% 팔라듐) 3.5 g을 첨가하여 수소 분위기하(상압)에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클라리 세이지 수소 첨가물 8 g(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을 약 70 내지 80% 함유)을 얻었다.
제조예 3<스클라레올 아실체의 제조예>
스클라레올(시그마 알드리치(SIGMA-ALDRICH), cat. No. 35,799-5) 1.5 g을 무수 초산 10 mL에 녹이고, 이 용액에 피리딘을 적하한 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수세한 후에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건조한 후에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8/1 내지 4/1)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헥산/아세트산에틸=6/1)에 있어서의 rf값=0.86과 0.40을 분획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인 스클라레올 디아세틸체와 스클라레올 모노아세틸체(이성체 혼합품) 각각을 0.5 g과 0.6 g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스클라레올 디아세틸체의 13C-NMR에서는 스클라레올에 있어서의 73.6 ppm과 74.7 ppm의 시그널이 소실되고, 83.3 ppm과 87.9 ppm에 아세틸기가 치환됨에 따른 시그널을 확인하였다. 또한, 169.7 ppm과 170.2 ppm에 새롭게 카르보닐 탄소의 시그널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스클라레올 디아세틸체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스클라레올 모노아세틸체(이성체 혼합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히드록실기의 아세틸화를 지지하는 시그널의 소실과 새로운 시그널을 확인하는 13C-NMR 스펙트럼을 얻음으로써, 그 생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클라레올 모노아세틸체(이성체 혼합품)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4<클라리 세이지 콘크리트를 이용한 스클라레올 아실체의 제조예>
클라리 세이지 콘크리트 10 g을 무수 아세트산 100 mL에 녹이고, 이 용액에 피리딘을 적하한 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수세한 후에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건조한 후에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8/1 내지 4/1)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헥산/아세트산에틸=6/1)에 있어서의 rf값=0.86과 0.40을 분획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클라리 세이지 디아세틸체와 클라리 세이지 모노아세틸체(이성체 혼합품) 각각을 3.4 g과 4.0 g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시험예 1<스클라레올 유도체 및 스클라레올의 안전성 시험예>
극대화 테스트(Maximization test)에 의해 안전성(감작성)을 평가하였다.
체중 350 내지 400 g의 하트레이계 몰모트(암컷)의 견갑골 상의 4×6 ㎠의 피부에 털을 깍아내고, 1열에 3개의 피내 주사를 다음 순서에 따라 2열에 행하였다.
1) 프로인트 완전 보조제(이하, FCA 용액이라 약기함)를 좌우 2 군데에 0.05 mL씩 피내 주사한다.
2)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스클라레올 유도체 또는 스클라레올을 10% 함유하는 올리브유 용액을 각각 좌우 2 군데에 0.05 mL 씩 피내 주사한다.
3)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스클라레올 유도체 또는 스클라레올을 20% 함유하는 FCA 용액에 동량의 멸균수를 첨가하고, 유화된 용액을 각각 좌우 2 군데에 0.05 mL 피내 주사한다.
이들 조작 1주일 후에 동일 부위의 털을 깍고, 10% 라우릴황산소다 함유바셀린을 문질러 바르고 경도의 염증을 일으켰다. 도포 24 시간 후에 동일 부위에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 샘플 및 스클라레올 10% 함유 올리브유 용액 0.2 mL을 거즈에 도포하고, 48 시간 폐색 접착하였다. 피내 주사 후 21일째에 복측부의 털을 깍고,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 샘플 5%, 10% 함유 각올리브유 용액 및 스클라레올 샘플 5% 함유 올리브유 용액을 24 시간 폐색 접착하였다. 판정은 24 시간 후와 48 시간 후에 표 1에 나타낸 평가 기준에 따라서 육안으로 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클라레올에는 감작성이 확인되었음에 반해,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에는 감작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스클라레올과 비교하여 명백히 높은 안전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스클라레올 유도체의 주름 개선 시험예>
기제 단독, 또는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배합한 시료를, 광노화시킨 피부에 적용했을 때의 주름 개선 효과를 다음 시험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1. 실험 동물
시험 개시시 10 주령의 무모 마우스 1군 10마리를 이용하였다.
2. 주름 개선 효과의 측정
2-1. 광노화 조건 및 측정 방법
광노화는 UVA와 UVB를 1일 1회, 주 5회, 8 주간 조사함으로써 유발시켰다. 조사량은 UVA가 20 J/㎠, 25 J/㎠, 30 J/㎠, UVB를 2 mJ/㎠, 30 mJ/㎠, 40 mJ/㎠로 1 주일마다 증량하고, 3 주째 이후에는 최대량을 조사하였다.
주름 개선 효과는 주름 스코어와 진피 콜라겐양에 의해 평가하였다. 주름 스코어는 비세트 등의 방법(Bissett, et al., Photochem Photobiol 46: 367-378, 1987)에 따라서 채점하였다. 즉, 주름의 크기 및 깊이를 육안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최고점을 3점으로 하여, "크고 깊은 주름을 확인할 수 있다"를 3, "주름을 확인할 수 있다"를 2, "주름을 확인할 수 없다"를 1, "정상적인 살결이 관찰된다"를 0으로 하였다.
진피 콜라겐량의 측정은 전층 피부를 채취하여 폴리트론 균질기(키네마티카(KINEMATICA)사 제조)로 파쇄한 후, 콜라겐 획분을 추출하여 산 가수분해한 후, 히드록시프롤린 함유량을 콜라겐량으로 하여 아미노산 분석 장치(닛본 분꼬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2. 시료와 실험 방법
50% 에탄올 수용액(기제)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스클라레올 모노아세틸체(이성체 혼합품) 및 스클라레올 디아세틸체를 각각 1% 배합한 시료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 내지 3). 또한 기제 단독의 시료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우선, 이들 시료 0.1 mL를 무모 마우스의 등부 피부(직경 약 2.5 cm)에 1일 1회, 1 주일에 5회의 빈도로 UV 조사 개시후 5 주째부터 조사 종료 후 4 주째까지 도포하였다. 그리고, 도포 종료 후에 주름 스코어를 채점하고, 도살 후 피부를 채취하였다. 콜라겐 함유량은 1 ㎠당 히드록시프롤린량을 산출하였다. 주름 스코어와 콜라겐 함유량 모두 기제 도포군을 대조구로 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은 주름 스코어값을 나타내고, 광노화에 의해 유발한 주름에 대하여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유효함을 나타내었다.
콜라겐 함유량 측정 결과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콜라겐 함유량이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는 진피 콜라겐량에 대하여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명백히 광노화에 의한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5 및 비교예 2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 조성의 스킨 로션을 하기의 제조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이를 시료로 하여 다음 조작에 의해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눈가에 주름이 있는 5명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여성, 42 내지 56세)에게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스킨 로션을 도포하고,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눈가 부분의 피부(주름) 상태에 대하여 앙케이트 조사를 행하였다.
각 시료 각각을,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하나를 정하여, 아침 세안 후 및 저녁 입욕 후 1일 2회, 2개월간(60일) 연속적으로 눈가의 주름 부분(각 시료마다 눈가를 중심으로 약 4 ㎠, 2×2 cm)에 약 0.2 mL씩 도포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최종 도포 종료 후에 좌우 눈가 부분의 피부(주름) 상태에 대하여 앙케이트에 대답하도록 하였다.
제조법
각 실시예에 있어서, C 성분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B 성분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A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 분산하고, 이어서 용기에 충전한다. 사용시에는 내용물을 균일하게 진탕 분산하여 사용한다. 한편, C 성분의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졌다. 한편, 스클라레올 디옥타노일체는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 예를 들면, 무수 아세트산 대신에 염화옥타노일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졌다.
앙케이트 결과를 바탕으로 피부(주름) 상태에 관한 각 항목에 있어서, 비교예 2보다 실시예 4의 스킨 로션 쪽이 유효하다고 회답한 인원수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앙케이트 결과를 바탕으로 피부(주름) 상태에 관한 각 항목에 있어서, 비교예 2보다 실시예 5의 스킨 로션쪽이 유효하다고 회답한 인원수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본 시험 결과로부터 실시예 4 및 5의 스킨 로션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명백히 주름을 개선하였고, 또한, 광노화에 의해 악화되는 유연성이나 피부의 탄력까지도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로션에 의한 자극이나 가려움 등의 피부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6 내지 10
하기 조성의 스킨 크림을 하기의 제조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사전 앙케이트로 눈가의 주름을 피부 고민으로서 든 20명의 건강한 성인(여성, 45 내지 56세)에 1주일 이상 사용하게 하고 앙케이트 조사를 행하였다.
제조법
각 실시예에 있어서, C 성분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B 성분에 첨가하고, A, B 성분을 각각 80 ℃로 가열 용해한 후,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30 ℃까지 냉각하여 스킨 크림을 제조하였다. 한편, C 성분의 수소 첨가 스클라레올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지고, 클라리 세이지 수소 첨가물은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지며, 클라리 세이지 디아세틸체 및 클라리세이지 모노아세틸체는 제조예 4에서 얻었다. 한편, 스클라레올 모노헥사노일체는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 예를 들면, 무수 아세트산 대신에 염화헥사노일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졌다.
실시예 6 내지 10의 스킨 크림을 사용하게 하고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한편, 결과는 주름 상태에 대하여 하기 항목의 앙케이트 조사를 행하고, 각 항목마다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후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회답한 인원수를 나타내었다.
본 시험 결과로부터 실시예 6 내지 10의 스킨 크림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고 실감하고 있는 사람이 거의 전원으로, 그 요인으로서 주름수보다도 주름의 크기를 경감시킴으로써 광노화에 의한 주름을 개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크림에 의한 자극이나 가려움 등의 피부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피부 화장료나 외용제로서 의약품, 의약 부외품이나 입욕제 등에 적용할 수 있고, 제형적으로는 예를 들면 로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등으로 할 수 있고, 피부 미용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
    <화학식 1>
    식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인 경우, R3은 에틸기이고,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인 경우, R3은 에테닐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이고, R3이 에틸기인,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
  3.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또한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이고, R3이 에테닐기인,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
  4. 제2항에 있어서,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꿀풀과 (Lamiaceae)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추출물을 수소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
  5. 제3항에 있어서,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꿀풀과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추출물을 아실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화학식 1>
    식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인 경우, R3은 에틸기이고,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인 경우, R3은 에테닐기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이고, R3이 에틸기인,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8. 제6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기이고, 또한 R1 및 R2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아실기이고, R3이 에테닐기인,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9. 제7항에 있어서,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꿀풀과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의 추출물을 수소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10. 제8항에 있어서, 스클라레올 유도체가 꿀풀과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의 추출물을 아실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KR1020067025138A 2004-04-30 2005-04-28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KR100851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5183 2004-04-30
JP2004135183 2004-04-30
JP2004184296A JP4359197B2 (ja) 2004-05-26 2004-05-26 シワ改善剤及び皮膚化粧料
JPJP-P-2004-00184296 2004-05-26
JPJP-P-2004-00373564 2004-12-24
JP2004373564A JP4359235B2 (ja) 2004-04-30 2004-12-24 シワ改善剤及び皮膚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13A KR20070008713A (ko) 2007-01-17
KR100851694B1 true KR100851694B1 (ko) 2008-08-11

Family

ID=3524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138A KR100851694B1 (ko) 2004-04-30 2005-04-28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11737B2 (ko)
EP (1) EP1743622A4 (ko)
KR (1) KR100851694B1 (ko)
CN (1) CN1946368B (ko)
TW (1) TWI366473B (ko)
WO (1) WO2005105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4304B2 (ja) * 2006-09-28 2011-06-15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101705811B1 (ko) * 2014-10-02 2017-02-1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CN107184516A (zh) * 2017-05-26 2017-09-22 天津郁美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保湿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0172A (en) * 1959-04-29 1962-10-23 Reynolds Tobacco Co R Process for recovering sclareol from clary sage
EP0296564A2 (en) * 1987-06-23 1988-12-28 Givaudan-Roure (International) S.A. Method for preparing dodecahydro-3a,6,6,9a-tetramethylnaphtho[2,1-b] furan and novel haloethyl decalin derivatives
JPH0672855A (ja) * 1992-07-08 1994-03-15 Pola Chem Ind Inc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H10298070A (ja) * 1997-04-22 1998-11-10 Toagosei Co Ltd 抗真菌剤
US6331551B1 (en) * 1998-06-09 2001-12-18 Ven Subbiah Methods of treating microbial infection and therapeutic formulation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6128B2 (ja) * 1995-10-24 2002-11-18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架橋型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材
US6123945A (en) 1998-08-26 2000-09-26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Water-soluble anti-oxidation agents
EP1272154B1 (en) * 2000-04-04 2004-09-22 Color Access, In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lipid barrier function
US20040009130A1 (en) * 2002-07-08 2004-01-15 Detore Donna Marie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surfaces
JP2005008574A (ja) * 2003-06-19 2005-01-13 Takasago Internatl Corp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07022960A (ja) * 2005-07-15 2007-02-01 Kanebo Cosmetics Inc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0172A (en) * 1959-04-29 1962-10-23 Reynolds Tobacco Co R Process for recovering sclareol from clary sage
EP0296564A2 (en) * 1987-06-23 1988-12-28 Givaudan-Roure (International) S.A. Method for preparing dodecahydro-3a,6,6,9a-tetramethylnaphtho[2,1-b] furan and novel haloethyl decalin derivatives
JPH0672855A (ja) * 1992-07-08 1994-03-15 Pola Chem Ind Inc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H10298070A (ja) * 1997-04-22 1998-11-10 Toagosei Co Ltd 抗真菌剤
US6331551B1 (en) * 1998-06-09 2001-12-18 Ven Subbiah Methods of treating microbial infection and therapeutic formulation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3989A1 (en) 2010-07-08
CN1946368A (zh) 2007-04-11
US7611737B2 (en) 2009-11-03
US20070231416A1 (en) 2007-10-04
CN1946368B (zh) 2012-05-09
US8084064B2 (en) 2011-12-27
KR20070008713A (ko) 2007-01-17
EP1743622A4 (en) 2015-07-15
TWI366473B (en) 2012-06-21
TW200538159A (en) 2005-12-01
WO2005105019A1 (ja) 2005-11-10
EP1743622A1 (en)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580B1 (ko) 음료 및 식품 조성물
DE10324566A1 (de) Verwendung von Diphenylmethan-Derivaten als Tyrosinase-Inhibitoren
KR2004002168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및/또는 약학적 제제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JP6777546B2 (ja) 化粧品組成物、皮膚科学組成物、または栄養化粧品組成物に使用するショ糖エステ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植物抽出物
KR100851694B1 (ko)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KR100787783B1 (ko)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096361A1 (en) Method for obtaining an extract of patchouli leaves and cosmetic uses thereof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JPH06157277A (ja) 皮膚化粧料
EP2555745A2 (en) Use of dihydrodehydrodiisoeugenol and preparations comprising dihydrodehydrodiisoeugenol
JP4359197B2 (ja) シワ改善剤及び皮膚化粧料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8621A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4359235B2 (ja) シワ改善剤及び皮膚化粧料
KR102273473B1 (ko) 신규한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3150841B2 (ja) 皮膚外用剤
KR101736725B1 (ko) 마나산틴 b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0094A (ko) 데커시놀의 추출방법 및 상기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JPH06145038A (ja) 皮膚化粧料
KR20200006515A (ko) 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주름개선,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6292A (ko) 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주름개선,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423411A (zh) 榄仁提取物的化妆品或保健品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