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050B1 -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050B1
KR100851050B1 KR1020070030637A KR20070030637A KR100851050B1 KR 100851050 B1 KR100851050 B1 KR 100851050B1 KR 1020070030637 A KR1020070030637 A KR 1020070030637A KR 20070030637 A KR20070030637 A KR 20070030637A KR 100851050 B1 KR100851050 B1 KR 10085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rge
rolling
pitching
measur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공만
윤성환
장세환
이욱동
Original Assignee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는 바지선의 화물 운송에 관한 안전과 그에 관한 모니터링을 위한 것으로서, GPS수신부; 풍속풍향계; 롤링경사계; 피칭경사계; 정보전송수단; 중계수단; 및 외부서버를 포함하는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개시된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바지선에 설치되는 GPS수신부, 풍속풍향계, 롤링경사계, 피칭경사계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바지선의 운항상태를 계측하고, 측정된 각 계측정보를 바지선의 정보전송수단을 통해 예인선 측의 중계수단으로 무선 전송함에 따라 예인선의 선장 또는 선원으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예인 및 화물 운송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육상에 위치한 외부서버로 계측정보를 무선 전송함에 따라, 화물의 운항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화주, 선주, 보험사 등) 측에서 화물의 운항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해난사고 등으로 인하여 화물이 손상되거나 유실된 경우 원인분석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바지선, 예인선, 모니터, 해상운송

Description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bar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바지선과 예인선 간에 이루어지는 무선전송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GPS수신부가 한 쌍으로 구비된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 1의 롤링경사계 및 피칭경사계에 측정된 롤링각도 및 피칭각도의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설정입력부에 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바지선 20...예인선
100...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110...GPS수신부 111...제1GPS수신부
112...제2GPS수신부 120...풍속풍향계
130...롤링경사계 140...피칭경사계
150...정보전송수단 151...판단부
152...무선송신부 153...설정입력부
160...중계수단 161...모니터부
162...스피커부 170...외부서버
본 발명은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는 바지선의 해상 운항상황에 관한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경우는 각종 항해장비와 통신장비가 탑재된 조타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기 선박의 위치와 운항정보는 통신위성과 상기 통신장비 간의 정보 송수신에 의해 파악이 가능하다.
그러나, 바지선(Barge)의 경우 무동력의 부선 역할만 하므로 상술한 일반 선박에서와 같은 항해장비, 통신장비 및 선원이 배치 또는 승선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상기 바지선의 운항정보는 예인선(Tug Boat)의 장비에 의하여 파악 또는 분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지선의 예인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인선에 승선한 선장의 진술에 의존하여 사고원인을 파악하게 되므로 사고 원인에 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파악이 곤란함은 물론이며 그러한 원인에 관한 차후 대응방안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바지선의 해상이동은, 상기 바지선과 예인선 사이에 대략 약 100m 내지 200m 길이의 예인로프(Towing Rope)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예인선이 상기 예인로프를 매개로 상기 바지선을 이끄는 방식에 의하는데, 이러한 경 우 상기 예인선과 바지선의 운항조건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바지선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예인선에서는 긴급 상황의 파악이 곤란하여 이는 곧 인적, 물적 자원 등의 막대한 피해를 가중시키는 대형 해난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화물주는 자신이 의뢰한 화물 즉, 상기 바지선에 적재 운송되고 있는 화물이 현재 언제 어느 위치에 도달했는지 또는 상기 화물이 이송되고 있는 바지선에 특별한 위험 요소가 없는지 등을 확인할 수 없어 단지 해당 화물이 무사히 도착하기만을 기다려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 또는 외부 인터넷 서버에서 바지선의 운항상태 및 위험요소에 관한 실시간 모니터가 가능함에 따라, 각종 해난사고가 예방됨은 물론이며 바지선의 화물 운송상태 정보의 실시간 제공이 가능한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은,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는 바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바지선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바지선에 가해지는 바람에 관한 풍속 및 풍향 정보를 계측하는 풍속풍향계; 상기 바지선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상상태에 의해 요동되는 상기 바지선의 롤링각도과 롤링주기 정보를 계측하는 롤링경사계; 상기 롤링경사계와 수직되도록 상기 바지선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상상태에 의해 요동되는 상기 바지선의 피칭각도과 피칭주기 정보를 계측하는 피칭경사계;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GPS수신부, 풍속풍향계, 롤링경사계 및 피칭경사계에서 측정된 각 계측정보를 실시간 무선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 및 상기 예인선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상기 각 계측정보를 무선 전송받고 상기 각 계측정보를 실시간 출력하는 중계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바지선과 예인선 간에 이루어지는 무선전송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GPS수신부가 한 쌍으로 구비된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 1의 롤링경사계 및 피칭경사계에 측정된 롤링각도 및 피칭각도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GPS수신부(110), 풍속풍향계(120), 롤링경사계(130), 피칭경사계(140), 정보전송수단(150), 중계수단(160) 및 외부서버(170)를 포함한다.
상기 GPS수신부(110)는 예인선(20)에 의해 예인되는 바지선(10)에 설치되고, 상기 바지선(10)의 GPS위치정보를 외부 위성으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GPS수신부(110)는 상기 바지선(10)의 어느 일 위치에 1개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GPS수신부(110)는 상기 바지선(1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 설치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이러한 상기 GPS수신부(110)가 상기 바지선(10)의 길이방향에 대해 한 쌍인 제1GPS수신부(111) 및 제2GPS수신부(112)로 설치된 경우에 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GPS수신부(110)가 바지선(10)의 어느 일 위치에 1개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바지선(10)의 진행방향에 관한 대략적인 파악은 가능하나 상기 바지선(10)의 선수/선미 방향에 관한 정확한 정보 또는 상기 바지선(10)의 선회운동에 관한 선회각도 정보의 파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GPS수신부(110)가 상기 바지선(1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바지선(10)의 진행방향인 선수방향 정보 또는 그 반대의 선미방향 정보 및 바지선(10)의 선회각도(θ) 정보에 관한 정확한 파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도 3을 참고하면 바지선(10)의 초기 위치정보인 A,B 지점과 이동 후의 위치정보인 A',B' 지점에 관한 각각의 x,y좌표값 및 그 변위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수/선미방향 정보 및 선회각도(θ) 정보의 취득이 가능하며, 이러한 취득된 정보는 추후 각종 사고 발생시 사고원인 파악의 중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풍속풍향계(120)는 상기 바지선(10)에 설치되고, 상기 바지선(10)에 가해지는 바람에 관한 풍속 및 풍향 정보를 계측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풍향 정보는 상기 풍속풍향계(120) 내부에 설치되어 풍향이 계측되는 소정 장치(미도시)의 저항값 변화추이를 각도로 환산하는 것에 의해 계측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풍속 정보는 상기 풍속풍향계(120)에 설치된 프로펠러(미도시)가 한바퀴 회전할 때마다 발생되는 펄스의 수를 연산하는 것에 의해 계측될 수 있으나, 상기 풍향 및 풍속 정보의 계측원리는 상술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다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상기 풍속풍향계(120)에 의해 취득된 풍향 및 풍속정보는, 현재 운행중인 바지선(10)의 운행환경 관측시 용이하게 이용됨은 물론이며 추후 사고 발생시 사고 원인에 관한 중요한 참고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속이 강한 경우 파도가 높아짐에 따라 바지선(10)의 롤링운동 또는 피칭운동 또한 강해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풍향에 따라 바지선의 운동은 더욱 증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종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이용한다면 항해 운항 또는 상기와 같은 사고 원인 파악의 주요 참고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롤링경사계(130)는 상기 바지선(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상상태에 의해 폭방향으로 요동되는 상기 바지선(10)의 롤링 운동에 의한 롤링각도과 롤링주기 정보를 계측하는 부분으로서, 도 4a는 이러한 상기 롤링경사계(130)에 의해 취득되는 롤링각도에 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물론 상기 롤링주기는 상기 롤링 운동에 의해 바지선(10)이 폭방향으로 요동되는 주기를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피칭경사계(140)는 상기 롤링경사계(130)가 설치된 방향과 수직되도록 상기 바지선(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상상태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요동되는 상기 바지선(10)의 피칭 운동에 의한 피칭각도과 피칭주기 정보를 계측하는 부분으로서, 도 4b는 이러한 상기 피칭경사계(140)에 의해 취득되는 피칭각도에 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물론 상기 피칭주기는 상기 피칭 운동에 의해 바지선(10)이 길이방향으로 요동되는 주기를 의미한다.
즉, 상기 롤링경사계(130) 및 피칭경사계(140)는 바지선(10)의 폭방향 운동 및 길이방향 운동에 관한 각도 및 주기 정보 확인을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직각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설치 위치는 상기 바지선(10)의 어느 일 위치여도 무방하나 계측되는 값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상기 바지선(1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과 같은 상기 롤링경사계(130) 또는 피칭경사계(140)의 롤링각도 또는 피칭각도 정보는, 해당 경사계로부터 취득된 0V 내지 5V범위 전압값의 변화폭을 각도로 환산하는 것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5V 기준전압을 0°로 하여, 상기 2.5V보다 작은 전압값이 계측 되는 경우 상기 바지선(1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대해 왼쪽으로 기울어진 각도인 것으로 연산되고, 또한 그 반대로 상기 2.5V보다 높은 전압값이 계측되는 경우 상기 바지선(1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대해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각도인 것으로 연산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취득된 롤링각도 또는 피칭각도 정보를 이용한다면 그에 대응되는 롤링주기 또는 피칭주기 정보 또한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상과 같은 각 경사계(130,140)의 경사 취득 원리는 단지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상술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방식의 경사 취득원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은 상기 바지선(10)에 설치되고, 상기 GPS수신부(110), 풍속풍향계(120), 롤링경사계(130) 및 피칭경사계(140)에서 측정된 각 계측정보를 상기 예인선(20) 측에 설치된 중계수단(160)으로 실시간 무선 전송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은 상기 각 계측정보를 상기 중계수단(160)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알리기 위한, 판단부(151), 무선송신부(152) 및 설정입력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151)는, 상기 풍속풍향계(120)에 의해 측정된 풍속정보, 상기 롤링경사계(130)에 의해 측정된 롤링각도 정보, 롤링주기 정보, 상기 피칭경사계(140)에 의해 측정된 피칭각도 정보, 피칭주기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각 계측정보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계측정보가, 기 저장된 정상범위를 벗어난 이상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즉, 각 계측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정상범위를 이탈하는 경우를 이상범위로 판단하는데, 이는 상기 풍속, 롤링각도, 롤링주기, 피칭각도, 피칭주기 등의 각 조건은 서로 독립적이 아닌 종속적인 관계를 가짐에 따라 어느 한 조건이 위험상황으로 가는 경우 다른 항목도 함께 위험상황으로 진입될 가능성이 큰 이유에 기인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송신부(152)는 상기 GPS수신부(110), 풍속풍향계(120), 롤링경사계(130) 및 피칭경사계(140)에서 측정된 각 계측정보를 상기 해당범위(정상범위 또는 이상범위)별 각기 다른 정보전송주기로 실시간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판단부(151)와 무선송신부(152)에 따르면, 상기 바지선(10)의 운항상태 또는 위험정보를 상기 예인선(20) 측에서 실시간 확인가능하도록 하며, 그에 따른 사고 예방 및 사고의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판단부(151)는 상기 각 계측정보에 관한 이상범위를,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난 주의범위 및 상기 주의범위를 벗어난 위험범위로 각각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계측정보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계측정보가, 상기 정상범위를 이탈한 상기 주의범위 또는 위험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계측정보에 관한 상기 무선송신부(152)의 정보전송주기는 상기 판단부(15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범위(정상범위, 주의범위, 위험범위)별로 달리 설정 또는 조절될 수 있는데, 즉 상기 무선송신부(152)는 상기 계측정보를, 상기 정상범위, 주의범위, 위험범위로 갈수록 빠른 주기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긴박한 상황에 처할수록 바지선(10)의 운항상태 또한 급격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 그러한 긴박한 상황에서 변화되는 정보를 상기 예인선(20) 측에서 신속하게 파악 및 대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에서는 3단계의 범위를 그 예로 하고 있으나 2단계 범위 또는 3단계 이상의 범위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관하여 예를 들면, 상기 판단부(151)는 상기 롤링경사계(130)에서 취득된 롤링주기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7초 이상)를 벗어난 주의범위(3초 내지 7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송신부(152)는 상기 GPS수신부(110), 풍속풍향계(120), 롤링경사계(130) 및 피칭경사계(140)에서 측정된 각 계측정보를 상기 중계수단(160)을 향해 '3초 내지 10초'의 정보전송주기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예인선(20)의 선장 또는 선원으로 하여금 바지선(10) 운항 상태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판단부(151)에서 상기 롤링주기가 기 설정된 주의범위(3초 내지 7초)를 벗어난 위험범위(3초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송신부(152)는 상기 각 계측정보를 상기 중계수단(160) 측을 향해 '3초 이하'의 짧은 정보전송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박한 상황에 따른 상기 바지선(10)의 각종 운행상태 및 위험정보의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예인선(20)의 선장 또는 선원으로 하여금 바지선(10)의 예인상태의 점검 유도 및 그에 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취득된 롤링주기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 계측정보를 비교적 느린 '1분 내지 3분' 주기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롤링주기는 상기 피칭주기에 비해 그 주기가 짧고 각도 또한 큰 편인데, 일반적으로 바지선(10)의 운항에 있어서 롤링에 의한 진동운동이 사고에 더 큰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롤링운동 및 피칭운동에 의한 상기 롤링각도와 피칭각도, 롤링주기와 피칭주기에 관한 각각의 정상범위, 주의범위 및 위험범위는 그 운동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설정입력부(153)는 상기 각 계측정보에 관한 정상범위, 주의범위, 위험범위에 관한 수치 설정 및 상기 각 범위별 정보전송주기의 설정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물론, 여기서 상기 설정입력부(153)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바지선(10)에 관한 롤링각도 및 롤링주기, 피칭각도 및 피칭주기에 관한 정상범위, 주의범위 및 위험범위는 상기 바지선(10)의 규모 및 해상운송 조건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설정입력부(153)에 의한 각 범위별 수치 설정 및 정보전송주기의 설정 입력은, 상기 각 범위별 수치 및 정보전송주기 정보를 바지선(10) 규모에 따라 미리 구분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장치(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유무선의 방식으로 전송받는 방식 또는 도 5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설정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모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지선(10)으로부터 축적된 각 계측정보를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에서 DB화하고, 상기 해당 모델의 바지선(10)에서 발생한 주의, 위험 또는 사고에 관한 이력 정보와 상기 DB화된 정보 간 을 상호 매칭함으로써 취득되는, 상기 각 범위별 수치 및 정보전송주기에 관한 변경 정보를, 상기 설정입력부(153)에 기 설정된 정보값에 업데이트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방식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계측정보를 정상범위, 주의범위, 위험범위로 각각 구분하여 그러한 각 계측정보의 위험도를 즉각적으로 판단하고 상기한 각각의 위험도에 따라 상기 중계수단(160)으로의 정보 전송간격을 달리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현재 바지선(10)의 운행상태 및 위험정보에 관한 실시간 확인 및 그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이며, 대형 해난사고의 예방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중계수단(160)은 상기 바지선(10)을 예인하는 예인선(20)에 설치되고, 상술한 정보전송수단(150)으로부터 상기 각 계측정보를 무선 전송받고 상기 각 계측정보를 실시간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모니터부(161) 및 스피커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161)는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각 계측정보를 실시간 화면으로 문자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부(161)는 각 계측 대상(GPS수신부, 풍속풍향계, 롤링각도계, 피칭각도계)별 상기 계측정보가 상호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상상태, 주의상태, 위험상태별로 상기 계측정보의 표시색을 서로 달리 구성하는 설정도 가능하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반드시 상술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중계수단(160) 측에서의 각 계측정보에 관한 정상상태, 주의상태 및 위험상태 파악은,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으로부터 전송된 각 범위(정상범위, 주의범위, 위험범위)별 정보전송주기를 이용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스피커부(162)는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계측정보의 주의상태 또는 위험상태에 대응되는 알람신호를 소리 경보 또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현재 바지선의 피칭각도 및 피칭주기가 정상범위를 이탈하여 주의범위에 진입했습니다. 바지선 예인상태를 점검하십시오') 등의 형태로 실시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에서 상기 정상상태, 주의상태, 비상상태별로 달리 전송되는 정보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중계수단(160)의 모니터부(161) 또는 스피커부(162)에 의한 상기 계측정보의 표시 주기와 알람신호의 알림 주기 또한 그에 대응되는 주기로 변경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중계수단(160)은 데스크탑,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상술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송수신 기능이 탑재된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며 상술한 형태 이외의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정보전송수단(150)과 중계수단(160) 간의 통신은 RF(Radio Freqency)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상에서의 통신을 고려하여 175MHz의 저주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전송 대역이 상술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상기 중계수단(160)에 따르면, 상기 정보전송수단(150)으로부터 각종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화면 또는 소리로 출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예인 선(20)의 선장 또는 선원으로 하여금 비상상황에 대한 신속한 인지를 유도함은 물론이며 예인선(20)에 의한 상기 바지선(10)의 예인상태를 즉각 점검토록 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예인선(20)에 구비된 상기 중계수단(160)과 원격지의 육상에 위치하고, 상기 중계수단(160)으로부터 상기 각 계측정보를 무선 전송받아, 상기 계측정보를 기초로 한 상기 바지선의 운항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외부서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서버(170)에 전송된 상기 계측정보는 소정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고원인의 파악 및 분석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중계수단(160)과 외부서버(170) 간의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코드분할다중접속), RF, 위성통신 방식 등과 같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RF 방식은, 근해가 아닌 국제운송 등의 외해인 경우 정보 전송거리 한계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외해인 경우 위성 통신방식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서버(170)에 온라인 접속한 PC,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사용자(화주, 선주, 보험사, 연구소 등)는 상기 각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바지선(10) 운항정보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바지선(10)에 의해 운송되는 특정 화물의 위치, 운송상태, 바지선(10)의 위험상태 등과 같은 화물의 안전 및 화물이송 정보에 관한 실시간 파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롤링경사계 및 피칭경사계를 이용하여 바지선의 폭방향 운동 및 길이방향 운동에 관한 각도 및 주기 정보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고, 각 계측정보를 정상범위, 주의범위, 위험범위로 각각 구분함에 따라 계측정보의 위험도에 관한 즉각적인 인지가 가능하고, 예인선 측의 중계수단으로의 정보 전송간격을 위험도에 따라 달리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바지선의 운행상태 및 위험정보에 관한 실시간 확인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이며, 대형 해난사고의 예방 및 인적, 물적 재산의 피해 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GPS수신부가 바지선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 설치됨에 따라 바지선의 진행방향인 선수방향 정보 또는 그 반대의 선미방향 정보 및 선회각도 정보에 관한 정확하고 정밀한 파악이 가능하다.
셋째, 육상의 외부서버에 전송된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추후 사고원인의 파악 및 분석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외부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로 하여금 바지선에 의해 운송되는 화물 안전 및 화물이송 정보에 관한 실시간 확인이 가능토록 한다.

Claims (1)

  1.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는 바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바지선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바지선에 가해지는 바람에 관한 풍속 및 풍향 정보를 계측하는 풍속풍향계;
    상기 바지선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상상태에 의해 요동되는 상기 바지선의 롤링각도과 롤링주기 정보를 계측하는 롤링경사계;
    상기 롤링경사계와 수직되도록 상기 바지선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상상태에 의해 요동되는 상기 바지선의 피칭각도과 피칭주기 정보를 계측하는 피칭경사계;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GPS수신부, 풍속풍향계, 롤링경사계 및 피칭경사계에서 측정된 각 계측정보를 실시간 무선 전송하는 정보전송수단;
    상기 예인선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상기 각 계측정보를 무선 전송받고 상기 각 계측정보를 실시간 출력하는 중계수단; 및
    상기 예인선에 구비된 상기 중계수단과 원격지의 육상에 위치하고, 상기 중계수단으로부터 상기 각 계측정보를 무선 전송받아, 접속된 사용자에게 상기 바지선의 운항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외부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상기 풍속풍항계에 의해 측정된 풍속정보, 상기 롤링경사계에 의해 측정된 롤링각도 정보, 롤링주기 정보, 상기 피칭경사계에 의해 측정된 피칭각도 정보, 피칭주기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각 계측정보의 분석 결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계측정보가, 기 저장된 정상범위를 벗어난 이상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각 계측정보를 상기 중계수단 측으로 무선 전송하되, 상기 정상범위 및 이상범위별로 서로 다른 정보전송주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상범위인 경우 상기 정상범위에 비해 빠른 정보전송주기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 및 상기 각 계측정보에 관한 상기 정상범위, 이상범위에 관한 수치 설정 및 각 범위별 상기 정보전송주기의 설정을 입력받는 설정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수단은,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각 계측정보를 실시간 화면으로 문자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계측정보에 대한 상기 이상범위에 대응되는 알람신호를 소리 또는 음성메시지 형태로 실시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70030637A 2007-03-29 2007-03-29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5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637A KR100851050B1 (ko) 2007-03-29 2007-03-29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637A KR100851050B1 (ko) 2007-03-29 2007-03-29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050B1 true KR100851050B1 (ko) 2008-08-12

Family

ID=3988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637A KR100851050B1 (ko) 2007-03-29 2007-03-29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0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87B1 (ko) 2008-06-23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선의 부유체 예인 제어장치
CN102156428A (zh) * 2011-05-20 2011-08-17 大连交通大学 一种游艇监控装置及系统
KR101401985B1 (ko) * 2012-09-28 2014-05-30 (주)살코 수상구조물 설치용 잭업식 플로팅 크레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705A (ko) * 1996-06-12 1998-03-30 이대원 항해 장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선체 감시 장치 시스템
KR20030055893A (ko) * 2001-12-27 2003-07-04 이항경 해양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705A (ko) * 1996-06-12 1998-03-30 이대원 항해 장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선체 감시 장치 시스템
KR20030055893A (ko) * 2001-12-27 2003-07-04 이항경 해양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87B1 (ko) 2008-06-23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선의 부유체 예인 제어장치
CN102156428A (zh) * 2011-05-20 2011-08-17 大连交通大学 一种游艇监控装置及系统
KR101401985B1 (ko) * 2012-09-28 2014-05-30 (주)살코 수상구조물 설치용 잭업식 플로팅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5395B2 (en) System for monitoring, determining, and reporting directional spectra of ocean surface waves in near real-time from a moored buoy
KR101736577B1 (ko)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EP27650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isplacement of an anchor
US9334029B2 (en) Ship monitoring device
KR20180042655A (ko)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KR101726500B1 (ko)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40078020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해상환경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0851050B1 (ko) 바지선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66283B1 (ko) 와이파이통신을 이용한 ais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소형선박용 무선중계시스템
JP2005140549A (ja) 錨泊監視システム
KR101861065B1 (ko) 파도 예측을 통한 선박 안전 항해 지원 시스템
CN104777455B (zh) 基于水声信号检测的落水集装箱快速探测定位装置及方法
CN213069195U (zh) 一种基于北斗定位系统的船舶靠泊辅助系统
JP6241995B2 (ja) 潜水士情報取得方法および潜水士情報取得システム
KR101155602B1 (ko) 선박용 충돌회피 시스템을 위한 항해 장비 시뮬레이터
KR20150022069A (ko) 선박에 구비된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KR102142381B1 (ko) 선박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2007293384A (ja) 落水検知装置及び落水検知装置用サーバ
KR20160116138A (ko) 선박 항해기록의 백업장치 및 방법
KR20160116137A (ko) Vdr 일체형 네비게이션 시스템
JP4505395B2 (ja) 海上輸送監視システム
CN113418640A (zh) 一种极地船舶锚绞机滚筒应力检测装置及应力检测方法
CN100504960C (zh) 用于训练船舶驾驶员的方法及模拟装置
KR101026187B1 (ko) 예인선의 부유체 예인 제어장치
JP2021160427A (ja) 走錨リスク評価プログラム、走錨リスク評価システム、及び走錨リスク回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