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443B1 -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443B1
KR100850443B1 KR1020070031569A KR20070031569A KR100850443B1 KR 100850443 B1 KR100850443 B1 KR 100850443B1 KR 1020070031569 A KR1020070031569 A KR 1020070031569A KR 20070031569 A KR20070031569 A KR 20070031569A KR 100850443 B1 KR100850443 B1 KR 10085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eonggukjang
acid
soybeans
deg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영
김현표
허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3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0Gas
    • A23V2250/108Buta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탈지 청국장 추출물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관절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지 청국장은 비극성 용매로 지방 성분을 제거하여 기존의 일반 청국장에 비하여 칼로리가 대폭 감소되는 저칼로리 식품 및 식품 첨가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탈지 청국장,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 관련 질환, 저칼로리 식품

Description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efatted Chungkukjang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랫트에 애주번트(Adjuvant)를 투여하여 유도된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부종의 발생을 확인한 도이며,
도 2는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H-100E를 투여했을때 부종의 저해능을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지방이 제거된 탈지 청국장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감염 등의 어 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며,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익에시드(hydroxyeicosatetraenoic acid ; 이하 HETE), 류코트리엔(leukotriene)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을 유발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도리어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일으킨다(Willoughby, D. A., Ann. Rheum. Dis ., 34 (6), p471, 1975).
내독소로 잘 알려진 지질다당류(lipopolysaccaride: 이하 LPS)는 그람-음성균의 세포외막에 존재하며, 대식세포(macrophage) 또는 단핵세포(monocyte)에서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β)와 같은 전구염증성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ee, E. S. et al., Biol . Pharm . Bull., 27(5), p617, 2004). 또한 이러한 염증매개 물질의 형성은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의 활성으로 인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프로스타글란딘으로 바뀌는 과정 및 NO (nitric oxide) 형성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Funk, C. D. et al., FASEB J., 5, p2304, 2001).
TNF-α와 같은 다 기능성 사이토카인(cytokine)은 정상조직에서 발현될 뿐만 아니라 병변 과정에서 그 발현 정도가 증가되며, 특히, 암촉진 과정에서 일어나는 피부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NF-α가 인간의 염증성 피부질환과 관련이 있음은 이미 많이 보고되어 왔으며 (Groves, R. W. et al., Br. J. Dematol., 32, p345, 1995), 여러 염증질환과 알러지 현상에 TNF-α에 대한 항체를 처리하였을 때 증상이 완화되었다 (Wakefield, P. E. et al., J. Am. Acad . Dermatol ., 24, p675, 1991). TNF-α는 호중성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과산화수소 생성를 증가시킴으로 내인성 암촉진제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다.
체내 염증과정에서는 과량의 NO가 NOS (NO synthase)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Weis, Z. A., Biochem J., 316, p209, 1996), 염증상태에서 iNOS (inducible NO synthase)에 의해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u, M. M., J. Endotoxin Res. 7, p431, 2001).
아스피린이 개발된 이래로 오랫동안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 : NSAID)의 사용은 통증의 완화를 초래해 왔으며, 비마약성 진통제의 대부분 역시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의 치료에 적절히 사용되어 왔다 (Jung, J. H. et al., Yakhak Hoeji, 48(6), p317, 2004). 그러나 이 약의 장기 사용은 위궤양, 출혈, 천공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여 새롭거나 개선된 치료제 개발은 필수적이고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는 문제와 관련지어 천연물에서 그 활성 성분을 찾으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청국장은 콩을 원료로 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간장, 된장, 고추장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상용되어 온 전통 장류 중의 하나이며, 곡류를 주식 으로 하는 우리민족에게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및 지방산을 공급시켜 주는 식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있는 고초균(枯草菌)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워만든 것으로서, 발효과정 중에 고초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는 동시에, 원료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 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하며, 이렇게 발효 제조된 청국장은 영양면에서 된장이나 고추장보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높은 양질의 콩 발효식품인 것이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청국장 내에 포함된 활성성분 및 그 역할이 밝혀지고 있는바, 청국장은 콩에서 기인된 이소플라본(isoflavone), 피트산(phytic acid), 사포닌(saponin), 트립신 저해제(trypsin inhibitor), xhzhvpfhftocopherol), 불포화지방산, 식이섬유, 올리고당, γ-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제(γ-glutamyltranspeptidase; γ-GTP) 등의 각종 생리활성물질, 항산화물질 및 혈전용해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식품으로서 그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우수한 항염 효과를 갖는 고품질의 청국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에서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이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항염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지방이 제거된 탈지 청국장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지방이 제거된 탈지 청국장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두를 세척하는 제 1단계; 대두를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4℃ 내지 30℃에서, 부피의 3배 내지 5배의 물에 침지시키는 제 2단계; 10분 내지 2시간동안 탈수시키는 제 3단계; 가압증자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150℃ 에서 15분 내지 30분 증자시키는 제 4단계; 온도가 50 내지 70℃가 되도록 방냉하는 제 5단계; 배양된 균주를 대두 무게의 1-3중량%로 접종하는 제 6단계; 이를 37℃에서 40시간 내지 80시간동안 발효시켜 생청국장을 수득하는 제 7단계; 부가적으로 동결건조 및 분말화 시키는 제 8단계; 상기 8단계에서 수득한 생청국장 건조 분말 중량의 5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비극성 용매를 혼합하는 제 9단계;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6일간 방치하는 제 10단계; 방치된 혼합물에서 용매를 경사하여 완전히 제거하는 제 11단계로 이루어진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지방이 제거된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두는 한국산 및 중국산, 일본산 등의 외국산 대두를 포함한다.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TCC9327,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TCC6633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TCC9466,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사용된 비극성 용매는 헥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헥산, 에테르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용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n-부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염증 관련 질환은 염증, 위염, 대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신장염, 간염, 동맥경화, 암 또는 퇴행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염증, 위염,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퇴행성 질환, 더욱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탈지 청국장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먼저 기능성 청국장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대두를 세척하는 제 1단계; 대두를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4℃ 내지 30℃에서, 부피의 3배 내지 5배의 물에 침지시키는 제 2단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탈수시키는 제 3단계; 가압증자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150℃ 에서 15분 내지 30분 증자시키는 제 4단계; 온도가 50 내지 70℃가 되도록 방냉하는 제 5 단계;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TCC9327,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TCC6633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TCC9466,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균주를 대두 무게의 1-3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로 접종하는 제 6 단계; 이를 37℃에서 40시간 내지 80시간, 바람직하게는 72시간동안 발효시켜 생청국장을 수득하는 제 7 단계; 부가적으로 동결건조 및 분말화시키는 제 8 단계; 상기 8 단계에서 수득한 생청국장 건조 분말 중량의 약 2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배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헥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와 혼합하는 제 9 단계;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내지 10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일 내지 4일간 방치하는 제 10 단계; 방치된 혼합물에서 용매를 경사하여 가능한 완전히 제거하고 이를 실온에서 건조하는 제 11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지방이 제거된 탈지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청국장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고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 수득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조과정으로 제조된 탈지 청국장 중량의 약 2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배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n-부탄올로 실온에서 약 1일 내지 5주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주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진공 여과에 의해 상층액을 회수한 다음, 상기의 과정을 2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 수행하여 상층액을 모으고 감압농축하여 본 발명의 탈지 청국장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법에 추가적으로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 예를 들어 주정 또는 정제수로 온침 또는 냉침 추출하는 방법을 통하여 엑기스 형태로 얻은 후 이를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방법을 수행하여 건조추출물 형태를 얻음으로써 이를 제품화에 사용이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증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 여 청국장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 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1일 1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 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탈지 청국장을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지청국장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에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 (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식품첨가제용 탈지 청국장은 20 내지 90 %의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탈지 청국장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는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솔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지 청국장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를 식품에 보존료, 살균제, 산화 방지제, 향신료, 조미료, 감미료, 착향료, 팽창제, 강화제, 개량제, 유화제, 여러 가지 영양제,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료, 발 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소포제, 용제, 이형제, 방부제, 품질 개량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또는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 및 식품소재(부원료)의 필수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이들을 각각 나누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껌 제조시,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5 중량%, 껌베이스 25 중량%, 솔비톨 72 중량%를 60 내지 70 ℃로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어 혼합한 후, 믹서내부 온도를 55 ℃로 유지시키면서 페퍼민트 향료를 2.5 중량% 첨가한 다음 30분 혼합한 다음 추출하여 압연하고, 24-48시간 숙성시킨 후 재단하고 포장하여 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과제빵 제조과정에서 반죽할 때 첨가 사용하며, 소스, 양념장에도 첨가 사용하고, 또한 발효유 또는 요구르트 등에 분말이나 액상을 첨가하여 기능성 또는 기호성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생약 추출분말을 김치, 젓갈, 야채 가공에 직접 투입하여 맛 보존성, 항산화, 변색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육가공에서 햄, 소세지 등에 침지 또는 분무 살포하여 사용하며,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물을 마늘, 파, 생강, 허브(herb), 감초 등을 섞어 향신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수산가공식품인 어묵, 생선, 조미어포, 젓갈 등에도 침지, 분무 및 첨가 방법으로 사용하며, 김치, 단무지, 깍두기, 야채 절임 등에도 침지, 분무 및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탈지 청국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지 청국장 추출물은 총중량에 대하여 0.01 ~ 10중량%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탈지 청국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 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 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트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 (制汗) 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 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오리고마,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페닐트리메틸암모늄,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 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카본블랙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칠산에틸렌글리콜, 살리친산페닐, 살리친산옥틸, 살리친산벤질, 살리친산부틸페닐, 살리친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식물 추출물로서는 아시타바 엑기스, 아보카도 엑기스, 아마챠 엑기스, 양아욱 엑기스, 아르니카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살구 엑기스, 살구핵 엑기스, 은행나무 엑기스, 회향풀 엑기스, 울금 엑기스, 오룡차 엑기스, 에이지츠 엑기스, 에치나 시잎 엑기스, 대황 엑기스, 황벽나무 엑기스, 오렌 엑기스, 대맥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 엑기스 네덜란드겨자엑기스, 오렌지 엑기스, 카모미라 엑기스, 카로트 엑기스, 사철쑥 엑기스, 감초 엑기스, 카르카데 엑기스, 카초크 엑기스, 키위 엑기스, 키나 엑기스, 큐칸바 엑기스, 치자나무 엑기스, 얼룩조릿대 엑기스, 고삼 엑기스, 호두 엑기스, 그레이프후르츠 엑기스, 크레마티스 엑기스, 클로렐라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겐티아나 엑기스, 홍차 엑기스, 컴프리 엑기스, 콜라겐, 원귤 엑기스, 사이신 엑기스, 사이코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잼보아 엑기스, 조릿대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산초나무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지황 엑기스, 자근 엑기스, 지소 엑기스, 참피나무 엑기스, 시모츠케소 엑기스, 작약엑기스, 창포근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서양 우키즈 엑기스, 서양 산사나무 엑기스, 서양 딱총나무 엑기스, 서양 톱풀 엑기스, 서양 박하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당아욱 엑기스, 천궁이 엑기스, 자주 쓴풀 (Japan chirata),대두 엑기스, 타이소 엑기스, 타임 엑기스, 차 엑기스, 정향나무 엑기스, 띠 엑기스, 진피 엑기스, 토오키 엑기스, 토오킨센카 엑기스, 토오닌 엑기스, 토오히 엑기스, 삼백초 엑기스, 토마토 엑기스, 인삼 엑기스, 마늘 엑기스, 찔레나무 엑기스, 히비스커스 엑기스, 바쿠몬도 엑기스, 파슬리 엑기스, 벌꿀, 하마메리 엑기스, 파리에타리아 엑기스, 방아풀 엑기스, 비자보롤, 비파 엑기스, 후키탄포포 엑기스, 머위새순 엑기스, 부쿠료 엑기스, 부쳐불룸 엑기스, 포도 엑기스, 프로폴리스, 수세미외 엑기스, 잇꽃 엑기스, 페퍼민트 엑기스, 보리수 엑기스, 모란 엑기스, 홉 엑기스, 소나무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미즈바쇼 엑기스, 무환자나무 엑기스, 메리사 엑기스, 복 숭아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유칼리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유자 엑기스, 율무쌀 엑기스, 쑥 엑기스, 라벤더 엑기스, 사과 엑기스, 레터스 엑기스, 레몬 엑기스, 자운영 엑기스, 장미 엑기스, 로즈메리 엑기스, 로마카밀레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3 중량%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화장료의 형태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예로서는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크림, 클렌징밀크, 클렌징로션,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유액, 화장수, 팩, 에프터세이빙크림, 썬텐방지크림, 썬텐용오일, 보디샴푸,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양모료, 육모료, 틱, 헤어크림, 헤어리퀴드, 세트로션, 헤어스프레이, 헤 어다이, 헤어브리지, 컬러린스, 컬러스프레이, 퍼머넌트웨이브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핸드크림, 립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탈지 청국장 추출물과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및 필요에 따라 상기에 예시되는 것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 등)을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경피 적용 제제 개발 메뉴얼」 마츠모토미치오 감수 제 1 판 (세이시 서원 1985 년 발행) 등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청국장 물 추출물의 제조
청국장 (1 kg)(순창식품, 순창)에 10 L의 물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추출한 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물 추출물 124g(수득률 12.4%)을 수득하였다.(이하 W 라고 명명함)
실시예 1. 탈지 청국장의 제조
1-1. 헥산 탈지 청국장의 제조
실험에 사용된 콩은 국산 대두를 사용하였다. 콩을 세척한 후 18시간 동안 물에 담구어 불린 다음 물빼기를 하고 가압증자기를 이용하여 121℃에서 15분간 증자(autoclave)한 후, 온도가 60℃가 되도록 방냉하였다. 2.4% 영양 한천(nutrient agar) 배지를 121℃에서 15분간 멸균시킨 뒤, 패트리 접시에 담아 굳도록 한 다음,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균주(한국미생물보존센터)를 4분 도말하여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보관하였다. 0.8%의 액체배지를 제조하여 가압증자기에서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뒤 60℃로 식힌 후, 패트리 접시에 4분 도말하였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균주를 백금이를 이용해 액체배지로 옮겨 37℃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균주를 콩 무게의 2%로 접종하여, 인큐베이터에서 37℃에 72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얻어진 발효물인 생청국장을 동결건조시키고 분말화 한다. 이 청국장 건조분말(1 kg)에 헥산 용매 10 L를 넣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용매를 경사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헥산 탈지 청국장 900g (수득률 90%)을 수득하였다.
1-2. 에테르 탈지 청국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 건조분말 (1 kg)에 에테르 용매 10 L를 넣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용매를 경사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에테르 탈지 청국장 860g (수득률 86%)을 수득하였다.
1-3. 에틸아세테이트 탈지 청국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 건조분말 (1 kg)에 에틸 아세테이트 용매 10 L를 넣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용매를 경사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탈지 청국장 840g (수득률 8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 제조
2-1. 헥산 탈지 청국장 추출물의 제조
2-1-1. 헥산 탈지 청국장 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헥산 탈지 청국장 1 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물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헥산 탈지 물 추출물 111 g(수득률 11.1%)을 수득하였다(이하 H-W라 명명함)
2-1-2. 헥산 탈지 청국장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a. 헥산 탈지 청국장 25%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헥산 탈지 청국장 1 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25% 에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헥산 탈지 25% 에탄올 추출물 108 g(수득률 10.8%)을 수득하였다(이하 H-25E라 명명함)
b. 헥산 탈지 청국장 5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헥산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50% 에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헥산 탈지 50% 에탄올 추출물 82g(수득률 8.2%)을 수득하였다(이하 H-50E라 명명함)
c. 헥산 탈지 청국장 75%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헥산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75% 에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헥산 탈지 75% 에탄올 추출물 65g(수득률 6.5%)을 수득하였다(이하 H-75E라 명명함)
d. 헥산 탈지 청국장 95%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헥산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95% 에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헥산 탈지 95% 에탄올 추출물 60g(수득률 6.0%)을 수득하였다(이하 H-95E라 명명함)
2-1-3. 헥산 탈지 청국장 n-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a. 헥산 탈지 청국장 75% n-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헥산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75% n-부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헥산 탈지 75% n-부탄올 추출물 42g(수득률 4.2%)을 수득하였다(이하 H-75B라 명명함)
b. 헥산 탈지 청국장 100% n-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헥산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100% n-부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헥산 탈지 100% n-부탄올 추출물 29g(수득률 2.9%)을 수득하였다(이하 H-100B라 명명함)
2-2. 에테르 탈지 청국장 추출물의 제조
2-2-1. 에테르 탈지 청국장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a. 에테르 탈지 청국장 75%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에테르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75% 에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에테르 탈지 75% 에탄올 추출물 80g(수득률 8.0%)을 수득하였다(이하 EE-75E라 명명함)
b. 에테르 탈지 청국장 95%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에테르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 시 95% 에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에테르 탈지 95% 에탄올 추출물 63g(수득률 6.3%)을 수득하였다(이하 EE-95E라 명명함)
2-2-2. 에테르 탈지 청국장 n-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에테르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100% n-부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에테르 탈지 100% n-부탄올 추출물 21g(수득률 2.1%)을 수득하였다(이하 EE-B라 명명함)
2-3. 에틸아세테이트 탈지 청국장 추출물의 제조
2-3-1. 에틸아세테이트 탈지 청국장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95% 에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청국장 에테르 탈지 95% 에탄올 추출물 60g(수득률 6.0%)을 수득하였다(이하 ET-E라 명명함)
2-3-2. 에틸아세테이트 탈지 청국장 n- 부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탈지 청국장 1kg을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100% n-부탄올 10 L 씩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 압 건조하여 청국장 에테르 탈지 100% n-부탄올 추출물 14 g(수득률 1.4%)을 수득하였다(이하 ET-B라 명명함)
참고예 1. 애주번트 (adjuvant) 유도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
킴(Kim) 등의 방법(Kim,. Planta Med ., 65, pp465-467, 1999)에 따라 , 웅성의 루이스 랫트(Lewis rat)의 오른발의 발바닥에 미네랄 오일(mineral oil)에 녹인 죽은 마이코박테리움 부티리쿰(Mycobacterium butirycum (Difco 사))을 주사한다 (6 rats/group). 그 후 2일에 한번씩 발의 부피를 부종측정기(plethysmometer)로 재어 부종의 정도를 측정한다.
실험 결과, 도 1과 같이 애주번트(adjuvant)를 주사하지 않은 왼발의 경우 약 10일 정도부터 급격하게 부종이 생기기 시작하여 16-18일에 최고조에 다다른다. 이 부종을 류마티스 염증(arthritic inflammation)이라 칭하며, 본 실험의 류마티스 관절염의 모델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류마티스 관절염 억제 작용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추출물의 탁월한 류마티스 관절염 억제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Kim,. Planta Med ., 65, pp465-467, 1999).
상기 참고예 1의 방법으로 애주번트(adjuvant)를 랫트의 오른발에 주사하였고, 상기 실시예 2의 각각의 청국장 추출물은 1일 1회 씩 경구 투여하였다. 랫트의 왼발의 부종을 측정하였으며, 애주번트 처리된 랫트의 부종에서 대조군인 프레드니소론(prednisolone)(Sigma사, 미국) 처리한 랫트의 부종을 뺀 값을 100% 부종 증가량으로 하여 저해능을 계산하였다. 16일째의 류마티스 염증(arthritic inflammation)에 대한 저해능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중 H-100E은 재실험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룹(Groups) 양(mg/kg/day) 억제율(%, 16일째)
W 100 0
H-W 100 7
H-25E 100 5
H-50E 100 5
H-75E 100 12
H-95E 100 25
EE-75E 100 16
EE-95E 100 15
ET-E 100 10
H-75B 100 18
H-100B 100 29
EE-B 100 20
ET-B 100 15
프레드니소론(prednisolone) 5 90
상기 실험 결과, 각각의 청국장의 추출물 중 H-95E 및 H-100B의 저해능이 가장 높고 유의성 있는 억제력을 보였으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H-95E (100 mg/kg/day)는 10-18일 전체에서 저해능을 보였으며, 16일째 저해능은 26%였다.
실험예 2. 면역장기의 중량 변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후 각각의 장기 중량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드니소론(prednisolone)과는 달리 청국장의 추출물은 20mg/kg/day에서 몸무게가 약간 증가한 외에는 면역장기의 중량 변화를 보이지 않아 전신적인 부작용의 발현은 없으리라 사료된다.
Figure 112007025074054-pat00001
실험예 3.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청국장 추출물을 1g/㎏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g/㎏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H-W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H-25E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H-50E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H-100B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H-95E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EE-75E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EE-95E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 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유연 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H-95E 0.5
2 부틸렌 글리콜 4.0
3 글리세린 8.0
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6
5 디소디움 에틸렌디아민테르라아세틱에시드 0.01
6 에탄올 7.0
7 트리에탄올아민 0.2
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8
9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
10 페닐트리메티콘 3.5
1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3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9. 영양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H-95E 0.5
2 스테아린산 1.0
3 세틸알코올 1.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7 유동파라핀 4.0
8 카르릴릭 /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9 스쿠알란 3.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11 부틸렌글리콜 5.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5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10. 영양크림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H-95E 0.5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코올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카르릴릭 /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1 스쿠알란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7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8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11. 에센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H-95E 0.5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10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지 청국장의 추출물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관절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써,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지 청국장은 비극성 용매로 지방 성분을 제거하여 기존의 일반 청국장에 비하여 칼로리가 대폭 감소 되는 저칼로리 식품 및 식품 첨가물로 응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대두를 세척하는 제 1단계; 대두를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4℃ 내지 30℃에서, 부피의 3배 내지 5배의 물에 침지시키는 제 2단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탈수시키는 제 3단계; 가압증자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150℃ 에서 15분 내지 30분 증자시키는 제 4단계; 온도가 50 내지 70℃가 되도록 방냉하는 제 5 단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NU816 균주를 대두 무게의 2중량%로 접종하는 제 6 단계; 72시간동안 발효시켜 생청국장을 수득하는 제 7 단계; 동결건조 및 분말화시키는 제 8 단계; 상기 8 단계에서 수득한 생청국장에 건조 분말 중량의 약 8배 내지 15배 부피의 헥산, 에테르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혼합(혼합비: 1 : 8~15)하는 제 9 단계; 상기 혼합물을 2일 내지 4일간 방치하는 제 10 단계; 상기 방치된 혼합물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이를 실온에서 건조하는 제 11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탈지 청국장의 물, 에탄올 또는 부탄올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031569A 2007-03-30 2007-03-30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5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69A KR100850443B1 (ko) 2007-03-30 2007-03-30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69A KR100850443B1 (ko) 2007-03-30 2007-03-30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443B1 true KR100850443B1 (ko) 2008-08-07

Family

ID=3988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569A KR100850443B1 (ko) 2007-03-30 2007-03-30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978B1 (ko) * 2012-06-22 2014-05-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국장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청국장 추출물이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964B1 (ko) * 2001-03-13 2003-12-06 주식회사 쎌텍스 유카추출물을 첨가하여 풍미를 개선시킨 청국장 제조방법
KR20050032926A (ko) * 2003-10-02 2005-04-08 김정인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20050071101A (ko) * 2003-12-31 2005-07-07 학교법인 인제학원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청국장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분리되는 아피게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42185B1 (ko) 2006-02-20 2007-07-27 대한민국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함유 청국장 추출물 및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964B1 (ko) * 2001-03-13 2003-12-06 주식회사 쎌텍스 유카추출물을 첨가하여 풍미를 개선시킨 청국장 제조방법
KR20050032926A (ko) * 2003-10-02 2005-04-08 김정인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20050071101A (ko) * 2003-12-31 2005-07-07 학교법인 인제학원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청국장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분리되는 아피게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42185B1 (ko) 2006-02-20 2007-07-27 대한민국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함유 청국장 추출물 및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978B1 (ko) * 2012-06-22 2014-05-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국장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청국장 추출물이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28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8806B1 (ko)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US20080261896A1 (en) Testosterone generating and metabolizing enhancer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30024025A (ko) 식물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667357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JP2006265219A (ja) ダイエット組成物
KR102033043B1 (ko) 비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31008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50443B1 (ko) 탈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탈지청국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04373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5114A (ko)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61061B1 (ko) 키토산­페룰산 염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키토산­페룰산 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756669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200011243A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20113459A (ko) 애엽, 레몬, 회향 및 소나무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17579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