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622B1 -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622B1
KR100849622B1 KR1020070020538A KR20070020538A KR100849622B1 KR 100849622 B1 KR100849622 B1 KR 100849622B1 KR 1020070020538 A KR1020070020538 A KR 1020070020538A KR 20070020538 A KR20070020538 A KR 20070020538A KR 100849622 B1 KR100849622 B1 KR 10084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terial
flow
molten
molding
plastic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박준영
주식회사 프라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영, 주식회사 프라우스 filed Critical 박준영
Priority to KR102007002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상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에 유입되는 성형재료와는 상이한 재질의 용융된 성형재료가 하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하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경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를 상이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A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FORM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성형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유로 12 : 상부유입부
14 : 상부유동부 16 : 상부유출부
18 : 상부완충부 19 : 상부성형재료
20 : 하부유로 22 : 하부유입부
24 : 하부유동부 26 : 하부유출부
28 : 하부완충부 29 : 하부성형재료(29)
30 : 성형틀 40 : 에어블로우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성형되는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상품 포장용 박스나 각종 생활용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과거에는 종이 또는 목재 골판지가 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골판지는 주로 종이 또는 목재를 재질로 사용하였으나, 상기 종이 또는 목재 재질의 골판지는 사용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골판지의 생산 작업이 번거로워, 생산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이재질의 골판지는 곡면을 갖는 형상 등으로 가공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기나 습기가 접촉되는 경우에 쉽게 찢어지므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목재재질의 합판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합판지를 여러 장 겹쳐놓은 상태에서 본드 접착식의 압착방식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목재재질 자체의 중량이 종이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워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목재재질도 종이와 마찬가지로 물기를 흡수함에 따라 일정기간이 지나면, 흡수된 물기에 의해 접착력이 떨어져 합판지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상기 종이 내지 목재 골판지는 쉽게 손상되고 재사용이 불가 능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종이 골판지보다 내구성, 내마멸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골판지를 널리 사용하여 왔다.
즉,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는 공장에서 생상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상기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또는, 가정에서 이사를 하는 경우 제품의 손상방지 및 운반의 용이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 골판지는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며, 이 경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경도 역시 동일하였다. 여기서, 포장용 박스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와 포장용 제품이 접촉되는 판재의 경도가 상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경도만으로 성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의 경우, 외력을 견뎌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판재를 요구하지만, 포장용 제품에 접촉되는 판재의 경우, 상기 포장용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 즉,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의 판재를 요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와 상기 포장용 제품이 접촉되는 판재가 동일한 경도만으로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에 의해 마련되는 경우보다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의 색채는 동일하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 부판재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색채를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경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를 상이한 재질로 성형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와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로 마련되어 플라스틱 골판지의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와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색채를 상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와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상이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상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에 유입되는 성형재료와는 상이한 재질의 용융된 성형재료가 하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하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용융 된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틀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블로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유로는 상부유입부와, 상부유동부와, 상부유출부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유로는 하부유입부와, 하부유동부와, 하부유출부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유동부는 상기 상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하부유동부는 상기 하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로는 상기 상부유동부와 상기 상부유출부사이에 본 상부유동부와 본 상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하부유동부와 상기 하부유출부사이에 본 하부유동부와 본 하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은,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유로에서 유입되는 단계와; 상기 상부유로에 유입되는 성형재료와 재질이 상이한 용융된 성형재료가 하부유로에서 유입되는 단계와;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은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유로는 상부유입부와, 상부유동부와, 상부유출부로 마련되 며, 상기 하부유로는 하부유입부와, 하부유동부와, 하부유출부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유동부는 상기 상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하부유동부는 상기 하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로는 상기 상부유동부와 상기 상부유출부사이에 본 상부유동부와 본 상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하부유동부와 상기 하부유출부사이에 본 하부유동부와 본 하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상부유로(10)와, 상기 상부유로(10)에 유입되는 성형재료와는 상이한 재질의 용융된 성형재료가 하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하부유로(20)와, 상기 상부유로(10)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20)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틀(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유로(1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틀(30)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블로우(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의 상기 상부유로(10)는 상기 상부유동 부(14)와 상기 상부유출부(16)사이에 본 상부유동부(14)와 본 상부유출부(1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18)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유로(20)는 상기 하부유동부(24)와 상기 하부유출부(26)사이에 본 하부유동부(24)와 본 하부유출부(2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2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유로(10)는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로(1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상기 하부유로(2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로(10)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유입되는 상부유입부(12)와, 본 상부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유동되는 상부유동부(14)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성형하는 성형틀(하부성형재료(29))에 연결되며, 본 상부유동부(14)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본 성형틀(3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를 유출시키는 상부유출부(16)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상기 상부유동부(14)를 통해 유동되며,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어 상기 성형틀(30)에 진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동부(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출부(16)와 상이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출부(16)는 성형틀(30)의 크기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유동부(14)는 본 상부유동부(14)를 통해 다량의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유동될 수 있기 위해 상기 상부유출부(16)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로(10)는 상기 상부유동부(14)의 직경과 상기 상부유출부(16)의 직경차이로 인해 상기 상부유로(10)의 직경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완충부(18)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로(10)는 상기 상부유동부(14)와 상기 상부유출부(16)사이에 본 상부유동부(14)와 본 상부유출부(1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유출부(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상기 성형틀(3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유출부(16)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본 성형틀(30)의 상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에어블로우(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에어블로우(40)는 상기 상부유로(1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 부성형재료(19)가 상기 성형틀(3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를 형성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테르(PE),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상기 6가지 재활용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판재를 성형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와 상기 하부판재를 성형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에 상이한 안료를 주입하여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가 서로 다른 색채로 마련되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상부판재는 강도나 경도 등의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재는 UV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판재를 형성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에 UV 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UV코팅층은 다양한 무늬나 문자 등의 형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유로(20)는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가 유입되어 유동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유로(2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상기 상부유로(1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유로(20)는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가 유입되는 하부유입부(22)와, 본 하부유입부(22)를 통해 유입된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가 유동되는 하부유동부(24)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성형하는 성형틀(30)에 연결되며, 본 하부유동부(24)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가 본 성형틀(3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를 유출시키는 하부유출부(26)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입부(2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상기 하부유동부(24)를 통해 유동되며, 상기 하부유출부(26)에서 유출되어 상기 성형틀(30)에 진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유동부(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출부(26)와 상이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출부(26)는 성형틀(30) 의 크기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동부(24)는 본 하부유동부(24)를 통해 다량의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가 유동될 수 있기 위해 상기 하부유출부(26)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로(20)는 상기 하부유동부(24)의 직경과 상기 하부유출부(26)의 직경차이로 인해 상기 하부유로(20)의 직경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완충부(28)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로(20)는 상기 하부유동부(24)와 상기 하부유출부(26)사이에 본 하부유동부(24)와 본 하부유출부(2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유출부(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상기 성형틀(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출부(26)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본 성형틀(30)의 하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재를 형성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테르(PE),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상기 6가지 재활용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판재를 성형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와 상기 하부판재를 성형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에 상이한 안료를 주입하여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가 서로 다른 색채로 마련되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하부판재는 강도나 경도 등의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판재는 UV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판재를 형성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에 UV 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UV코팅층은 다양한 무늬나 문자 등의 형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성형틀(30)은 상기 상부유로(10)에서 유출되는 상부성형재료(19)와 상기 하부유로(20)에서 유출되는 하부성형재료(29)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성형틀(30)은, 도 3을 참조하면, 일측이 상기 상부유로(10)의 상기 상 부유출부(16)에 연결되며, 본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30)의 타측은 상기 하부유로(20)의 상기 하부유출부(26)에 연결되며, 본 하부유출부(2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와 상기 하부유로(2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며, 이에 의해,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상기 성형틀(30)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에어블로우(40)는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블로우(4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에어블로우(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성형틀(30)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에어블로우(40)는 상기 상부유로(1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상기 성형틀(30)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로(10)의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 형재료(19)는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성형틀(30)에 진입되기 전에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성형틀(30)에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기에 충분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진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블로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에 공기를 분사하여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실시예 (도 4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상이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방법에 대한 과정을 서술한다.
먼저,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를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의 상부유로(10)에 유입한다. (S10)
이 경우,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는 다양한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 상부유로(10)에 유입되는 상부성형재료(19)와 재질이 상이한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를 하부유로(20)에 유입한다. (S20)
여기서, 상기 하부유로(20)에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되는 용융 된 하부성형재료(29)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하부유로(20)에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는 상기 상부유로(10)에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와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음, 상기 에어블로우(40)는 상부유로(10)에서 유입된 성형재료에 공기를 분사시킨다. (S30)
즉, 상기 상부유로(10)의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는 본 용융된 성형재료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성형틀(30)에 진입되기 전에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성형틀(30)에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기에 충분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진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블로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에 공기를 분사하여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부유로(10)의 상부성형재료(19)와 하부유로(20)의 하부성형재료(29)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시킨다. (S40)
즉,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19)상부성형재료(19)틀(30)의 상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유출부(2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29)가 상기 성형틀(30)의 하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출부(1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 출부(2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는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재질이 상이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을 계속 수행하는 경우라면 상기 단계를 반복하며, 본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라면 본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을 종료한다. (S5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와 그 성형방법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경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를 상이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로 마련되어 플라스틱 골판지의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색채를 상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Claims (10)

  1.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상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에 유입되는 성형재료와는 상이한 재질의 용융된 성형재료가 하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하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틀;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상기 성형틀과 연결되며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틀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시키는 에어블로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로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가 유입되는 상부유입부와, 상기 상부유입부와 연결되어 유입된 상부성형재료를 유동시키는 상부유동부와, 상기 성형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유동부를 통해 유동된 상부성형재료가 유출되는 상부유출부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유로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가 유입되는 하부유입부와, 상기 하부유입부와 연결되어 유입된 하부성형재료를 유동시키는 하부유동부와, 상기 성형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유동부를 통해 유동된 하부성형재료가 유출되는 하부유출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동부는 상기 상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하부유동부는 상기 하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로는 상기 상부유동부와 상기 상부유출부사이에 본 상부유동부와 본 상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하부유동부와 상기 하부유출부사이에 본 하부유동부와 본 하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6.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유로에서 유입되는 단계와;
    상기 상부유로에 유입되는 성형재료와 재질이 상이한 용융된 성형재료가 하부유로에서 유입되는 단계와;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유로에서 유입되는 단계와 상기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로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가 유입되는 상부유입부와, 상기 상부유입부와 연결되어 유입된 상부성형재료를 유동시키는 상부유동부와, 상기 성형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유동부를 통해 유동된 상부성형재료가 유출되는 상부유출부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유로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가 유입되는 하부유입부와, 상기 하부유입부와 연결되어 유입된 하부성형재료를 유동시키는 하부유동부와, 상기 성형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유동부를 통해 유동된 하부성형재료가 유출되는 하부유출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동부는 상기 상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하부유동부는 상기 하부유출부와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로는 상기 상부유동부와 상기 상부유출부사이에 본 상부유동부와 본 상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유로는 상기 하부유동부와 상기 하부유출부사이에 본 하부유동부와 본 하부유출부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방법.
KR1020070020538A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084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38A KR100849622B1 (ko)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38A KR100849622B1 (ko)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622B1 true KR100849622B1 (ko) 2008-07-31

Family

ID=3982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538A KR100849622B1 (ko)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6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3326A (ja) * 1990-08-23 1992-04-06 Mitsubishi Heavy Ind Ltd 多層複合フイルム又はシート成形用フイードブロック
JPH0732443A (ja) * 1993-07-20 1995-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多層複合フィルム又はシート成形用フィードブロック
JP2001038789A (ja) 1999-07-29 2001-02-13 Kawakam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の製造方法
JP2001088199A (ja) 1999-09-21 2001-04-03 Pura Giken:Kk 樹脂製多重管の押出成形装置
KR200345672Y1 (ko) 2003-12-20 2004-03-24 윤성백 다층 열가소성 시트
JP2008000015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3326A (ja) * 1990-08-23 1992-04-06 Mitsubishi Heavy Ind Ltd 多層複合フイルム又はシート成形用フイードブロック
JPH0732443A (ja) * 1993-07-20 1995-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多層複合フィルム又はシート成形用フィードブロック
JP2001038789A (ja) 1999-07-29 2001-02-13 Kawakam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の製造方法
JP2001088199A (ja) 1999-09-21 2001-04-03 Pura Giken:Kk 樹脂製多重管の押出成形装置
KR200345672Y1 (ko) 2003-12-20 2004-03-24 윤성백 다층 열가소성 시트
JP2008000015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8671C (en) Collapsible hollow articles with improved latching and dispensing configurations
US8584599B2 (en) Plastic pallet
US20070221530A1 (en) Packing box equipped with airbag for shock-absorb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819079B (zh) 可回收塑料包装
WO2005102668A3 (en) A bottle, a method of forming the bottle, a liquid dispensing system and an extruded profile
ES2640588T3 (es) Material de plástico que elimina oxígeno
CN101370722B (zh) 包装的封盖
CN214567598U (zh) 纸质缓冲保护结构及保护袋
JP5944563B2 (ja) 複合材料
CN1997502A (zh) 预成型坯和瓶子以及制备预成型坯和瓶子的方法
KR100849622B1 (ko)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EP2858805A2 (en) Lightweight preform having a decreased weight support ring
KR20110003908A (ko) 플라스틱 골판지
WO2008134174A1 (en) Reduced material container
WO2003029336A1 (fr) Grains de resine de polypropylene pre-expanse et objet moule realise a partie de ces grains par moussage dans le moule
US11702239B2 (en) Degradable containment features
KR100877561B1 (ko) 플라스틱 골판지
KR100975600B1 (ko) 골판지 성형 방법
CN102275666B (zh) 一种复合型托盘及制作方法
JP5944562B2 (ja) 複合材料
WO1998030459A1 (en) Cost-effective environmentally-friendly blow-molded plastic container
CA2439554A1 (en) Pigmented, weatherable molding compositions
CN103158937A (zh) 一种空调压缩机包装组件
KR102037208B1 (ko)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00481A (ko) 발포성수지 팔레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