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61B1 - 플라스틱 골판지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골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61B1
KR100877561B1 KR1020070020532A KR20070020532A KR100877561B1 KR 100877561 B1 KR100877561 B1 KR 100877561B1 KR 1020070020532 A KR1020070020532 A KR 1020070020532A KR 20070020532 A KR20070020532 A KR 20070020532A KR 100877561 B1 KR100877561 B1 KR 10087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rugated cardboard
plastic corrugated
lower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908A (ko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박준영
주식회사 프라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영, 주식회사 프라우스 filed Critical 박준영
Priority to KR102007002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81/027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double-wa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65D65/406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with at least one layer provided with a relief other than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골판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에 결합되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의 경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골판지 {A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의 성형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판재 20 : 하부판재
30 : 리브 40 : 완충공
50 : 상부유로 52 : 상부유입부
54 : 상부유동부 56 : 상부유출부
58 : 상부완충부 59 : 상부성형재료
60 : 하부유로 62 : 하부유입부
64 : 하부유동부 66 : 하부유출부
68 : 하부완충부 69 : 하부성형재료
70 : 성형틀 80 : 에어블로우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골판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상품 포장용 박스나 각종 생활용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과거에는 종이 또는 목재 골판지가 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골판지는 주로 종이 또는 목재를 재질로 사용하였으나, 상기 종이 또는 목재 재질의 골판지는 사용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골판지의 생산 작업이 번거로워, 생산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이재질의 골판지는 곡면을 갖는 형상 등으로 가공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기나 습기가 접촉되는 경우에 쉽게 찢어지므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목재재질의 합판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합판지를 여러 장 겹쳐놓은 상태에서 본드 접착식의 압착방식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목재재질 자체의 중량이 종이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워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목재재질도 종이와 마찬가지로 물기를 흡수함에 따라 일정기간이 지나면, 흡수된 물기에 의해 접착력이 떨어져 합판지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상기 종이 내지 목재 골판지는 쉽게 손상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종이 골판지보다 내구성, 내마멸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골판지를 널리 사용하여 왔다.
즉,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는 공장에서 생상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상기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또는, 가정에서 이사를 하는 경우 제품의 손상방지 및 운반의 용이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 골판지는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며, 이 경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경도 역시 동일하였다. 여기서, 포장용 박스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와 포장용 제품이 접촉되는 판재의 경도가 상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경도만으로 성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의 경우, 외력을 견뎌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판재를 요구하지만, 포장용 제품에 접촉되는 판재의 경우, 상기 포장용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 즉,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의 판재를 요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와 상기 포장용 제품이 접촉 되는 판재가 동일한 경도만으로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에 의해 마련되는 경우보다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의 색채는 동일하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색채를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의 경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로 마련되어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색채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플라스틱 골판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와; 상기 상 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에 결합되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는 UV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색채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공은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는,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상부유로와; 상기 상부유로에 유입되는 성형재료와는 상이한 재질의 용융된 성형재료가 하부에서 유입되어 유동되는 하부유로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틀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블로우와;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에서 유출되는 성형재료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틀;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에 의해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의 상기 상부유로는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와 하부완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는,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와,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에 결합되며, 본 상부판재(10)와 본 하부판재(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30)와, 상기 복수의 리브(30)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판재(10)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이용하여 포장용 박스 등을 제작하는 경우, 상기 포장용 박스 내부의 제품들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10)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판재(10)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테르(PE),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10)는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 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판재(10)는 상기 6가지 재활용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는 다양한 색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이한 재질로 마련된 상기 상부판재(10) 또는 상기 하부판재(20)는 서로 다른 색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판재(10)를 성형하는 용융된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판재(20)를 성형하는 용융된 성형재료에 상이한 안료를 주입하여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가 서로 다른 색채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는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는 강도나 경도 등의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는 UV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를 형성하는 용융된 성형재료에 UV 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UV코팅층은 다양한 무늬나 문자 등의 형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10)는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가 사용되는 용도에 적당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는 상기 리브(30)에 연결되며, 본 리브(30)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리브(30)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완충공(40)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부판재(20)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이용하여 포장용 박스 등을 제작하는 경우, 상기 포장용 박스 내부의 제품들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재(20)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판재(20)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테르(PE),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재(20)는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판재(20)는 상기 6가지 재활용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재(20)는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가 사용되는 용도에 적당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브(30)는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리브(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며, 본 리브(30)의 일측은 상기 상부판재(10)에, 타측은 상기 하부판재(20)에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리브(30)는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브(3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상부판재(10) 또는 상기 하부판재(20)를 구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재(10)를 성형하는 성형재료와 동일한 성형재료가 상기 리브(30)의 일측을 형성하도록, 또한, 상기 하부재료를 성형하는 성형재료와 동일한 성형재료가 상기 리브(30)의 타측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브(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공(40)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완충공(40)은 상기 복수의 리브(30)사이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완충공(40)은 상기 복수의 리브(30)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일정공간으로서, 상기 일정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판재(10) 또는 상기 하부판재(20)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공(4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완충공(40)은 상기 사각형상 또는 상기 원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에 관해 서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유로(50)는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로(5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상기 하부유로(6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로(50)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입되는 상부유입부(52)와, 본 상부유입부(52)를 통해 유입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동되는 상부유동부(54)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성형하는 성형 틀(70)에 연결되며, 본 상부유동부(54)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본 성형틀(7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를 유출시키는 상부유출부(56)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입부(5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상기 상부유동부(54)를 통해 유동되며, 상기 상부유입부(52)에서 유출되어 상기 성형틀(70)에 진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동부(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출부(56)와 상이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출부(56)는 성형틀(70)의 크기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유동부(54)는 본 상부유동부(54)를 통해 다량의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동될 수 있기 위해 상기 상부유출부(56)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로(50)는 상기 상부유동부(54)의 직경과 상기 상부유출부(56)의 직경차이로 인해 상기 상부유로(50)의 직경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완충부(58)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로(50)는 상기 상부유동부(54)와 상기 상부유출부(56)사이에 본 상부유동부(54)와 본 상부유출부(5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유출부(5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상기 성형틀(7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유출부(56) 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본 성형틀(70)의 상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에어블로우(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에어블로우(80)는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성형틀(7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유로(60)는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입되어 유동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유로(6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상기 상부유로(5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유로(60)는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입되는 하부유입부(62)와, 본 하부유입부(62)를 통해 유입된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동되는 하부유동부(64)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성형하는 성형틀(70)에 연결되며, 본 하부유동부(64)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본 성형틀(7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를 유출시키는 하부유출부(66)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입부(6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상기 하부유동부(64)를 통해 유동되며, 상기 하부유입부(62)에서 유출되어 상기 성형틀(70)에 진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유동부(6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출부(66)와 상이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출부(66)는 성형틀(70)의 크기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동부(64)는 본 하부유동부(64)를 통해 다량의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동될 수 있기 위해 상기 하부유출부(66)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로(60)는 상기 하부유동부(64)의 직경과 상기 하부유출부(66)의 직경차이로 인해 상기 하부유로(60)의 직경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완충부(68)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로(60)는 상기 하부유동부(64)와 상기 하부유출부(66)사이에 본 하부유동부(64)와 본 하부유출부(6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유출부(6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상기 성형틀(7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출부(66)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본 성형틀(70)의 하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성형틀(70)은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상부성형재료(59)와 상기 하부유로(60)에서 유출되는 하부성형재료(69)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성형틀(70)은, 도 6을 참조하면, 일측이 상기 상부유로(50)의 상기 상 부유출부(56)에 연결되며, 본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70)의 타측은 상기 하부유로(60)의 상기 하부유출부(66)에 연결되며, 본 하부유출부(6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와 상기 하부유로(6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며, 이에 의해,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성형틀(70)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에어블로우(80)는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7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블로우(8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에어블로우(8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성형틀(70)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에어블로우(80)는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성형틀(70)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로(50)의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 형재료(59)는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성형틀(70)에 진입되기 전에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성형틀(70)에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기에 충분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진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블로우(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에 공기를 분사하여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실시예 (도 7 참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 과정을 서술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플라스틱 골판지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먼저,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를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의 상부유로(50)에 유입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판재(10)를 성형하는 상부유로(50)와 상기 하부판재(20)를 성형하는 하부유로(60)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S10)
이 경우,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다양한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상부유로(50)에 유입되는 상부성형재료(59)와 재질이 상이한 용 융된 하부성형재료(69)를 하부유로(60)에 유입한다. (S20)
여기서, 상기 하부유로(60)에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하부유로(60)에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상기 상부유로(50)에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와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음,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에 마련된 에어블로우(80)를 통해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입된 성형재료에 공기를 분사시킨다. (S30)
즉,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는 본 용융된 성형재료의 자중에 의해 성형틀(70)에 진입되기 전에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성형틀(70)에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기에 충분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진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블로우(80)는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에 공기를 분사하여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상부유로(50)의 상부성형재료(59)와 상기 하부유로(60)의 하부성형재료(69)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시킨다. (S40)
즉,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성형틀(70)의 상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10)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유로(6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상기 성형틀(70)의 하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2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로(6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는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의 재질이 상이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는,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의 경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로 마련되어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색채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Claims (7)

  1.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의 상부에 상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상부판재와;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하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리브의 단면이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일정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는 UV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색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은 사각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6. 삭제
  7. 삭제
KR1020070020532A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KR10087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32A KR100877561B1 (ko)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532A KR100877561B1 (ko)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908A KR20080079908A (ko) 2008-09-02
KR100877561B1 true KR100877561B1 (ko) 2009-01-09

Family

ID=4002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532A KR100877561B1 (ko) 2007-02-28 2007-02-28 플라스틱 골판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5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144A (en) 1997-02-27 2000-05-09 Kyoraku Co., Ltd. Hollow panel having cover material bonded thereto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200218986Y1 (ko) 2000-10-25 2001-04-02 최순식 합성수지를 이용한 골판지형 합판
KR20050057331A (ko) * 2002-09-20 2005-06-16 나고야 유카 가부시키가이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골판지
KR200417518Y1 (ko) 2006-03-17 2006-05-29 대성케미칼(주) 자동차 부품용 포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144A (en) 1997-02-27 2000-05-09 Kyoraku Co., Ltd. Hollow panel having cover material bonded thereto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200218986Y1 (ko) 2000-10-25 2001-04-02 최순식 합성수지를 이용한 골판지형 합판
KR20050057331A (ko) * 2002-09-20 2005-06-16 나고야 유카 가부시키가이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골판지
KR200417518Y1 (ko) 2006-03-17 2006-05-29 대성케미칼(주) 자동차 부품용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908A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599B2 (en) Plastic pallet
CA1308671C (en) Collapsible hollow articles with improved latching and dispensing configurations
US6807911B2 (en) Pallet with stress resistant structure
US8887916B2 (en) Bottle shipping system
EP2539235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cushioning structure
US6386118B1 (en) Pallet with stress resistant structure
WO2005102668A3 (en) A bottle, a method of forming the bottle, a liquid dispensing system and an extruded profile
CN101370722B (zh) 包装的封盖
WO2008134174A1 (en) Reduced material container
US8511473B1 (en) Energy dissapation structure for packaging fragile articles
US8998025B2 (en) Container and base with deflectable dome
KR20110003908A (ko) 플라스틱 골판지
KR100877561B1 (ko) 플라스틱 골판지
US20150059079A1 (en) Liquid Covering Disks and Systems
US20070215617A1 (en) Dual container system
KR100849622B1 (ko)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JP4866018B2 (ja) 容器口部
KR200405528Y1 (ko) 고정식 합성수지 방현재
JP7180254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00975600B1 (ko) 골판지 성형 방법
CN111479757A (zh) 具有一体式保护特征的耐用容器
US20180134438A1 (en) Multipurpose jaba-type agricultural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20180000099U (ko) 포장 용기
EP1985553A1 (en) Packaging set with buffer means
JP5363024B2 (ja) 運搬容器用の射出成形金型及び運搬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