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08A - 플라스틱 골판지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골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08A
KR20110003908A KR1020090061407A KR20090061407A KR20110003908A KR 20110003908 A KR20110003908 A KR 20110003908A KR 1020090061407 A KR1020090061407 A KR 1020090061407A KR 20090061407 A KR20090061407 A KR 20090061407A KR 20110003908 A KR20110003908 A KR 20110003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ing material
corrugated cardboard
molding
plastic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우스
Priority to KR102009006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908A/ko
Publication of KR2011000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B29D99/0014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provided with ridges or ribs, e.g. joined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5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hollow-walled or honeycombs
    • B29C66/725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hollow-walled or honeycombs hollow-walled
    • B29C66/725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hollow-walled or honeycombs hollow-walled comprising corrugated co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12Making corrugated paper or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골판지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의 상부에 상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상부판재와;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하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성형재료와 하부성형재료는 플라스틱 성형재와 첨가제와 발포제의 혼합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리브의 단면이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구성하는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상이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 하부판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성형재에 첨가제를 주입하고, 상, 하부판재를 구성하는 상, 하부성형재료를 발포시켜 미세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판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플라스틱, 골판지, 발포

Description

플라스틱 골판지{A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골판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상, 하부판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성형재에 첨가제를 주입하고 발포시킴으로써, 플라스틱 골판지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재료를 감소시키고 기계적 강도의 향상효과를 가지는 플라스틱 골판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상품 포장용 박스나 각종 생활용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과거에는 종이 또는 목재 골판지가 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골판지는 주로 종이 또는 목재를 재질로 사용하였으나, 상기 종이 또는 목재 재질의 골판지는 사용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골판지의 생산 작업이 번거로워, 생산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이재질의 골판지는 곡면을 갖는 형상 등으로 가공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기나 습기가 접촉되는 경우에 쉽게 찢어지므로 사용수명이 단축되 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목재재질의 합판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합판지를 여러 장 겹쳐놓은 상태에서 본드 접착식의 압착방식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목재재질 자체의 중량이 종이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워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목재재질도 종이와 마찬가지로 물기를 흡수함에 따라 일정기간이 지나면, 흡수된 물기에 의해 접착력이 떨어져 합판지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상기 종이 내지 목재 골판지는 쉽게 손상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종이 골판지보다 내구성, 내마멸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골판지를 널리 사용하여 왔다.
즉,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는 공장에서 생상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상기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또는, 가정에서 이사를 하는 경우 제품의 손상방지 및 운반의 용이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 골판지는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며, 이 경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경도 역시 동일하였다. 여기서, 포장용 박스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와 포장용 제품이 접촉되는 판재의 경도가 상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경도만으로 성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의 경우, 외력을 견뎌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판재를 요구하지만, 포장용 제품에 접촉되는 판재의 경우, 상기 포장용 제 품을 보호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 즉,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의 판재를 요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외부에 노출되는 판재와 상기 포장용 제품이 접촉되는 판재가 동일한 경도만으로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에 의해 마련되는 경우보다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본 상부판재와 본 하부판재의 색채는 동일하며,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색채를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경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 하부판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성형재에 첨가제를 주입함으로써, 생산되는 상, 하부판재의 미적 요소를 가미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 하부판재를 구성하는 상, 하부성형재료를 발포시켜 미세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판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로 마련되어 플라스틱 골판지의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색채를 상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의 상부에 상부 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상부판재와;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하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성형재료와 하부성형재료는 플라스틱 성형재와 첨가제와 발포제의 혼합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리브의 단면이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플라스틱 골판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성형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탈크(Talc), 목분, 석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화학적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는 UV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색채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공은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플라스틱 골판지를 구성하는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상이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 하부판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성형재에 첨가제를 주입함으로써, 생산되는 상, 하부판재의 미적 요소를 가미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 하부판재를 구성하는 상, 하부성형재료를 발포시켜 미세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판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가 재활용 재질로 마련되어 플라스틱 골판지의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의 색채를 상이하게 성형하여 플라스틱 골판지의 심미적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 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단면도이며, 도 3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의 상부에 상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상부판재(10)와;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하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하부판재(20)와; 상기 상부판재(10) 및 하부판재(20)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30)와; 상기 복수의 리브(30)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성형재료와 하부성형재료는 플라스틱 성형재와 첨가제와 발포제의 혼합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리브(30)의 단면이 상기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성형재로서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테르(PE),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에테르(PPE)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성형재는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상기 상, 하부판재(10, 2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 성형재에 혼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탈크(Talc), 목분, 석분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크(Talc)는 감람석(Clivine), 휘석류(Pyroxene), 감섬석류(Amphidole) 및 규산마그네슘 등이 변성 작용을 받아 생성된 2 차 변성광물로서, 첨가되는 재료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안료의 유동성점도를 부여하며, 부식이나 풍화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목분의 첨가시에는 외관적으로 나무의 형태를 띄게 되므로 판재성형시, 미적인 요소가 추가됨과 동시에 강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와 혼합된 플라스틱 성형재에는 발포제가 첨가되고, 이를 발포시켜 상, 하부성형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는 화학적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제의 종류에 따라 화학적 발포 공정 또는 물리적 발포 공정으로 상기 상, 하부성형재료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화학적 발포 공정은 첨가제가 주입된 플라스틱 성형재에 화학적 발포제를 첨가시키고, 이를 가열 및 가압하여 화학반응에 의한 가스 방출을 통해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또한, 상기 물리적 발포 공정은 첨가제가 주입된 플라스틱 성형재에 물리적 발포제를 첨가시킨 후, 이를 혼합부에서 혼합하여 균일한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공정은 용융될 상, 하부성형재료의 내부에 미세기공을 인위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투입되는 원재료의 양을 절감시켜 생산단가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상기 미세기공에 의한 상기 상, 하부성형재료의 강도향상을 구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 하부성형재료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상, 하부성형재료는 각각 상이한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상, 하부성형재료에 투입되는 플라스틱 성형재의 종류, 첨가제의 종류 및 발포제의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상, 하부성형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상, 하부판재(10, 20)는 UV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를 형성하는 용융된 성형재료에 UV 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UV코팅층은 다양한 무늬나 문자 등의 형상을 구비하여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판재(10, 20)는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골판지가 사용되는 용도에 적당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는 다양한 색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이한 재질로 마련된 상기 상부판재(10) 또는 상기 하부판재(20)는 서로 다른 색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판재(10)를 성형하는 용융된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판재(20)를 성형하는 용융된 성형재료에 상이한 안료를 주입하여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가 서로 다른 색채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는 리브(30)에 연결되며, 본 리브(30)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리브(30)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완충공(4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리브(30)는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리브(3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며, 본 리브(30)의 일측은 상기 상부판재(10)에, 타측은 상기 하부판재(20)에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리브(30)는 상기 상부판재(10)와 상기 하부판재(2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브(3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상부판재(10) 또는 상기 하부판재(20)를 구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재(10)를 성형하는 성형재료와 동일한 성형재료가 상기 리브(30)의 일측을 형성하도록, 또한, 상기 하부판재(20)를 성형하는 성형재료와 동일한 성형재료가 상기 리브(30)의 타측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브(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 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공(40)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공(40)은 상기 복수의 리브(30)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완충공(40)은 상기 복수의 리브(30)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일정공간으로서, 상기 일정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판재(10) 또는 상기 하부판재(20)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공(4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완충공(40)은 상기 사각형상 또는 상기 원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리브(30)의 단면은 상기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 라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는 후술하여 설명할 골판지 성형장치에서 압출성형 공정으로 생산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의 성형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에 관해 서술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부유로(50)는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로(5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상기 하부유로(6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로(50)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입되는 상부유입부(52)와, 본 상부유입부(52)를 통해 유입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동되는 상부유동부(54)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성형하는 성형틀(70)에 연결되며, 본 상부유동부(54)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본 성형틀(7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를 유출시키는 상부유출부(56)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입부(5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상 기 상부유동부(54)를 통해 유동되며, 상기 상부유입부(52)에서 유출되어 상기 성형틀(70)에 진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동부(54)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출부(56)와 상이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출부(56)는 성형틀(70)의 크기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유동부(54)는 본 상부유동부(54)를 통해 다량의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유동될 수 있기 위해 상기 상부유출부(56)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로(50)는 상기 상부유동부(54)의 직경과 상기 상부유출부(56)의 직경차이로 인해 상기 상부유로(50)의 직경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완충부(58)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로(50)는 상기 상부유동부(54)와 상기 상부유출부(56)사이에 본 상부유동부(54)와 본 상부유출부(5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상부완충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유출부(56)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상기 성형틀(7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유출부(56)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본 성형틀(70)의 상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 성형장치는 에어블로우(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에어블로우(80)는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 부성형재료(59)가 상기 성형틀(7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하부유로(60)는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입되어 유동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유로(6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상기 상부유로(50)를 통해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유로(60)는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입되는 하부유입부(62)와, 본 하부유입부(62)를 통해 유입된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동되는 하부유동부(64)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성형하는 성형틀(70)에 연결되며, 본 하부유동부(64)를 통해 유동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본 성형틀(7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를 유출시키는 하부유출부(66)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입부(62)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상기 하부유동부(64)를 통해 유동되며, 상기 하부유입부(62)에서 유출되어 상기 성형틀(70)에 진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유동부(64)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출부(66)와 상이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출부(66)는 성형틀(70)의 크기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동부(64)는 본 하부유동부(64)를 통해 다량의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유동될 수 있기 위해 상기 하 부유출부(66)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로(60)는 상기 하부유동부(64)의 직경과 상기 하부유출부(66)의 직경차이로 인해 상기 하부유로(60)의 직경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완충부(68)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유로(60)는 상기 하부유동부(64)와 상기 하부유출부(66)사이에 본 하부유동부(64)와 본 하부유출부(66)의 직경차이로 인한 유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하부완충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유출부(66)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상기 성형틀(7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출부(66)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본 성형틀(70)의 하부에 진입되어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성형틀(70)은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상부성형재료(59)와 상기 하부유로(60)에서 유출되는 하부성형재료(69)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성형틀(70)은, 도 6 을 참조하면, 일측이 상기 상부유로(50)의 상기 상부유출부(56)에 연결되며, 본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70)의 타측은 상기 하부유로(60)의 상기 하부유출부(66)에 연결되며, 본 하부유출부(6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가 상기 플 라스틱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하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와 상기 하부유로(6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69)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며, 이에 의해,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성형틀(70)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에어블로우(80)는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7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블로우(8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에어블로우(8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성형틀(70)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에어블로우(80)는 상기 상부유로(50)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상기 성형틀(70)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유로(50)의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는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성형틀(70)에 진입되기 전에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성형틀(70)에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기에 충분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진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블로우(8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출부(56)에서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에 공기를 분사하여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59)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플라스틱 성형재를 혼합하여 상부성형재 및 하부성형재를 형성한다.(S10, S20)
이 경우, 상기 상부성형재와 하부성형재는 재질이 상이하도록 마련된다.
다음, 상기 상부성형재 및 하부성형재에 첨가제를 주입한다.(S30, S40)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목분, 석분, 탈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성형재 및 하부성형재에 주입될 수 있으며, 상부성형재 및 하부성형재에 주입되는 첨가제는 상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첨가제가 주입된 상부성형재 및 하부성형재에 발포제를 첨가하고, 이를 발포시켜 상부성형재료 및 하부성형재료를 형성한다.(S50, S60)
이 경우, 상기 발포제는 화학적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첨가되는 발포제의 종류에 따라 화학적 발포 공정 또는 물리적 발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공정에 의해 상기 상부성형재료에 형성되는 기공율과 상기 하부성형재료에 형성되는 기공율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용융된 상, 하부성형재료를 골판지 성형장치의 상, 하부유로에 유입시킨다.(S70)
이 경우, 상기 하부유로에 유입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는 상기 상부유로에 유입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와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음, 에어블로우는 상기 상부유로에서 유입된 상부성형재료에 공기를 분사시킨다.(S80)
즉, 상기 상부유로의 상기 상부유출부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는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의 자중에 의해 상기 성형틀에 진입되기 전에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성형틀에는 상기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기에 충분한 용융된 상부성형재료가 진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블로우는 상기 상부유출부에서 유출되는 상기 용융된 상부성형재료에 공기를 분사하여 본 용융된 상부성형재료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부유로의 상부성형재료와 하부유로의 하부성형재료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시킨다. (S90)
즉, 상기 상부유출부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상부성형재료는 상기 성형틀의 상부에 진입되어 골판지의 상부판재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유출부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하부성형재료는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진입되어 골판지의 하부판재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유출부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와 상기 하부유출부에서 유출되는 용융된 성형재료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므로, 형성되는 골판지는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재질이 상이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다음,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을 계속 수행하는 경우라면 상기 단계를 반복하며,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라면 플라스틱 골판지의 성형을 종료한다.(S100)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단면도이며,
도 3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의 성형틀의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골판지를 성형하는 성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판재 20 : 하부판재
30 : 리브 40 : 완충공
50 : 상부유로 52 : 상부유입부
54 : 상부유동부 56 : 상부유출부
58 : 상부완충부 59 : 상부성형재료
60 : 하부유로 62 : 하부유입부
64 : 하부유동부 66 : 하부유출부
68 : 하부완충부 69 : 하부성형재료
70 : 성형틀 80 : 에어블로우

Claims (7)

  1.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의 상부에 상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상부판재와;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하부성형재료를 주입시켜 마련되는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마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성형재료와 하부성형재료는 플라스틱 성형재와 첨가제와 발포제의 혼합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리브의 단면이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성형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탈크(Talc), 목분, 석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화학적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성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 중 어느 하나는 UV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의 색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은 사각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골판지.
KR1020090061407A 2009-07-07 2009-07-07 플라스틱 골판지 KR20110003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07A KR20110003908A (ko) 2009-07-07 2009-07-07 플라스틱 골판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07A KR20110003908A (ko) 2009-07-07 2009-07-07 플라스틱 골판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08A true KR20110003908A (ko) 2011-01-13

Family

ID=4361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407A KR20110003908A (ko) 2009-07-07 2009-07-07 플라스틱 골판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9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873A (ko) 2017-04-20 2018-10-30 (주) 길텍 플라스틱 골판지
KR101961362B1 (ko) 2018-06-27 2019-03-26 (주) 길텍 플라스틱 골판지
CN111303560A (zh) * 2020-04-10 2020-06-19 芜湖利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纸箱瓦楞纸板用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873A (ko) 2017-04-20 2018-10-30 (주) 길텍 플라스틱 골판지
KR101961362B1 (ko) 2018-06-27 2019-03-26 (주) 길텍 플라스틱 골판지
CN111303560A (zh) * 2020-04-10 2020-06-19 芜湖利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纸箱瓦楞纸板用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599B2 (en) Plastic pallet
US8181580B2 (en) Composite structural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50178721A1 (en) Blow Molded Septic Tank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10003908A (ko) 플라스틱 골판지
CN113147133A (zh) 内支撑面板和应用
US20170050757A1 (en) Bottle shipping system with top and bottom inserts
US20150059079A1 (en) Liquid Covering Disks and Systems
KR100975600B1 (ko) 골판지 성형 방법
KR100877561B1 (ko) 플라스틱 골판지
KR101192398B1 (ko)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자용 개방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부자 제조방법
KR200405528Y1 (ko) 고정식 합성수지 방현재
CN103158937A (zh) 一种空调压缩机包装组件
JP6247016B2 (ja) 気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断熱食品容器の製造方法
KR101981619B1 (ko) 플라스틱 골판지의 제조방법
CN202986206U (zh) 一种蜂窝孔纳米钙高填充聚丙烯纸箱
CN205033680U (zh) 一种多层塑料包装用容器
KR102112083B1 (ko)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CN203497308U (zh) 一种聚氨酯栈板
KR102647828B1 (ko) 에바 플로트
KR101135129B1 (ko) 자전거 전용 도로에 사용하는 작은 경계용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50585Y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내장 바닥재
KR20110067839A (ko) 건축물 비계용 안전발판 제조방법
JP2008100452A (ja) パッキン付き製造蓋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5212122A (ja) プラスチック成型品
KR200334606Y1 (ko) 포장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모듈블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