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083B1 -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 Google Patents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083B1
KR102112083B1 KR1020180139797A KR20180139797A KR102112083B1 KR 102112083 B1 KR102112083 B1 KR 102112083B1 KR 1020180139797 A KR1020180139797 A KR 1020180139797A KR 20180139797 A KR20180139797 A KR 20180139797A KR 102112083 B1 KR102112083 B1 KR 10211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foam board
convex portion
longitudinal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호
박지호
Original Assignee
박진호
박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호, 박지호 filed Critical 박진호
Priority to KR102018013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7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레이어의 두꺼운 폼보드를 가볍게 생산할 수 있으며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다이스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결합되는 연결구조를 이루고, 상기 상/하부 다이스의 연결부분에서 용융상태의 용융원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용융원료를 확장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확장 유동부와, 상기 확장 유동부를 통과하여 확장 유동된 용융원료가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랜드부와, 상기 상/하부 다이스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랜드부를 통과하여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용융원료를 일정 폭과 두께로 제어하여 폼보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 중 하나의 다이스립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요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EXTRUDER T-DIES FOR FORMING A FOAM BOARD}
본 발명은 폼보드 성형을 위한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레이어의 두꺼운 폼보드를 생산할 수 있으며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폼보드는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내부에 독립된 기포를 구비하여 단열성 및 방음성, 저흡수성 및 가공성이 좋고 내충격성이 양호한 장점이 있으므로, 건축이나 토목, 원예 등의 분야에서 단열재, 포장재, 부양재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며, 그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폼보드는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수지 원료와 발포가스를 투입하고, 연속적으로 발포 성형하여 제조되며, 대체로 편평한 평판 형태를 가진다.
종래의 경우에는 폼보드가 평판 형태를 가지므로 두께가 두꺼운 폼보드의 생산이 어려웠는데, 이는 폼보드의 내부까지 냉각되는 속도가 느려 작업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불충분한 냉각으로 인한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에 기인한다.
등록특허 제10-1747668호 등록특허 제10-08252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레이어이면서 두께가 두꺼운 폼보드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품의 무게를 가볍게 하고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로서, 상/하부 다이스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결합되는 연결구조를 이루고, 상기 상/하부 다이스의 연결부분에서 용융상태의 용융원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용융원료를 확장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확장 유동부와, 상기 확장 유동부를 통과하여 확장 유동된 용융원료가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랜드부와, 상기 상/하부 다이스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랜드부를 통과하여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용융원료를 일정 폭과 두께로 제어하여 폼보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 중 하나의 다이스립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 사이에는 상기 랜드부에 걸쳐서 배치되어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에어판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방형의 타입이면서 평면상에서 볼 때 반원형의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판의 몸체에는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요철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2 종방향 요철부는 오목부와 오목부가 대응되거나 오목부와 볼록부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종방향 요철부는 사각형 요철부, 삼각형 요철부, 반원형 요철부 및 톱니형 요철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에 의해 제조된 폼보드는 기존의 편평한 형태의 평판형 폼보드와 비교하여 오목부 및 볼록부와 같은 요철구조를 가짐으로써 폼보드 내부의 내열을 보다 쉽게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에 기인한 폼보드의 변형이 방지되며,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레이어이면서 두께가 두꺼운 폼보드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에 의해 제조된 폼보드의 경우, 오목부 및 볼록부와 같은 요철에 의해 빈공간이 생기는 요철이 있는 폼보드이므로 제품 생산원가가 30 ~ 60% 절감되며, 동일한 기계로 제품을 생산할 경우에는 기존의 편평한 형태의 폼보드보다 더 많은 제품을 가볍게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량 또한 30 ~ 60%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에 의해 제조된 폼보드의 경우, 포장박스에 채워지는 포장재로 적용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포장대상 물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벽면 등에 매입되어 방음재로 적용되는 경우 단위 면적당 흡음율을 높여 뛰어난 방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제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한 완충재에 관한 단열재에 적용된다면,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단열효과 뿐만 아니라 방음 효과도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기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출성형기의 말단 부근의 확대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립의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갖는 다이스립의 구성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립의 정면도 및 이 구성에 따라 생산된 제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립의 정면도 및 이 구성에 따라 생산된 제품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갖는 에어판의 몸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T-다이스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폼보드 성형용 압출 성형기 T-다이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폼보드 성형용 압출 성형기 T-다이스는 호퍼부, 가열부, 냉각부, 및 T-다이스로 이루어져, 원료를 가열, 냉각을 거쳐 판형 형상의 폼보드를 성형하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성형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셜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기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출성형기의 말단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폼보드 성형을 위한 압출성형기는 크게 호퍼부(100), 히팅부(200), 냉각부(300), 및 T-다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부(100)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준비한 수지 등의 원료가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히팅부(200)는 호퍼부(100)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가열 및 혼합하면서 이송수단(예: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냉각부(300)는 히팅부(200)의 일단에 연결되어 히팅부(200)로부터 이송된 용융원료를 냉각 및 혼합하면서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히팅부(200)와 냉각부(300) 사이에는 가스 주입구(도시안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부탄가스, 프레온, CO2. 질소 등등과 같은 발포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립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T-다이스(400)는 냉각부(300)의 종단에 후방을 연결설치하되, 냉각부(300)로부터 이송된 용융원료를 외부로 배출하여 폼보드를 성형하도록 상부 다이스(410)와 하부 다이스(412)가 대향하여 결합된 연결구조를 이루는 성형다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T-다이스(400)는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결합되는 연결구조를 이루고, 상기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의 연결부분에서 용융상태의 용융원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420)와, 상기 유입구(420)로 유입된 용융원료를 확장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확장 유동부(422)와, 상기 확장 유동부(422)를 통과하여 확장 유동된 용융원료가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랜드부(424)와, 상기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랜드부(424)를 통과하여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용융원료를 일정 폭과 두께로 제어하여 폼보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은 상기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의 내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요철부(440, 44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다이스립(430)의 내측에만 종방향 요철부(440)가 형성될 수 있거나 하부 다이스립(432)의 내측에만 종방향 요철부(44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 중 하나의 다이스립의 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분사를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에어 분사를 위한 에어 배출구(450, 452)는 종방향 요철부(440, 442)의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에어 배출구(450, 452)는 종방향 요철부(440, 442)의 오목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종방향 요철부(440, 442)의 오목부 및 볼록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에어 배출구(450, 452)는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에어 주입구(460, 462)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 주입구(460, 462)는 에어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에어공급기(도시안됨)(에어 및 스팀 등을 생성할 수 있는 링블로워 및 컴프레셔 등을 적용)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배출구(450, 452)는 상기 에어 주입구(460, 462)를 기준으로 말단으로 향할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최소의 에어공급으로 최대한 높은 분사력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 배출구(450, 452)와 상기 에어 주입구(460, 462)는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의 몸체 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횡방향 에어통로(461, 463)를 통해 각각 연결되며, 횡방향 에어통로(461, 463)는 다시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의 몸체 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종방향 에어통로(465, 467)를 통해 다수개의 에어 배출구(450, 45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에어 주입구(460, 462)로부터의 에어가 횡방향 에어통로(461, 463)와 종방향 에어통로(465, 467)를 통해 용융원료를 배출하는 랜드부(424)에 걸쳐서 에어 배출구(450, 452)로 분사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용융원료를 배출하는 랜드부(424)에서의 냉각 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두껍고 가벼운 폼보드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종방향 요철부(440, 442)의 오목부에 근접한 위치에 에어 배출구(450, 452)가 형성되므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폼보드의 표면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마찰을 최소화함에 따라 제품이 원활하게 빠져나와 안내되고, 제품에 정전기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갖는 다이스립의 구성도로서, 상기한 종방향 요철부(440)는 다양한 요철을 갖는 폼보드를 제조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종방향 요철부(440)는 상기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 중 하나의 다이스립의 내측에 형성되거나(도 6a 및 도 6b 참조), 상기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의 내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도 6c 및 도 6d 참조).
상기 종방향 요철부(440)가 상기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의 내측에 모두 형성되는 경우,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의 요철부의 오목부와 오목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거나(도 6c 참조), 또는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의 요철부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6d 참조).
또한, 상기 종방향 요철부(440)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오목부와 사각형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요철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종방향 요철부(44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삼각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삼각형 요철부, 적어도 반원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반원형 요철부 또는 적어도 톱니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톱니형 요철부 이외에도 여러가지 모양으로 가능하며 그 중 어느 하나로 형성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T-다이스의 구성으로 인해, 기존의 편평한 형태의 폼보드와 달리, 오목부 및 볼록부와 같은 요철이 있는 폼보드의 제조가 가능해지며, 폼보드 내부의 내열을 보다 쉽게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에 인한 폼보드의 변형 등이 방지되며, 따라서 단일 레이어이면서 두께가 두겁고 가벼운 폼보드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 사이의 개구부분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재(470)가 추가로 구비된다.
조절부재(470)의 조작에 따른 외부의 힘으로 상부 다이스립(430)를 상부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부 다이스(410)의 전방측 위쪽으로는 홈부(474)가 형성된다.
또한, 조절부재(470)와의 결속력을 높여 끌어당기는 효율이 증진되도록 너트부재(472)가 고정설치된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는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 사이에서 랜드부(424)에 걸쳐서 배치되는 에어판(480)이 구비되는 점만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T-다이스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판(480)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방형의 타입이면서 평면상에서 볼 때 반원형의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에어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박형화되는 판형 구조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판(480)은 크게 에어 주입구(482), 챔버부(484), 에어 배출구(486)로 이루어진다.
에어 주입구(482)는 에어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에어공급기(도시안됨)(에어 및 스팀 등을 생성할 수 있는 링블로워 및 컴프레셔 등을 적용)와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구(48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챔버부(484)는 에어 주입구(482)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에어판(480)의 몸체 내측에 형성되며, 일정량의 에어가 일시 저장되는, 즉 담겨질 수 있는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에어 배출구(486)는 챔버부(484)의 에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배출구(486)는 통상적인 노즐 형태로 구성가능하다.
이와 같이, 에어 주입구(482)로부터의 에어가 챔버부(484)를 통해 용융원료를 배출하는 랜드부(424)에 걸쳐서 에어 배출구(486)로 분사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용융원료를 배출하는 랜드부(424)에서의 냉각 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두껍고 가벼운 폼보드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미설명 부호 488a 및 488b는 각각 측부 연결부재 및 하부 연결부재로서, 에어판(480)을 상부 다이스(410)/하부 다이스(412) 사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측부 연결부재(488a)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에어 주입구(48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립의 정면도 및 이 구성에 따라 생산된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 사이에는 에어판(480)이 제공되어 있는데, 에어판(480)의 몸체는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다수개의 에어 배출구(48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배출구(486)는 랜드부(424)에서의 냉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두껍고 가벼운 폼보드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반면에, 상부 다이스립(43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요철부(440)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 다이스립(432)의 내측에는 종방향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0b는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생산된 제품(P1)을 나타내며, 제품(P1)의 상면에는 상부 다이스립(430)의 종방향 요철부(440)에 따른 요철부가 형성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의 형성은 제품 생산원가가 30 ~ 60% 절감되도록 하며, 동일한 기계로 제품을 생산할 경우에는 기존의 편평한 형태의 폼보드보다 더 많은 제품을 가볍게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량 또한 30 ~ 60% 증가시키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립의 정면도 및 이 구성에 따라 생산된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 사이에는 에어판(480)이 제공되어 있는데, 에어판(480)의 몸체에는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요철부(487)가 구비되어 있다.
반면에, 상부 다이스립(430) 및 하부 다이스립(432)의 내측에는 종방향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도 11b는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생산된 제품(P2)을 나타내며, 제품(P2)의 중앙부근에는 에어판(480)의 종방향 요철부(487)에 따른 사각형 형태의 빈 공간부가 형성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부는 에어 배출구(486)가 랜드부(424)에서 냉각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방향 요철부(487)에서도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이러한 빈 공간부의 형성은 제품 생산원가가 30 ~ 60% 절감되도록 하며, 동일한 기계로 제품을 생산할 경우에는 기존의 편평한 형태의 폼보드보다 더 많은 제품을 가볍게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량 또한 30 ~ 60% 증가시키게 한다.
상기 상부 다이스립(430)/하부 다이스립(432)의 종방향 요철부(440) 및 상기 에어판(480)의 종방향 요철부(487)는 다양한 요철을 갖는 폼보드를 제조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갖는 에어판의 몸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에어판(480)은, 도 12a 내지 도 12d에 차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반원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반원형 요철부, 적어도 삼각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삼각형 요철부, 적어도 톱니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톱니형 요철부, 적어도 역톱니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역톱니형 요철부 이외에도 여러가지 모양으로 가능하며 그 중 어느 하나로 형성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T-다이스의 구성으로 인해, 기존의 편평한 형태의 폼보드와 달리, 오목부 및 볼록부와 같은 다양한 요철이 있는 폼보드의 제조가 가능해지며, 폼보드 내부의 내열을 보다 쉽게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에 인한 폼보드의 변형 등이 방지되며, 따라서 단일 레이어이면서 두께가 두겁고 가벼운 폼보드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를 통하여 연속 생산되는 제품은 이후에 다양한 추가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즉, 상기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를 통하여 연속 생산되는 제품은, 라미네이팅 기계, 코팅기 및 엠보 롤라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어 추가적인 가공공정을 거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산된 제품은 라미네이팅 기계를 통하여 종이, 필름 등등을 제품표면에 라미네이팅할 수도 있으며, 코팅기를 이용하여 수지를 제품표면을 코팅 및 다른 제품과 붙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엠보(무늬) 롤라를 이용하여 제품 표면에 무늬를 낼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T-다이스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말단부가 일자형태를 갖는 T-다이스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가 곡선형의 라운드 형태를 갖는 T-다이스에도 적용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호퍼부
200 : 히팅부
300 : 냉각부
400 : T-다이스
410, 412 : 상/하부 다이스
420 : 유입구
422 : 확장 유동부
424 : 랜드부
430, 432 :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
440, 442, 487 : 종방향 요철부
450, 452, 486 : 에어 배출구

Claims (11)

  1.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로서,
    상/하부 다이스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결합되는 연결구조를 이루고,
    상기 상/하부 다이스의 연결부분에서 용융상태의 용융원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용융원료를 확장시켜 유동시키기 위한 확장 유동부와,
    상기 확장 유동부를 통과하여 확장 유동된 용융원료가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랜드부와,
    상기 상/하부 다이스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랜드부를 통과하여 막 형상으로 배출되는 용융원료를 일정 폭과 두께로 제어하여 폼보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 중 하나의 다이스립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다이스립/하부 다이스립 사이에는 상기 랜드부에 걸쳐서 배치되어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판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방형의 타입이면서 평면상에서 볼 때 반원형의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에어판의 몸체에는 다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요철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방향 요철부는 오목부와 오목부가 대응되거나 오목부와 볼록부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방향 요철부는 사각형 요철부, 삼각형 요철부, 반원형 요철부 및 톱니형 요철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의 말단은 일자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39797A 2018-11-14 2018-11-14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KR10211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97A KR102112083B1 (ko) 2018-11-14 2018-11-14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97A KR102112083B1 (ko) 2018-11-14 2018-11-14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083B1 true KR102112083B1 (ko) 2020-05-20

Family

ID=7091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797A KR102112083B1 (ko) 2018-11-14 2018-11-14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0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54Y1 (ko) * 2001-06-16 2001-10-31 노성열 발포시트 성형용 다이스
JP2003119923A (ja) * 2001-10-09 2003-04-23 Fukuvi Chem Ind Co Ltd 複合断熱ボード
KR100825262B1 (ko) 2007-02-16 2008-04-25 노성열 발포수지 성형 다이용 가이드 구조
JP4367604B2 (ja) * 2002-06-12 2009-11-18 横浜ゴム株式会社 帯状部材の貼合わせ方法
KR101184728B1 (ko) * 2010-05-13 2012-09-20 박승기 발포수지 압출성형기의 성형다이스
KR20150078700A (ko) * 2013-12-31 2015-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압출 인각 방식에 의한 거대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1747668B1 (ko) 2016-10-20 2017-06-15 명일폼테크주식회사 압출성형기용 멀티레이어 다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54Y1 (ko) * 2001-06-16 2001-10-31 노성열 발포시트 성형용 다이스
JP2003119923A (ja) * 2001-10-09 2003-04-23 Fukuvi Chem Ind Co Ltd 複合断熱ボード
JP4367604B2 (ja) * 2002-06-12 2009-11-18 横浜ゴム株式会社 帯状部材の貼合わせ方法
KR100825262B1 (ko) 2007-02-16 2008-04-25 노성열 발포수지 성형 다이용 가이드 구조
KR101184728B1 (ko) * 2010-05-13 2012-09-20 박승기 발포수지 압출성형기의 성형다이스
KR20150078700A (ko) * 2013-12-31 2015-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압출 인각 방식에 의한 거대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1747668B1 (ko) 2016-10-20 2017-06-15 명일폼테크주식회사 압출성형기용 멀티레이어 다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7406A1 (en) Injection molding method
MXPA04004767A (es) Herramienta de formacion para producir partes moldeadas de espuma en particula.
JP2007055121A (ja) 熱可塑性樹脂の多層成形方法、及び多層成形装置
CN102966822A (zh) 带有板状部分的管状发泡成形体
JP2015521966A (ja) 多層マイクロキャピラリ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1169678B1 (ko) 내부 구획공간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RU2012130392A (ru) Пластина из вспененной фенольной смол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056479B1 (ko) 멀티 코팅이 가능한 슬롯다이
KR102112083B1 (ko) 폼보드 성형용 압출기 t-다이스
WO2014069110A1 (ja) 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00044648A (ko) 합성수지 패널의 이중 압출 성형장치
KR100812523B1 (ko) 복합형 합성수지 패널과 그 제조장치
KR101378139B1 (ko) 발포수지성형장치
KR101171935B1 (ko)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199741B1 (ko) 발포 성형물 제조용 압출 금형
KR101184728B1 (ko) 발포수지 압출성형기의 성형다이스
CN104511998B (zh) 模具
KR101070532B1 (ko) 압출 발포기용 다이스
KR100818342B1 (ko) 합성수지 패널의 이중 압출 성형장치
JP5977057B2 (ja) 発泡樹脂成形型および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200361B1 (ko) 발포 성형 금형장치
KR100538773B1 (ko) 평판재 발포성형품의 성형장치
KR200304683Y1 (ko) 발포수지 압출성형기의 다이기구
US20190351596A1 (en) Molding Device for Making a Foamed Shoe Element
JP2007125704A (ja) 発泡樹脂成形法及び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