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702B1 - 상흔들림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상흔들림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02B1
KR100846702B1 KR1020050059058A KR20050059058A KR100846702B1 KR 100846702 B1 KR100846702 B1 KR 100846702B1 KR 1020050059058 A KR1020050059058 A KR 1020050059058A KR 20050059058 A KR20050059058 A KR 20050059058A KR 100846702 B1 KR100846702 B1 KR 10084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movable unit
image signal
im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739A (ko
Inventor
다카히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3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e.g. controlling the readout of an imag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가동 유닛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동 유닛은 촬상 소자를 가지고 있고,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동 유닛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촬상 작동과, 손흔들림으로부터 발생된 래그가 보정되는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합성 작동을 수행한다. 제 1 촬상 작동에서는, 제 1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되는 제 1 촬영 프레임의 제 1 촬상 위치가 연산되고, 제 1 화상 신호가 제 1 위치에서의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과 제 1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진다. 합성 작동에서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를 얻는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 가동 유닛, 제어 장치, 촬상 소자, 래그, 촬영 프레임, 화상 신호,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 A/D 변환기, 촬상 블록

Description

상흔들림 보정 장치{ANTI-SHAKE APPARATUS}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부분에 의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의 배면에서 본 촬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촬영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촬영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가동 유닛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 유닛과 고정 유닛 사이의 위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가동 유닛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 유닛과 고정 유닛 사이의 위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가동 유닛이 제 3 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 유닛과 고정 유닛 사이의 위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가동 유닛이 제 4 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 유닛과 고정 유닛 사이의 위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가동 유닛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가동 유닛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의 위치 관계를 나타 내는 도면;
도 10은 가동 유닛이 제 3 위치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가동 유닛이 제 4 위치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촬상 영역 사이의 위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A-A 선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 작동의 플로차트;
도 16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촬상 작동의 플로차트의 제 1 부분; 그리고
도 17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촬상 작동의 플로차트의 제 2 부분이다.
본 발명은 촬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흔들림에 대한 보정된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화상 합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 장치용 상흔들림 보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촬상 도중에 발생하는 손흔들림량에 따라, 광축에 수직인 평면 상에 결상면을 이동시킴으로써 손흔들림 효과를 보정한다.
일본 특허 공보 H01-053957호는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의 일부 영역에서 촬상되는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흔들림 보정(손흔들림을 보정한) 화상을 얻는 전자식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촬상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은 손흔들림량에 따라서 촬상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이동될 수 있다. 촬상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은 광축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이동가능한 결상면에 상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의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촬상 작동이 수행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흔들림 보정 화상의 화질이 저하되고, 화각(angle of view)이 협소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가 손흔들림량 검출 유닛, 가동 유닛, 고정 유닛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손흔들림량 검출 유닛은 상기 촬영 장치의 손흔들림에 관한 제 1 정보, 제 2 정보, 제 3 정보 및 제 4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가동 유닛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에 수직이다.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광축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이다.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 내의 제 1 위치, 제 2 위치,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1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1 촬상 작동, 제 2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2 촬상 작동, 제 3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3 촬상 작동 및 제 4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4 촬상 작동과, 손흔들림에 의한 래그가 보정된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합성 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1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된다. 제 1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1 정보로부터 연산된다. 또한, 상기 제 1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1 촬영 프레임의 제 1 촬상 위치가 상기 제 1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화상 신호가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과 상기 제 1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진다.
상기 제 2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2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된다. 제 2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2 정보로부터 연산된다. 또한, 상기 제 2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2 촬영 프레임의 제 2 촬상 위치가 상기 제 2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화상 신호가 상기 제 2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2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진다.
상기 제 3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3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된다. 제 3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3 정보로부터 연산된다. 또한, 상기 제 3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3 촬영 프레임의 제 3 촬상 위치가 상기 제 3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화상 신호가 상기 제 3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3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진다.
상기 제 4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4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된다. 제 4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4 정보로부터 연산된다. 또한, 상기 제 4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4 촬영 프레임의 제 4 촬상 위치가 상기 제 4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화상 신호가 상기 제 4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4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진다.
상기 합성 작동에서는, 상기 제 1 화상 신호, 제 2 화상 신호, 제 3 화상 신호 및 제 4 화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상기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를 얻는다.
(실시예)
아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이다. 이 촬영 장치(1)는 광축(LX)을 가지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 다. 도 4 내지 도 7은 가동 유닛(30a)과 고정 유닛(30b)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과 촬상 영역의 이동 범위(R1)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제 1 방향(x), 제 2 방향(y), 및 제 3 방향(z)이 정의된다(도 1 참고). 제 1 방향(x)은 광축(LX)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이다. 제 2 방향(y)은 광축(LX) 및 제 1 방향(x)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이다. 제 3 방향(z)은 광축(LX)과 평행하고 또한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모두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이다.
도 l4는 도 13의 A-A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촬영 장치(1)의 촬상에 관한 부분은, Pon 버튼(11), Pon 스위치(11a), 광도 측정 스위치(12a), 릴리스 버튼(13), 릴리스 스위치(13a), LCD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 유닛(17), 메모리(18), CPU(21), 촬상 블록(22), AE(automatic exposure:자동 노출) 유닛(23), AF(automatic focusing:자동 초점맞춤) 유닛(24),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의 촬상 유닛(39a), 및 촬영 광학 시스템(67)으로 구성된다(도 1, 도 2 및 도 3 참고).
Pon 버튼(11)의 상태에 의해 Pon 스위치(11a)가 온 상태인지 또는 오프 상태인지가 결정되기 때문에, 촬영 장치(1)의 전원의 온/오프 상태는 Pon 스위치(11a)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변경된다.
피사체상이 촬영 광학 시스템(67)을 통하여 투영된 광학상으로서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에 결상된다. 촬상 소자(39a1)는 광학상을 광전 변환에 의 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소자(39a1)에 의해 일정 시간 축적된 후, 광학상으로부터 변환되고 판독된 전하에 기초하는 전기 신호는 촬상 블록(22)과 CPU(21)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을 통하여, 표시 유닛(17) 상에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메모리(18)에 저정될 수 있는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표시 유닛(17)은 피사체상으로서 화상 신호를 표시한다. 피사체상은 광학 파인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광학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표시 유닛(17)은 CPU(21)의 포트 P6에 접속된다.
메모리(18)는 화상 신호를 저장한다. 메모리(18)는 CPU(21)의 포트 P7에 접속된다.
CPU(21)는 촬상 작동에 관한 촬영 장치(1)의 각 부분을 제어하고, 이동 및 위치 검출 작동의 제어를 포함하는 상흔들림 보정에 관한 촬영 장치(1)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다. 상흔들림 보정 작동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을 제어하고 가동 유닛(30a)의 위치 검출을 제어한다.
사용자에 의해 릴리스 버턴(13)이 절반만큼 눌러지면, 광도 측정 스위치(12a)가 온 상태로 변경되어, 광도 측정 작동, AF 감지 작동, 및 초점맞춤 작동이 실행된다.
사용자에 의해 릴리스 버턴(13)이 전부 눌러지면, 릴리스 스위치(13a)가 온 상태로 변경되어, 촬상 작동이 실행되고, 촬상된 화상이 저장된다.
촬상 블록(22)은 촬상 유닛(39a)을 구동한다. AE 유닛(23)은 피사체에 대해 광도 측정 작동을 실행하여 노광값(photometric value)을 연산하고, 이 노광값에 따라서 촬상에 필요한 조리개값 및 노출 시간을 연산한다. AF 유닛(24)은 AF 감지 작동을 실행하고, 이 AF 감지 작동의 결과에 따라서 촬상에 필요한 초점맞춤 작동을 실행한다. 초점맞춤 작동에서는, 촬영 광학 시스템(67)의 위치가 광축(LX) 방향으로 이동된다.
촬영 장치(1)의 상흔들림 보정에 관한 부분은 상흔들림 보정 버튼(14),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 표시 유닛(17), 메모리(18), CPU(21), 촬상 블록(22), 각속도 검출 유닛(25), 드라이버 회로(29), 상흔들림 보정 유닛(30), 및 촬영 광학 시스템(67)으로 구성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흔들림 보정 버튼(14)이 전부 눌러지면,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변경되고, 그 결과 광도 측정 작동 등을 포함하는 다른 작동과 독립적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각속도 검출 유닛(25) 및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이 구동되어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된다(상흔들림 보정 모드).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에 있을 때에는, 촬영 장치(1)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로 설정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는, 촬영 장치(1)가 비-상흔들림 보정 모드(non anti-shake mode)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이 1ms 이다.
이러한 스위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각종 출력 명령은 CPU(21)에 의하여 제어된다.
광도 측정 스위치(12a)가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오프 상태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1-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CPU(21)의 포트 P12에 입력된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오프 상태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1-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CPU(21)의 포트 P13에 입력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오프 상태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1-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CPU(21)의 포트 P14에 입력된다.
촬상 블록(22)은 신호의 입출력을 위해 CPU(21)의 포트 P3에 접촉된다. AE 유닛(23)은 신호의 입출력을 위해 CPU(21)의 포트 P4에 접촉된다. AF 유닛(24)은 신호의 입출력을 위해 CPU(21)의 포트 P4에 접촉된다.
아래에서는, 각속도 검출 유닛(25), 드라이버 회로(29),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에 대한 CPU(21)와의 입출력 관계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각속도 검출 유닛(25)은 제 1 각속도 센서(26), 제 2 각속도 센서(27), 및 조합형 증폭기·하이 패스 필터 회로(28)를 가지고 있다. 제 1 각속도 센서(26)는 촬영 장치(1)의 각속도의 제 1 방향(x)의 속도 성분을 일정 시간 간격(1 ms)마다 검출한다. 제 2 각속도 센서(27)는 촬영 장치(1)의 각속도의 제 2 방향(y)의 속도 성분을 일정 시간 간격(1 ms)마다 검출한다.
조합형 증폭기·하이 패스 필터 회로(28)는 각속도의 제 1 방향(x)에 관한 신호(각속도의 제 1 방향(x)의 속도 성분)를 증폭하고, 제 1 각속도 센서(26)의 널(null) 전압 및 패닝(panning)을 감소시키며, 제 1 각속도(vx)로서 아날로그 신호를 CPU(21)의 A/D 변환기(A/DO)에 출력한다.
조합형 증폭기·하이 패스 필터 회로(28)는 각속도의 제 2 방향(y)에 관한 신호(각속도의 제 2 방향(y)의 속도 성분)를 증폭하고, 제 2 각속도 센서(27)의 널 전압 및 패닝을 감소시키며, 제 2 각속도(vy)로서 아날로그 신호를 CPU(21)의 A/D 변환기(A/D1)에 출력한다.
CPU(21)는 A/D 변환기(A/DO)에 입력된 제 1 각속도(vx) 및 A/D 변환기(A/D1)에 입력된 제 2 각속도(vy)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A/D 변환 작동), 변환된 디지털 신호와 초점 거리를 고려한 변환 계수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1 ms)에 발생하는 손흔들림량을 연산한다. 따라서, CPU(21)와 각속도 검출 유닛(25)은 손흔들림량을 연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촬영 장치(1)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에 있는 경우, CPU(21)는 연산된 손흔들림량에 따라,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에 대해 이동되어야 할 촬영 프레임(F)의 위치(S)를 연산한다.
촬영 프레임(F)의 위치(S)의 제 1 방향(x)에서의 위치를 sx로 정의하고, 촬영 프레임(F)의 위치(S)의 제 2 방향(y)에서의 위치를 sy로 정의한다. 촬영 프레임(F)은 피사체상의 래그(lag)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이 손흔들림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서 이동되어야 할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을 포함하는 평면 상의 영역이다. 촬영 프레임(F)의 크기는 촬상 영역(IF)의 크기와 동일하다. 촬영 프레임(F)의 위치(S)는 촬상 영역(IF)의 이동 범위(R1) 내에 설정된다.
촬영 장치(1)가 비-상흔들림 보정 모드(non anti-shake mode)에 있는 경우, CPU(21)는 촬영 프레임(F)의 위치(S)(위치 SF)를 촬상 영역(IF)의 이동 범위(R1)의 중심에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프레임(F)의 크기는 촬상 영역(IF)의 크기와 동일하다. 그러나, 촬영 프레임(F)의 크기는, 촬영 프레임(F)의 크기가 촬상 영역(IF)의 이동 범위(Rl)보다 작거나 같다는 조건하에서, 촬상 영역(IF)의 크기보다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촬영 장치(1)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에 있는 경우,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은 제 1 화상 신호(Ps1)의 일부, 제 2 화상 신호(Ps2)의 일부, 제 3 화상 신호(Ps3)의 일부, 및 제 4 화상 신호(Ps4)의 일부를 합성한 상흔들림 보정(손흔들림 효과가 보정된) 화상 신호(Pss)를 얻는다.
제 1 화상 신호(Ps1)는 가동 유닛(30a)이 이동되어 제 1 코너 가장자리 지점(pe1)과 접촉하는 조건하에서의 촬상 작동에 의해 얻어진다(제 1 촬상 작동).
제 2 화상 신호(Ps2)는 가동 유닛(30a)이 이동되어 제 2 코너 가장자리 지점(pe2)과 접촉하는 조건하에서의 촬상 작동에 의해 얻어진다(제 2 촬상 작동).
제 3 화상 신호(Ps3)는 가동 유닛(30a)이 이동되어 제 3 코너 가장자리 지점(pe3)과 접촉하는 조건하에서의 촬상 작동에 의해 얻어진다(제 3 촬상 작동).
제 4 화상 신호(Ps4)는 가동 유닛(30a)이 이동되어 제 4 코너 가장자리 지점(pe4)과 접촉하는 조건하에서의 촬상 작동에 의해 얻어진다(제 4 촬상 작동).
상흔들림 보정(손흔들림 효과가 보정된) 화상(Pics)은,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에 기초하여, 표시 유닛(17)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은,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을 포함하는 평 면 상의 피사체상의 래그를 없애고,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을 포함하는 평면에 도달하는 피사체상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손흔들림 효과를 보정하는 장치이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은 촬상 유닛(39a)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30a)과 고정 유닛(30b)을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은, 상흔들림 보정 모드에서, 코일과 자석에 의해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 가동 유닛(30a)이 제 1 코너 가장자리 지점(pe1), 또는 제 2 코너 가장자리 지점(pe2), 또는 제 3 코너 가장자리 지점(pe3), 또는 제 4 코너 가장자리 지점(pe4)에 접촉하는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동 유닛(30a)은, 비-상흔들림 보정 모드에서, 코일과 자석에 기초한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 범위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자기력의 크기 및 방향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과, 자석의 자기장의 크기 및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가동 유닛(30a)을 이동시키기 위해 드라이버 회로(29)를 구동하는 구동력(D)은 제 1 방향(x)의 구동력 성분으로서 제 1 PWM 듀티(dx)와, 제 2 방향(y)의 구동력 성분으로서 제 2 PWM 듀티(dy)를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으로 이동가능하지만, 촬영 광학 시스템(67)은 이동가능하지 않다(즉,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 영역(IF)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되지만, 광축(LX)의 방향은 변경되지 않는다.
제 1 코너 가장자리 지점(pe1)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1 방향(x)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한 지점이고, 또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2 방향(y)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한 지점이다. 가동 유닛(30a)이 제 1 코너 가장자리 지점(pe1)과 접촉할 때,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중심의 위치를 제 1 위치(S1)라고 한다(도 4 참고).
제 2 코너 가장자리 지점(pe2)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1 방향(x)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한 지점이고, 또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2 방향(y)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한 지점이다. 가동 유닛(30a)이 제 2 코너 가장자리 지점(pe2)과 접촉할 때,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중심의 위치를 제 2 위치(S2)라고 한다(도 5 참고).
제 3 코너 가장자리 지점(pe3)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1 방향(x)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한 지점이고, 또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2 방향(y)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한 지점이다. 가동 유닛(30a)이 제 3 코너 가장자리 지점(pe3)과 접촉할 때,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중심의 위치를 제 3 위치(S3)라고 한다(도 6 참고).
제 4 코너 가장자리 지점(pe4)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1 방향(x)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한 지점이고, 또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제 2 방향(y)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한 지점이다. 가동 유닛(30a)이 제 4 코너 가장자리 지점(pe4)과 접촉할 때,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중심의 위치를 제 4 위치(S4)라고 한다(도 7 참고).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중심의 이동 범위)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코너 가장자리 지점(pe1, pe2, pe3 및 pe4)을 연결하여 둘러싸는 범위와 동일하다.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되는 경우,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로 이동되기 전에, 손흔들림량이 연산되고, 이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촬영 프레임(F)의 위치(S)가 연산된다.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로 이동된 후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되기 전에 연산되는 촬영 프레임(F)의 위치(S)를 제 2 촬영 프레임(F2)의 제 2 촬상 위치(SS2)라고 한다.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된 후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로 이동되기 전에 연산되는 촬영 프레임(F)의 위치(S)를 제 3 촬영 프레임(F3)의 제 3 촬상 위치(SS3)라고 한다.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로 이동된 후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로 이동되기 전에 연산되는 촬영 프레임(F)의 위치(S)를 제 4 촬영 프레임(F4)의 제 4 촬상 위치(SS4)라고 한다.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의 중심 위치(SF)로서 정의되는 촬영 프레임(F)의 위치(S)는 촬상 영역(IF)의 이동 범위의 중심으로 설정된다.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로 이동된 때에, 촬상 소자(39a1)의 제 1 소정의 구역에 대해서 얻어지는 화상 신호를 제 1 화상 신호(Ps1)라고 한다(제 1 촬 상 작동). 촬상 소자(39a1)의 제 1 소정의 구역은 제 1 위치(S1)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과, 상흔들림 보정 작동을 위한 제 1 촬영 프레임(F1)(도 8 참고) 또는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겹치는 구역이다. 도 8에 있어서, 제 1 위치(S1)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 1 촬영 프레임(F1)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된 때에, 촬상 소자(39a1)의 제 2 소정의 구역에 대해서 얻어지는 화상 신호를 제 2 화상 신호(Ps2)라고 한다(제 2 촬상 작동). 촬상 소자(39a1)의 제 2 소정의 구역은 제 2 위치(S2)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과, 상흔들림 보정 작동을 위한 제 2 촬영 프레임(F2)(도 9 참고) 또는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사이의 겹치는 구역이다. 도 9에 있어서, 제 2 위치(S2)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 2 촬영 프레임(F2)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로 이동된 때에, 촬상 소자(39a1)의 제 3 소정의 구역에 대해서 얻어지는 화상 신호를 제 3 화상 신호(Ps3)라고 한다(제 3 촬상 작동). 촬상 소자(39a1)의 제 3 소정의 구역은 제 3 위치(S3)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과, 상흔들림 보정 작동을 위한 제 3 촬영 프레임(F3)(도 10 참고) 또는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중심 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사이의 겹치는 구역이다. 도 10에 있어서, 제 3 위치(S2)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 3 촬영 프레임(F3)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로 이동된 때에, 촬상 소자(39a1)의 제 4 소정의 구역에 대해서 얻어지는 화상 신호를 제 4 화상 신호(Ps4)라고 한다(제 4 촬상 작동). 촬상 소자(39a1)의 제 4 소정의 구역은 제 4 위치(S4)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과, 상흔들림 보정 작동을 위한 제 4 촬영 프레임(F2)(도 11 참고) 또는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사이의 겹치는 구역이다. 도 11에 있어서, 제 4 위치(S4)에서의 가동 유닛(30a)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 4 촬영 프레임(F4)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CPU(21)는 가동 유닛(30a)의 이동 순서(제 1, 제 2, 제 3 및 제 4 촬상 작동의 순서)를, 제 3 방향(z)으로부터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방향(z)으로부터 보았을 때 가동 유닛(30a)의 이동 순서가 시계방향, 즉, 제 1 이동이 제 1 위치(S1), 제 2 이동이 제 2 위치(S2), 제 3 이동이 제 3 위치(S3), 제 4 이동이 제 4 위치(S4)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의 가동 유닛(30a)의 구동은, CPU(21)의 PWMO로부터 제 1 PWM 듀티(dx), CPU(21)의 PWM1으로부터 제 2 PWM 듀티(dy)의 출력을 받은 드라이버 회로(29)에 의하여 실행된다.
가동 유닛(30a)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위치(S1, S2, S3 및 S4)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PWM 듀티(dx, dy)의 값은 CPU(21)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흔들림 보정 모드에서, 가동 유닛(30a)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위치(S1, S2, S3 및 S4)로 이동될 때,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제어를 하지 않아도 된다.
촬영 장치(1)을 유지하는 방향의 변화에 수반하여 변동하는 중력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가동 유닛(30a)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위치(S1, S2, S3 및 S4)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PWM 듀티(dx, dy)의 값은 미리 설정된다.
가동 유닛(30a)은 제 1 코일(31a), 제 2 코일(32a), 촬상 유닛(39a), 가동 기판(49a), 이동용 회전축(50a), 제 1 수평 이동용 베어링 유닛(51a∼53a), 제 2 수평 이동용 베어링 유닛(52a), 제 3 수평 이동용 베어링 유닛(53a), 및 플레이트(64a)를 가지고 있다(도 13 및 도 14 참고).
고정 유닛(30b)은 제 1 자석(411b), 제 2 자석(412b), 제 1 요크(431b), 제 2 요크(432b), 제 1 수직 이동용 베어링 유닛(54b), 제 2 수직 이동용 베어링 유닛(55b), 제 3 수직 이동용 베어링 유닛(56), 제 4 수직 이동용 베어링 유닛(57b), 및 베이스 판(65b)을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의 이동용 회전축(50a)은 제 3 방향(z)으로부터 보았을 때 채널 형상을 하고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수직 이동용 베어링 유닛(54b, 55b, 56b 및 57b)은 고정 유닛(30b)의 베이스 판(65b)에 부착되어 있다. 가동 유닛(30a)의 이동용 회전축(50a)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수직 이동용 베어링 유 닛(54b, 55b, 56b 및 57b)에 의 수직 방향(제 2 방향(y))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및 제 2 수직 이동용 베어링 유닛(54b 및 55b)은 제 2 방향(y)으로 뻗어 있는 슬롯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동 유닛(30a)은 고정 유닛(30b)에 대하여 수직 방향(제 2 방향(y))으로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용 회전축(50a)은 가동 유닛(30a)의 제 1, 제 2 및 제 3 수평 이동용 베어링 유닛(51a, 52a 및 53a)에 의해 수평 방향(제 1 방향(x))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이동용 회전축(50a)을 제외한 가동 유닛(30a)은 이동용 회전축(50a) 및 고정 유닛(30b)에 대하여 수평 방향(제 1 방향(x))으로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촬상 소자(39a1)는 제 1 방향(x)에서의 제 1 길이(Ll)와 제 2 방향(y)에서의 제 2 길이(L2)를 가지고 있는 촬상 영역(IF)을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로 이동된 때의 촬상 영역(IF)의 제 2 위치(S2) 측의 구역과,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된 때의 촬상 영역(IF)의 제 1 위치(Sl) 측의 구역은, 제 1 방향(x)으로 제 1 폭(w1)과 제 2 방향(y)으로 제 2 길이(L2)를 가지고 있는 겹치는 구역을 가지고 있다(도 8 및 도 9 참고).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된 때의 촬상 영역(IF)의 제 3 위치(S3) 측의 구역과,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에 이동된 때의 촬상 영역(IF)의 제 2 위치(S2) 측의 구역은, 제 1 방향(x)으로 제 1 길이(L1)와 제 2 방향(y)으 로 제 2 폭(w2)을 가지고 있는 겹치는 구역을 가지고 있다(도 9 및 도 10 참고).
촬상 영역(IF)의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의 양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R1)는 이미지 서클의 범위(R2)(도 10 참고)내에 들어간다. 상기 이미지 서클은 촬영 광학 시스템(67)를 통과하는 광의 촬상 소자(39a1)의 촬상면상에서의 촬상 범위에 상당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폭(w1 및 w2)이 길게 설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서 상흔들림 보정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폭(w1 및 w2)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건하에서, 가능한 한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를 얻기 위한 상흔들림 보정 작동이 실행되는 경우,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로 이동되는 조건하에서 제 1 촬상 작동이 실행되어서, 제 1 화상 신호(Ps1)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되는 조건하에서 제 2 촬상 작동이 실행되어서, 제 2 화상 신호(Ps2)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로 이동되는 조건하에서 제 3 촬상 작동이 실행되어서, 제 3 화상 신호(Ps3)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로 이동되는 조건하에서 제 4 촬상 작동이 실행되어서, 제 4 화상 신호(Ps4)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제 1 화상 신호(Ps1)에 기초한 제 1 화상(Pic1), 제 2 화상 신호(Ps2)에 기초한 제 2 화상(Pic2), 제 3 화상 신호(Ps3)에 기초한 제 3 화상(Pic3), 및 제 4 화상 신호(Ps4)에 기초한 제 4 화상(Pic4)의 서로 겹치는 구역이 중복되기 때문에,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는 합성된다. 그 결 과, 합성에 의하여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를 얻을 수 있다. 겹치는 구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 중의 하나이다. 즉,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의 합성에 있어서, 겹치는 구역에 관해서는 각각의 신호가 어드레스로 지정되고, 겹치지 않는 구역에 관해서는 각각의 신호가 합해진다.
제 1 화상, 제 2 화상, 제 3 화상 및 제 4 화상(Pic1, Pic2, Pic3 및 Pic4) 사이의 겹치는 구역의 크기 및 위치는, 촬상 영역(IF)의 크기(제 1 및 제 2 길이(L1 및 L2)의 길이)와, 제 1 및 제 2 폭(w1 및 w2)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 1 및 제 2 길이(L1 및 L2)와 제 1 및 제 2폭(w1 및 w2)의 값은 촬영 장치(1)의 설계 조건으로부터 결정된다.
제 1 화상, 제 2 화상, 제 3 화상 및 제 4 화상(Pic1, Pic2, Pic3 및 Pic4) 사이의 겹치는 구역의 크기 및 위치에 관한 정보는 좌표 데이터로서, CPU(21)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좌표 데이터는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로 이동되는 경우에 대한 제 1 좌표 데이터(D1) 및 제 1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1)와,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되는 경우에 대한 제 2 좌표 데이터(D2) 및 제 2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2)와,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로 이동되는 경우에 대한 제 3 좌표 데이터(D3) 및 제 3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3)와,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로 이동되는 경우에 대한 제 4 좌표 데이터(D4) 및 제 4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4)를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에 있을 때는, 촬상 소자(39a1)에 대한 대응 좌표 정보로서 제 1 좌표 데이터(D1) 및 제 1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1)가 이용된다(도 8 참고).
제 1 좌표 데이터(D1)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제 1 좌표 데이터(D1)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 제 1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1)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그리고 제 1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1)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구역은,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 또는 제 3 위치(S3), 또는 제 4 위치(S4)에 있는 경우의 촬상 소자(39a1)의 중복되어 촬상되는 픽셀의 영역을 나타낸다.
제 1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1)는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을 구성하는 4 개의 좌표 데이터 중의 한 개의 좌표 데이터이다.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에 있을 때는, 촬상 소자(39a1)에 대한 대응 좌표 정보로서 제 2 좌표 데이터(D2) 및 제 2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2)가 이용된다(도 9 참고).
제 2 좌표 데이터(D2)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제 2 좌표 데이터(D2)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 제 2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2)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그리고 제 2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2)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구역은,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 또는 제 3 위치(S3), 또는 제 4 위치(S4)에 있는 경우의 촬상 소자(39a1)의 중복되어 촬상되는 픽셀의 영역을 나타낸다.
제 2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2)는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을 구성하는 4 개의 좌표 데이터 중의 한 개의 좌표 데이터이다.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에 있을 때는, 촬상 소자(39a1)에 대한 대응 좌표 정보로서 제 3 좌표 데이터(D3) 및 제 3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3)가 이용된다(도 10 참고).
제 3 좌표 데이터(D3)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제 3 좌표 데이터(D3)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 제 3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3)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그리고 제 3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3)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구역은,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 또는 제 2 위치(S2), 또는 제 4 위치(S4)에 있는 경우의 촬상 소자(39a1)의 중복되어 촬상되는 픽셀의 영역을 나타낸다.
제 3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3)는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을 구성하는 4 개의 좌표 데이터 중의 한 개의 좌표 데이터이다.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에 있을 때는, 촬상 소자(39a1)에 대한 대응 좌표 정보로서 제 4 좌표 데이터(D4) 및 제 4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4)가 이용된다(도 11 참고).
제 4 좌표 데이터(D4)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제 4 좌표 데이터(D4)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 제 4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4)를 통과하고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 그리고 제 4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4)를 통과하고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구역은,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 또는 제 2 위치(S2), 또는 제 3 위치(S3)에 있는 경우 의 촬상 소자(39a1)의 중복되어 촬상되는 픽셀의 영역을 나타낸다.
제 4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4)는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을 구성하는 4 개의 좌표 데이터 중의 한 개의 좌표 데이터이다.
CPU(21)는 제 1 좌표 데이터(D1), 제 2 좌표 데이터(D2), 제 3 좌표 데이터(D3), 제 4 좌표 데이터(D4), 제 1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1), 제 2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2), 제 3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3), 그리고 제 4 가장자리 지점 좌표 데이터(T4)에 기초하여 겹치는 촬상 영역을 파악하여,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를 얻기 위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를 합성한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촬상 작동후,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에 기초한 상흔들림 보정 화상(Pics)는, 표시 유닛(17)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는 메모리(18)에 저장된다.
겹치는 구역에 관한 화상 신호들 중의 단 하나만 CPU(21)에 일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영역(IF) 중 합성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판독되는 축적된 전하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로부터 변환된 화상 신호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로서 CPU(21)에 일시 저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시 저장에 필요한 CPU(21)의 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동의 응답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Pic1, Pic2, Pic3 및 Pic4)이 서로 인접하고 있다는 조건하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로부터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에 있을 때, 촬상 영역(IF) 중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 또는 제 3 위치(S3), 또는 제 4 위치(S4)에 있을 때에 겹치지 않고서 촬상되는 영역을 제 1 촬상 영역(IF1)이라 한다. 제 1 촬상 영역(IF1)과 제 1 촬영 프레임(F1) 및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중의 하나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축적된 전하에 기초한 제 1 화상 신호(Ps1)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도 12에서, 제 1 촬영 프레임(F1)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 1 촬상 영역(IF1)은 직사각형이고 제 1 방향(x)으로 제 3 길이(L3)와 제 2 방향(y)으로 제 4 길이(L4)를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에 있을 때, 촬상 영역(IF) 중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 또는 제 4 위치(S4)에 있을 때에 겹치지 않고서 촬상되는 영역을 제 2 촬상 영역(IF2)이라 한다. 제 2 촬상 영역(IF2)과 제 2 촬영 프레임(F2) 및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중의 하나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축적된 전하에 기초한 제 2 화상 신호(Ps2)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도 12에서, 제 2 촬영 프레임(F2)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 2 촬상 영역(IF2)은 직사각형이고 제 1 방향(x)으로 제 1 길이(L1)와 제 2 방향(y)으로 제 4 길이(L4)를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에 있을 때, 촬상 영역(IF) 중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에 있을 때에 겹치지 않고서 촬상되는 영역을 제 3 촬상 영 역(IF3)이라 한다. 제 3 촬상 영역(IF3)과 제 3 촬영 프레임(F3) 및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중의 하나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축적된 전하에 기초한 제 3 화상 신호(Ps3)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도 12에서, 제 3 촬영 프레임(F3)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 3 촬상 영역(IF3)은 직사각형이고 제 1 방향(x)으로 제 3 길이(L3)와 제 2 방향(y)으로 제 2 길이(L2)를 가지고 있다.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을 제 4 촬상 영역(IF4)이라 한다. 제 4 촬상 영역(IF4)과 제 4 촬영 프레임(F4) 및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중의 하나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축적된 전하에 기초한 제 4 화상 신호(Ps4)가 CPU(21)에 일시 저장된다. 도 12에서, 제 4 촬영 프레임(F4)은 사선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 4 촬상 영역(IF4)은 직사각형이고 제 1 방향(x)으로 제 1 길이(L1)와 제 2 방향(y)으로 제 2 길이(L2)를 가지고 있다.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의 중심 구역이 촬영 광학 시스템(67)의 광축(LX)상에 위치하고 있을 때, 촬상 영역(IF)이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의 양쪽 방향으로 그 이동 범위(R1)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가동 유닛(30a)과 고정 유닛(30b) 사이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다.
촬상 소자(39a1)의 촬상면(유효 픽셀 구역)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인 촬상 영역(IF)은 2 개의 대각선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 소자(39a1)의 촬상 영역(IF)의 중심은, 상기 2 개의 대각선의 교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 영역(IF)의 중심은 직사각형의 유효 픽셀 구역의 무게 중심과 일치한다. 따라서, 가동 유닛(30a)이 그 이동 범위(R1)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을 때, 직사각형의 유효 픽셀 구역의 무게 중심이 촬영 광학 시스템(67)의 광축(LX) 상에 위치되어 있다.
CPU(21)는 제 1 촬영 프레임(Fl)의 제 1 촬상 위치(SS1), 제 2 촬영 프레임(F2)의 제 2 촬상 위치(SS2), 제 3 촬영 프레임(F3)의 제 3 촬상 위치(SS3), 그리고 제 4 촬영 프레임(F4)의 제 4 촬상 위치(SS4)를,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중심으로부터 픽셀 단위로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의 변위량으로서 인식한다. 예를 들면, CPU(21)는 제 1 촬상 위치(SS1)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으로의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중심 사이의 픽셀의 수를 인식한다.
또한, CPU(21)는 제 1 위치(S1)에서의 촬상 영역(IF)과 제 1 촬영 프레임(F1) 사이의 겹치는 구역, 제 2 위치(S2)에서의 촬상 영역(IF)과 제 2 촬영 프레임(F2) 사이의 겹치는 구역, 제 3 위치(S3)에서의 촬상 영역(IF)과 제 3 촬영 프레임(F3) 사이의 겹치는 구역, 그리고 제 4 위치(S4)에서의 촬상 영역(IF)과 제 4 촬영 프레임(F4) 사이의 겹치는 구역을 픽셀 단위로 인식한다.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으로의 이동은 제 1 전자기력을 이용함으로써 실행된다.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으로의 이동은 제 2 전자기력을 이용함으로써 실행된다.
제 1 전자기력은 제 1 코일(31a)의 전류 방향과 제 1 자석(411b)의 자기장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한다.
제 2 전자기력은 제 2 코일(32a)의 전류 방향과 제 2 자석(412b)의 자기장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한다.
촬영 광학 시스템(67) 쪽에서 보았을 때, 광축(LX) 방향을 따라서 촬상 유닛(39a), 플레이트(64a), 가동 기판(49a)의 순서로 부착되어 있다. 촬상 유닛(39a)은 촬상 소자(39a1), 스테이지(39a2), 홀딩 유닛(39a3), 및 광학 로 패스 필터(39a4)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지(39a2)와 플레이트(64a)는 촬상 소자(39a1), 홀딩 유닛(39a3), 및 광학 로 패스 필터(39a4)를 광축(LX) 방향으로 유지하고 가압한다.
제 1, 제 2 및 제 3 수평 이동용 베어링 유닛(51a, 52a 및 53a)은 스테이지(39a2)에 부착된다. 촬상 소자(39a1)는 플레이트(64a)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39a1)의 위치결정은 촬상 소자(39a1)가 촬영 광학 시스템(67)의 광축(LX)에 수직이 되도록 실행된다. 플레이트(64a)가 금속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레이트(64a)는 촬상 소자(39a1)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촬상 소자(39a1)로부터의 방열 효과를 가진다.
촬상 소자(39a1)는 CMOS 등과 같이, 특정 부분에 대해 축적된 전하의 판독이 가능한 촬상 소자이다.
제 1 코일(31a)과 제 2 코일(32a)은 가동 회로 기판(49a)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코일(31a)은 시트(seat) 형상이고 또한 나선 형상의 코일 패턴을 형성한다. 제 1 코일(31a)의 코일 패턴은, 제 1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 1 코일(31a)을 포함하는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으로 이동되도록, 제 2 방향(y)에 평행한 선분을 가지고 있다. 제 2 방향(y)에 평행한 상기 선분은 가동 유닛(30a)을 제 1 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방향(y)에 평행한 상기 선분은 제 1 유효 길이(LE1)를 가지고 있다.
제 2 코일(32a)은 시트 형상이고 또한 나선 형상의 코일 패턴을 형성한다. 제 2 코일(32a)의 코일 패턴은, 제 2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 2 코일(32a)을 포함하는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으로 이동되도록, 제 1 방향(x)에 평행한 선분을 가지고 있다. 제 1 방향(x)에 평행한 상기 선분은 가동 유닛(30a)을 제 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방향(x)에 평행한 상기 선분은 제 2 유효 길이(LE2)를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코일(31a 및 32a)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 1 및 제 2 코일(31a 및 32a)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회로(29)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PWM 듀티(dx)는 CPU(21)의 PWMO으로부터 드라이버 회로(29)에 입력되고, 제 2 PWM 듀티(dy)는 CPU(21)의 PWM1로부터 드라이버 회로(29)에 입력된다. 드라이버 회로(29)는 제 1 PWM 듀티(dx)의 값에 따라 제 1 코일(31a)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 2 PWM 듀티(dy)의 값에 따라 제 2 코일(32a)에 전력을 공급하여 가동 유닛(30a)을 구동한다.
제 1 자석(411b)은 제 3 방향(z)에서 제 1 코일(31a)과 대향하도록 고정 유닛(3Ob)의 가동 유닛(30a) 측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자석(412b)은 제 3 방향(z)에서 제 2 코일(32a)과 대향하도록 고정 유닛(3Ob)의 가동 유닛(30a) 측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자석(411b)은, N 극과 S 극이 제 1 방향(x)으로 배치되는 조건하에서, 제 1 요크(431b)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요크(431b)는, 제 3 방향(z)에 있어서, 가동 유닛(30a) 측에 고정 유닛(30b)의 베이스 판(65b)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자석(411b)의 제 2 방향(y)의 길이는, 제 1 코일(31a)의 제 1 유효 길이(LE1)에 비하여 더 길다. 제 1 코일(31a)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은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으로 이동하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
제 2 자석(412b)은, N 극과 S 극이 제 2 방향(y)으로 배치되는 조건하에서, 제 2 요크(432b)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요크(432b)는, 제 3 방향(z)에 있어서, 가동 유닛(30a) 측에 고정 유닛(30b)의 베이스 판(65b)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자석(412b)의 제 1 방향(x)의 길이는, 제 2 코일(32a)의 제 2 유효 길이(LE2)에 비하여 더 길다. 제 2 코일(32a)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은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으로 이동하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
제 1 요크(431b)는 연자성체 재료로 구성되고, 제 2 방향(y)에서 보았을 때 직각을 이루는 u자 형상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자석(411b)과 제 1 코일(31a)은 제 1 요크(431b)의 채널 내부에 있다.
제 1 요크(431b)에 있어서 제 1 자석(411b)과 접하는 측의 부분은, 제 1 자석(411b)의 자기장이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요크(431b)에 있어서 (제 1 자석(411b), 제 1 코일(31a), 및 가동 회로 기판(49a)과 대향하는)측의 부분은, 제 1 자석(411b)과 제 1 코일(31a) 사이의 자속밀도를 높인다.
제 2 요크(432b)는 연자성체 재료로 구성되고, 제 1 방향(x)에서 보았을 때 직각을 이루는 u자 형상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자석(412b)과 제 2 코일(32a)은 제 2 요크(432b)의 채널 내부에 있다.
제 2 요크(432b)에 있어서 제 2 자석(412b)과 접하는 측의 부분은, 제 2 자석(412b)의 자기장이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요크(432b)에 있어서 (제 2 자석(412b), 제 2 코일(32a), 및 가동 회로 기판(49a)과 대향하는)측의 부분은, 제 2 자석(412b)과 제 2 코일(32a) 사이의 자속밀도를 높인다.
베이스 판(65b)은 제 1 요크(431b) 등을 설치하는 베이스로 되는 판 모양 부재로서, 촬상 소자(39a1)의 촬상면과 평행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촬상 작동의 순서(CPU(21)의 작동의 흐름)를 도 15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1에서는, Pon 스위치(11a)가 온 상태(전원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어서, 촬영 장치(1)의 전원이 온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S102에서는, AE 유닛(23)의 AE 센서를 구동시킴으로써 광도 측정 작동이 실행되어, 조리개값 및 노광 시간이 연산된다. 스텝 S103에서는, AF 유닛(24)의 AF 센서를 구동시킴으로써 AF 감지 작동이 실행되어, AF 유닛(24)의 렌즈 제어 회로를 구동시킴으로써 초점맞춤 작동이 행해진다.
스텝 Sl04에서는, 제 1 화상 신호(Ps1)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되고(제 1 촬상 작동), 제 2 화상 신호(Ps2)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되고(제 2 촬상 작동), 제 3 화상 신호(Ps3)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되고(제 3 촬상 작동), 그리고 제 4 화상 신호(Ps4)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된다(제 4 촬상 작동).
스텝 S105에서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가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로서 합성된다. 이러한 합성에는, 씨닝(thinning) 처리 또는 압축 처리한 데이터를 만드는 것도 포함된다.
스텝 S106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화상(Pics)이 표시 유닛(l7)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다시 말해, 스루 화상(through image)이 표시된다.
스텝 S107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릴리스 스위치(l3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릴리스 스위치(l3a)가 온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는, 본 프로세스가 스텝 S102으로 되돌려져서, 촬상 작동이 반복된다. 릴리스 스위치(l3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는, 스텝 S108에서, 제 1 화상 신호(Ps1)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되고(제 1 촬상 작동), 제 2 화상 신호(Ps2)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되고(제 2 촬상 작동), 제 3 화상 신호(Ps3)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되고(제 3 촬상 작동), 그리고 제 4 화상 신호(Ps4)가 CPU(21)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된다(제 4 촬상 작동).
스텝 S109에서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가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로서 합성된다. 이러한 합성에는, 씨닝(thinning) 처리 또는 압축 처리한 데이터를 만드는 것도 포함된다.
스텝 S110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가 메모리(18)에 저장된다.
스텝 S111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화상(Pics)가 표시 유닛(17)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다시 말해서, 촬상되어 저장된 화상이 표시된다.
아래에서는, 도 15의 스텝 S104 및 스탭 S108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촬상 작동의 순서를 도 16 및 도 17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151에서, 제 1 촬상 작동이 개시된다.
스텝 S152에서,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는, 스텝 Sl53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각속도(vx)가 CPU(21)의 A/D변환기(A/DO)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각속도(vy)가 CPU(21)의 A/D변환기(A/D1)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스텝 S154에서는,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제 1 촬영 프레임(F1)의 제 1 촬상 위치(SS1)가 연산된다. 상기 손흔들림량은 스텝 S153에서 검출된 제 1 및 제 2 각속도(vx 및 vy)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55에서, 촬영 프레임(F)의 위치(S)가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의 중심 위치(SF)로 설정된다. 스텝 S156에서는,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로 이동된다. 스텝 S157에서, 촬상 소자(39a1)의 전하 축적이 행해진다. 스텝 S158에서, 촬상 소자(39a1)에 축적된 전하가 판독된다. 스텝 S159에서, 판독된 전하에 기초한 전기 신호가 제 1 화상 신호(Ps1)로 변환되고, 이 제 1 화상 신호(Ps1)가 촬상된 제 1 화상(Pic1)으로서 CPU(21)에 일시 기억된다. 이것으로 제 1 촬상 작동이 종료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제 1 화상 신호(Ps1)는,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제 1 촬영 프레임(F1)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 1 화상 신호(Ps1)는, 가동 유닛(30a)이 제 1 위치(S1)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제 1 촬상 작동이 종료된 후, 제 2 촬상 작동이 개시된다.
스텝 S160에서,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는, 스텝 Sl61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각속도(vx)가 CPU(21)의 A/D변환기(A/DO)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각속도(vy)가 CPU(21)의 A/D변환기(A/D1)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스텝 S162에서는,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제 2 촬영 프레임(F2)의 제 2 촬상 위치(SS2)가 연산된다. 상기 손흔들림량은 스텝 S161에서 검출된 제 1 및 제 2 각속도(vx 및 vy)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63에서, 촬영 프레임(F)의 위치(S)가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의 중심 위치(SF) 로 설정된다. 스텝 S164에서는,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로 이동된다. 스텝 S165에서, 촬상 소자(39a1)의 전하 축적이 행해진다. 스텝 S166에서, 촬상 소자(39a1)에 축적된 전하가 판독된다. 스텝 S167에서, 판독된 전하에 기초한 전기 신호가 제 2 화상 신호(Ps2)로 변환되고, 이 제 2 화상 신호(Ps2)가 촬상된 제 2 화상(Pic2)으로서 CPU(21)에 일시 기억된다. 이것으로 제 2 촬상 작동이 종료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제 2 화상 신호(Ps2)는,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제 2 촬영 프레임(F2)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 2 화상 신호(Ps2)는, 가동 유닛(30a)이 제 2 위치(S2)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제 2 촬상 작동이 종료된 후, 제 3 촬상 작동이 개시된다.
스텝 S168에서,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는, 스텝 Sl69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각속도(vx)가 CPU(21)의 A/D변환기(A/DO)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각속도(vy)가 CPU(21)의 A/D변환기(A/D1)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스텝 S170에서는,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제 3 촬영 프레임(F3)의 제 3 촬상 위치(SS3)가 연산된다. 상기 손흔들림량은 스텝 S169에서 검출된 제 1 및 제 2 각속도(vx 및 vy)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71에서, 촬영 프레임(F)의 위치(S)가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의 중심 위치(SF)로 설정된다. 스텝 S172에서는,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로 이동된다. 스텝 S173에서, 촬상 소자(39a1)의 전하 축적이 행해진다. 스텝 S174에서, 촬상 소자(39a1)에 축적된 전하가 판독된다. 스텝 S175에서, 판독된 전하에 기초한 전기 신호가 제 3 화상 신호(Ps3)로 변환되고, 이 제 3 화상 신호(Ps3)가 촬상된 제 3 화상(Pic3)으로서 CPU(21)에 일시 기억된다. 이것으로 제 3 촬상 작동이 종료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제 3 화상 신호(Ps3)는,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제 3 촬영 프레임(F3)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 3 화상 신호(Ps3)는, 가동 유닛(30a)이 제 3 위치(S3)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제 3 촬상 작동이 종료된 후, 제 4 촬상 작동이 개시된다.
스텝 S176에서,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는, 스텝 Sl77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각속도(vx)가 CPU(21)의 A/D 변환기(A/DO)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각속도(vy)가 CPU(21)의 A/D변환기(A/D1)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스텝 S178에서는,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제 4 촬영 프레임(F4)의 제 4 촬상 위치(SS4)가 연산된다. 상기 손흔들림량은 스텝 S177에서 검출된 제 1 및 제 2 각속도(vx 및 vy)에 기초하여 연산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79에서, 촬영 프레임(F)의 위치(S)가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의 중심 위치(SF)로 설정된다. 스텝 S180에서는,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로 이동된다. 스텝 S181에서, 촬상 소자(39a1)의 전하 축적이 행해진다. 스텝 S182에서, 촬상 소자(39a1)에 축적된 전하가 판독된다. 스텝 S183에서, 판독된 전하에 기초한 전기 신호가 제 4 화상 신호(Ps4)로 변환되고, 이 제 4 화상 신호(Ps4)가 촬상된 제 4 화상(Pic4)으로서 CPU(21)에 일시 기억된다. 이것으로 제 4 촬상 작동이 종료되고, 본 프로세스가 도 15의 플로차트의 스텝 S105 또는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제 4 화상 신호(Ps4)는,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제 4 촬영 프레임(F4)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 4 화상 신호(Ps4)는, 가동 유닛(30a)이 제 4 위치(S4)에 있을 때의 촬상 영역(IF)과 중심에 위치된 촬영 프레임(FF)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작동 동안,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Pss) 및 상흔들림 보정 화상(Pics)를 얻기 위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상 신호(Ps1, Ps2, Ps3 및 Ps4)가 합성된다. 그러나,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의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촬상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러한 합성으로 인해 상흔들림 보정 화상(Pics)의 화질이 저하되지 않고, 화각(angle of view)이 좁아지지 않는다.
제 1 위치(Sl)를, 가동 유닛(30a)이 제 1 코너 가장자리 지점(pe1)에 접촉하는 때의 위치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 경우, 가동 유닛(30a)은, 구동력(D)에 의해 가동 유닛(30a)이 제 1 코너 가장자리 지점(pe1)과 접촉하는 위치로 구동되기 때문에, 가동 유닛(30a)은 제 1 위치(S1)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구동력 값은 각 부재의 특성 및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할 수 있고, 촬영 장치(1)가 유지되는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유닛(30a)을 제 1 위치(S1)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D)을 연산하는 프로세스와, 이동될 제 1 위치(S1)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제 3 및 제 4 위치(S2, S3 및 S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자석(411b 및 412b)이 고정 유닛(30b)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자석들은 가동 유닛(30a)에 부착될 수도 있다.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은 언제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영구 자석이라도 좋고, 필요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이라도 좋다.
또한, 가동 유닛(30a)을 이동시키는 것은 코일과 자석에 의한 전자기력에 한 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 실시형태 및 수정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촬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로서,
    상기 촬영 장치의 손흔들림에 관한 제 1 정보, 제 2 정보, 제 3 정보 및 제 4 정보를 검출하는 손흔들림량 검출 유닛;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에 수직인 제 1 방향과, 상기 광축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를 가지고 있는 가동 유닛;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유닛; 그리고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 내의 제 1 위치, 제 2 위치,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1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1 촬상 작동, 제 2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2 촬상 작동, 제 3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3 촬상 작동 및 제 4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제 4 촬상 작동과, 손흔들림에 의한 래그가 보정된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합성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1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제 1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1 정보로부터 연산되고, 상기 제 1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1 촬영 프레임의 제 1 촬상 위치가 상기 제 1 손 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화상 신호가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과 상기 제 1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지고;
    상기 제 2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2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제 2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2 정보로부터 연산되고, 상기 제 2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2 촬영 프레임의 제 2 촬상 위치가 상기 제 2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화상 신호가 상기 제 2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2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지고;
    상기 제 3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3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제 3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3 정보로부터 연산되고, 상기 제 3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3 촬영 프레임의 제 3 촬상 위치가 상기 제 3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되며, 그리고 상기 제 3 화상 신호가 상기 제 3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3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지고;
    상기 제 4 촬상 작동에서는, 상기 제 4 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제 4 손흔들림량은 상기 제 4 정보로부터 연산되고, 상기 제 4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4 촬영 프레임의 제 4 촬상 위치가 상기 제 4 손흔들림량에 기초하여 연산되며, 그리고 상기 제 4 화상 신호가 상기 제 4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4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 어지며; 그리고
    상기 합성 작동에서는, 상기 제 1 화상 신호, 제 2 화상 신호, 제 3 화상 신호 및 제 4 화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상기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하나이고, 또한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하나인 제 1 코너 가장자리 지점에 상기 가동 유닛이 접촉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하나이고, 또한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하나인 제 2 코너 가장자리 지점에 상기 가동 유닛이 접촉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하나이고, 또한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하나인 제 3 코너 가장자리 지점에 상기 가동 유닛이 접촉하는 위치이며; 그리고
    상기 제 4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하나이고, 또한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2 개의 코너 가장자리 지점 중의 다른 하나인 제 4 코너 가장자리 지점에 상기 가동 유닛이 접촉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상흔들림 보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의 상기 제 1 위치, 제 2 위치,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로의 이동 순서는 상기 광축에 평행한 제 3 방향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이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 중의 하나는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코일과,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코일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가동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자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축적된 전하를 부분적으로 판독할 수 있고, 상기 제 1 화상 신호, 제 2 화상 신호, 제 3 화상 신호 및 제 4 화상 신호는 촬상 영역 중에서 합성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판독되는 축적된 전하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영역의 이동 범위는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을 통과하는 광의 촬상 범위와 동일한 이미지 서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촬영 프레임의 상기 제 1 촬상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연산되고;
    상기 제 2 촬영 프레임의 상기 제 2 촬상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연산되고;
    상기 제 3 촬영 프레임의 상기 제 3 촬상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연산되며; 그리고
    상기 제 4 촬영 프레임의 상기 제 4 촬상 위치는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제 4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8. 촬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로서,
    촬상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에 수직인 제 1 방향과, 상기 광축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 한 가동 유닛;
    상기 가동 유닛을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유닛; 그리고
    상기 가동 유닛을 제 1 위치, 제 2 위치,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 1 촬상 작동, 제 2 촬상 작동, 제 3 촬상 작동 및 제 4 촬상 작동과, 합성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촬상 작동에서는, 제 1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1 촬영 프레임의 제 1 촬상 위치가 연산되며, 그리고 제 1 화상 신호가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과 상기 제 1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지고;
    상기 제 2 촬상 작동에서는, 제 2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2 촬영 프레임의 제 2 촬상 위치가 연산되며, 그리고 제 2 화상 신호가 상기 제 2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2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지고;
    상기 제 3 촬상 작동에서는, 제 3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3 촬영 프레임의 제 3 촬상 위치가 연산되며, 그리고 제 3 화상 신호가 상기 제 3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3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지고;
    상기 제 4 촬상 작동에서는, 제 4 손흔들림량에 대응하는 래그가 보정된 제 4 촬영 프레임의 제 4 촬상 위치가 연산되며, 그리고 제 4 화상 신호가 상기 제 4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영역과 상기 제 4 촬영 프레임 사이의 겹치는 구역에서 촬상되어 얻어지며; 그리고
    상기 합성 작동에서는, 상기 제 1 화상 신호, 제 2 화상 신호, 제 3 화상 신호 및 제 4 화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상흔들림 보정 화상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20050059058A 2004-07-01 2005-07-01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0846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5239A JP4796755B2 (ja) 2004-07-01 2004-07-01 像ブレ補正装置
JPJP-P-2004-00195239 2004-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739A KR20060049739A (ko) 2006-05-19
KR100846702B1 true KR100846702B1 (ko) 2008-07-16

Family

ID=3551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058A KR100846702B1 (ko) 2004-07-01 2005-07-01 상흔들림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05179B2 (ko)
JP (1) JP4796755B2 (ko)
KR (1) KR100846702B1 (ko)
CN (1) CN100451811C (ko)
TW (1) TWI3498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470A (ja) * 1999-02-02 2000-08-11 Minolta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2006235071A (ja) * 2005-02-23 2006-09-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4305434B2 (ja) * 2005-09-14 2009-07-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0716A (ja) * 2006-07-13 2008-01-31 Pentax Corp 像ぶれ補正装置
JP4991497B2 (ja) * 2007-11-28 2012-08-01 三星電子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
KR101411317B1 (ko) 2008-04-30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촬영 범위 확대 장치 및 방법
US8141473B2 (en) 2009-03-18 2012-03-27 Alliant Techsystems Inc. Apparatus for synthetic weapon stabilization and firing
JP6468484B2 (ja) * 2015-02-19 2019-02-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469426B1 (ko) * 2015-10-27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682B1 (ko) * 1990-03-31 2000-01-15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흔들림 보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330A (ja) * 1983-12-29 1985-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影装置
JPH07100569B2 (ja) 1987-08-25 1995-11-01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のブロック搬送装置
JPH0368916A (ja) * 1989-08-07 1991-03-2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画像動揺補正装置
US5331365A (en) * 1990-10-15 1994-07-19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shaking detection apparatus
JP3360123B2 (ja) * 1992-10-02 2002-12-24 株式会社ニコン 像振れ補正撮影装置
EP0579137B1 (en) * 1992-07-15 1999-04-21 Nikon Corporation Image-shake correcting photographic apparatus
JPH0918750A (ja) * 1995-06-29 1997-01-17 Canon Inc 電子カメ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信号処理装置
US6639625B1 (en) * 1997-07-16 2003-10-28 Minolta Co., Ltd. Image sensing device
JPH1141504A (ja) * 1997-07-16 1999-02-1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2042125A (ja) * 2000-07-26 2002-02-08 Minolta Co Ltd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方法、および、画像合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4423889B2 (ja) * 2002-11-18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フリッカ低減方法、撮像装置およびフリッカ低減回路
TWI422957B (zh) * 2004-06-23 2014-01-11 Pentax Ricoh Imaging Co Ltd 照相設備
TWI375112B (en) * 2004-06-24 2012-10-21 Pentax Ricoh Imaging Co Ltd Digital came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682B1 (ko) * 1990-03-31 2000-01-15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흔들림 보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6082A (zh) 2006-01-04
JP4796755B2 (ja) 2011-10-19
JP2006017978A (ja) 2006-01-19
KR20060049739A (ko) 2006-05-19
TWI349826B (en) 2011-10-01
US20060002693A1 (en) 2006-01-05
US7305179B2 (en) 2007-12-04
TW200609661A (en) 2006-03-16
CN100451811C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702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0961748B1 (ko) 촬영 장치
KR100952134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US776928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capturing system, and program
US10129479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with optical low-pass filter effect
TWI391776B (zh) 防震裝置
US7453494B2 (en) Anti-shake apparatus having magnetic position detectors positioned on one axis with common input circuitry
JP4679170B2 (ja) 像ブレ補正装置
US7564483B2 (en) Anti-shake apparatus
JP4691484B2 (ja) 撮像装置のゴミ取り装置
US20050219374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CN100504569C (zh) 摄像装置
JP677272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528189B2 (ja) 撮像装置
JP4759275B2 (ja) 像ブレ補正装置
JP4789723B2 (ja) 像ブレ補正装置
JP4598557B2 (ja) 像ブレ補正装置
JP4565907B2 (ja) 撮像装置
JP5001514B2 (ja) 像ブレ補正装置
JP5515239B2 (ja) 傾斜検出装置、傾斜検出方法、及び撮像装置
JP4484555B2 (ja) 像ブレ補正装置
US20090225175A1 (en) Drive device
JP2005242327A (ja) 像ブレ補正装置
JP201720473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