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750B1 -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 - Google Patents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750B1
KR100845750B1 KR1020047005729A KR20047005729A KR100845750B1 KR 100845750 B1 KR100845750 B1 KR 100845750B1 KR 1020047005729 A KR1020047005729 A KR 1020047005729A KR 20047005729 A KR20047005729 A KR 20047005729A KR 100845750 B1 KR100845750 B1 KR 10084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tion inhibitor
distillation column
concentration
effluent
conjugated 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728A (ko
Inventor
가나우찌마사노부
가지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제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5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07C7/05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20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05Processes comprising at least two steps in s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저비 증류탑 (14) 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고비 증류탑 (16) 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 및 증류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14) 및/또는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장치 내에서의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CONJUGATED DIENE}
본 발명은, 석유 유분으로부터 고순도의 이소프렌, 부타디엔 등의 공액 디엔을 분리 정제할 때, 정제장치 내부에서의 팝콘 폴리머(popcorn polymer)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불포화 탄화수소로서의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공액 디엔은, 액상, 기상의 양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다공질 불용성의 중합체, 소위 팝콘 폴리머를 생성시키기 쉽다. 특히, 공업적 증류에 있어서는, 적당한 조작 온도, 높은 단량체 순도, 기상과 액상의 공존, 수분의 혼입 및 철녹의 존재 등 팝콘 중합을 일으키기 쉬운 여러 조건이 갖추어져 있다. 이 팝콘 폴리머가 일단 생성되면, 이것을 핵으로 하여 지수함수적으로 증식하여 장치 내를 급속히 봉쇄시키고 만다. 또, 이 중합체는, 공지된 모든 용제에 불용으로, 가열해도 용융되지 않는 강인한 중합체이다. 이 중합체를 제거하려면, 기계적 수단에 의해 클리닝하는 것 이외에 좋은 방법이 없으며, 이 클리닝을 하기 위해서는, 장치를 일시 정지시킬 필요가 있어 경제적인 불이익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기계적인 클리닝에서는 중합체의 제거가 완전하게는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업을 재개하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중합체를 핵으로 하여 다시 증식이 시작되게 된다. 분리정제장치 내에서의 공액 디엔의 중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0-112304호에는, 디저급알킬히드록실아민의 존재하에 C5 탄화수소를 증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에 의해 이소프렌의 증류시에 팝콘 폴리머의 발생이 억제된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6-81526호에서는, 푸르푸랄(furfural) 및 푸르푸랄 축합체를 추출 용매 중에 존재시켜 추출 증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보 소45-19682호에서는, 추출 용매에 중합금지제 또는 중합 연쇄이동제를 첨가하여 공액 디엔 탄화수소를 추출 증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때 추출 용매에 중합금지제 또는 중합 연쇄이동제를 첨가할 수 있다는 취지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장치 내에서의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량 이상의 중합금지제를 첨가하고 있어, 그 결과, 분리정제 비용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내에서의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를 제공하는 것 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은,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증류탑(a distillation column)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 (a bottom product) 을 얻는 공정과,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a polymerization inhibitor)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다.
제 1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방법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 2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방법이 바람직하다.
제 2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은,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저비 증류탑(a lower boiling distillation column)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a first bottom product)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고비 증류탑(a higher boiling distillation column)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a second bottom product)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다.
(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3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은,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a distillation portion)을 얻는 공정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a supplying stage)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다.
제 3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방법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 4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방법이 바람직하다.
제 4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은,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저비 증류탑에서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하부 유출분을 고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 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다.
(3) 제 1 ∼ 4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방법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 5 관점에 관계된 발명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5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은,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저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고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 및 증류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다.
(4)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 장치는,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을 얻는 증류탑과,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새로 상기 증류탑에 공급하는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다.
제 1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 2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가 바람직하다.
제 2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는,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저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고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새로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다.
(5)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3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는,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을 얻는 증류탑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상기 증류탑에 공급하는 상하운동 자유자재인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다.
제 3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 4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가 바람직하다.
제 4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는,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을 얻는 저비 증류탑과,
상기 하부 유출분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을 얻는 고비 증류탑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상기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상하운동 자유자재인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6) 제 1 ∼ 4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에 있어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 5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5 관점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는,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저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 및 증류분을 얻는 고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새로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제 1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상기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상하운동 자유자재인 제 2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 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다.
(7)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려면, 이온 크로마토그래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등의 분석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가 기준 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증류탑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가 기준 범위의 하한치를 밑도는 경우에는 상기 증류탑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수단은 수동제어일 수도 있고, 또는 자동제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가 기준 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증류탑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낮추고,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가 기준 범위의 하한치를 밑도는 경우에는 상기 증류탑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높이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키는 수단은 수동제어일 수도 있고, 또는 자동제어일 수도 있다.
(8)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공액 디엔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로는, 통상 나프타를 크래킹하고,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의 C2 및 C3 탄화수소를 분리하 여 얻어지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C4 탄화수소 유분 또는 C5 탄화수소 유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을 함유하는 C4 탄화수소 유분 또는 이소프렌을 함유하는 C5 탄화수소 유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공액 디엔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은, 추출 증류등에 의해 공액 디엔의 함유량 (농도) 을 미리 높여 둔 것이다. 이 경우에서의 탄화수소 혼합물에 함유되는 공액 디엔은 통상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이다.
(9)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중합금지제는, 장치 내에서의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안정 라디칼에 의한 라디칼의 포착에 의해 중합을 금지 또는 억제하는 것으로서,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picrylhydrazyl), 1,3,5-트리페닐페르다질(ferudazyl), 2,6-디-t-부틸-α-(3,5-디-t-부틸-4-옥소-2,5-시클로헥산디엔-1-인덴-p-톨릴옥시,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돈-1-옥실, N-(3-N-옥시아닐리노-1,3-디메틸부틸리덴)-아닐린옥시드, 2-(2-시아노프로필)-페르다질 ; 연쇄이동반응에 의해 중합을 금지 또는 억제하는 것으로서, 디페닐피크릴히드라진, 디페닐아민, 디에틸히드록실아민, 디메틸히드록실아민, 메틸에틸히드록실아민, 디프로필히드록실아민, 디부틸히드록실아민, 디펜틸히드록실아민과 같은 활성인 NH 결합을 갖는 것 ; 히드로퀴논, t-부틸카테콜과 같은 페놀성 OH 결합을 갖는 것 ; 디티오벤조일디술피드, p,p'-디톨릴트리술피드, p,p'-디톨릴테트라술피드, 디벤질테트라술피드, 테트라에틸티우람디술피드 ; 부가반응에 의해 중합을 금지 또는 억제하 는 것으로서, 산소, 황, 안트라센, 1,2-벤즈안트라센, 테트라센 ; 클로라닐(chloranil), p-벤조퀴논, 2,6-디클로르벤조퀴논, 2,5-디클로르벤조퀴논과 같은 벤조퀴논 유도체, 푸르푸리덴말로노니트릴(furfurylidenemalononitrile), m-디니트로벤젠과 같은 니트로 화합물 ; 니트로벤젠, 2-메틸-2-니트로소프로판과 같은 니트로소 화합물 ; 또한, 염화제2철, 브롬화제2철과 같은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금지제 중, 연쇄이동반응에 의해 중합을 금지 또는 억제하는 것, 특히 디저급 알킬히드록실아민, 구체적으로는 디에틸히드록실아민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중합금지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개 이상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중합금지제의 양은, 공액 디엔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 0.1 ∼ 200 ppm 이다. 중합금지제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액 디엔 또는 공액 디엔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과 이 중합금지제가 접촉하도록 하면 된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제 1 ∼ 2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를 이용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으로는, 증류 후에 추출되는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장치 내에서의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중합금지제를 과부족 없이 공급할 수 있어,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3 ∼ 4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를 이용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으로는, 증류 후에 추출되는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장치 내에서의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중합금지제를 최적의 위치에 공급할 수 있어,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게다가 정제 공액 디엔 중의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제 5 관점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를 이용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에 의하면,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보다 한층더 효율적이면서도, 보다 한층더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 비용을 훨씬더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계된 분리정제장치를 이용한 분리정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 분리정제 시스템
8 : 추출 증류탑
8d ∼ 8e, 8h : 라인
82a : 환류 라인
8i : 공급량 조정밸브
14 : 저비 증류탑
16 : 고비 증류탑
16a ∼ 16d, 16f : 라인
162a : 환류 라인
163a : 응축기
16e : 공급량 조정밸브
22a, 22b : 제어장치 (제어수단)
18a ∼ 18c :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측정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된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의 일례로서, 미리 추출 증류 등에 의해 부타디엔 농도를 높여 둔 C4 탄화수소 유분으로부터 고도로 농축된 부타디엔을 정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리정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분리정제 시스템 2
도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분리정제 시스템 (2) 은 저비 증류탑 (14) 과 고비 증류탑 (16) 를 갖는다. 저비 증류탑 (14) 은, 부타디엔 농도를 높여 둔 C4 탄화수소 유분의 증류를 실시하여 제 1 증류분 및 제 1 하부 유출분을 추출하기 위한 탑이고, 후술하는 고비 증류탑 (16) 과는 라인 (16a)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라인 (16a) 상에는, 여기를 흐르는 제 1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측정장치 ; 18a) 가 설치되어 있고,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는, 소정의 출력신호로서 제어장치 (제어수단 ; 22a) 로 송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출 증류탑 (8) 의 탑정 근방에 설치된 환류 라인 (82a) 중에는, 중합금지제를 공급해야 할 라인 (8h) 이 접속되어 있다.
라인 (8h) 상에는,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공급량 조정밸브 (8i) 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장치 (22a) 로부터 송출되는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저비 증류탑 (14) 은, 일반적으로는 탑 본체와, 이 탑 본체의 탑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시켜 액화하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에 의해 액화된 유분을 저장 하는 환류 드럼과, 환류 드럼에 저장된 유분의 일부를 탑 본체의 탑정 근방으로 재공급하는 환류 라인과, 탑 본체의 탑저에 배치되는 재비기 (리보일러) 를 갖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을 도시 생략한다. 증류탑의 형태로는, 예컨대 탑 본체 내를 많은 수평 단판(horizontal stage trays)으로 나누어 액체와 증기의 접촉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선반 단탑(plate column), 또는 이상 (異相) 사이의 물질 이동을 능률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탑내에 충전물을 채운 충전탑(packed column) 등 중 어느 한 형태여도 상관없다. 증류의 정밀도 (비점이 가까운 것을 분별하는 능력) 는 선반 단수가 많을수록 우수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것은 비용이 증대되기 때문에, 능력과 비용의 균형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또한, 도 1 중의 부호「8d」는, 추출 증류탑 (8) 의 탑저로부터 추출 용매가 추출되는 라인, 부호「16f」는, 환류 드럼 (도시생략) 으로부터 제 1 증류분이 추출되는 라인이다.
고비 증류탑 (16) 은, 라인 (16a) 을 통해 공급되는 제 1 하부 유출분의 증류를 실시하고, 제 2 증류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을 추출하기 위한 탑이다. 고비 증류탑 (16) 의 상단 근방에는, 중합금지제를 공급해야 할 라인 (16d) 이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인 (16d) 은, 고비 증류탑 (16) 의 탑정으로부터 추출되는 제 2 증류분의 환류 라인 (162a) 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라인 (16d) 의 접속 위치, 즉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 위치를 제어장치 (22b) 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받아 상하운동 자유자재로 하고 있다. 라인 (16d) 상에는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공급량 조정밸브 (16e) 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장치 (22a) 로부터 송출되는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비 증류탑 (16) 의 탑정 근방에는 제 2 증류분이 추출되는 라인 (16c) 이 접속되어 있다. 라인 (16c) 상에는 여기를 흐르는 제 2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 장치 (측정장치 ; 18c) 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는 소정의 출력신호로서 제어장치 (제어수단 ; 22b) 로 송출된다. 고비 증류탑 (16) 의 탑저 근방에는 제 2 하부 유출분이 추출되는 라인 (16b) 이 접속되어 있다. 라인 (16b) 상에는 여기를 흐르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측정장치 ; 18b) 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는 소정의 출력신호로서 제어장치 (제어수단 ; 22a) 로 송출된다. 고비 증류탑 (16) 의 형태로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선반 단탑일 수도 있고, 충전탑일 수도 있다. 선반 단탑을 이용하는 경우의 선반 단수는 상기 저비 증류탑 (14) 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작용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분리정제 시스템 (2) 은 이하의 작용을 나타낸다.
저비 증류탑 (14) 에는 부타디엔 농도를 높여 둔 C4 탄화수소 유분이 추출 증류탑 (8) 의 탑정 근방에 설치된 환류 라인 (82a) 및 라인 (8e) 을 통해 공급된다. 또한, 저비 증류탑 (14) 에는 라인 (8h) 을 통과한 중합금지제가 환류 라인 (82a) 도중에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과 혼합된 후, 라인 (8e) 을 통해 공급된다. 저비 증류탑 (14) 에 대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및 중합금지제의 공급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대략 중간단이다. 또한, 중합금지제는 환류 라인 (82a) 의 응축기 앞에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위치, 예컨대 라인 (8e) 으로부터 공급해도 되고, 또는 라인 (8h) 을 직접 저비 증류탑 (14) 에 접속하여 C4 탄화수소 유분과는 별도로 공급하는 것 으로 해도 된다. 이들 C4 탄화수소 유분 및 중합금지제의 공급과 함께 저비 증류탑 (14) 의 탑저에 배치되어 있는 재비기 (도시 생략) 로 가열하여 증류를 실시한다. 저비 증류탑 (14) 내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4 ∼ 6 기압이며, 탑저 온도는 그 압력에서의 비점이다. 저비 증류탑 (14) 의 탑정으로부터는 메틸아세틸렌 등을 많이 함유하는 유분이 추출되며, 이 유분은 응축기 (도시 생략) 에서 응축되고, 그 일부는 환류되어 저비 증류탑 (14) 의 탑정으로 되돌아오는 동시에, 그 잔부는 제 1 증류분으로서 라인 (16f) 을 통해 추출된다. 한편, 저비 증류탑 (14) 의 탑저로부터는 부타디엔, 시스-2-부텐이나 펜텐 등을 많이 함유하는 유분이 제 1 하부 유출분으로서 추출되며, 이 제 1 하부 유출분은 라인 (16a) 을 통해 고비 증류탑 (16) 으로 공급된다. 또, 라인 (16d) 을 통해 중합금지제가 고비 증류탑 (16) 으로 공급된다.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제 1 하부 유출분의 공급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대략 중간단이며,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상단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중합금지제는 폴리부타디엔 등의 원료가 되는 고순도 정제 부타디엔 내로의 혼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중합금지제의 공급 위치가 높을수록 팝콘 폴리머의 중합방지 효과가 향상되지만, 중합금지제가 고순도의 부타디엔에 혼입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공급 위치가 낮을수록 고순도의 부타디엔에 혼입되기 어려워지지만, 팝콘 폴리머의 중합방지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고비 증류탑 (16) 으로서 선반 단탑을 이용한 경우에 위에서 1 단째 위치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 1 하부 유출분 및 중합금지제의 공급과 함께 고비 증류탑 (16) 의 탑저에 배치되어 있는 재비기 (도시 생략) 로 가열하여 증류를 실시한다. 고비 증류탑 (16) 내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4 ∼ 6 기압이며, 탑저 온도는 그 압력에서의 비점이다. 고비 증류탑 (16) 의 탑저로부터는 시스-2-부텐이나 펜텐을 많이 함유하는 유분이 제 2 하부 유출분으로서 추출되며, 이 제 2 하부 유출분은 라인 (16b) 을 통해 회수된다.
한편, 고비 증류탑 (16) 의 탑정으로부터는 고도로 농축된 부타디엔을 많이 함유하는 유분이 추출되며, 이 유분은 응축기 (163a) 에서 응축되어 그 일부는 환류 라인 (162a) 을 통해 고비 증류탑 (16) 의 탑정으로 되돌아오는 동시에, 그 잔부는 제 2 증류분으로서 라인 (16c) 을 통해 추출된다. 이 라인 (16c) 으로부터 추출된 제 2 증류분은, 최종적으로는 고순도의 부타디엔으로서 폴리부타디엔 등의 원료로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인 (16a) 상에는 여기를 흐르는 제 1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측정장치 ; 18a) 가 설치되어 있다.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는 출력신호 (농도값) 로서 제어장치 (22a) 로 송출되고, 여기서 이 농도값과 기준 범위 (소정 범위 내의 농도) 가 비교된다. 여기서, 기준 범위의 농도는 사용되는 중합금지제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디에틸히드록실아민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 ∼ 2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ppm 이다. 그 결과, 실측된 농도값이 기준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 (22a) 는 저 비 증류탑 (14) 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밸브 (8i) 에 대해 송출한다. 반대로, 라인 (16a) 을 흐르는 제 1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가 기준 범위의 하한값을 밑돌면, 제어장치 (22a) 는 저비 증류탑 (14) 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밸브 (8i) 에 대해 송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라인 (16a) 을 흐르는 제 1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기준 범위내가 되도록 온오프 제어하고 있지만, 다른 제어 알고리즘, 예컨대 비례 제어, 비례적분 제어, 비례적분미분 제어, 퍼지 제어, 적응 제어 등에 의해 제어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인 (16b) 상에 여기를 흐르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측정장치 ; 18b) 가 설치되어 있다.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는 출력신호 (농도값) 로서 제어장치 (22a) 로 송출되고, 여기서 이 농도값과 기준 범위 (소정 범위 내의 농도) 가 비교된다. 여기서 기준 범위의 농도는 사용되는 중합금지제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디에틸히드록실아민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500 ∼ 100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 8000 ppm 이다. 그 결과, 실측된 농도값이 기준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 (22a) 는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밸브 (16e) 에 대해 송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라인 (16b) 을 흐르고 있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가 기준 범위의 하한값을 밑돌면, 제어장치 (22a) 는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상기 중합 금지제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밸브 (16e) 에 대해 송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라인 (16b) 을 흐르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기준 범위내가 되도록 온오프 제어하고 있지만, 상기 이외의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인 (16c) 상에는 여기를 흐르는 제 2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측정장치 ; 18c) 가 설치되어 있다.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는 출력신호 (농도값) 로서 제어장치 (22b) 로 송출되며, 여기서 이 농도값과 기준값이 비교된다. 여기서 기준값은 바람직하게는 2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ppm 이하이다. 그 결과, 실측된 농도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 (22b) 는 고비 증류탑 (16) 에 대한 상기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낮추는 신호를 라인 (16d) 에 대해 송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라인 (16c) 을 흐르는 제 2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온오프 제어하고 있지만, 상기 이외의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해도 된다.
또한, 중합금지제의 농도 측정은 상기와 같이 반드시 온라인으로 실시할 필요는 없으며, 오프 라인으로, 즉 각 라인으로부터 유분을 소량 추출하여 다른 장소에서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제어장치 (22a 또는 22b) 에 입력하는 방법으로 실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분리정제 시스템 (2) 에 의하면,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중합금지제를 과부족 없이 공 급할 수 있으며, 팝콘 폴리머의 생성을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보다 낮은 비용으로 고순도의 부타디엔을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인 (16a) 및 라인 (16b) 을 흐르는 제 1 및 제 2 하부 유출분, 그리고 라인 (16c) 을 통해 추출되는 제 2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 측정을 모두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18a ∼18c) 를 이용하여 실시하도록 되어 있어, 간이하면서 동시에 효율적으로 중합금지제의 농도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 (22a) 에 대한 분석장치 (18a, 18b) 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제어장치 (22b) 에 대한 분석장치 (18c) 로부터의 출력신호 각각이 모두 연속적으로 송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 (22a, 22b) 내에서의 상기 동작도 연속하여 실시되지만, 측정 간격을 수시간 ∼ 수일 정도 두어 제어장치 (22a 또는 22b) 로 신호를 보내는 방법 (디지털 제어) 이 경제적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예컨대,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에서는 C4 탄화수소 유분으로부터 부타디엔을 분리 정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C5 탄화수소 유분으로부터 이소프렌을 분리 정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Claims (15)

  1.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2.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저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고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3.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4.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저비 증류탑에서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하부 유출분을 고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5.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저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고비 증류탑에서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 및 증류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된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공정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4 이상의 공액 디엔 농도가 90 % 이상인 분리정제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금지제가 디-C1-5 알킬히드록실아민인 분리정제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금지제의 양이 상기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 200 ppm 인 분리정제방법.
  9. 삭제
  10.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을 얻는 증류탑과,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새로운 중합금지제를 상기 증류탑에 공급하는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
  11.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저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을 얻는 고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새로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
  12.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을 얻는 증류탑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상기 증류탑에 공급하는 상하운동 자유자재인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
  13.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증류하여 하부 유출분을 얻는 저비 증류탑과,
    상기 하부 유출분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분을 얻는 고비 증류탑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상기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상하운동 자유자재인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
  14. C4 이상의 공액 디엔을 80 % 이상 함유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1 하부 유출분을 얻는 저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을 중합금지제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증류하여 제 2 하부 유출분 및 증류분을 얻는 고비 증류탑과,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새로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제 1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제 1 하부 유출분 및 제 2 하부 유출분 각각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저비 증류탑 및/또는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중합금지제를 상기 고비 증류탑에 공급하는 상하운동 자유자재인 제 2 공급 시스템과,
    상기 측정된 제 1 하부 유출분 및/또는 제 2 하부 유출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고비 증류탑에 대한 중합금지제의 공급단을 변화시켜 상기 증류분에 함유되는 중합금지제의 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장치인, C4 이상의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장치.
KR1020047005729A 2001-10-19 2001-10-19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 KR100845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9208 WO2003035588A1 (fr) 2001-10-19 2001-10-19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t de purification de diene conjug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728A KR20040054728A (ko) 2004-06-25
KR100845750B1 true KR100845750B1 (ko) 2008-07-11

Family

ID=1173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729A KR100845750B1 (ko) 2001-10-19 2001-10-19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04413A1 (ko)
EP (1) EP1443035B1 (ko)
KR (1) KR100845750B1 (ko)
CN (1) CN100491307C (ko)
ES (1) ES2384453T3 (ko)
PT (1) PT1443035E (ko)
WO (1) WO2003035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96B1 (ko) * 2005-01-18 2007-02-01 여천엔씨씨 주식회사 1,3-부타디엔의 중합방지제 및 이것을 투입하는1,3-부타디엔의 중합방지방법
EP1944604A1 (en) 2007-01-09 2008-07-16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Process to monitor formation of a polymer having internal strain by acoustic emission analysis
FR2965208B1 (fr) * 2010-09-23 2012-10-12 Michelin Soc Tech Renfort composite
FR2971188B1 (fr) 2011-02-03 2013-03-08 Michelin Soc Tech Renfort composite gaine d'une couche de polymere auto-adherente au caoutchouc
US9266797B2 (en) * 2013-02-12 2016-02-23 Ecolab Usa Inc. Online monitoring of polymerization inhibitors for control of undesirable polymerization
US9399622B2 (en) 2013-12-03 2016-07-26 Ecolab Usa Inc. Nitroxide hydroxylamine and phenylenediamine combinations as polymerization inhibitors for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processes
US10341891B2 (en) * 2015-07-02 2019-07-02 Nokia Technologies Oy User equipment adaptation of reporting triggers based on active set size
KR20180110083A (ko) 2016-02-10 2018-10-08 토탈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 펠루이 음향 방출 신호를 사용하여 팝콘 중합체의 원치않는 형성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
JP6772103B2 (ja) * 2017-04-12 2020-10-21 横河電機株式会社 重合抑制システム及び重合抑制方法
CN108727150B (zh) * 2017-04-25 2021-02-02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控制乙腈法丁二烯抽提装置的系统循环溶剂中二聚物含量的方法
CN110563541A (zh) * 2019-09-05 2019-12-13 北方华锦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丁二烯装置溶剂自聚物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286A (en) * 1987-03-28 1989-08-22 Basf Aktiengesellschaft Isolation of 1,3-butadiene
KR20000076008A (ko) * 1997-03-11 2000-12-26 나까노 가쯔히꼬 정제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1526A (en) * 1979-12-06 1981-07-03 Nippon Zeon Co Ltd Polymerization prevention of conjugated dienes
CA1227449A (en) * 1984-11-23 1987-09-29 John Link Composition for minimizing fouling of heat exchangers and other hydrocarbon processing equipment
JPH10251662A (ja) * 1997-03-13 1998-09-22 Nippon Zeon Co Ltd 共役ジエン類の精製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286A (en) * 1987-03-28 1989-08-22 Basf Aktiengesellschaft Isolation of 1,3-butadiene
KR20000076008A (ko) * 1997-03-11 2000-12-26 나까노 가쯔히꼬 정제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728A (ko) 2004-06-25
EP1443035A4 (en) 2009-11-11
CN1558886A (zh) 2004-12-29
PT1443035E (pt) 2012-05-22
US20050004413A1 (en) 2005-01-06
EP1443035A1 (en) 2004-08-04
CN100491307C (zh) 2009-05-27
EP1443035B1 (en) 2012-04-11
WO2003035588A1 (fr) 2003-05-01
ES2384453T3 (es)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750B1 (ko) 공액 디엔의 분리정제방법 및 분리정제장치
KR100795650B1 (ko) 증류에 의해 조 1,3-부타디엔으로부터 순수1,3-부타디엔을 수득하는 방법 및 장치
CA2330137C (en) Method for separating a c4 hydrocarbon mixture
EP0004658B1 (en) Acetylenes removal from diolefin streams by extractive distillation
US4177110A (en) Method for the distillation of vinyl aromatic compounds using polymerization inhibitors with low-volatility
EP1083160A1 (en) Apparatus fo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saturated hydrocarbon and method fo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EP0062626B1 (en) Process for the distillation of vinyltoluene
US20020128528A1 (en) Process for treatment of C4 hydrocarbons that comprise butadiene and acetylene compounds that comprise stages for distillation and selective hydrogenation
JP2002053871A (ja) 共役ジエン類の分離精製方法および分離精製装置
MXPA05000772A (es) Metodo para tratar 1,3-butadieno crudo.
AU668771B2 (en) Process for separating hydrocarbon mixtures by extractive distillation
JPS6149292B2 (ko)
EP1437336B1 (en) Method of separating/purifying conjugated diene and separation/purification apparatus
KR20140109400A (ko) 선택성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증류 공정을 위한 공급 스트림으로서의 증기상의 정제된 조 c4 분획을 제공하는 방법
US7420095B2 (en) Purification process of aromatics
JP3928701B2 (ja) 共役ジエンの分離精製方法および分離精製装置
US4002554A (en) Process of minimizing or preventing fouling
EP0085572B1 (en) Process for separating hydrocarbon mixtures by extractive distillation
US5342509A (en) Fouling reducing dual pressure fractional distillator
KR20220007388A (ko) 증류 컬럼 제어방법
JPH0641428B2 (ja) 抽出蒸留によりc4−炭化水素混合物を分離する方法
JP2000072694A (ja) 1,2―ブタジエンの製造方法
JP2003128595A (ja) 不飽和炭化水素の分離精製方法
KR20200093582A (ko) 중합성 방향족 화합물을 얻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3956592B2 (ja) 共役ジエン類の分離精製方法および分離精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16

Effective date: 200804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