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652B1 -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652B1
KR100845652B1 KR1020070108572A KR20070108572A KR100845652B1 KR 100845652 B1 KR100845652 B1 KR 100845652B1 KR 1020070108572 A KR1020070108572 A KR 1020070108572A KR 20070108572 A KR20070108572 A KR 20070108572A KR 100845652 B1 KR100845652 B1 KR 10084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urb
asphalt
road asphalt
waterproof membran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준
Original Assignee
박형준
여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준, 여용석 filed Critical 박형준
Priority to KR102007010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연석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의 상단 모서리부에 상기 콘크리트 연석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턱부에 일정량의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단턱부를 포함한 그 주변부의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을 덮도록 하여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고르게 펴서 방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막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균열에 의한 아스팔트의 파손, 콘크리트 균열 발생, 콘크리트 부식에 의한 백화현상 및 교량 상판 내부의 철근 부식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무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방수막

Description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WATERPROOF SHEET BETWEEN ROAD ASPHALT AND CONCRETE CURB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연석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의 상단 모서리부에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이용한 방수막을 형성하여, 균열에 의한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는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양호한 노면을 얻을 수 있어 교량이나 도로의 포장재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교량은 콘크리트 상판 교면을 포장하기 위하여 아스팔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경우 교량 상판에 형성된 난간 등의 콘크리트 연석과 아스팔트의 접합부에서 노화에 의한 틈새 벌어짐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균열은 적절한 시점에 봉합을 하지 않을 경우 균열부위를 통하여 각종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하게 되는데, 이때 아스팔트의 파손, 콘크리트 의 균열, 콘크리트 부식에 의한 백화현상 및 교량 상판 내부의 철근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균열 부위에 콘크리트 덧씨우기 등의 시공을 하여 왔으나,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덧씨운 부위에서의 균열 및 부식이 재차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콘크리트 덧씌우기 보수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시공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연석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의 상단 모서리부에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이용한 방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연석과 아스팔트가 맞닿는 부위의 틈새를 통하여 수분 및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콘크리트 연석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의 상단 모서리부에 상기 콘크리트 연석의 일부분이 노출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에 일정량의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를 포함한 그 주변부의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을 덮도록 하여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고르게 펴서 방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막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은 실런트계 물질, 봉합제 물질 등 접착성과 신축성이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를 충진하기 전에, 충진 부위의 이물질 제거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충진하기 전에,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과 콘크리트 연석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수막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에 소정두께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는 프라이머(Primer) 접착제로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충진하기 전에, 상기 단턱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상기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종이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종이테이프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방수막을 형성한 후, 상기 종이테이프와 함께 상기 방수막의 말단을 제거하는 마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부에 형성된 방수막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수분 이나 빗물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막은 교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할 수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콘크리트 연석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의 상단 모서리부에 상기 콘크리트 연석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에 일정량의 방수제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를 포함한 그 주변부의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을 덮도록 하여 방수제를 고르게 펴서 방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막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방수제'는 방수 우레탄계 물질, 방수 페인트계 물질, 아스팔트 타르계 물질, 역청제계 물질,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 등을 총칭하여 일컫는 표현이다. 바람직하게는,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사용하면 신축성과 접착성이 다른 물질 보다 뛰어나 더욱 확실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 연석과 아스팔트가 맞닿는 부위에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이용한 방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접착력을 강화시키고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물성간의 차이 및 온도 차이 또는 습기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균열을 방지 할 수 있어, 각종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파손, 콘크리트 균열 발생, 콘크리트 부식에 의한 백화현상 및 교량 상판 내부의 철근 부식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연석과 아스팔트가 맞닿는 부위의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균열 부위에 대한 보수주기가 연장되어 보수공사에 소요되는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중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먼저, 콘크리트 연석(100)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200)의 상단 모서리부에 콘크리트 연석(100)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단턱부(210)를 형성한다. 단턱부(210)는 도로 아스팔트(200)의 일부의 두게를 잔류시키고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고 단턱부(210) 바닥(하면)에 도로 아스팔트를 모두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콘크리트 연석(100)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200)의 상단 모서리부를 통상의 절삭수단(예컨데, 노면 절삭기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를 커팅한 후, 커팅된 부위를 파쇄하고 잔재물을 제거함에 따라 단턱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턱부(210)의 높이는 약 4~6cm로 하며, 그 폭은 약 4~6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단턱부의 높이는 아스팔트 포장 높이에 따라 변동이 가능한데, 이는 높이가 일정하진 않지만 아스팔트 포장 두께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아스팔트 아래의 구조물에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이 직접 맞닿아 접착이 되어야 방수의 기능이 더 좋아질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의 문제점은 아스팔트와 구조물간 사이로 물이 스며들거나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단턱부(210)를 포함한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물질의 제거 방법으로는 예컨데, 콤프레샤(COMPRESSOR)와 연결된 공기 청소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불어내는 방법 또는 토치램프(TORCH LAMP)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태우거나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도 1b를 참조하면, 단턱부(2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콘크리트 연석(100) 표면 및 도로 아스팔트(200)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종이테이프(S)를 부착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방수막(400, 도 1d참조)의 마감 처리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도로 아스팔트(200)와 콘크리트 연석(100)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방수막(400)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연석(100)의 표면(110)에 소정두께의 접 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예컨데, 프라이머(Primer) 접착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도 1c에서와 같이 단턱부(210)에 일정량의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충진한다. 이후, 도 1d의 단계에서는,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충진된 단턱부(210)로부터 콘크리트 연석(100) 및 도로 아스팔트(200)의 표면에 부착된 종이테이프(S)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위치까지 추가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턱부(210)뿐만 아니라, 단턱부(210)를 포함한 그 주변부의 도로 아스팔트(200)와 콘크리트 연석(100)의 표면까지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덮도록 한다. 이때, 도포되는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은 예컨데, 스퀴즈(SQUEEZE)수단으로 고르게 펴서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되는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의 두께는 약 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양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아스팔트(200)와 콘크리트 연석(100)간의 방수막(4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연석(100) 및 도로 아스팔트(200)의 표면을 덮는 방수막(400)은 적절한 위치에서 커팅할 수 있는데, 이때, 방수막을 커팅하기 위한 커팅부(C)는 방수막(400)이 종이테이프(S)를 덮고 있는 부분의 한 지점으로써, 적절한 위치에서 커팅을 하면 되는데, 방수막(400)과 종이테이프(S)를 동시에 커팅 한 후 그 말단부(410)는 제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은 마감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절한 컷팅부(C)의 위치는, 단턱부(210)를 제외한 콘크리트 연석(100) 표면을 덮는 부분의 방수막(400)이 약 15~20cm 높이가 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로 아스팔트(200) 표면을 덮는 부분의 방수막(400)의 경우는 약 5~15cm의 폭이 되도록 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e를 참조하면, 마감처리가 완료된 방수막(400)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아스팔트(200)와 콘크리트 연석(100)간의 방수막(400)은, 콘크리트 연석(100) 및 도로 아스팔트(20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완충작용을 하며, 그 부분의 접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물성간의 차이 및 환경적 요인 예컨대, 온도 차이 또는 습기 등에 의한 뒤틀림, 균열 및 이탈을 방지하여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단턱부(210) 주변의 콘크리트 연석(100) 및 도로 아스팔트(200) 표면을 덮는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은, 콘크리트 연석(100) 및 도로 아스팔트(200) 표면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이 쉽게 증발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방수막(400) 상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는데, 도 1e를 참조하면, 방수막(400) 상부에 배수안내를 위한 가이드 홈(45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450)은 방수막(400) 표면의 수분이 쉽게 흐를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도로면에서 흘러내린 수분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이나 도로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특히, 교량에서는 하중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도 1b 내지 1d에 도시된 과정 중 콘크리트 연석(100) 및 도로 아스팔트(20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종이테이프(S)를 부착하는 단계 및 방수막(400)의 마감처리를 하는 단계는 생략이 가능하며, 이러한 단계 없이 단턱부(210)에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바로 진행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아스팔트(200)와 콘크리트 연석(100)간의 방수막(400)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콘크리트 연석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의 상단 모서리부에 상기 콘크리트 연석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에 일정량의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를 포함한 그 주변부의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을 덮도록 하여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를 고르게 펴서 방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막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를 충진하기 전에, 충진 부위의 이물질 제거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를 충진하기 전에,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수막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에 소정두께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프라이머(Primer)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물질를 충진하기 전에, 상기 단턱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상기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종이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종이테이프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방수막을 형성한 후, 상기 종이테이프와 함께 상기 방수막의 말단을 제거하는 마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에 형성된 방수막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수분이나 빗물을 안내 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연석 및 도로 아스팔트는 교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8. 콘크리트 연석과 서로 맞닿는 도로 아스팔트의 상단 모서리부에 상기 콘크리트 연석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에 일정량의 방수제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를 포함한 그 주변부의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의 표면을 덮도록 하여 방수제를 고르게 펴서 방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막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KR1020070108572A 2007-10-26 2007-10-26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KR10084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572A KR100845652B1 (ko) 2007-10-26 2007-10-26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572A KR100845652B1 (ko) 2007-10-26 2007-10-26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652B1 true KR100845652B1 (ko) 2008-07-10

Family

ID=3982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572A KR100845652B1 (ko) 2007-10-26 2007-10-26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6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718B1 (ko) * 2010-05-04 2010-12-21 바스코코리아(주) 콘크리트 포장도로와 아스팔트 노견의 접속부 사전시공방법 및 그 접속부재
CN109695191A (zh) * 2019-01-18 2019-04-30 广州城建职业学院 园林用防攀爬路缘构筑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34A (ko) * 1998-09-04 1998-12-05 양영규 교량상판의 배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0170107A (ja) 1998-12-03 2000-06-20 Toray Ind Inc 防草構造体
JP2003184026A (ja) 2001-12-14 2003-07-03 Sato Road Co Ltd アスファルト舗装のクラック補修工法および装置
KR100583451B1 (ko) 2005-04-28 2006-05-25 유한회사 로드씰 포장도로의 균열 보수방법
KR100701847B1 (ko) 2006-12-28 2007-04-02 한진석 포장도로의 균열부위 보수를 위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34A (ko) * 1998-09-04 1998-12-05 양영규 교량상판의 배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0170107A (ja) 1998-12-03 2000-06-20 Toray Ind Inc 防草構造体
JP2003184026A (ja) 2001-12-14 2003-07-03 Sato Road Co Ltd アスファルト舗装のクラック補修工法および装置
KR100583451B1 (ko) 2005-04-28 2006-05-25 유한회사 로드씰 포장도로의 균열 보수방법
KR100701847B1 (ko) 2006-12-28 2007-04-02 한진석 포장도로의 균열부위 보수를 위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718B1 (ko) * 2010-05-04 2010-12-21 바스코코리아(주) 콘크리트 포장도로와 아스팔트 노견의 접속부 사전시공방법 및 그 접속부재
CN109695191A (zh) * 2019-01-18 2019-04-30 广州城建职业学院 园林用防攀爬路缘构筑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695191B (zh) * 2019-01-18 2024-03-19 广州城建职业学院 园林用防攀爬路缘构筑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677A (en) Method for repair of cracked pavement
CN104847382B (zh) 一种用于隧道的自粘式复合防水层及其铺设方法
US7396185B2 (en) Method for repairing a crack in a recreational court or surface
KR2000000246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및그의 시공방법
KR100744727B1 (ko) 건축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 노출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41798B1 (ko) 콘크리트 교면의 방수층 구조
KR100431904B1 (ko) 콘크리트 바닥판 교면포장용 라텍스혼합개질 콘크리트시공방법(lmc공법)
KR20100042094A (ko) 규사를 이용한 도로 포장층의 균열 보수 및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시공방법
KR100845652B1 (ko) 도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연석간의 방수막 시공방법
AU2010236054B2 (en) A small movement bridge and pavement jointing system
JP2001131916A (ja) 道路床版の防水舗装構造
KR102179705B1 (ko) 도로구조물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028144B1 (ko) 교량 표면 방수 공법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US2379051A (en) Roof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337443B1 (ko)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20040018003A (ko) 방수시공방법
KR100271421B1 (ko) 경질시트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및 그 방수시트
JP3666865B2 (ja) 道路付帯構造物及びその周囲部との舗装一体化工法
JP2005171730A (ja) 床版舗装の防水構造
KR100797088B1 (ko) 교면 보수공법
CN106183216A (zh) 一种砂面复合防水卷材
KR101590846B1 (ko) 배수로의 덧씌우기 보수방법
KR20070046509A (ko) 구조물의 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