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338B1 -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338B1
KR100845338B1 KR1020070016145A KR20070016145A KR100845338B1 KR 100845338 B1 KR100845338 B1 KR 100845338B1 KR 1020070016145 A KR1020070016145 A KR 1020070016145A KR 20070016145 A KR20070016145 A KR 20070016145A KR 100845338 B1 KR100845338 B1 KR 10084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otherwort
hypertension
wa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환
이민자
이효승
김정엽
박선동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익모초(Leonurus heterophyllus Sweet.)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익모초 추출물은 ACE(안지오텐신 전환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혈압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므로,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익모초, ACE, 추출물, 고혈압,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Leonurus heterophyllus Swee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tension}
본 발명은 익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은 모든 순환기계 질환의 원인이 되는 동시에 뇌출혈, 심장병 및 신장병 등과 합병증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치사율이 매우 높은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40대 이후의 중노년층에서 유병율이 15-20%로 추정되고 있다. WHO는 최고 혈압이 160 mmHg 이상이고 최저 혈압이 95 mmHg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고혈압의 종류는 원인이 불분명한 본태성 고혈압과 원인질병에 의한 속발성 고혈압으로 나뉘며 80% 이상이 본태성 고혈압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에는 최고혈압만 높은 경우와 최고혈압, 최저혈압 양쪽이 모두 높은 경우가 있다. 보통 고혈압이라고 하는 것은 후자의 경우가 많고 전자, 즉, 최고혈압만이 높은 경우는 심장에서 보내는 혈액량이 많아질 때와 대동맥의 탄력성이 감소되어 있을 때, 즉, 어 떤 종류의 심장판막증이거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 대동맥경화, 대동맥류 등인 경우이다. 본태성 고혈압증에는 유전하부(遺傳荷負)라는 것만이 비교적 확실한 것으로서, 부모가 고혈압증인 경우 자녀들에게는 60% 정도, 부모의 한쪽이 고혈압인 경우에는 20% 정도, 부모가 모두 고혈압이 아닌 경우에는 5% 정도의 비율로 고혈압이 나타난다. 속발성 고혈압의 원인으로는 신장질환(급성신염, 만성신염, 신우염증, 수신증, 신동맥협착 등)에 의한 것, 대혈관의 변화(대동맥협착증, 말초혈관폐색 등)에 의한 것, 내분비성 질환(쿠싱증후군, 갈색세포종, 본태성 고알도스테론증 등)에 의한 것, 기타 임신중독증을 비롯하여 극도의 정신불안이나 긴장상태에서 볼 수 있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한국 식품 영양 과학회, 식품영양학사전, p.82, 1998).
성인병의 하나인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현재 많은 항고혈압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작용기전과 작용점에 따라 이뇨제, 교감신경계 작용약물(α,2-아드레날린성 길항제, β-아드레날린성 길항제), 혈관확장제, 칼슘 채널 길항제(calcium channel blockers),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제 등으로 분류된다(Mann, SJ., Neurogenic essential hypertension revisited: The case for incresed clinical and research attention,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16, pp.881-888, 2003; Escobales, N., Crespo, MJ., Oxidative-nitrosative stress in hypertension, Current Vascular Pharmachology, 3, pp.231-246, 2005).
ACE 저해제는 일종의 펩티딜 디펩티다제(peptidyl dipeptidase)로서 이 효소 는 가장 강력한 승압물질로 알려진 안지오텐신 Ⅱ(Ang Ⅱ)의 생성을 촉매화하며 동시에 가장 강력한 혈관확장 물질인 브래디키닌(bradykinin)의 분해를 촉매화 한다. ACE에 의해 불활성인 Ang Ⅰ의 C 말단 His-Leu이 절단되어 생성된 약리적 활성물질인 Ang Ⅱ는 강력한 혈관 수축작용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며 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의 유리를 자극함으로써 나트륨을 보존시키는 작용을 하여 혈관 내 용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Ang Ⅱ의 구조 중 C- 말단의 6개의 아미노산이 약리작용에 필수적인 대부분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ACE의 활성을 저해하는 ACE 저해제는 일관성 있는 혈압강하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본태성 고혈압 환자를 포함한 고혈압 치료를 위해 넓은 영역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CE 저해제는 현저한 혈압강하효과 뿐만 아니라 내약성이 좋고, 다른 항고혈압제와 달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적으며, 심장질환, 당뇨, 천식 등이 있는 고혈압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어 항고혈압제로서의 유용성이 매우 높다(Thurman, JM., Schrier, RW., Comparative effect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on blood pressure and the kidney, Am J Med., 114, pp.588-598, 2003).
현재 ACE 저해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처음 소개된 ACE 저해제로는 터프로티드(Teprotide)가 있었으나 이는 작용시간이 짧고 혈관주사를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이에 따라 캡토프릴(Captopril)과 에날라프릴(Enalapril) 같은 경구적으로 유용한 ACE 저해제가 개발되어 현재 새롭고 강력한 항 고혈압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화학적인 합성을 통한 유도체의 제조뿐만 아니라 식물(食物) 유래의 ACE 저해 펩타이드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식물 유래의 ACE 저해 펩타이드로는 카제인의 트립신 가수분해물, 돼지혈청에서 얻은 펩타이드, 참치 내장 소화분해물의 펩타이드, 쌀로 만든 식초의 펩타이드, 청주 및 그 부산물 중 잔기 펩타이드 등이 발견되었으며 또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CP790(L. helveticus CP790)의 세포 외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리하여 유단백질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생성되는 펩타이드가 연구되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CP790을 이용한 ACE 저해 펩타이드로는 α, s1-카제인 유래 펩타이드로서 Ala-Tyr-Phe-Tyr-Pro-Glu의 아미노산 배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β-카제인 유래 펩타이드로서 Arg-Asp-Met-Pro-Ile-Gln-Aln-Phe의 아미노산 배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등이 발견된 바 있다(홍상필 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물질과 특성, Food science and Industry, 32(4), 1998).
익모초(益母草, Leonurus heterophyllus Sweet.)의 전초(全草)는 익모초(益母草), 꽃은 익모초화(益母草花), 과실은 충울자라 하며 약용한다.
익모초의 성분으로는 레오누린(leonurine), 스타키드린(stachydrine), 레오누리딘(leonuridine), 레오누리닌(leonurinine) 등 많은 알칼로이드(alkaloid), 안식향산(安息香酸), 다량의 염화칼륨, 라우르 산(laur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올레 산(loeic acid), 스테롤(sterol), 비타민A, 루틴(rut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한다. 또, 아르기닌(arginine), 4-구아니디노-1-부탄올(4-guanidino-1-butanol), 4-구아니디노부티릭 산( 4-guanidinobutyric acid), 스타키오스(stachyose)도 함유하고, 그 약효는 활혈(活血), 거어(祛瘀), 조경(調經), 소수(消水)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산후출혈, 악조(惡阻), 태루난산(胎漏難産), 포의불하(胞衣不下), 산후혈운(産後血暈-혈분(血分))이 병이 나서 일으키는 혼궐(昏厥)의 증상, 산전산후(産前産後)에 쓰이며 어혈복통(瘀血腹痛), 붕중루하(崩中漏下), 혈뇨(血尿), 사혈(瀉血), 옹종창양(癰腫瘡瘍)을 치료한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 향약대사전, pp848-849, 영림사, 1998).
그러나, 지금까지 익모초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ACE) 억제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익모초 추출물의 ACE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익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익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 들의 혼합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70%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익모초의 몸통, 줄기, 잎 또는 뿌리, 바람직하게는 몸통 또는 줄기를 건조하고 마쇄하여 그 중량의 약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 부피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및 에탄올로부터 선택된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70% 에탄올로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의 추출 온도에서 0.5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시간 동안 열수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익모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익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익모초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익모초 추출물은 ACE(안지오텐신 전환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혈압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고혈압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 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익모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고혈압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익모초 추출물의 제조
1-1. 익모초 물 가용 추출물의 제조
2005년산 국산 익모초(성심한약품, 경주시 석장동) 익모초 100 g을 마쇄기로 갈아 분말화 한 후, 물 2 ℓ를 가하여 100 ℃에서 3 시간 추출한 다음, 회전 감압 농축기(EYELA Digital water bath SB-1000, Japan)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익모초 물 가용 추출물 17.64 g을 수득하였다.
1-2. 익모초 에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2005년산 국산 익모초(성심한약품, 경주시 석장동) 익모초 100 g을 마쇄기로 갈아 분말화 한 후, 70% 에탄올 2 ℓ를 가하여 실온에서 12, 6 및 3 시간 3회 추출한 다음, 회전 감압 농축기(EYELA Digital water bath SB-1000, Japan)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익모초 에탄올 가용 추출물 13.0 g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1.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SPSS Ver. 10.0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군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군 간의 차이 유무를 원-웨이 아노바 (one-way ANOVA)로 분석한 뒤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정 (Tukey 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실험예 1. TEAC (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분석에 의한 항산화 효과의 측정
익모초 추출물의 TEAC 값은 로베르타(Roberta)등의 방법(Roberta, R.E. et al.,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6, pp1231-1237, 1999; Miller, N.J. et al,, Clin . Sci . 84, pp407-412, 1993)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용매별 추출물 희석용액 10 μL(100 μg/mL) 또는 트롤록스 표준(Trolox standard)에 ABTS+ 용액(A9941, Sigma, USA) 1.0 mL를 첨가하여 1분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6분간 모니터링(monitoring)하였고 1 mM 트롤록스(Trolox)와 비교하여 흡광도의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그 실험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익모초의 용매별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물 가용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70%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2. DPPH 에 의한 유리기 소거 효과 측정
익모초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 효과는 블로이스(Blois)에 의한 방법(Blois, M.S., Nature., 26, pp1199-1200, 1958)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9132, Sigma, USA) 16 mg을 100 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100 mL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여과지로 여과한 후, 이 여액 2.5 mL에 일정농도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 (100 μg/mL) 0.5 mL을 혼합한 후, 528nm에서 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실험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 가용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효과가 70% 에탄올 가용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3. 과산화질산염( Peroxynitrite ) 소거 효과 측정
익모초 추출물의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 소거 효과는 크로우(Crow)의 방법(Crow J.P., Nitric Oxide., 1, pp145-157, 1997)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well microplate)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취하고 90 mM 염화나트륨(NaCl), 5 mM 염화칼륨(KCl) 및 100 μM 디에틸렌트리아미네펜타 아세트산(diethylenetriaminepenta acetic acid)과 10 μM DHR 123을 함유하는 인산염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pH 7.4)를 가하였다. 이에 10 μM 과산화질소(ONOO-)를 첨가한 후, 형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여기(excitation) 500 nm, 방출(emission) 536 nm에서 측정하였다. 과산화질소(ONOO-) 생성원으로는 시판되는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 81565, Cayman Chemical Co., USA)를 직접 사용하거나 SIN-1에 의해 생성되는 슈퍼옥사이드 이 온(superoxide anion)과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과산화질소(ONOO-)의 제거 활성능을 검토하였다.
그 실험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 가용 추출물의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 소거효과가 70% 에탄올 가용 추출물의 소거효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슈퍼옥사이드 이온( Superoxide anion) 소거 효과 측정
익모초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이온(superoxide anion) 소거 효과는 고토흐(Gotoh)와 니키(Niki)의 방법(Gotoh N and Niki E., Biochem . Biophys . Acta ., 1115, pp201-207, 1992)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취하고 시험관에 30 mM의 EDTA(pH 7.4), 50 mM의 수산화 나트륨(NaOH)에 녹인 30 mM 하이포크산틴(hypoxanthine) 및 3 mM 테트라졸리움(tetrazolium, NBT)을 각각 1 μL, 10 μL 및 100 μL 씩 첨가하여 강하게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혼합물에 0.5 U/mL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100 μL를 첨가한 후, 50 mM 인산 버퍼(phosphate buffer)(pH 7.4)를 이용하여 최종 부피를 3 mL로 조정하였다. 이를 다시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실험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 가용 추출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68.03%, 62.48%로 높게 나타나 익모초 추출물이 슈퍼옥사이드 이온을 SOD와 결합하게 하여 과산화수소로 변화시키고 이를 다시 물로 분해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실험예 5. ACE(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 확인
익모초 추출물의 ACE 저해 효과는 쿠스만 등의 방법(Cushman D.W. et al., Biochem . Pharm., 20, pp1637-1647, 1971)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기질(Hippuryl-His-Leu; H1635, Sigma, USA)과 효소(A2580, Sigma, USA)를 ACE 완충액(300 mM NaCl을 포함한 0.1 M sodium borate buffer, pH 8.3)에 각각 최종 농도가 25 mM, 40 mU가 되도록 녹인 후, 모든 시험관에 200 ㎕의 완충액과 100 ㎕의 기질을 첨가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시료 시험관에 100 ㎕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을 넣고 대조군 시험관에는 100 ㎕의 완충액을 넣어 볼텍싱한 후, 37℃ 배양기에서 미리 배양 시켰다. 블랭크(blank) 시험관을 제외하고 모든 시험관에 일정간격을 두고 효소를 100 ㎕씩 첨가하고 볼텍싱한 후, 이 용액을 37℃에서 30분간 배양하고 반응 정지를 위해 1.0 N HCl을 500 ㎕ 첨가하였다. 이 때, 블랭크 시험관은 마지막으로 HCl을 넣고 바로 효소 100 ㎕를 첨가하였다. 모든 시료에 3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볼텍싱한 후, 히퓨릴 산(hyppuryl acid) 추출을 위해 10분간 방치하고 새로운 시험관에 상층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2.5 ㎖씩 넣었다. 이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100℃ 건조기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건조된 시료에 각각 3 ㎖의 물을 첨가한 후,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ACE 저해제인 에날라프릴ⓡ 10mg(Enalapril Tablets 10mg LGCI, 엘지생명과학)을 사용하였다.
효소 활성 저해율의 계산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07014311607-pat00001
그 실험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가용 추출물 보다는 70% 에탄올 가용 추출물에서 ACE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Figure 112007014311607-pat00002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익모초 물 가용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익모초 물 가용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익모초 물 가용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2의 익모초 에탄올 가용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2의 익모초 에탄올 가용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2의 익모초 에탄올 가용 추출물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 (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익모초 추출물은 ACE(안지오텐신 전환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혈압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므로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익모초(Leonurus heterophyllus Sweet.)의 물 또는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익모초의 물 또는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KR1020070016145A 2007-02-15 2007-02-15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084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45A KR100845338B1 (ko) 2007-02-15 2007-02-15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45A KR100845338B1 (ko) 2007-02-15 2007-02-15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338B1 true KR100845338B1 (ko) 2008-07-10

Family

ID=3982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145A KR100845338B1 (ko) 2007-02-15 2007-02-15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3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766B1 (ko) 2014-08-14 2017-09-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익모초 특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9231A (ko) 2018-09-10 2020-03-18 (주)비엔텍 황칠나무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24986B1 (ko) * 2019-04-22 2020-06-22 (주)에프앤디넷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2045719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익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31A (ja) * 1994-06-29 1996-01-16 Hitachi Chem Co Ltd 塗料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31A (ja) * 1994-06-29 1996-01-16 Hitachi Chem Co Ltd 塗料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응용약물학회지 8(1), 27-31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766B1 (ko) 2014-08-14 2017-09-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익모초 특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9231A (ko) 2018-09-10 2020-03-18 (주)비엔텍 황칠나무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24986B1 (ko) * 2019-04-22 2020-06-22 (주)에프앤디넷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2045719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익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5348866A (zh) * 2020-08-31 2022-11-15 韩国烟草人参公社 包含新型植物乳杆菌kc3菌株和益母草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预防或治疗呼吸系统疾病的药物组合物及使用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961A (ko)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제
KR101522273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845338B1 (ko)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20140034436A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158484B1 (ko) 오가피 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25432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740519B1 (ko) 고압효소분해 천마 추출물 및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 및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4615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8493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15610B1 (ko) 제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2155057B1 (ko) 홍삼 및 산화질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45339B1 (ko) 익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1024858A (ja) 血圧降下用組成物
KR101991880B1 (ko)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833155B1 (ko) 택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89430B1 (ko) 오가피 열매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KR101643245B1 (ko) 고압효소분해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140965B1 (ko) 황칠나무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37264B1 (ko) 권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KR20090074337A (ko)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84725A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