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767B1 -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767B1
KR100843767B1 KR1020070069911A KR20070069911A KR100843767B1 KR 100843767 B1 KR100843767 B1 KR 100843767B1 KR 1020070069911 A KR1020070069911 A KR 1020070069911A KR 20070069911 A KR20070069911 A KR 20070069911A KR 100843767 B1 KR100843767 B1 KR 10084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ody
locking
cabin
mounting pad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종
문병일
Original Assignee
(주)일정
조규종
문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정, 조규종, 문병일 filed Critical (주)일정
Priority to KR102007006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62D33/0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characterised by the device for locking the cab in the tilted or in the driv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패드의 일측에 걸림쇠가 장착된 로킹본체를 일체로 구비토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손쉽게 캐빈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면서도 그 구조적 강성이 검증된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캐빈이 차체에서 틸팅되는 트럭에 상기 캐빈의 후방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캐빈에 부착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차체에 부착된 하부브라켓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마운팅패드와; 상기 마운팅패드의 타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펼쳐지고 내측으로 접히는 걸림쇠가 장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상기 마운팅패드의 타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에 상기 걸림쇠가 펼쳐지며 로킹되고, 상기 걸림쇠가 접히며 로킹해제되는 로킹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럭, 캐빈, 틸팅, 로킹, 마운팅패드

Description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LOCKING DEVICE OF TRUCK CABIN WITH MOUNTING PA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패드의 일측에 걸림쇠가 장착된 로킹본체를 일체로 구비토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손쉽게 캐빈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면서도 그 구조적 강성이 검증된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트럭의 캐빈(1)은 차량의 앞쪽에 장착되어 차량의 수리 및 점검을 위하여 틸팅되고, 수리 및 점검을 마친 후에는 다시 복귀되어 소정의 로킹 장치에 의해 차체(2)와 로킹되게 된다.
종래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캐빈(1)에 부착된 상부브라켓(1a)과 차체(2)에 부착된 하부브라켓(2a)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마운팅패드(110)가 볼트(B)와 너트(N)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로킹 장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로드(101)가 차체브라켓(102)에 부착되어 스프링(103)으로 탄지된 대래치(104)를 작동시키고, 상기 대래치(104)는 기구적으로 연결된 소래치(105)를 작동시키어 연결핀(106)을 구속하는 후크(107)를 작용시키어 캐빈(1)을 차체(2)와 로킹하거나 로킹해제하도록 되어 있었다.
즉, 캐빈(1)을 차체(2)에서 로킹해제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로드(101)를 잡아당겨 대래치(104)와 소래치(105)를 회동시킴에 따라 이 래치(104, 105)들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캐빈(1)의 틸트상승힘에 의하여 후크(107)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었고, 캐빈(1)을 차체(2)와 로킹하는 경우에는 캐빈(1)의 틸트하강힘에 의하여 후크(107)가 회전하여 로킹되도록 작용하게 되어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마운팅패드가 장착되는 구조는 트럭이 틸팅되는 경우에는 볼트와 너트를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마운탱패드가 분해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의 로킹 장치도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부품수가 많아 제작이 힘들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고장의 원인이 되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트럭은 대형트럭만이 캐빈이 틸팅되는 구조로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고,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톤형의 트럭의 경우에는 캐빈 고정형으로 생산되고 있어 엔진 점검이나 정비가 필요할 시에는 캐빈을 완전히 떼어낸 다음 정비를 해야 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정비 시간이 길고 정비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패드의 일측에 걸림쇠가 장착된 로킹본체를 일체로 구비토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손쉽게 캐빈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면서도 그 구조적 강성이 검증된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1톤형의 트럭에도 틸팅 및 로킹 시스템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도모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캐빈이 차체에서 틸팅되는 트럭에 상기 캐빈의 후방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캐빈에 부착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차체에 부착된 하부브라켓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마운팅패드와;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상기 마운팅패드의 타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에 형성된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과; 상기 마운팅패드의 타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펼쳐지고 내측으로 접히는 걸림쇠가 장착되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쇠가 펼쳐지며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걸리며 로킹되고, 상기 걸림쇠가 접히며 로킹해제되는 로킹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마운팅패드와 로킹본체가 일체로 구비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로킹본체에 장착된 펼쳐지고 접히는 걸림쇠에 의해 상부브라켓 또는 하부브라켓 중 상기 마운탱패드의 타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에 로킹 및 로킹해제 됨으로써 손쉽게 로킹 및 로킹해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상기 로킹본체는, 상기 걸림쇠가 방사대칭형으로 장착되되, 상기 걸림쇠가 내측으로 접혀 삽입되도록 접이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일단은 상기 접이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걸림쇠의 타단을 외측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쇠가압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로킹본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걸림쇠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쇠통과홈이 형성되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삽입되되 소정위치에서 삽입이 정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걸림턱을 갖는 로킹본체하우징이 더 구비되며, 상기 로킹본체를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킹본체이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로킹본체가 상기 로킹본체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과의 사이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위치에서 상기 걸림쇠의 타단이 상기 걸림쇠통과홈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펼쳐져 로킹되고, 상기 로킹본체가 상기 로킹본체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과의 사이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쇠의 타단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의 내측면에 눌려 접혀지며 로킹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로킹본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쇠가 펼 쳐지고 접혀지는 비교적 간단한 메커니즘을 가지면서도 견고한 로킹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상기 마운팅패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어느 하나, 상기 마운팅패드 및 상기 로킹수단하우징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축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본체이동수단은, 상기 각각의 이동축관통공을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로킹본체에 고정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로킹본체를 마운팅패드와 일체로 구성하면서도 상기 로킹본체를 손쉽게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상기 이동축은,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축구동수단은, 상기 로킹본체를 상기 로킹본체하우징과의 사이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로킹본체가압스프링과, 상기 이동볼트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이동볼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회전너트의 회전운동을 이동볼트의 상하운동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손쉽게 캐빈을 로킹 및 로킹해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패드의 일측에 걸림쇠가 장착된 로킹본체를 일체로 구비토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손쉽게 회전너트만을 회전시켜 캐빈을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1톤형의 트럭에도 틸팅 및 로킹 시스템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본체의 확대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가 로킹 및 로킹해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본체의 각 구성요소의 강도 해석 결과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마운팅패드(10)와, 로킹본체(20)와, 로킹본체하우징(30)과, 로킹본체이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패드(10)는 캐빈(1)의 후방 하부의 위치에 상기 캐빈(1)에 부착된 상부브라켓(1a)과 차체(2)에 부착된 하부브라켓(2a)의 사이에 통상 양측으로 2개가 구비되어 상기 캐빈(1)의 상하방향 진동을 흡수하는데, 상기 상부브라켓(1a)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2a)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서는 상기 상부브라켓(1a)에 상기 마운팅패드(10)의 일측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상부브라켓(1a), 상기 마운팅패드(10) 및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축관통공(H1, H2, H3)이 형성되어 이동볼트(41a)가 관통되며, 상기 이동볼트(41a)의 타단(41ab)에 장착된 회전너트(42b), 로킹본체가압스프링(42a) 및 상기 이동볼트(41a)의 일단이 로킹본체(20)에 고정 연결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브라켓(1a)에 상기 마운팅패드(10)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로킹본체(20)는 상기 마운팅패드(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브라켓(2a)에 로킹 및 로킹해제되도록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21)와, 접이홈(22)과, 힌지축(23)과, 걸림쇠가압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쇠(21)는 상기 로킹본체(20)에 방사대칭형으로 장착되는데 상기 로킹본체(20)에 상기 걸림쇠(21)가 내측으로 접혀 삽입되도록 접이홈(22)이 요입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걸림쇠(21)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 힌지축(23)은 상기 걸림쇠(21)의 일단(21a)이 상기 접이홈(22)의 내측에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걸림쇠가압스프링(24)은 상기 걸림쇠(21)의 타단(21b)을 외측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홈(22)과 상기 걸림쇠(21)의 타단(21b)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로킹본체(20)는 상기 걸림쇠(21)의 일단(21a)은 상기 힌지축(23)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걸림쇠(22)의 타단(21b)은 외력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접이홈(22)의 내측으로 접히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가압스프링(24)에 의해 외측으로 펼쳐지는 푸쉬버튼과 같은 구조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상기 로킹본체(20)의 강도 해석 결과를 도시하였는데, 강도 해석 조건은 회전너트(42b)를 충분히 조여서 이동볼트(41a)의 응력이 20㎏f/㎟가 작용한다고 가정하고 1570㎏f의 하중을 상기 걸림쇠(21)가 지지한다는 가정하에 계산하였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본체(20)의 플레이트에는 최대 355.3MPa의 응력이 작용하였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쇠(21)에는 최대 340.3MPa의 응력이 작용하였으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23)에는 439.6MPa의 응력이 작용하여 상기 로킹본체(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가 받는 응력이 충분히 허용응력 이내에 들어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은, 상기 로킹본체(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걸림쇠통과홈(31)과, 하우징걸림턱(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쇠통과홈(31)은 상기 로킹본체(20)에 장착된 상기 걸림쇠(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쇠(21)의 타단(21b)이 상기 걸림쇠통과홈(3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걸림턱(32)은 상기 하부브라켓(2a)에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S)을 형성하고,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S)에 삽입되는 경우 소정위치에서 삽입이 정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걸림턱(32)과 상기 걸림쇠(21)의 펼쳐진 타단(21b) 사이에 상기 하부브라켓(2a)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캐빈(1)이 로킹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로킹본체이동수단(40)은 상기 로킹본체(20)를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축(41)과 이동축구동수단(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이동축(41)은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볼트(41a)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동볼트(41a)는 상기 각각의 이동축관통공(H)을 관통한다. 즉, 상기 상부브라켓(1a)에 형성된 이동축관통공(H1), 상기 마운팅패드(10)에 형성된 이동축관통공(H2) 및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에 형성된 이동축관통공(H3)을 관통한다.
한편, 상기 이동볼트(41a)의 일단(41aa)은 상기 로킹본체(20)에 고정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볼트(41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로킹본체(20)도 함께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축구동수단(42)은 상기 이동볼트(41a)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로킹본체가압스프링(42a)과, 회전너트(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킹본체가압스프링(42a)은 상기 로킹본체(20)를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과의 사이간격(D)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과 상기 로킹본체(20) 사이의 상기 이동볼트(41a)에 인장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로킹본체가압스프링(42a)은 상기 로킹본체(42a)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회전너트(42b)를 회전시켜 로킹을 해제하는데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해제 상태에서도 상기 로킹본체(20)와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 사이에 장력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상기 마운팅패드(10)의 일측이 상기 상부브라켓(1a)에 고정되는 것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너트(42b)는 상기 이동볼트(41a)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이동볼트(41a)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회전너트(42b)의 회전운동을 상기 이동볼트(41a)의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해 주는 것이다.
상기 회전너트(42b)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도 5a 내지 도 5b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가 로킹 및 로킹해제되는 상태를 보였다.
도 5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가 로킹되는 상태를 보였는데, 먼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는 로킹해제된 상태로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이 상기 하부브라켓(2a)에 형성된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S)에 상기 하우징걸림턱(32)에 걸려 정지될 때까지 삽입된다.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S)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너트(42b)를 상기 이동볼트(41a)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이 동볼트(41a)의 일단(41aa)에 고정 연결된 상기 로킹본체(20)도 함께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과의 사이간격(D1)이 좁아지는 방향 즉, 상부방향으로 이동토록 한다.
상기 로킹본체(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로킹본체(20)에 장착된 걸림쇠(21)의 타단(21b)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에 형성된 상기 걸림쇠통과홈(31)의 위치에 이르게 되고, 상기 걸림쇠가압스프링(24)이 상기 걸림쇠(21)의 타단(21b)을 상기 걸림쇠통과홈(3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가압하여 결국 상기 하우징걸림턱(32)과 상기 걸림쇠(21)의 타단(21b) 사이에 상기 하부브라켓(2a)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캐빈(1)이 상기 차체(2)에 로킹되는 것이다.
도 5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가 로킹해제되는 상태를 보였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너트(42b)를 상기 이동볼트(41a)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이동볼트(41a)의 일단(41aa)에 고정 연결된 상기 로킹본체(20)도 함께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과의 사이간격(D2)이 넓어지는 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이동토록 한다.
상기 로킹본체(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로킹본체(20)에 장착된 걸림쇠(21)의 타단(21b)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에 형성된 상기 걸림쇠통과홈(31)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고, 결국 상기 걸림쇠(21)의 타단(21b)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30)의 내측면에 눌려 접혀져 상기 캐빈(1)이 상기 차체(2)에서 로킹해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너트(42b)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상기 캐빈(1)을 상기 차체(2)와 로킹 및 로킹해제하면서도 그 구조적 강성이 검증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트럭의 캐빈이 차체에서 틸팅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럭에 마운팅패드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b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본체의 확대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가 로킹 및 로킹해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본체의 각 구성요소의 강도 해석 결과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캐빈
1a 상부브라켓
2 차체
2a 하부브라켓
S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
H 이동축관통공
10 마운팅패드
20 로킹본체
21 걸림쇠
22 접이홈
23 힌지축
24 걸림쇠가압스프링
30 로킹본체하우징
31 걸림쇠통과홈
32 하우징걸림턱
40 로킹본체이동수단
41 이동축
41a 이동볼트
42 이동축구동수단
42a 로킹본체가압스프링
42b 회전너트

Claims (4)

  1. 캐빈이 차체에서 틸팅되는 트럭에 상기 캐빈의 후방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캐빈에 부착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차체에 부착된 하부브라켓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마운팅패드와;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상기 마운팅패드의 타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에 형성된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과;
    상기 마운팅패드의 타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펼쳐지고 내측으로 접히는 걸림쇠가 장착되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쇠가 펼쳐지며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걸리며 로킹되고, 상기 걸림쇠가 접히며 로킹해제되는 로킹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본체는, 상기 걸림쇠가 방사대칭형으로 장착되되, 상기 걸림쇠가 내측으로 접혀 삽입되도록 접이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일단은 상기 접이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걸림쇠의 타단을 외측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쇠가압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로킹본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걸림쇠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쇠통과홈이 형성되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삽입되되 소정위치에서 삽입이 정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걸림턱을 갖는 로킹본체하우징이 더 구비되며,
    상기 로킹본체를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킹본체이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로킹본체가 상기 로킹본체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과의 사이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위치에서 상기 걸림쇠의 타단이 상기 걸림쇠통과홈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펼쳐져 로킹되고, 상기 로킹본체가 상기 로킹본체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과의 사이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쇠의 타단이 상기 로킹본체하우징의 내측면에 눌려 접혀지며 로킹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상기 하부브라켓 중 상기 마운팅패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어느 하나, 상기 마운팅패드 및 상기 로킹수단하우징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축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본체이동수단은, 상기 각각의 이동축관통공을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로킹본체에 고정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은,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축구동수단은, 상기 로킹본체를 상기 로킹본체하우징과의 사이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로킹본체가압스프링과, 상기 이동볼트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이동볼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KR1020070069911A 2007-07-12 2007-07-12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KR10084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11A KR100843767B1 (ko) 2007-07-12 2007-07-12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11A KR100843767B1 (ko) 2007-07-12 2007-07-12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767B1 true KR100843767B1 (ko) 2008-07-04

Family

ID=3982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11A KR100843767B1 (ko) 2007-07-12 2007-07-12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7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8286A (ja) 1986-03-19 1987-09-25 Mazda Motor Corp チルト式キヤビンの支持構造
US5398774A (en) * 1991-05-03 1995-03-21 Ab Volvo End stop arrangement for a vehicle cabin
KR980009011A (ko) * 1996-07-26 1998-04-30 김영귀 트럭 캐빈 마운팅 구조
JP2000170210A (ja) * 1998-12-09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ビン取付構造
KR20050038371A (ko) * 2003-10-22 2005-04-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의 캐빈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8286A (ja) 1986-03-19 1987-09-25 Mazda Motor Corp チルト式キヤビンの支持構造
US5398774A (en) * 1991-05-03 1995-03-21 Ab Volvo End stop arrangement for a vehicle cabin
KR980009011A (ko) * 1996-07-26 1998-04-30 김영귀 트럭 캐빈 마운팅 구조
JP2000170210A (ja) * 1998-12-09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ビン取付構造
KR20050038371A (ko) * 2003-10-22 2005-04-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의 캐빈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561B2 (en) Seat fixing device
US9206828B2 (en) Locking mechanism for communication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921062B1 (ko)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리프트 장치
US20220355721A1 (en) Accessible rear seat latch release
JP6195675B2 (ja) 車両シート用のロックユニット及び車両シート
US20170057593A1 (en) Coupling
JP2014527938A (ja) 車両座席用のロック可能な固定装置及び車両座席
KR100843767B1 (ko) 마운팅패드 일체형 트럭의 캐빈 로킹 장치
US7021683B2 (en) Slidable door lock brace
CN106627389A (zh) 一种汽车杂物箱总成及汽车
KR200486963Y1 (ko) 도어락 케이스의 장착구조체
US20110084105A1 (en) Mounting
KR101528372B1 (ko) 지게차의 보조포크 이탈 방지장치
JP5411640B2 (ja) シートバックの固定装置
JP595681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965202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181290B1 (ko) 오작동 및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잠금장치
CN104652992A (zh) 门锁装置
CN219605081U (zh) 一种内拉紧的密码扣锁
CN212295995U (zh) 一种装甲防暴车用门锁
KR101774637B1 (ko)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19990023392A (ko) 게임기의 로크장치
CN213953299U (zh) 具有双锁芯机构拖车门安防锁
CN220705597U (zh) 一种人字伸缩梯的插销锁
CN216580351U (zh) 车辆功能件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