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833B1 -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 Google Patents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833B1
KR100842833B1 KR1020080006937A KR20080006937A KR100842833B1 KR 100842833 B1 KR100842833 B1 KR 100842833B1 KR 1020080006937 A KR1020080006937 A KR 1020080006937A KR 20080006937 A KR20080006937 A KR 20080006937A KR 100842833 B1 KR100842833 B1 KR 10084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paper
green tea
tea leaf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곤
강술생
Original Assignee
김해곤
강술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곤, 강술생 filed Critical 김해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aper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잎 펄프를 포함하는 종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녹차제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녹차잎으로부터 추출한 펄프를 첨가함으로써, 녹차잎의 특성인 항균성과 탈취성을 지닌 종이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백, 포장박스, 일회용기와 같은 종이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차잎 펄프는 천연 녹차잎의 특성인 항균성과 탈취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할 경우 항균성과 탈취성을 지니는 특징이 있으며, 녹차잎 펄프를 포함하는 종이는 인쇄용지, 포장지, 벽지 등으로 사용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포장백, 포장박스, 일회용기 등의 종이용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및 종이용품은 녹차잎이 지니는 고유의 향과 색채를 나타내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재료로 쓰이는 녹차잎은 차의 부산물로 쉽게 입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특징이 있다.
녹차잎, 녹차잎 펄프, 종이, 항균성, 탈취성, 일회용기, 인쇄용지, 포장지, 포장백, 포장박스, 한지, 벽지, 친환경 종이.

Description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Paper including pulp of green tea}
본 발명은 녹차잎 펄프를 포함하는 종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녹차제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녹차잎으로부터 추출한 펄프를 함유하여 녹차잎의 특성인 항균성과 탈취성을 지니는 종이 및 이를 이용한 종이용품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기능성이나 경제성이 우수한 합성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제품들이 호응을 얻어 왔으나,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는 현 추세에 맞추어, 최근에는 통상적인 합성화학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해속도가 빠르고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제품들에 소비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특히 사용기간이 짧고 폐기물의 부피가 큰 포장박스나 일회용기 제품의 소재의 경우 상대적으로 분해속도가 빠른 종이와 같은 천연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으나, 천연기능성 첨가물을 이용하여 항균성, 탈취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측면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녹차잎은 항암작용, 노화억제작용, 중금속해독작용, 항균작용, 탈취작용 등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어 인체에 유익한 자연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녹차잎은 살균효과가 우수하여 대표적인 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황색포도상구균, 콜레라균 등의 번식을 방지하고, 비린내를 유발하는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 및 마늘 등으로 인한 냄새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능으로 인하여, 녹차잎은 단순한 차의 재료뿐 아니라 기능성 식품, 기타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대량의 녹차잎이 부산물로 발생하고 있다. 녹차잎 부산물은 섬유소 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을 뿐 아니라, 항균,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녹차잎 부산물로부터 펄프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항균, 탈취기능을 지닌 종이용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녹차잎을 이용한 종이에 관한 기술의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9720호 녹차종이에서는 일반 펄프에 녹차가루를 첨가하여 티백을 제조한 후, 이를 녹차티백 대용품 및 피부 맛사지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녹차잎을 종이로 감싸는 대신 종이 자체에 녹차잎 가루를 첨가하여 티백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티백의 제조방법, 또는 마사지팩의 제조방법과 관련이 있을 뿐 실질적으로 종이의 제조방법과는 거리가 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의 재료로 사용되는 녹차잎 펄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화학물질이 아닌 천연 녹차성분을 이용하여 항균 및 탈취기능을 종이에 부여함으로써, 기능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종이 및 종이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녹차잎 펄프와 이를 이용한 종이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백, 포장박스, 일회용 용기와 같은 종이용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녹차잎 펄프를 목재펄프를 비롯한 다양한 펄프와 혼합하여 종이 및 종이용품을 제조한다. 녹차잎 펄프와 혼합하는 펄프의 예로써, 목재펄프 외에도 닥펄프, 재생 목재펄프인 고지펄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적인 펄프를 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 중 둘 이상을 혼합한 펄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녹차잎 펄프의 제조공정은 원료선별단계, 세척단계, 증해단계, 제지단계, 정 선단계, 세척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조방법 1] 녹차잎 펄프 제조
[단계 1] 원료선별
원료인 녹차잎을 준비하여 잘게 절단한다. 이때, 녹차잎의 절단 간격이 너무 넓으면 증해과정에서 수산화나트륨 성분이 녹차잎 내부로 잘 침투되지 않아 시간이 오래 걸리고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0.5cm 이하로 잘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료가 되는 녹차잎은 녹차제품을 생산한 후 부산물로 발생하는 녹차잎을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세척
스크리닝하여 불순물을 골라내고 물로 세척한다.
[단계 3] 증해
녹차잎을 증해부(다이제스터)에 넣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증해하여 섬유화한다.
이때, 섬유소를 제외한 성분들을 용해시켜 제거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는데, 수산화나트륨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증해시간이 길어지고, 제거 효율이 하락하게 되며, 농도가 너무 높으면 섬유소까지 파괴되어 수득률이 떨어지게 되므로 2중량%의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30분간 고온으로 증해함으로써 펄프화할 수 있다.
[단계 4] 제진
녹차잎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원심 제진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단계 5] 정선
섬유질을 고르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단계 6] 세척 및 농축
펄프에 남아있는 약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세척하고, 세척이 끝난 펄프를 탈수하여 농축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잎 펄프를 목재펄프 또는 닥펄프, 고지펄프 등과 혼합하여 다양한 종이 및 종이용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1에 따른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에 따른 목재펄프, 또는 고지펄프를 혼합한 펄프를 이용하여 녹차잎 종이를 제조한다. 녹차잎 종이의 제조공정은 해리단계, 고해단계, 약품첨가단계, 스크리닝단계, 초지단계, 압착단계, 건조단계, 칼렌다링단계, 포장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특성을 지닌 종이들을 제조할 수 있다. 녹차잎 종이는 종이의 특성에 따라 인쇄용지, 포장지, 벽지 등으로 직접 사용하거나 재단 및 접착하여 포장백, 포장박스 등의 종이용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제조방법 2] 녹차잎 종이
[단계 1] 해리
상기 제조방법 1에 따라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 목재펄프를 혼합한 후, 혼합펄프에 물을 첨가하여 해리한다. 이때, 녹차잎 펄프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탈취효과, 항균효과가 우수하나 강도가 떨어지고 첨가량이 적으면 녹차잎 펄프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녹차잎 펄프의 혼합량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혼합펄프 중 5~90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재펄프를 대신하여 재생펄프인 고지펄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2] 고해
해리된 펄프를 종이의 구조적, 강도적 및 광학적 성질을 조절하기 위하여 지종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리파이너를 이용하여 고해를 실시한다.
[단계 3] 약품첨가
종이의 용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성질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해 펄프에 사이즈제, 보류제, 습강제 등의 약품을 첨가한다.
[단계 4] 스크리닝
지필 형성이 용이하도록 응집체를 부수는 스크리닝 공정을 실시한다.
[단계 5] 초지
펄프혼합물을 지필의 형태로 초지한다.
[단계 6] 압착
초지공정에서 얻어진 지필을 압착하여 물을 짜낸다.
[단계 7] 건조
압착의 단계를 거친 지필의 수분을 더욱 제거한다.
[단계 8] 칼렌다링
종이의 두께를 균일하게 한다.
[단계 9] 포장
최종적으로 건조되고 칼렌다링된 종이를 시트상이나 롤상으로 재단하여 포장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 1에 따른 녹차잎 펄프와 닥펄프를 혼합하여 한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녹차잎 한지는 그 자체를 포장지나 벽지, 창호지 등으로 사용하거나 전등갓을 비롯한 각종 공예품의 재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녹차잎 한지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한지의 제조공정과 같이 해리단계, 종이뜨기단계, 압착단계,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제조방법 3] 녹차잎 한지
[단계 1] 해리
상기 제조방법 1에 따라 제조한 녹차잎 펄프를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 닥펄프와 혼합한 후, 혼합펄프에 물을 첨가하여 해리한다. 이때, 녹차잎 펄프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탈취효과, 항균효과가 우수하나 강도가 떨어지고 첨가량이 적으면 녹차잎 펄프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녹차잎 펄프의 혼합량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혼합펄프 중 5~90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 다.
[단계 2] 종이뜨기
점제를 지통에 붓고 잘 저은 후, 해리된 펄프와 혼합하여 섬유를 풀어주고,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이물로 발틀에 발을 얹어 종이뜨기를 한다. 이때, 점제로는 황촉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점제의 사용량이 적으면 종이가 균일하지 못하고, 점제의 사용량이 많으면 물빠짐이 오래 걸리므로 건조상태의 혼합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0.1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 압착
발틀에서 종이가 붙은 발을 떼어내어 평평한 곳에 뒤집어 놓고 원통체를 굴려서 물기를 빼고 발을 들어내어 종이만을 남긴 후 무거운 돌로 하룻밤 눌러 준다.
[단계 4] 건조
물기가 빠진 종이를 한 장씩 평평한 건조대 위에서 빗자루로 쓸어가며 건조대에 붙여 건조시킨다.
녹차잎 종이용품은 상기 제조방법 2와 3의 녹차잎 종이나 녹차잎 한지의 제조방법을 응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녹차잎 종이용품은 종이용품의 형태에 따라, 우선 종이를 제조한 후 재단 및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종이의 형태로 초지하는 대신 종이용품의 형태에 맞게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일례로, 다음과 같이 용기의 형태로 성형하여 녹차잎 일회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방법 4] 녹차잎 일회용기
[단계 1] 해리
상기 제조방법 1에 따른 녹차잎 펄프를 공지된 방법에 따른 목재펄프, 또는 닥펄프, 고지펄프와 혼합한 후, 혼합펄프에 물을 첨가하여 해리한다. 이때, 녹차잎 펄프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탈취효과, 항균효과가 우수하나 강도가 떨어지고 형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첨가량이 적으면 녹차잎 펄프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녹차잎 펄프의 혼합량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혼합펄프 중 5~90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약품첨가
사이즈제, 보류제, 습강제 등의 약품을 첨가하는데, 이때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방수성이나 강도가 떨어져 용기로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폐기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으므로 건조상태의 혼합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3~0.5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 성형
성형기로 가열, 가압 성형한다.
[단계 4] 건조
성형된 일회용 용기를 건조시킨다.
[단계 5] 완성
건조된 일회용 용기를 제품화하여 포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잎 일회용기는 주재료가 천연펄프로 이루어지고 화학합성첨가물이 매우 적게 함유되어 부식속도가 빠르고 소각시에도 유해물질의 발생이 적은 특징이 있다. 또한, 항균성이 우수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식품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녹차잎 포장박스나 포장용백과 같은 종이용품은 상기 제조방법 2에 따라 녹차잎 종이를 제조한 후 재단 및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며, 박스의 경우 충분한 강도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제작한다. 이때, 고지펄프를 이용하여 제조할 경우 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제조방법 5] 녹차잎 포장박스 및 포장백
[단계 1] 해리
상기 제조방법 1에 따라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 목재펄프나 고지펄프를 혼합한 후, 혼합펄프에 물을 첨가하여 해리한다. 이때, 녹차잎 펄프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탈취효과, 항균효과가 우수하나 강도가 떨어지고 첨가량이 적으면 녹차잎 펄프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녹차잎 펄프의 혼합량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혼합펄프 중 5~90중량%의 범위 내에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고해
해리된 펄프를 리파이너를 이용하여 고해한다.
[단계 3] 약품첨가
종이의 용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성질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해 펄프에 사이즈제, 습강제 등의 약품을 첨가한다.
[단계 4] 스크리닝
지필 형성이 용이하도록 응집체를 부수는 스크리닝 공정을 실시한다.
[단계 5] 초지
혼합펄프를 지필의 형태로 초지한다.
[단계 6] 압착
초지공정에서 얻어진 지필을 압착하여 물을 짜낸다.
[단계 7] 건조
압착의 단계를 거친 지필의 수분을 더욱 제거한다.
[단계 8] 칼렌다링
종이나 판지의 두께를 균일하게 한다.
[단계 9] 박스 또는 백 제조
최종적으로 건조되고 칼렌다링된 지류를 박스, 또는 백의 형태로 재단 및 접착하여 포장박스나 포장백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용품은 아름다운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어 고급스러울 뿐 아니라, 항균성 및 탈취 등 기능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녹차잎 펄프는 천연 녹차잎의 특성인 항균성과 탈취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할 경우 항균성과 탈취성을 지니는 특징이 있으며, 녹차잎 펄프를 포함하는 종이는 인쇄용지, 포장지, 벽지 등으로 사용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포장백, 포장박스, 일회용기 등의 종이용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및 종이용품은 녹차잎이 지니는 고유의 향과 색채를 나타내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재료로 쓰이는 녹차잎은 차의 부산물로 쉽게 입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특징이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실시예 1] 녹차잎 펄프 제조
[단계 1] 원료선별
녹차잎을 준비하여 약 0.5cm 간격으로 잘게 절단하였다.
[단계 2] 세척
스크리닝하여 불순물을 걸러주고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단계 3] 증해
녹차잎을 2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30분간 증해하여 녹차잎을 섬유화 하였다.
[단계 4] 제진
원심 제진기를 이용하여 녹차잎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단계 5] 정선
펄프를 고르면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단계 6] 세척 및 농축
물로 세척하여 약액을 씻어내고 탈수하여 녹차잎 펄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녹차잎 종이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 목재펄프를 이용하여 녹차잎 종이를 제조하였다.
[단계 1] 해리
녹차잎 펄프와 목재펄프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펄프 중량의 9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펄프를 해리하였다.
[단계 2] 고해
해리된 펄프를 리파이너를 이용하여 고해하였다.
[단계 3] 약품첨가
혼합펄프 100g당 AKD(alkylketen dimer) 사이즈제 0.5g, 습강제 0.5g, 보류제 0.5g을 첨가하였다.
[단계 4] 스크리닝
지필 형성이 용이하도록 응집체를 부수고 고르는 스크리닝 작업을 하였다.
[단계 5] 초지
펄프를 지필의 형태로 초지하였다.
[단계 6] 압착
지필을 압착하여 물을 짜냈다.
[단계 7] 건조
압착의 단계를 거친 지필의 수분을 더욱 제거한다.
[단계 8] 칼렌다링
종이의 두께가 균일하도록 칼렌다링하였다.
[단계 9] 포장
종이를 롤형태로 재단하여 포장하였다.
[실시예 3] 녹차잎 한지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닥펄프를 이용하여 녹차잎 한지를 제조하였다.
[단계 1] 해리
녹차잎 펄프와 닥펄프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펄프 중량의 9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펄프를 해리하였다.
[단계 2] 종이뜨기
혼합펄프 100g당 0.1g의 황촉규를 혼합하여 섬유를 풀어주고, 통상적인 방법 과 같이 이물로 발틀에 발을 얹어 종이뜨기를 하였다.
[단계 3] 압착
발틀에서 종이가 붙은 발을 떼어내어 평평한 곳에 뒤집어 놓고 원통체를 굴려서 물기를 빼고 발을 들어내어 종이만을 남긴 후 무거운 돌로 하룻밤 눌러 주었다.
[단계 4] 건조
물기가 빠진 종이를 한 장씩 평평한 건조대 위에서 빗자루로 쓸어가며 건조대에 붙여 건조시켰다.
[실시예 4] 녹차잎 일회용기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고지펄프를 이용하여 녹차잎 일회용기를 제조하였다.
[단계 1] 해리
녹차잎 펄프와 고지펄프를 1:7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펄프 중량의 9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펄프를 해리하였다.
[단계 2] 약품첨가
혼합펄프 100g당 AKD(alkylketen dimer) 사이즈제 0.4g과 습강제 0.4g을 첨가하였다.
[단계 3] 성형
성형기를 이용하여 약 170℃로 가열, 가압 성형하였다.
[단계 4] 건조
성형된 일회용기를 건조하였다.
[단계 5] 완성
건조된 일회용기를 포장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5] 녹차잎 일회용기 제조 2
상기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목재펄프를 이용하여 녹차잎 일회용기를 제조하였다.
[단계 1] 해리
녹차잎 펄프와 목재펄프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펄프 중량의 9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펄프를 해리하였다.
[단계 2] 약품첨가
혼합펄프 100g당 AKD(alkylketen dimer) 사이즈제 0.4g, 보류제 0.3g, 습강제 0.4g을 첨가하였다.
[단계 3] 성형
성형기를 이용하여 약 170℃로 가열, 가압 성형하였다.
[단계 4] 건조
성형된 일회용기를 건조하였다.
[단계 5] 완성
건조된 일회용기를 포장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6] 녹차잎 포장박스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고지펄프를 이용하여 녹차잎 포장박스를 제조하였다.
[단계 1] 해리
녹차잎 펄프와 고지펄프를 3: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펄프 중량의 9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펄프를 해리하였다.
[단계 2] 고해
해리된 펄프를 리파이너를 이용하여 고해하였다.
[단계 3] 약품첨가
혼합펄프 100g당 AKD(alkylketen dimer) 사이즈제 0.4g을 첨가하였다.
[단계 4] 스크리닝
지필형성이 용이하도록 스크리닝하였다.
[단계 5] 초지
혼합펄프를 지필의 형태로 초지하였다.
[단계 6] 압착
초지공정에서 얻어진 지필을 압착하여 물을 제거하였다.
[단계 7] 건조
지필을 건조시켰다.
[단계 8] 칼렌다링
종이의 두께를 균일하게 칼렌더링 하였다.
[단계 9] 박스제조
지류를 박스의 형태로 재단 및 접착하여 포장박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녹차잎 포장백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한 녹차잎 펄프와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목재펄프를 이용하여 녹차잎 포장백을 제조하였다.
[단계 1] 해리
녹차잎 펄프와 고지펄프를 4: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펄프 중량의 9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펄프를 해리하였다.
[단계 2] 고해
해리된 펄프를 리파이너를 이용하여 고해하였다.
[단계 3] 약품첨가
혼합펄프 100g당 AKD(alkylketen dimer) 습강제 0.3g, 사이즈제 0.4g을 첨가하였다.
[단계 4] 스크리닝
지필형성이 용이하도록 스크리닝하였다.
[단계 5] 초지
혼합펄프를 지필의 형태로 초지하였다.
[단계 6] 압착
초지공정에서 얻어진 지필을 압착하여 물을 제거하였다.
[단계 7] 건조
지필을 건조시켰다.
[단계 8] 칼렌다링
종이의 두께를 균일하게 칼렌더링 하였다.
[단계 9] 포장백제조
종이를 백의 형태로 재단 및 접착하여 포장백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녹차잎 종이(실시예 2), 녹차잎 한지(실시예 3), 녹차잎 일회용기(실시예 4)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 탈취율
실시예 2~4의 녹차잎 종이용품과 일반 한지를 대상으로 통상적인 가스검지관법에 따라 탈취율을 측정하였다. 3L 부피의 용기에 0.3g의 시료를 각각 넣고 암모니아수를 5ml 주입하여 기화시킨 후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용기 내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고, 120분이 경과한 후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용기에 남아있는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초기농도에 대하여 120분 경과 후 농도를 비교하여 탈취율을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녹차잎 한지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탈취율을 측정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2] 120분 경과 후 탈취율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일반 한지
탈취율(%) 94 97 91 6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용품은 비교대상인 일반 한지에 비하여 탈취율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3을 대상으로 한 시간경과에 따른 탈취율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시간경과에 따른 탈취율
경과시간(분) Blank 농도(ppm) 시료 농도(ppm) 탈취율(%)
0 500 500 -
30 490 40 91
60 480 25 94
90 460 15 96
120 450 10 97
[실험 2] 항균성
실시예 3의 녹차잎 한지를 대상으로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항균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KS K 0693-2001로 시험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 포도상구균, 균주 1)의 5.4×104/ml의 혼탁액을 조제하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페렴구균, 균주 2)의 3.8×104/ml의 혼탁액을 조제하여 시험균액을 35±1℃, RH 90±5%에서 24시간 정치 배양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균감소율을 계산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포의 균감소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과 표 4에 기재 하였다.
[표 4] 균주 1에 대한 시험결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접종균 농도(CFU/ml) 6.0×104 4.4×104
표준포의 일정시간(24시간) 배양 후 균수 5.0×105 3.1×105
녹차잎 종이의 일정시간(24시간) 배양 후 균수 2.0×102미만 2.0×102미만
정균 감소율(%) 99.9% 99.9%
비이온계면활성제 종류 0.05% 비이온계면활성제(Snogen) 0.05% 비이온계면활성제(Snogen)
* 배지상의 균수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임.
* CFU : Colony Forming Unit.
* 표준포 : KS K 0905 염색견뢰도용 첨부백포(Cotton).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차잎 한지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 포도상구균)의 경우 99.9% 균감소율을 보이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페렴구균)의 경우 99.9% 균감소율을 보여, 99% 이상의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녹차잎 종이용품이 탈취효과와 항균효과를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차잎 종이의 항균성 시험 결과사진이다.

Claims (6)

  1. 건조 중량비를 기준으로 녹차잎 펄프 5~90중량%와, 목재펄프, 닥펄프, 고지펄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펄프 10~9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펄프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비를 기준으로 녹차잎 펄프 5~90중량%와, 목재펄프 10~9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펄프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3. 제1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비를 기준으로 녹차잎 펄프 5~90중량%와, 닥펄프 10~9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펄프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4. 제1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비를 기준으로 녹차잎 펄프 5~90중량%와 고지펄프 10~9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펄프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잎 펄프는 절단 및 세척한 녹차잎을 2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30분 동안 증해한 후, 제진, 정선한 다음, 세척 및 농축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인쇄용지, 포장지, 벽지, 포장백, 포장박스, 일회용기 중 어느 하나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KR1020080006937A 2007-07-23 2008-01-23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KR100842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92 2007-07-23
KR20070073292 2007-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833B1 true KR100842833B1 (ko) 2008-07-01

Family

ID=3982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937A KR100842833B1 (ko) 2007-07-23 2008-01-23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8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68B1 (ko) * 2009-10-13 2011-12-01 주식회사 섬아트 녹차 추출물를 포함하는 종이 및 그 제조방법
CN103866603A (zh) * 2012-12-12 2014-06-18 云南天士力帝泊洱生物茶集团有限公司 一种将茶渣用于造纸的应用及其制备方法
CN104532657A (zh) * 2014-11-26 2015-04-22 天津雍和包装有限公司 一种果香型包装用纸的纸浆
CN105002771A (zh) * 2015-06-01 2015-10-28 铜陵方正塑业科技有限公司 高韧性航空垃圾袋及其制备方法
CN106522019A (zh) * 2016-11-10 2017-03-22 杭州聚芳永控股有限公司 一种茶渣回收利用的方法和书写用茶纸
KR20220101908A (ko) * 2021-01-12 2022-07-19 (사)전주한지문화산업연구소 생강 부산물 함유 한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20Y1 (ko) 2003-07-21 2004-01-28 김명관 녹차종이
KR200351461Y1 (ko) 2004-03-11 2004-05-22 이용식 종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20Y1 (ko) 2003-07-21 2004-01-28 김명관 녹차종이
KR200351461Y1 (ko) 2004-03-11 2004-05-22 이용식 종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68B1 (ko) * 2009-10-13 2011-12-01 주식회사 섬아트 녹차 추출물를 포함하는 종이 및 그 제조방법
CN103866603A (zh) * 2012-12-12 2014-06-18 云南天士力帝泊洱生物茶集团有限公司 一种将茶渣用于造纸的应用及其制备方法
CN104532657A (zh) * 2014-11-26 2015-04-22 天津雍和包装有限公司 一种果香型包装用纸的纸浆
CN105002771A (zh) * 2015-06-01 2015-10-28 铜陵方正塑业科技有限公司 高韧性航空垃圾袋及其制备方法
CN106522019A (zh) * 2016-11-10 2017-03-22 杭州聚芳永控股有限公司 一种茶渣回收利用的方法和书写用茶纸
CN106522019B (zh) * 2016-11-10 2019-06-28 杭州聚芳永控股有限公司 一种茶渣回收利用的方法和书写用茶纸
KR20220101908A (ko) * 2021-01-12 2022-07-19 (사)전주한지문화산업연구소 생강 부산물 함유 한지의 제조방법
KR102478890B1 (ko) 2021-01-12 2022-12-20 (사)전주한지문화산업연구소 생강 부산물 함유 한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833B1 (ko)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KR20090091082A (ko) 옥수수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고백색도 화학 펄프 및 그 종이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526267B1 (ko) 화장용 한지 솜을 사용하여 제조한 안면 팩
KR20100114568A (ko) 식물성 천연섬유를 이용한 카펫트 제조방법 및 그 이용한 카펫트 시트
CN107938420A (zh) 一种可生物降解型防油纸的制备方法
ES2740005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papel, cartón o cartulina usando fibras liberianas de corteza de árbol baobab, fibras del fruto de baobab y fibras liberianas de higuera de Natal como materia prima de papel
KR100790772B1 (ko) 감귤류박 펄프를 포함하는 포장용지
US2014761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olutions from cellulose
KR101088368B1 (ko) 녹차 추출물를 포함하는 종이 및 그 제조방법
WO2009071296A1 (de) Mittel zum verhindern von verfärbungen beim waschen von textilien
US11504938B2 (en) Biodegradable straws and methods of making biodegradable straws
KR100968906B1 (ko) 유채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CN114711451A (zh) 一种烟草薄片用棉短绒纤维素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85029B1 (ko) 닥섬유와 패각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CN107513882A (zh) 一种提神香味纸及其制备方法
KR101016270B1 (ko) 대마를 이용한 한지 제조 방법
WO1995018252A1 (en) Fiber and fiber products produced from feathers
KR101360029B1 (ko) 한지를 이용한 승복 수의의 제조방법
WO2016011736A1 (zh) 一种本色竹纤维纸浆、其制备方法及其制备的本色生活用纸原纸
JP7160390B2 (ja) 消臭抗菌薄葉紙の製造方法
KR100485284B1 (ko) 활성카본지의 제조방법
KR101885006B1 (ko) 머위 성분을 포함하는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머위 종이의 제조방법
KR101007263B1 (ko) 연잎펄프를 포함하는 종이
KR102557728B1 (ko) 커피박을 이용하는 종이의 제조방법
CN112940873B (zh) 清除造纸用烘缸边缘沉积物的剥离剂套组、使用方法及剥离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