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461Y1 - 종이 - Google Patents

종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461Y1
KR200351461Y1 KR20-2004-0006552U KR20040006552U KR200351461Y1 KR 200351461 Y1 KR200351461 Y1 KR 200351461Y1 KR 20040006552 U KR20040006552 U KR 20040006552U KR 200351461 Y1 KR200351461 Y1 KR 200351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powder
paper
pulp layer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식
Original Assignee
이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식 filed Critical 이용식
Priority to KR20-2004-0006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개시된 고안에 의한 기능성 종이는, 제 1 펄프층; 제 2 펄프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펄프층 사이에 적층되며, 숯분말, 황토분말, 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적외선방사물질이 함유된 제 3 펄프층;을 포함한다. 상기 원적외선방사물질은 종이 제조 공정 중에 펄프 중량에 대하여 5∼35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펄프층은 복수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펄프층에는 녹차 분말이나 솔잎 분말이 함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종이는 종이 제조 과정, 즉 초지 단계에서 원적외선방사물질이 함유된 제 3 펄프층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펄프층 및 그 상하에 적층되는 제 1 및 제 2 펄프층에 다수의 기공이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종이에 함유된 원적외선방사물질로부터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Description

종이{PAPER}
본 고안은 종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물질을 함유한 기능성 종이에 관한 것이다.
인간 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종이는 펄프를 주원료로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물질을 함유한 종이, 예를들어 등록실용신안 20-0303911 호에 개시된 방사물질이 함유된 기능성 벽지 등도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303911 호에 개시된 기능성 벽지는 종이로 된 배면지의 표면 또는 표리면에 물, 바인더, 일라이트, 맥반석분, 소나무분, 전분, 소포제, 분산제, 중탄산칼슘, 옥분, 국화분 등을 소정 비율로 조성하여서된 방사물질층을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벽지는 일라이트와 맥반석분, 소나무분, 옥분, 국화분이 가지고 있는 미네랄 및 원적외선 방사 효과, 음이온 방사 효과, 항균 효과, 항습 및 탈취 효과 등을 주거환경에 이용하고자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벽지는, 미네랄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인 소정 중량%의 일라이트, 맥반석분, 소나무분, 옥분 및 국화분 등의 조성물들이 바인더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방사물질층이 조성되어 배면지에 코팅되기 때문에, 상기 방사물질층에 미네럴 및 원적외선 방사를 원활히 하는 미세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사물질층에서의 미네랄 및/또는 원적외선 방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거나 미량 방사됨으로써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 밖에도, 최근들어 항균, 항습, 탈취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건축자재나 벽지, 장판지등에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이와 같은 물질을 합성수지에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혼합 층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화학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화학물질등과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실제적으로는 친환경물질을 화학물질로 완전히 둘러싸게 되므로 통기성이 전혀 없으며 친환경물질을 방출할 수도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미세 기공을구비하는 상태로 원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물질, 예컨대, 숯, 황토, 옥, 녹차 및 솔잎 분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함유됨으로써 미네랄 및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탁월한 종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이의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30;제 1 내지 제 3 펄프층 41,42,43;밧드
51,52,53;실린더 60;펠트
70;탑펠트 80;드라이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종이는, 제 1 펄프층; 제 2 펄프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펄프층 사이에 적층되며, 숯분말, 황토분말, 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적외선방사물질이 함유된 제 3 펄프층;을 포함한다.
상기 원적외선방사물질은 종이 제조 공정 중에 펄프 중량에 대하여 5∼35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다.
또한, 상기 제 3 펄프층은 복수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펄프층에는 녹차 분말이나 솔잎 분말이 함유될 수도 있다. 이 때 그 함유량은 상술한 원적외선방사물질의 함유량과 같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종이는 종이 제조 과정, 즉 초지 단계에서 원적외선방사물질이 함유된 제 3 펄프층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펄프층 및 그 상하에 적층되는 제 1 및 제 2 펄프층에 다수의 기공이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종이에 함유된 원적외선방사물질로부터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이의 확대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종이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내지 제 3 펄프층(10)(20)(30)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이의 구조는 일반적인 종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본 고안에 의한 종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펄프층(10)(20) 사이에 적층되는 제 3 펄프층(30)에 숯분말, 황토분말, 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적외선방사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3 펄프층(30)에는 녹차분말이나 솔잎분말이 함유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와 같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방사물질 및 녹차분말이나 솔잎분말 등이 종이 제조 과정의 초지 단계에서 원료 펄프에 소정량 첨가됨으로써 다수의 기공을 가지는 형태로 펄프층에 구비된다고 하는 점이다.
상기 원적외선방사물질, 녹차분말 및 솔잎분말은 제지 원료인 펄프 중량에 대하여 5∼35중량% 정도로 첨가하는 것이 좋으며, 50∼500메쉬(mesh)의 입자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을 펄프 중량에 대하여 5∼35중량%로 하는 이유는 5중량% 이하일 경우는 분말을 펄프 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기가 어렵고 그 본래의 성질인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효과도 현저하게 줄어 들거나 거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35중량% 이상을 첨가하는 경우는 너무 함량이 많아서 펄프의 섬유소가 첨가 분말로 인하여 상호 결합력이 약해지므로 정상적으로 종이가 만들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분말 첨가량은 25중량%이다.
또한, 분말 입자 크기를 50∼500메쉬로 하는 이유는 상기 입자 크기 이하일경우에는 분말의 입자가 너무 작아서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뭉쳐서 가라 앉거나 한 곳으로 집중되어 제지 원료와 골고루 혼련되기 어려운 결점이 있기 때문이며, 상기 입자 크기 이상일 경우에는 분말의 단위 표면적이 커서 고해되는 펄프 위초 모두 뜨게 되므로 역시 펄프와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분말이 펄프속으로 골고루 분산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상기한 제 3 펄프층(30)이 단수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 3 펄프층(30)은 복수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층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 3 펄프층(30)은 같은 물질이 함유된 복수층의 펄프층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이 함유된 펄프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종이 제조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부호 41, 42 및 43은 물과 펄프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종이 원료를 저장하는 밧드이다. 상기 밧드 중 제 2 밧드(42)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물과 펄프와 숯분말, 황토분말, 옥분말, 녹차분말, 솔잎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혼합된 원료가 채워져 있고, 나머지 밧드(41)(43)에는 통상적인 물과 펄프가 혼합된 원료가 채워져 있다.
금망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실린더(51)(52)(53)는 각각의 상기 밧드(41)(42)(43)에 설치되어 있으며, 펠트(60)는 상기 실린더(51)(52)(53)의 상부측에 무한벨트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탑펠트(70)는 상기 펠트(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탑펠트(70)에 인접하게 드라이어(80)와 종이롤(9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밧드 (41) 및 (43)에 물과 펄프가 혼합된 원료를 채우고, 상기 밧드(42)에는 물과 펄프와 원적외선방사물질 또는 녹차분말이나 솔잎분말을 소정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채운다.
시스템이 구동하면, 각각의 밧드(41)(42)(43)에 설치된 실린더(51)(52)(53)가 회전하면서 밧드의 원료로부터 습지 상태의 종이를 떠올리며, 이와 같은 습지 상태의 종이는 펠트(60)에 부착되어 이송된다. 따라서, 제 1 밧드(41)에서 제 1 실린더(51)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종이의 제 2 펄프층(20)이 형성되고, 제 2 밧드(42)에서 제 2 실린더(52)에 의해 제 3 펄프층(30)이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제 3 밧드(43)에서 제 3 실린더(53)에 의해 제 1 펄프층(1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3층으로 적층되어 펠트(60)에 의해 이송되는 습지 상태의 종이는 탑펠트(70)에 의해 프레싱되어 반습지 상태의 종이로 되며, 이어서 드라이어(80)로 이송되어 건조된 다음 종이롤(90)에 감겨 보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종이는, 종이에 원적외선방사물질인 숯분말, 황토분말, 옥분말 또는 녹차분말이나 솔잎분말이 다수의 미세 기공을 갖는 종이에 함께 함유되기 때문에, 원적외선방사 효과를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며, 합성수지나 다른 화학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종이질 고유의 성질을 100% 활용하면서도 첨가된 물질들의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제 1 펄프층;
    제 2 펄프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펄프층 사이에 적층되며, 숯분말, 황토분말, 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적외선방사물질이 함유된 제 3 펄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사물질은 종이 제조 공정 중에 펄프 중량에 대하여 5∼35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3 펄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4. 제 1 펄프층;
    제 2 펄프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펄프층 사이에 적층되며, 녹차 분말이 함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3 펄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분말은 종이 제조 공정 중에 펄프 중량에 대하여 5∼35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6. 제 1 펄프층;
    제 2 펄프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펄프층 사이에 적층되며, 솔잎 분말이 함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3 펄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분말은 종이 제조 공정 중에 펄프 중량에 대하여 5∼35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KR20-2004-0006552U 2004-03-11 2004-03-11 종이 KR200351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52U KR200351461Y1 (ko) 2004-03-11 2004-03-11 종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52U KR200351461Y1 (ko) 2004-03-11 2004-03-11 종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461Y1 true KR200351461Y1 (ko) 2004-05-22

Family

ID=4943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552U KR200351461Y1 (ko) 2004-03-11 2004-03-11 종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4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33B1 (ko) 2007-07-23 2008-07-01 김해곤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KR101088368B1 (ko) * 2009-10-13 2011-12-01 주식회사 섬아트 녹차 추출물를 포함하는 종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276922B1 (ko) 2011-09-30 2013-06-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bl 멀티레이어링 기술을 이용한 전도성 펄프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도성 종이
KR101904854B1 (ko) * 2017-04-13 2018-10-05 송중민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기능성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33B1 (ko) 2007-07-23 2008-07-01 김해곤 녹차잎 펄프를 함유하는 종이
KR101088368B1 (ko) * 2009-10-13 2011-12-01 주식회사 섬아트 녹차 추출물를 포함하는 종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276922B1 (ko) 2011-09-30 2013-06-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bl 멀티레이어링 기술을 이용한 전도성 펄프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도성 종이
KR101904854B1 (ko) * 2017-04-13 2018-10-05 송중민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기능성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8064B (fi) Vatten ogenomtraenlig taetningsmatta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ES2449869T3 (es) Impresión de telas no tejidas y su uso en materiales compuestos
CN107249867A (zh) 混凝土养护覆盖物以及方法
KR200351461Y1 (ko) 종이
SK17142001A3 (sk) Izolačná lepenka s obsahom minerálnych vlákien a pevnou povrchovou vrstvou, spôsob jej výroby a spôsob jej použitia na strechách a fasádach
KR20060119466A (ko) 천연직물과 옻칠을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0177023B1 (ko) 전통한지를 이용한 종이류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013753A (ja) 撥水性高調湿和紙シー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68140B2 (ja) 混用不織布及び防水コーティング層を用いた無機質ボード用表面防水紙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20040052717A (ko) 기능성섬유상물질오버레이숯보드제조
KR100361460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함유된 합성지층을 갖는 벽지 또는 장판지의 제조방법 및 동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벽지 또는 장판지
KR20020008331A (ko) 한지벽지의 제조방법
KR20130051608A (ko) 화장 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21606Y1 (ko) 한지벽지
KR100230976B1 (ko) 건축용 황토내장판
KR100230975B1 (ko) 황토 장판
JP4005887B2 (ja) 壁紙
KR100509454B1 (ko) 바이오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1511318B1 (ko) 기능성 물질이 충진된 친환경 보드
KR100249982B1 (ko) 한지 벽지의 제조방법
KR102263580B1 (ko) 건축물 벽면 부착용 기능성 초배지
KR200198690Y1 (ko) 기능성 지류
KR20180106540A (ko) 친환경 황토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11888Y1 (ko) 기능성 두루마리 한지 장판지
KR200258992Y1 (ko) 입체적인 섬유질감을 갖는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