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765B1 -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 Google Patents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765B1
KR100842765B1 KR1020070065703A KR20070065703A KR100842765B1 KR 100842765 B1 KR100842765 B1 KR 100842765B1 KR 1020070065703 A KR1020070065703 A KR 1020070065703A KR 20070065703 A KR20070065703 A KR 20070065703A KR 100842765 B1 KR100842765 B1 KR 10084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rubbing cloth
rubbing
brush devi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도벨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도벨벳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도벨벳
Priority to KR102007006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1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ssemblies of brush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10Wire-tapestry looms, e.g. for weaving velvet or Brussels or Wilton carpets, the pile being formed over weftwise wires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러빙포의 기모처리를 위한 브러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의 침포 라인(line)을 따라 구비되는 침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쉬 처리된 러빙포의 파일 균제도가 향상되어 러빙공정에서의 불량률이 감소되고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 러빙포, 브러쉬 장치, 침포부재, 파일사

Description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Brushing Appratus for Rubbing Cloth}
도 1은 일반적인 러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러빙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브러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의 침포부재와 브러쉬 장치의 회전축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에 의해 파일사가 기모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러빙 롤러 10: 러빙포
11: 경사 12: 위사
13: 파일사 200: 브러쉬 장치
210: 몸체 220: 침포부재
본 발명은 브러쉬 장치에 관한 것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포 제조에 사용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제조 공정 중에는 액정 분자의 균일하고 제어력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러빙 공정을 진행한다.
상술한 러빙 공정은 경사와 위사로 된 원단 조직에 레이온이나 나일론 계통의 섬유를 파일사로 짜 넣어 제직한 러빙포를 러빙 롤러(1)에 감은 후 상기 러빙 롤러(1)를 회전시켜 기판상의 배향막을 문지럼으로써 수행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러빙 롤러(1)는 회전과 동시에 상기 배향막(2)의 상부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러빙공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러빙포(10)의 파일사(13)가 상기 배향막(2)에 접촉되어 상기 배향막의 표면을 문지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향막(2)에 일정 수준 이상의 일축 배향성(Uni-directional alignment) 및 일정 범위의 선경사각(Pretilting angle)을 갖는 일련의 배향홈(미도시)들을 형성된다.
상기 배향막(2)은, 폴리아믹산, 가용성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배향막 원료액을 기판(3)상에 도포한 후 60 ~ 80℃정도의 전경화(Pre-cure) 공정과 180 ~ 200℃ 정도의 메인 경화 (Main-Cure)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리 아믹산, 가용성 폴리이미드 등으로 된 배향막 원 료액이 상술한 전경화(Pre-cure) 공정과 메인 경화 (Main-Cure) 공정에 의해 불용성 폴리이미드화되어 상기 배향막(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배향홈을 형성하는 러빙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러빙포(10)가 감긴 러빙 롤러(1)와 기판이 놓여지는 스테이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지에는 액정표시장치의 기판(3)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이 제공되는 다수의 진공 흡착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기판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해서 다수의 리포트 핀 (Lift Pin)들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로 기판이 로딩되면 상기 러빙 롤러(1)가 회전함과 동시에 기판의 상부면과 마찰되도록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러빙 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기 러빙포의 파일사(13)와 마찰되는 기판의 배향막(2)에는 배향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러빙 공정에 사용되는 상기 러빙포(10)는 경사(11)와 위사(12)로 이루어진 원단조직에 파일사(13)를 도 2와 같이 "V"자 형태로 짜 넣거나 "W"자 형태(미도시)로 짜 넣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일사(13)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쉬 장치(20)를 사용하여 기모 처리됨으로써, 상기 파일사(13)에 직립성, 방향성이 부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브러쉬 장치(20)로 상기 파일사(13)를 종 또는 횡 방향, 다시 말해 상기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배열시키면서 파일사(13)을 직립시킨다. 이 때, 브러쉬 공정조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현저하게 달라질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종래의 브러쉬 장치(20)는 원통으로 이루어진 브러쉬 롤 러(21)와 상기 브러쉬 롤러의 외주면에 식모되는 침포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포부재(22)는 돈모, 말총, 와이어와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침포부재(22)는 상기 브러쉬 롤러(21)의 외주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침포 소재(22)는 경사와 위사 방향에 맞춰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밀집되도록 도트(dot) 형태로 심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일사(13)의 방향성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 않는 일반적인 의상용 벨벳에서는 위와 같은 형태의 종래 브러쉬 장치(20)를 사용하여 제작하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러빙포의 경우 파일사의 직립성과 방향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세로선 및 점 발생 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침포 소재(22)로서 돈모 및 말총과 같은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 소재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상술한 세로선 발생이 심화되며, 와이어 소재 침포의 경우 세로선 발생은 돈모나 말총 소재 침포에 비해 낮으나, 파일사의 낙모 발생으로 인한 러빙불량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일사의 직립성, 방향성을 균일하게 하여 파일 균제도를 높이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의 침포 라인(line)을 따라 구비되는 침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침포부재는 섬유소재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섬유소재는 돈모와 말총과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침포부재가 이루는 침포라인과 상기 몸체의 회전 축선과 평행한 라인이 이루는 각(θ)은 -45°~ +45°(단, θ≠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침포부재의 길이는 5mm 내지 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포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서로 나란한 복수의 침포라인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침포부재는 상기 침포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띠모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 배향을 위한 러빙공정은 액정분자의 배열 안정성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제조과정에서 고온 처리과정을 거치므로, 고온에 잘 견디며, 배향의 안정성과 내구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계의 배향막이 각종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향막 형성용 용액은 폴리아믹산 용액이고, 이를 기판상에 도포 후 건조, 가열, 경화의 공정을 거치면서 경화되어 폴리이미드 박막의 배향막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배향막에 대하여 액정분자의 균일하고 제어력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 러빙 공정을 진행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러빙포는 상기 배향막에 미세한 배향홈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 및 위사로 제직된 원단 조직에 레이온이나 면 계통의 섬유를 파일사로 짜넣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향홈은 상기 파일사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보다 미세한 배향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파일사의 밀도가 높고, 파일사의 섬도가 가는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사는 일반적으로 레이온 또는 면원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셀룰로오스계 원사들은 습윤 상태에서 브러쉬 장치에 의해 기모처리되어 직립성/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일사의 기모처리 공정에서, 상기 브러쉬 장치는 파일 균제도, 즉 파일사의 직립성과 방향성을 불균일하게 형성하거나 이로 인한 배향홈 형성에도 불량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의 침포부재와 브러쉬 장치의 회전축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브러쉬 장치는 돈모, 말총, 나일론, 와이어 소재가 주로 침포로 사용되며, 식모 형태 또한 점(DOT) 형태로 이루고 브러쉬 장치의 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침포부재들이 배열된다. 여기서, 점 형태라 함은 침포부재가 일정간격을 두고 밀집된 형태로 배열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점 형태로 식모된 침포부재를 가지는 브러쉬 장치에 의하면, 상기 침포부재들 사이의 형성된 간격 사이를 통과하는 파일사의 세심 원사들은 정확하게 기모처리가 되지 아니하여 세심 파일원사들이 서로 뭉쳐지거나 엉킬 수 있으며, 직립성과 방향성에 있어서도 균일한 상태를 보이지 못하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이 점 형태로 식모된 침포부재를 가지는 브러쉬 장치에 의한 파일사의 기모형성 차이는 육안으로 구분하기에는 그 차이가 미비하여 의상용으로 사용하기에 문제가 없게 된다.
그러나 Å단위의 액정 분자를 배열하기 위한 배향홈 형성에 적용되는 러빙포에 있어서는 파일사의 기모형성에 미세한 차이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세로선과 같은 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브러쉬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 밀도를 높이는 경우에는 오히려 파일에 과도한 마찰로 인해 파일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200)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침포 라인(line)을 이루면서 나선방향을 따라 식모되는 침포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포부재(220)는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띠모양을 이룸으로써, 상기 침포라인이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사선 방향으로 대략 선형태를 이룬다.
다시 말해서, 상기 침포부재(220)를 나선방향, 즉 사선으로 식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의 몸체가 회전할 때, 상기 러빙포의 파일사가 상기 침포부재에 의해 균일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210)가 제자리에서 1회전 하는 경우, 상기 몸체의 축선 직하방에 위치한 파일사 라인의 세심 원사들은 모두 상기 침포부재(220)에 의해 솔질(brushing)이 되므로, 균일한 기모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일사 라인의 모든 세심 원사들이 동시에 기포처리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기모처리되므로 과도한 마찰이 방지되고 상기 브러쉬 장치의 회전부하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침포부재(220)를 사선 형태로 식모함으로써, 낮은 침포 밀도에서도 파일이 균일하게 정렬될 수 있어 침포와의 마찰로 인한 파일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의 침포부재(220)는 섬유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재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섬유소재로는 돈모, 말총, 나일론, 와이어 등 소재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침포 소재 자체의 균제도가 떨어지는 돈모에서는 그 효과가 더 크다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소재로는 스테인레스 재질이 채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점형태에 식모된 침포부재를 가지는 브러쉬 장치에 비해 선형태로 식모된 침포부재(220)를 가지는 브러쉬 장치에 의해 더 균일한 파일 제어가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상기 침포부재(2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침포라인의 기울기, 즉 상기 침포라인과 상기 몸체(210)의 회전 축선과 평행한 라인이 이루는 각(θ)은 -90°~ +90°(단, θ≠0)범위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45°~ +45°(단, θ≠0)인 것이 좋다.
상기 θ각이 ±45° 범위를 넘어가면 침포의 밀도가 다소 증가하여 마찰로 인한 파일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종래의 점 형태로 식모된 침포부재를 갖는 브러쉬 장치에 비해면 낮은 수준임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포부재(220)의 길이에 있어서는 5 ~ 5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포부재(220)의 길이, 즉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침포부재(220)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5mm보다 낮으면 침포의 휨강성(구부러지는 정도)이 높아져 마찰로 인한 파일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반대로 침포의 길이가 50mm보다 높으면 침포의 휨강성이 너무 낮아져 파일사에 대한 제어력이 부족하게 된다.
상기 침포부재(220)의 길이 10mm ~ 30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상기 러빙포 와 상기 브러쉬 장치(200) 간의 거리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침포라인은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침포부재(220)와 상기 러빙포의 파일사 간의 접촉율을 높여서, 상기 몸체 1회전당 브러슁 회수를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접하는 침포라인 사이의 거리는 대략 10mm 정도로 설정하여 실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침포부재(220)의 휨강성 정도에 따라 인접하는 침포라인이 서로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브러쉬 장치는 침포부재를 사선형태로 식모함으로써 우수한 파일 균제도를 가지는 러빙포재의 제조가 가능하고, 러빙 공정에 있어서 세로선 발생, 낙모 발생과 같은 러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적 특성이 크게 개선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21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210)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는 하나의 침포라인을 따라 브러쉬형의 침포부재가 식모되거나 블레이드형의 일체형 침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하나의 침포라인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도 가능하다.
도 7은 러빙포의 파일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200)에 의해 기모처리 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의 다양한 실시예를 기재하여 다른 비교예와 비교하였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경사로 큐프라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120d/75f (Asahi産,일본), 위사로 큐프라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75d/50f (Asahi産,일본)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60본/inch, 위사밀도 98본/inch로 평직으로 짠 원단 조직을 사용하였다.
파일사로 비스코스레이온 필라멘트 100d/40f(Enka産,독일)을 사용하여 파일밀도 32,000ea/㎠가 되도록 공지의 파일 직기에 의해 W자형으로 원단을 제직하였다.
상기 제조된 파일 직물을 공지의 공정으로 정련하여 브러쉬 처리하였다. 이때 브러쉬 장치의 침포는 직경 0.2 ~ 0.3mm의 돈모 소재로서, 길이 20mm로, 10mm 간격으로 선 형태로 식모된 것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파일 직물을 사용하여, 브러쉬 장치의 침포는 직경 0.2 ~ 0.3mm의 돈모 소재로서, 길이 20mm로, 10mm 간격으로 브러쉬 롤 축 방향에 10° 각도의 사선형태로 식모된 것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파일 직물을 사용하여, 브러쉬 장치의 침포는 직경 0.2 ~ 0.3mm의 돈모 소재로서, 길이 20mm로, 10mm 간격으로 점 형태로 식모된 것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파일 직물을 사용하여, 브러쉬 장치의 침포는 직경 0.1 ~ 0.2mm의 말총 소재로서, 길이 20mm로, 10mm 간격으로 점 형태로 식모된 것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파일 직물을 사용하여, 브러쉬 장치의 침포는 직경 0.25mm의 와이어 소재로서, 길이 18mm로, 2.0mm 간격으로 점 형태로 식모된 것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위와 같은 비교예 및 실시예로 제조된 러빙포재를 IPS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비교 평가하여 표 1에 제시하였다.
* 공정 불량률: IPS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 제조 공정에서의 세로선 불량률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 낙모발생 : IPS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 제조 공정에서 배향막에 잔류하는 파일사의 낙모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2
침포부재 돈모 말총 와이어 돈모 돈모
식모형태 DOT DOT DOT Line Tilt Line
공정 불량률 ( 세로선,% ) 9 8 6 5 1
낙모성
* 낙모성 : ◎ 양호 (잔류 낙모 적음), ○ 보통, △ 나쁨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비교에 1 내지 3에 비하여, 공정 불량율과 낙모 발생 정도가 모두 고르게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브러쉬 몸체의 외주면에 사선형태로 식모되는 침포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에 의하면, 파일사의 직립성과 방향성과 같은 파일 균제도가 향상되어 러빙포의 품질이 향상되고 및 러빙포 제조불량이 감소되어 러빙포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에 의하면, 러빙포의 불량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불량을 감소시켜, 액정표시장치의 생산성 및 광학적 특성과 같은 품질을 향상시킨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장치에 의하면, 브러쉬 장치의 침포부재의 식모성이 향상되어 점형태의 식모에 비해 침포부재의 식모작업이 용이하며, 브러쉬 장치의 회전시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의 침포 라인(line)을 따라 구비되는 침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포부재는 섬유소재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소재는 돈모와 말총과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침포부재가 이루는 상기 침포라인과 상기 몸체의 회전 축선과 평행한 라인이 이루는 각(θ)은 -45°~ +45°(단, θ≠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포부재의 길이는 5mm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용 브러 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포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서로 나란한 복수의 침포라인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포부재는 상기 침포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띠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KR1020070065703A 2007-06-29 2007-06-29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KR10084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03A KR100842765B1 (ko) 2007-06-29 2007-06-29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03A KR100842765B1 (ko) 2007-06-29 2007-06-29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765B1 true KR100842765B1 (ko) 2008-07-01

Family

ID=3982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703A KR100842765B1 (ko) 2007-06-29 2007-06-29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7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087A (ja) * 1995-09-06 1997-03-18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用基板の配向処理装置及びラビング布並びに液晶表示素子
JP2002148628A (ja) * 2000-11-10 2002-05-22 Agehara Orimono Kogyo Kk ラビング用布材
KR20030037791A (ko) * 2001-11-05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50048945A (ko) * 2003-11-20 2005-05-25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087A (ja) * 1995-09-06 1997-03-18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用基板の配向処理装置及びラビング布並びに液晶表示素子
JP2002148628A (ja) * 2000-11-10 2002-05-22 Agehara Orimono Kogyo Kk ラビング用布材
KR20030037791A (ko) * 2001-11-05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50048945A (ko) * 2003-11-20 2005-05-25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599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izing and drying warps
KR100441925B1 (ko) 러빙용 포재
KR101087007B1 (ko) 액정패널 제조용 러빙포재(布材)
JPH0973087A (ja) 液晶表示素子用基板の配向処理装置及びラビング布並びに液晶表示素子
KR100842765B1 (ko)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KR20040094591A (ko) 러빙용 직물
JP3841158B2 (ja) 配向処理用ラビング布
JP2009015278A (ja) 液晶表示装置用のラビング布及びこれを有するラビング装置
KR100879254B1 (ko) 러빙포용 브러시 장치
US2513432A (en) Liquid treatment of filamentary material
KR10060079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
JP4426366B2 (ja)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CN109594154B (zh) 粘胶仿真丝纱生产装置及其纺纱方法
JP5456338B2 (ja) 研磨布
JP3045464U (ja)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KR101154543B1 (ko) 러빙포 브러싱 장치
KR20090015377A (ko)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JP2948400B2 (ja) 起毛機
KR20160142447A (ko)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GB2114608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knitted goods with combed-in fibres
KR100978531B1 (ko) 복수개의 프론트탑롤러를 구비한 정방기
JP4174925B2 (ja) 磁気記録媒体加工用テープ
TWI384100B (zh) 配向布及配向裝置
JP2000303300A (ja) 磁気記録媒体等の製造に用いるクロス
KR100718957B1 (ko) 러빙 포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