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447A -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447A
KR20160142447A KR1020150077948A KR20150077948A KR20160142447A KR 20160142447 A KR20160142447 A KR 20160142447A KR 1020150077948 A KR1020150077948 A KR 1020150077948A KR 20150077948 A KR20150077948 A KR 20150077948A KR 20160142447 A KR20160142447 A KR 2016014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ing
pile
rubbing cloth
modified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규
조강진
김나래
박경철
강경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퍼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퍼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퍼플렉스
Priority to KR102015007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2447A/ko
Publication of KR2016014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01F2/2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cellulose derivatives
    • D01F2/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cellulose derivatives from organic cellulose esters or ethers, e.g. cellulose ace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립성, 복원성 및 균제도가 뛰어나고, 내구성이 향상된 파일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 조직과 파일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일사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의 전체 아세틸기 중 5 ~ 80%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개질 섬유로 구성하여 가공축에 의한 조직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파일의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사의 간격이 변형된 W형 조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은, 러빙공정에서 글래스의 단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일한 러빙을 개선할 수 있고, 배향규제력 향상 및 미세배향홈 형성을 통해 우수한 화면 표시 품질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며,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Rubbing Cloth for LC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CD)용 러빙천(Rubbing cloth)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의 유리 기판 위에 액정을 배향하기 위한 미세 배향홈 형성이 가능하고 글래스의 단차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일 러빙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제조공정 중에서 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대하여 액정분자의 균일하고 제어력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러빙 공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러빙 공정은 면이나 레이온 계통의 섬유를 파일사로 짜 넣어 제직한 러빙천을 러빙 롤러에 권포한 후 이 롤러를 배향막에 일정한 압력과 속도로 접촉시켜 배향막의 표면과 마찰시킴으로써 상기 배향막 분자들의 일정 수준 이상의 일축 배향성(Uni-directional alignment) 및 일정 범위의 선경사각(Pretilt angle)을 갖는 일련의 배향홈들을 형성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러빙 공정은, 러빙천(rubbing cloth; 10)을 러빙롤러(1)의 외주면에 감은 후, 상기 러빙천(10)을 기판(2)상에 형성된 배향막(3)에 접촉시키고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향막(3)에 일축 배향성(Uni-directional Alignment) 및 선경사각(Pretilt Angle)을 갖는 일련의 배향홈들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배향막(3)은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가용성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으로 이루어진 원료액을 상기 기판(2)상에 도포한 후, 60℃~80℃정도의 전경화(Pre-cure)공정과 180℃~200℃정도의 메인경화(Main-cure)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폴리아믹산과 가용성 폴리이미드 등이 불용성 폴리이미드화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향홈을 형성하는 러빙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러빙천(10)이 감긴 러빙 롤러(1)를 이용하여, 스테이지(4) 상에 놓여진 상기 기판의 배향막(3)을 문지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4)에는 액정표시장치의 기판(2)을 공기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진공 흡착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기판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해서 다수의 리포트 핀 (Lift Pin)들이 위치한다.
상기 스테이지(4)로 상기 유리기판(2)이 로딩(loading)되면, 상기 러빙 롤러(1)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유리기판(2)의 상측면과 마찰하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상기 배향막(3)에는 배향홈이 형성된다.
상기 러빙천(10)은 경사 및 위사로 제직된 원단 조직(Ground)과 상기 원단 조직에 면이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계통의 섬유로 짜여진 파일사(13, Pil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빙천(10)의 파일밀도는 파일의 굵기 및 원단에 사용하는 실의 굵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며, 원단에서의 절모 방법에 의해 파일 길이가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파일사(13)로는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 같은 장섬유를 사용한 것과 면과 같은 단섬유를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파일사(13)로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경우 W조직으로 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파일사(13)로 면을 사용하는 경우 V조직을 파일을 구성하게 된다.
도 2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W 조직 파일의 경우 위사 6개가 파일 2조합을 구성하는 6:2 조직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6:2 조직의 경우 한 개의 위사가 각기 다른 방향을 가지는 파일사 2개를 잡아 주게 되므로 파일의 방향성이 균일하지 못하고, 지지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단차가 큰 글래스를 반복적으로 러빙하는 경우 포결이 틀어지거나, 복원력이 떨어지게 되어 액정 배향에 필요한 배향력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술한 종래의 조직을 가지는 러빙천은, 러빙공정 중에 러빙력의 저하 및 포결각 틀어짐으로 인한 액정의 틀어짐, CR 저하, 스크래치 불량을 야기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얼룩과 같은 불량을 발생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파일사의 지지력이 부족한 경우, 러빙 내구성 저하 다시 말해서 하나의 러빙천으로 소정의 품질로 러빙처리 가능한 기판의 수가 감소되어 러빙천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배향 규제력 및 러빙 내구성의 향상과 배향막 표면 스크래치 및 불균일 러빙을 방지하기 위해, 복원력 및 파일 균제도가 향상되고 내구성이 우수한 파일사를 갖는 러빙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43595호, 2003년 6월 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0106호, 2005년 3월 4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립성, 복원성 및 균제도가 뛰어나고, 내구성이 향상된 파일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 조직과 파일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일사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의 전체 아세틸기 중 5~80%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개질 섬유인 것을 사용하고, W 파일 조직 구성에 있어서 기존의 6 : 2 조직을 변형하여 위사 8개가 파일 2조합을 구성하는 8 : 2 조직을 가지게 함으로써 각각의 파일사를 각기 다른 위사가 잡아주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파일사가 각기 다른 위사에 의해 지지되게 반복적인 단차 러빙으로 인한 포결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러빙 공정에서 필요한 러빙천의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은, 직립성, 복원성 및 균제도가 뛰어난 파일사를 가지므로, 러빙공정에서 불균일한 러빙을 개선할 수 있고, 배향 규제력 향상 및 미세 배향홈 형성을 통해 우수한 화면 표시 품질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며,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은, 내구성이 향상된 파일사를 가지므로, 러빙공정 중 파일사의 복원력 저하 및 포결 틀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액정의 틀어짐, CR 저하 등을 방지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얼룩불량 문제를 개선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은, 내구성이 향상된 파일사를 가지므로, 러빙 공정 중 교체주기가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러빙천의 소모량이 감소되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위사와 파일사 구성이 6:2로 구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W"자형 구조로 된 러빙천의 조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러빙천의 조직도로서, 위사와 파일사 구성이 8:2로 구성되어 있는 변형 "W"자형 구조로 된 러빙천을 나타낸 조직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은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다시 말해서 액정표시장치 제조에 사용되는 러빙천으로서, 원단조직과 상기 원단조직에 구비되는 파일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일사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가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파일사로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의 전체 아세틸기 중 5~80%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개질 섬유인 개질 섬유를 채택하여 기판의 배향막에 대한 러빙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의 내구성과 배향 규제력이 종래에 비해 우수해짐을 확인하였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러빙천의 원단조직(110)은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일사(1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아세틸기 치환도 2.0 이상) 섬유 전체 아세틸기 중 5~80%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개질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의 파일사는 상기 경사 또는 위사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된다.
도 3은 위사와 파일사 구성이 8:2로 구성되어 있는 변형 "W"자형 구조의 러빙천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변형 "W" 조직의 파일(사)를 가지는 러빙천을 구성하기 위하여, 러빙포 제직시 위사 및 파일을 8:2로 구성하여 제직을 진행하고, 제직된 러빙천을 아세테이트 섬유의 전체 아세틸기 중 5~80%가 히드록시기로 치환하여 가공에서 발생하는 경위사의 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직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위사가 효과적으로 파일의 직립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러빙천은 상기 아세테이트 섬유를 파일사로 사용하여 위사와 파일사의 구성이 8:2로 제직하는 제직공정, 제직된 러빙천의 파일을 알칼리로 검화하는 검화단계 및 상기 개질 섬유로 이루어지는 파일사를 갖는 러빙천을 기모처리하는 기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러빙천의 제조방법은 상기 검화단계 전 또는 동시에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의 구조를 이완시키기 위한 전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제조방법은, (a)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는 원단조직에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라멘트를 위사와 파일사를 8:2로 구성되게 변형 "W"자형 조직으로 제직하여 파일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파일 직물을 이루는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라멘트 섬유(이하 아세테이트 섬유라 약칭함)가 보다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알칼리에 의해 개질 반응되도록 그 섬유 구조를 이완시키는 전처리 단계, (c) 상기 파일 직물을 알칼리로 개질하여 상기 아세테이트 섬유의 전체 아세틸기 중 5~80%를 히드록시기로 치환시키는 검화단계, (d) 상기 개질 처리된 파일사를 기모, 브러싱, 수지가공 처리하여 원단 조직의 경사 또는 위사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열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원단 조직의 이면을 백 코팅 처리하여 파일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즉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파일 직물을 이루는 상기 아세테이트 섬유의 표면층이 균일한 개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아세테이트 섬유를 건 또는 습처리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아세테이트 섬유를 개질처리하여 탈아세틸화하는 방법, 즉 상기 아세틸기를 상기 히드록시기로 치환하는 방법으로는, 알칼리에 의한 방법과 산에 의한 방법 두가지가 알려져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알칼리에 의한 방법으로 상기 아세테이트 섬유를 개질처리하여 하였다.
상기와 같이 위사와 파일사를 8:2로 구성을 달리한 변형 "W"자형 조직을 사용하고, 이때 파일사로 개질된 아세테이트 섬유를 러빙천의 파일사로 적용함으로써, 러빙 공정에서 미세 배향홈 형성 및 배향규제력 향상 등을 통해 명암비 성능이 개선되고, 배향막에 대한 스크래치/불균일 러빙 및 내마모성이 개선되는 결과를 확인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의 파일 밀도는 24,000ea/㎠ 이상이며, 파일 길이는 1.4mm 이상 2.5mm 이하로 조절하였고, 위사와 파일을 8:2로 구성하여 변형 "W"자형 조직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 조건은 건열 80℃ 내지 170℃이내, 습윤상태에서 50℃ 내지 130℃ 이내에서 2시간 이내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반응에 사용되는 알칼리의 함량은 파일사로 사용되는 아세테이트 섬유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0중량%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 아세테이트 표층부가 레이온 섬유의 특성을 가지지 못해 미세 배향홈을 형성에 사용되기에 부적합하며, 알칼리의 함량이 40중량% 이상이면 반응속도가 빨라 불균일한 반응이 일어나고, 내마모성 개선에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알칼리는 알칼리의 산성도에 따라 단독 또는 침투제, 지연제 등을 함께 사용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처리와 알칼리에 의한 표면 개질 반응을 통하여 아세테이트 섬유의 검화율은 5 내지 80%가 된다. 즉 본 발명은 아세틸기 치환도 2.0의 아세테이트 섬유를 전처리와 알칼리에 의해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아세테이트 섬유의 전체 아세틸기 중 5 내지 80%,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50%를 히드록시기로 치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개질된 아세테이트 섬유의 치환도는 내층과 표층부가 다른 다층 구조를 가지게 되고, 개질 공정에서 공극이 발생시켜 가공축을 보상함으로써 변형 "W"자형 조직을 구성하기 위해 위사와 파일을 8:2로 구성한 조직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질 처리된 파일사를 상기 원단 조직의 경사 또는 위사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열시키기 위해, 상기 파일사는 기모처리, 수지처리 및 브러쉬 처리된다.
상기 파일사를 세워 원단 조직의 경사 또는 위사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검화(개질)가 끝난 파일 직물을 소재, 형태, 방향이 여러종인 브러쉬가 달린 브러싱기에서 직물의 경사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브러쉬 처리를 진행한다. 이 때 상기 브러쉬의 회전 방향은 러빙천의 사용하고자 하는 크기와 목적에 따라 경사 및/또는 위사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파일사의 경사는 원단 조직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0~30°의 각도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파일사의 경사가 30도가 초과될 경우 배향홈 형성을 위한 충분한 러빙 강도를 얻기 힘들어, 러빙 얼룩, 세로선 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브러쉬 공정에서 파일사의 형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방축가공수지, 실리콘계 탄성제, 폴리우레탄계 탄성제 등을 파일 직물에 함침시켜 처리하기도 한다. 이러한 가공제 처리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가공제 종류와 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사의 형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가공이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열된 파일사 즉 파일이 원단 조직으로부터 빠져 나와 러빙공정 중에 상기 배향막에 부착하거나, 상기 러빙천에 부착되어 러빙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 직물의 이면 원단 조직에 코팅제를 사용하여 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우레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것이 선택되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단 조직의 코팅층이 너무 두껍게 되면 상기 파일사의 방향성이 뒤틀어지거나, 섬유 강성이 올라가 스크래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러빙포의 사용시에 구김이 발생하여 회복이 어렵게 된다.
반면,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너무 얇게 되면 파일 섬유를 고정시켜주는 힘이 약해 러빙 강도가 떨어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마찰에 의해 파일사의 탈락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코팅층 형성을 위한 도포량은 원사, 조직, 밀도 및 가공제에 따라 달리하여야 하며,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코팅층의 도포량을 20g/m2 내지 100g/m2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위사와 경사를 8:2로 구성하는 변형 "W"자형 조직을 적용하고, 아세테이트 섬유를 전처리 및 간단한 화학 반응을 통하여 개질 처리한 개질 섬유를 파일사로 사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러빙 공정에서 균일한 배향홈 형성을 가능케 하고, 배향막의 스크래치 및 불균일 러빙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동시에 러빙천의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여, 광학적 특성이 크게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경사로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120d/70f (Asahi産, 일본), 위사로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75d/50f (Asahi産, 일본)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62 本/inch, 위사밀도 114 本/inch로 위사와 파일사의 구성이 8:2인 변형 "W"자형 조직으로 짜서 원단 조직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파일사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치환도 2.55, 초산화도 56.5%) 필라멘트 150d/65f (Eastman産, 미국)를 사용하여 파일밀도가 40,000개/㎠가 되도록 공지의 파일 직기에 의해 변형 "W"자형 조직의 원단을 제직하였다.
상기와 같이 원단 제직 후, 양 지조직 사이의 파일을 나이프 컷터로 절단하여 상, 하판 두장의 러빙천 파일 직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아세테이트 파일 직물을 반응기에서 90℃에서 30분동안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습윤 전처리하여 분자 구조를 이완시킨 후, 탱크 반응기에 아세테이트 섬유 대비 10 중량%의 가성소다 수용액을 투입한 후, 아세테이트 파일 직물을 침지시켜 25℃에서 승온속도 1.5℃/min로 승온하여 90℃에서 30분간 처리한 후 25℃까지 1.5℃/min로 냉각시켜 배액하였다.
그 후 아세트산 0.1% ows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상온의 물로 수차례 수세하여 잔류 알칼리를 제거한 후, 반응이 끝난 개질 아세테이트 파일 직물을 인출하여 건조하였다. 이러한 반응 공정을 통하여 초기 아세테이트 파일 섬유 중량 대비 감량율이 11% (검화율 28%)인 파일 직물을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파일 직물을 (주)대영화학의 실리콘계 탄성기모제인 스노텍스 FX-40 1.5% ows 용액에 함침시켜 브러쉬가 설치된 열처리기에서 경사 방향으로 18회, 위사방향으로 8회 반복 처리하여, 경사방향으로 파일 기울기가 15°로 되도록 기모하였다. 상기와 같이 브러쉬 처리된 파일 직물은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계 코팅제를 사용하여 이면 조직을 코팅 처리하여 파일을 고정시켰다.
[비교예 1]
경사로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120d/70f (Asahi産, 일본), 위사로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75d/50f (Asahi産, 일본)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62 本/inch, 위사밀도 126 本/inch로 평직으로 짜서 원단조직으로 사용하였다. 파일사로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 100d/40f (Enka産, 독일)을 사용하여 파일밀도 32,000개/㎠가 되도록 공지의 파일 직기에 의해 W자형으로 원단 조직에 제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파일 직물을 공지의 조건으로 정련하고, BASF사의 방축 가공제인 NFG 5% ows 용액에 함침시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브러쉬, 코팅, 열처리하여 전모하였다.
[비교예 2]
경사로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120d/70f (Asahi産, 일본), 위사로 큐프라 암모늄 레이온 필라멘트 75d/50f (Asahi産, 일본)를 사용하여 경사밀도 62 本/inch, 위사밀도 126 本/inch로 평직으로 짜서 원단 조직으로 사용하였다. 파일사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치환도 2.55, 초산화도 56.5%) 필라멘트 120d/50f (Eastman産, 미국)를 사용하여 파일밀도가 40,000개/㎠가 되도록 공지의 파일 직기를 사용하여 W자형으로 원단조직에 제직하여 컷팅하였다.
상기와 제조된 파일 직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정련한 후 탱크 감량기에 파일사로 사용된 디아세테이트 섬유 대비 10 중량%의 가성소다 수용액을 투입한 후 아세테이트 파일 직물을 침지시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검화시켜 아세테이트 섬유 대비 감량율이 11% (검화율 28%)인 파일 직물을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파일 직물을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기모, 브러쉬, 열처리, 코팅 및 1.80mm로 전모 처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은 특성에 대해 위 비교예들과 비교/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의해 러빙처리된 배향막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배향막은 가장 대표적인 IPS 모드용 배향막인 Nissan Chemical社의 SE-6514를 사용하여 850Å의 두께로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배향막에 대한 러빙은 0.01mm의 러빙 깊이(Pile Impression)까지 조절될 수 있는 자동 러빙 기계를 이용하여 러빙 회전속도 1000rpm, 러빙 깊이 0.30nm, 스테이지(stage) 이동속도 250cm/min으로 1회 처리하였다. 액정은 Merck社의 MLC-6628를 사용하여 셀갭(Cell Gap) 4.5 ~ 4.9㎛로 패널을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 복원력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러빙천을 사용하여 파일 복원력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러빙 내구성 평가 후 러빙천의 복원력을 측정하여 러빙 전/후의 복원력 유지율을 평가하였다.
* 배향막 이방성 (Anisotropy)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러빙천을 사용하여 러빙된 SE-6514 배향막의 이방성 특성(Retardation)을 이방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러빙 내구성 : 25℃, 40% RH 조건에서 러빙 마크(Mark)폭 13mm, 스테이지 이동속도 25mm/sec, 러빙 RPM 1,000의 조건으로 반복 러빙한 후 배향막 이방성값 변화를 측정하여 액정 표시 장치 제조업체에서 기준으로 삼고 있는 비교예 1의 내구성 값인 500매에서의 이방성 표준 편차값을 목표치로 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복원력(kPa) 21 17 14
복원력 유지율(%) 90 65 61
이방성(nm) 0.726 0.536 0.512
이방성
표준편차(nm)

0.032

0.152

0.94

러빙 내구성(매)

900

500

42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교에 1 및 2에 비하여 우수한 내구성과 배향 규제력을 가짐으로써 품질이 좋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원단조직 120: 파일(사)

Claims (5)

  1. 원단 조직과 파일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러빙천에 있어서,
    위사 8개가 파일 2조합을 구성하는 8:2 조직을 가지게 함으로써 각각의 파일사를 각기 다른 위사가 잡아주는 구조를 가지는 변형 W자형 구조를 가지고, 파일사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의 전체 아세틸기 중 5 ~ 80%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개질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는, 아세틸기 치환도가 2.0이상인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가 알칼리로 검화되어 전체 아세틸기 중 5 ~ 80%를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개질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알칼리로 검화하기 위하여,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는 전처리에 의해 구조가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섬유로 된 파일사는 심부에 비해 표층부의 아세틸기 치환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5. 전체 아세틸기 중 5 ~ 80%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개질 섬유를 형성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알칼리로 검화하는 검화단계; 및
    상기 개질 섬유로 이루어지는 파일사를 갖는 러빙천을 기모처리하는 기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의 제조방법.
KR1020150077948A 2015-06-02 2015-06-02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2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8A KR20160142447A (ko) 2015-06-02 2015-06-02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8A KR20160142447A (ko) 2015-06-02 2015-06-02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47A true KR20160142447A (ko) 2016-12-13

Family

ID=5757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48A KR20160142447A (ko) 2015-06-02 2015-06-02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24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95A (ko) 2001-11-22 2003-06-0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배향 처리용 러빙천
KR20050020106A (ko) 2003-08-21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이용한 러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95A (ko) 2001-11-22 2003-06-0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배향 처리용 러빙천
KR20050020106A (ko) 2003-08-21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이용한 러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3496B (zh) 液晶板制造用摩擦布料
KR20020036656A (ko) 러빙용 포재
KR20040094591A (ko) 러빙용 직물
US2003010868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60079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2447A (ko)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RU2736460C2 (ru) Полировальная подуш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а такж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р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US20030108712A1 (en) Rubbing cloth for aligning treatment
KR20090015377A (ko)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JP2009015278A (ja) 液晶表示装置用のラビング布及びこれを有するラビング装置
JP2010204173A (ja) ラビング用布材及びそれを用いたラビング処理方法
JP5097623B2 (ja) ラビング処理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077210A (ja) ワークの表面をワイピング処理するための表面処理用シート
JP5855461B2 (ja) ラビング布
WO1999035324A1 (fr) Procede servant a traiter des textiles tricotes a mailles jetees
JP4426366B2 (ja)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US20230340722A1 (en) Method for Processing Recycled Cellulose Fibers, and Processed Recycled Cellulose Fibers
JP5097022B2 (ja) ラビング用布材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718957B1 (ko) 러빙 포재
KR100842765B1 (ko)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TWI384100B (zh) 配向布及配向裝置
JP7310192B2 (ja) セルロース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
JP4900161B2 (ja) 配向処理用ラビング布
JP4174925B2 (ja) 磁気記録媒体加工用テープ
JP2008175971A (ja) ラビ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