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150B1 -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150B1
KR100842150B1 KR1020060003487A KR20060003487A KR100842150B1 KR 100842150 B1 KR100842150 B1 KR 100842150B1 KR 1020060003487 A KR1020060003487 A KR 1020060003487A KR 20060003487 A KR20060003487 A KR 20060003487A KR 100842150 B1 KR100842150 B1 KR 10084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433A (ko
Inventor
신지 미야바야시
오사무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8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공공무선영역으로부터 로컬 무선영역으로 이동할 때, 이동통신 단말(1)은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 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기 위하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 그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조회에 응답하여 로컬 무선 통신 인증서버(3)는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 그 자체가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번호가 그 안에 등록되어 있을 때, 전송 전력레벨 감소지시신호가 이동통신 단말(1)로 전송된다.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단말(1)은 무선유닛(12)내의 전송전력의 출력레벨을 공공 기지국(2P)에 의해 수신되지 못하는 동안 로컬 기지국(2L)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레벨까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선유닛을 제어한다. 이것은 공공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하게 한다.
무선, 네트워크, 공공, 기지국, 레벨, 전력, 이동통신, 단말, 인증서버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후술할 상세한 기술 및 첨부한 도면의 독해에 의해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의 데이터의 구성의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통신 스위칭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되는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의 단말 인증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되는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A는 도 9에 도시되는 로컬 기지국 리스트의 데이터의 구성의 예시도, 및 도 10B는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의 구성의 예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되는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의 단말 인증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은 도 2 및 도 8에 도시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통화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되는 공공 기지국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되는 채널 스위칭유닛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되는 공공 기지국유닛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및
도 18은 도 14에 도시되는 채널 스위칭유닛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특정 통신 영역에서 특정 기능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 또는 비행기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은 의료 장치 또는 페이스메이커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영역에서 이동통신 단말 스위치를 끄는 것이 좋은 에티켓으로 여겨진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에티켓을 무시한다고 말해진다.
이러한 배경에 대하여, 특정 영역으로 가져온 이동통신 단말을 무력화시키고 그 영역 외부에서 그 단말을 재-활성시키는 정보 통보 시스템은 미심사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2004-159073호에 개시된다.
이 정보 통보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의 모든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무력화시킨다. 이는 무력화시킬 필요가 없는 기능의 무력화를 유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만들어지고,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영역에서 특정 기능만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1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부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2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의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에 따라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성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통신 단말은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제 2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때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제한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통신 네트워크, 제 1 통신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 적어도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이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유닛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은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1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부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2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의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에 따라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성 여부를 이동통신 단말에 특정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유닛에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조회에 대하여, 인증유닛에 의해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통보될 때,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제한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통신 네트워크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유닛을 가진 이동통신 시스템이고, 인증유닛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 단말 식별 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단말 식별 정보가 단말 식별수단 저장수단에 저 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된 단말 식별 정보가 단말 식별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었다고 판단할 때,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이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고 통보하는 조회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로 통보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통신 제한을 위한 방법은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1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부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2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의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에 따라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성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방법은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때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제한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이동통신 단말에 포함된 컴퓨터가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1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부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2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의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에 따라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성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가용성 판단과정을 실행하게 만들고; 제한수단은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때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을 제한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단말(1), 복수의 공공 기지국(2P), 로컬 기지국(2L),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 및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를 포함한다. 각각, 공공 기지국(2P)은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에 연결되고, 로컬 기지국(2L)은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 및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 연결된다. 이동통신 단말(1)은 휴대 전화 및 PHS(간이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통신을 위한 단말 장치(전화기)이다. 이동통신 단말(1)은: ⅰ)공공 기지국(2P) 및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를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1)로의 및 로부터의 무선 통화를 제공하는 기능(무선 통화 기능); ⅱ)공공 기지국(2P) 및 인터넷을 통해 이-메일을 전송 및 수신하는 기능(이-메일 전송 및 수신 기능); 및 ⅲ)공공 기지국(2P) 및 인터넷을 통해 웹 페이지 브라우징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등을 가진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1)은 로컬 기지국(2L)을 통해 제공되는 무선통신(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1)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은 제어유닛(회로)(10), 안테나(11), 무선유닛(12), 공공 네트워크 제어유닛(13), 브라우저(14), 수신유닛(14), 전송유닛(16), 동작유닛(17), 표시유닛(18), 저장유닛(19), 사운드 발생유닛(20), 스피커(21), 코 딩유닛(22), 및 마이크로폰(23)을 포함한다.
제어유닛(1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CPU는 ROM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실행하여, 이동통신 단말(1)의 각유닛 및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은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작업 메모리로 사용된다.
안테나(11)는 외부-입력 전자기파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 신호를 방출할 전자기파로 변환한다.
무선유닛(12)은 안테나(11)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신호를 다운컨버트하여, 예를 들면, 아날로그 신호에 직각 위상-복조 및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칩 속도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디지털 신호를 브라우저(14) 및 수신유닛(15)으로 제공한다. 또한, 무선유닛(12)은 전송유닛(16)으로부터 제공된 전송 신호에 D/A(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신호를 업컨버트하고 이를 안테나(11)를 통해 공공 기지국(2P) 및 로컬 기지국(2L)으로 전송한다.
공공 네트워크 연결 제어유닛(13)은, 제어유닛(10)으로부터 지시에 따라, 무선유닛(12)의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여, 공공 네트워크로 연결을 가능하게 하거나 무력하게 한다.
브라우저(14)는 제어유닛(10)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고, 브라우저(14)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웹 페이지(P)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수신유닛(15)은, 예를 들면, 칩 속도를 가지고 무선유닛(12)으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신호에 역확산 과정 및 위상 보정 과정을 수행하여 심볼 속도를 가지는 수 신 신호를 획득하고, 수신 신호를 사운드 발생유닛(20)으로 제공한다.
전송유닛(16)은 코딩유닛(22)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송 신호에 오류 보정 코딩, 물리적 채널로의 맵핑, 및 확산 과정을 수행하여, 무선유닛(12)으로 신호를 제공한다.
동작유닛(17)은, 예를 들면, 커서 방향 키,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숫자 키, 기능을 지정하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동작된다.
표시유닛(18)은, 예를 들면, 액정 표시(LCD) 장치 등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1)의 다양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영상 등을 표시한다.
저장유닛(19)은, 예를 들면, PA(페이징 영역) 번호 레지스터(191) 및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 저장유닛(192)과 같은 메모리 영역이 제공되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한다.
PA 번호 레지스터(191)는 공공 기지국(2P) 및 로컬 기지국(2L)으로부터 수신된 각 기지국의 커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PA(페이징 영역)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 저장유닛(192)은 전방의 로컬 기지국(2L)의 PA 번호(로컬 기지국 식별번호)를 저장한다.
위치 등록 제어유닛(193)은 이동통신 단말(1)의 위치, 즉 PA 번호를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사운드 발생유닛(20)은 수신유닛(15)으로부터 제공된 수신 신호에 디코딩을 수행하여,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스피커(21)로 출력한다. 따라서, 전화선 등의 다른 말단의 상대방으로부터의 사운드는 스피커(21)로부터 재생된다.
코딩유닛(22)은 마이크로폰(23)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사운드 입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코딩하고, 전송 신호를 전송유닛(16)으로 제공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공공 기지국(2P)는 반경 2 내지 3 킬로미터의 공공 무선 영역을 개별적으로 형성한다. 공공 통신 네트워크는 인접한 공공 무선영역이 서로 중복되는 방식으로 공공 기지국(2P)을 설치하여 형성된다. 로컬 기지국(2L)은 인접한 공공 무선영역과 중복되는 로컬 무선영역(로컬 무선 네트워크)을 형성하기 위하여 4 내지 5 층 빌딩 내에서와 같은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 기지로 사용된다.
도 3은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는 제어유닛(30), 통신유닛(31), 및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을 포함한다.
제어유닛(30)은, 제어유닛(10)과 유사하게, CPU, ROM, 및 RAM 등을 포함하고,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각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유닛(10)은 이동통신 단말(1)로의 및 로부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은,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을 포함하고,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그 인증 정보로서 저장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는 이동통신 단말(1)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위치 등록기(HLR)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 등록 요청에 따라 HLR에 저장된 위치 정보(PA 번호)를 순차적으로 갱신하여, 이동통신 단말(1)의 현재 위치를 관리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구조를 가진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의 특정 동작이 기술될 것이다.
우선, 무선통신 단말(1)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통신 스위칭 과정이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5는 무선통신 스위칭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1)의 제어유닛(10)은 공공 기지국(2P) 및 로컬 기지국(2L)에 의해 항시 전송되는 페이징 영역(PA) 번호를 수신하고(S1단계에서 "예") 수신된 PA 번호를 PA 레지스터(191)에 저장된 PA 번호와 비교하며, PA 번호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단계). PA 번호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S2단계에서 "아니오"), 제어유닛(10)은 이동통신 단말(1)이 다른 인접한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PA 번호의 다음 수신을 기다리기 위해 단계 S1의 과정으로 돌아간다.
반면에, PA 번호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S2단계에서 "예"), 제어유닛(10)은 이동통신 단말(1)이 다른 인접한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고, 공공 무선 영역 및 로컬 무선 영역 중 무엇으로 이동통신 단말(1)이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단계 S1의 과정에서 수신된 PA 번호를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 저장유닛(192)에 저장된 로컬 기지국 식별번호와 비교한다(S3단계).
전술한 S3단계의 판단 과정의 결과가 이동통신 단말(1)이 소정의 공공 무선 영역에서 다른 공공 무선 영역으로 이동한 것일 때(S3단계에서 "예"), 제어유닛 (10)은 이른바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한다(S4단계 내지 S9단계). 이러한 핸드오버 과정은 발신지의 공공 무선 영역을 구성하는 공공 기지국(2P)(로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지의 공공 무선 영역을 구성하는 공공 기지국(2P)으로 전환하게 만들기 위해 연결된 공공 기지국을 전환하는 과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공공 기지국(2P) 및 로컬 기지국(2L)) 각각에 의해 전송된 라디오파가 우선 수신되고, 항시 수신된 각 라디오파의 전기장 세기가 검출되며, 전기장 세기의 값이 제어유닛(10)의 내부 RAM에 임시로 저장된다(S4단계). 다음으로, 제어유닛(10)은 S4단계의 과정에 저장된 값중 가장 큰 전기장 세기의 값을 가지는 라디오파를 전송한 공공 기지국(2P)을 판단하고(S5단계), 전술한 S1단계의 수신 과정에 수신된 PA 번호를 PA 번호 레지스터(191)에 저장한다(S6단계). 그리고, 제어유닛(10)은,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것과 함께, S5단계의 판단 과정에 판단된 공공 기지국(2P)로부터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 PA 번호 레지스터(191)의 PA 번호를 전송한다(S7단계).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는,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기(HLR)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1)의 현재 위치 정보, 말하자면 PA 번호를 요청에 포함된 PA 번호로 재기록한다. 재기록 종료시,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는 위치 등록의 종료를 통보하는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1)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부터 전송된 위치 등록의 종료를 통보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S8단계에서 "예"), 제어유닛(10)은 무선유닛(12)의 전송 전력 레벨을 공공 기지국(2P)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레벨로 조정하도록 공공 네트 워크 연결 제어유닛(13)을 제어한다(S9단계). 이후, 동작은 S1단계의 PA 번호 수신 과정으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전술한 S3단계의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로서, 이동통신 단말(1)이 공공 무선영역에서부터 로컬 무선영역으로 이동했다고 판단할 때(S3단계에서 "아니오"), 제어유닛(10)은 S1단계의 과정에서 수신된 PA 번호를 PA 레지스터(191)에 저장한다(S10단계). 그리고, 제어유닛(10)은, 이동통신 단말(1) 자신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인지 여부의 인증을 요청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1) 자신의 전화번호를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로 전송한다(S11단계).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후술할 단말 인증과정이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서 실행된다.
그리고, 단말 인증과정을 실행한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로부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라고 지시하는 전송 전력 레벨 감소 지시 신호를 수신할 때(S12단계에서 "예"), 제어부(10)는 전술한 단말의 인증이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무선유닛(12)의 전송 전력의 출력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공 네트워크 연결 제어유닛(13)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의 라디오파의 레벨이 로컬 기지국(2L)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공공 기지국(2P)에 의해 수신될 수 없는 레벨로 감소하도록 한다. 이 때, 공공 기지국(2P)로부터의 라디오파는 이동통신 단말(1)에 도달하지만, 로컬 기지국(2L)로부터의 라디오파가 공공 기지국(2P)로부터의 라디오파보다 강하고, 그리하여 이동통신 단말(1)은 공공 기지국(2P)과 통신할 수 없다.
그리고, 전술한 S13단계의 전송 전력 감소 과정을 종료한 때, 동작은 S1단계 의 과정으로 돌아간다.
반대로, 제어유닛(10)이 S11단계에서 제어유닛(10)으로부터 전송된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을 수행한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로부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라는 지시를 위한 전송 전력 레벨 유지 지시 신호를 수신할 때(S2단계에서 "아니오"; S14단계에서 "예"), 제어유닛(10)은 전술한 인증이 획득될 수 없는지를 판단하고, S4단계의 과정, 말하자면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하는 S4단계의 과정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전송 전력 감소 지시(S12단계에서 "아니오") 전송 전력 유지 지시(S14단계에서 "아니오") 모두 수신하지 않은 때, 제어유닛(10)은 양 신호 수신을 대기하기 위해 S12단계의 과정으로 돌아간다.
전술한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1)에서 무선통신 스위칭 과정이다.
다음으로,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가 S11단계에서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을 실행하는 단말 인증과정이 기술될 것이다. 도 6은 단말 인증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제어유닛(30)은 통신유닛(31)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한다(S21단계). 인증 요청은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인증 요청을 수신한 때(S21단계에서 "예"), 제어유닛(30)은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2단계). 다르게 말하자면,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지가 판단된다.
전술한 S22단계에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에 등록되었다고 판단될 때(S23단계에서 "예"), 제어유닛(30)은 인증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공공 기지국(2P)으로의 이동통신 단말(1)의 데이터 전송을 제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1)로 전송 전력 레벨 감소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S24단계).
반면에, 전술한 S21단계의 판단 과정에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에 등록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S23단계에서 "아니오"), 제어유닛(30)은 인증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동통신 단말(1)로 전송 전력 레벨 유지 신호를 전송한다(S25단계).
S24단계 및 S25단계의 과정 이후, 제어유닛(30)은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 인증을 위한 새로운 요청을 대기하기 위하여 S21단계의 과정으로 돌아간다.
전술한 과정은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서 단말 인증과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 영역에서 로컬 무선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한 때, 무선통신 단말(1)의 제어유닛(10)은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지를 조회하기 위해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로 단말(1)의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의 조회에 응답하여,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제어유닛(30)은 이동통신 단말(1) 자신의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에 등록된 때, 제어유닛(30)은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등록된 단말이라고 판단하고 이동통신 단말(1)로 전송 전력 레벨 신호 감소 지시를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로부터 전송 전력 레벨 감소 지시를 수신한 때, 이동통신 단말(1)의 공공 네트워크 연결 제어유닛(13)은 무선유닛(12)의 전송 전력을 로컬 기지국(2L)에서는 수신될 수 있고 공공 기지국(2P)에서는 수신될 수 없는 레벨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로컬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로컬 무선통신이 시작될 때,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1)은 공공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만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또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에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단가가 고정된 양을 초과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은 이동통신 단말(1)의 전력 소비 감소를 영향줄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과정에 대하여, 같은 인용 기호가 할당되고 그에 대한 기술은 적당한 경우 생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의 특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공 기지국(2P) 및 로컬 기지국(2L) 양자는,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에 더 연결되고, 본 실시예의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 내의 복수의 로컬 기지국(2L)의 집중 관리에 영향을 주는,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에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은 제 1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1)의 구성에 추가하여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 저장유닛(24) 및 통화 제어유닛(25)을 더 포함한다.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 저장유닛(24)은, 예를 들면, SD 메모리 카드 등으로 구성되고,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의 리스트(로컬 전화번호 리스트)를 저장한다.
통화 제어유닛(25)은,유닛(25) 자신이 로컬 무선통신을 사용할 때,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없는 이동통신 단말로의 통화를 제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유닛(17)을 통한 전화번호 입력이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 저장유닛(24)에 저장된 로컬 전화번호에 포함되지 않을 때, 번호는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없는 비-등록 번호로 여겨지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로의 통화는 제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는 제어유닛(30), 통신유닛(31), 로컬 기지국 리스트(33), 및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포함한다.
로컬 기지국 리스트(33)는, 예를 들면,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하드 디스크 등(미도시)에 저장되고, 도 10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컬 무선통신을 제 공할 수 있는 로컬 기지국(2L)의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복수의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는, 로컬 기지국 리스트(33)에 유사하게,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하드 디스크 등에 저장되고, 로컬 기지국 리스트(33)의 기지국 식별번호의 각 항목에 관련되어 제공된다.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는,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련된 기지국 식별번호로 표시되는 로컬 기지국(2L)의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를 포함하는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의 특정 동작이 기술된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1)에 의해 실행되는 핸드오버 과정이 설명된다.
도 11은 핸드오버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1)의 제어유닛(10)은, 단계 S1 내지 S2의 과정의 실행 후에, 단계 S3의 과정에서 "예"로 판단한 때(S3단계에서 "예"), 단계 S4 내지 S9를 실행하고, 이후 무선유닛(12)의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하지 않고 단계 S1의 과정으로 돌아간다.
반면에, 단계 S3의 과정에서 "아니오"로 판단한 때(S3단계에서 "아니오"), 제어유닛(10)은 단계 S10의 과정을 실행하고, 이후 자신의 전화번호 및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 저장유닛(192)에 저장된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을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 전송하여, 그 위치를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에 등록한다. 수신된 전화번호 및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는 위치를 등록하고, 위치 등록의 요청자가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에 연결된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 는 이동통신 단말인지에 대한 인증 조회를 수행한다(S111단계).
단말 인증의 조회에 응답하여,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는 단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 출력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말 인증 과정은 후술될 것이다.
그리고,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부터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로컬 등록번호 리스트를 수신할 때(S112단계에서 "예"), 단말 인증은 획득되었다고 판단되고, 수신된 로컬 등록번호 리스트를 로컬 등록번호 리스트 저장유닛(24)에 저장되며, 이후 공공 네트워크 연결 제어유닛(13)은 무선유닛(12)에서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의 라디오파의 전송 전력의 출력 레벨을 로컬 기지국(2L)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공공 기지국(2P)에 의해 수신될 수 없는 레벨로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S13단계). 전송 전력의 감소가 완료된 때, 동작은 S1단계의 PA 번호 수신과정으로 돌아간다.
반면에,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로부터 로컬 등록번호 리스트의 수신 없이 조회가 만들어진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S112단계에서 "아니오"; S113단계에서 "예"), 제어유닛(10)은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통신 사용이 불가한 로컬 통신 영역의 미등록 단말로 판단하고, S4단계 내지 S9단계의 과정, 이른바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S4단계의 라디오파 전기장 세기 검출 과정으로 돌아간다.
전술한 과정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에 의해 실행되는 핸드오버 과정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서 단 말 인증 과정이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2는 단말 인증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말 인증 과정에서,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제어유닛(30)은, 통신유닛(31)이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 때(S121단계에서 "예"),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이 로컬 기지국 리스트(33)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번호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한다(S122단계).
로컬 기지국 리스트(33)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번호가 요청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 제어유닛(30)은 즉시 단말 인증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에, 요청이 로컬 기지국 리스트(33)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번호를 포함한다고 판단할 때(S122단계에서 "아니오"), 제어유닛(30)은 이러한 기지국 식별번호와 연관된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획득하고,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획득된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23단계).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가 전화번호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S122단계에서 "아니오"), 제어유닛(30)은 요청된 위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즉시 단말 인증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에,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가 전화번호를 포함한다고 판단할 때(S123단계에서 "예"), 제어유닛(30)은 요청된 위치 등록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S123단계에서 획득된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이동통신 단말(1)로 전송한다(S124단계).
전술한 과정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 인증과정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에서 통화 과정이 기술될 것이다.
도 13은 통화 과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동작유닛(17)에 의해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이 눌러졌을 때(S31단계에서 "예"), 통화 제어유닛(25)은 이동통신 단말(1)이 현재 로컬 무선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PA 번호 레지스터(191)에 저장된 PA 번호 및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 저장유닛(192)에 저장된 로컬 기지국 식별 정보를 비교한다(S32단계).
이동통신 단말(1)이 현재 로컬 무선 영역에 없다고 판단될 때(S32단계에서 "아니오"), 과정은 S35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1)이 현재 로컬 무선 영역에 있다고 판단할 때(S32단계에서 "예"), 통화 제어유닛(25)은, S31단계의 과정에서 전화번호 입력을 검색키로 사용하여, 로컬 기지국(2L)에 연결된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 또는 이동통신 단말(1)에 저장된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조회한다(S33단계).
S31단계에 입력된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검색될 때(S34단계에서 "예"), 이동통신 단말은 전화번호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로컬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고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며(S35단계),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입력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로 통화한다(S36단계).
반면에, 입력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검색되지 않을 때(S34 단계에서 "아니오"), 통화 제어유닛(25)은 입력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은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없는 미등록 단말이라고 판단하고, 공공 무선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고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며(S37단계), 이후 공공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로 통화한다(S38단계).
전술한 과정은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에 의해 실행되는 통화 과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1)의 제어유닛(10)은, 수신된 PA 번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1)이 공공 무선 영역에서 로컬 무선 영역으로 이동했다고 판단할 때, 위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 및 기지국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을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 전송하고, 로컬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는지, 말하자면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 조회한다.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의 제어유닛(30)은,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의 조회에 응답하여,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번호가 로컬 기지국 리스트(33)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유닛(30)은, 기지국 식별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에 포함될 때, 기지국 식별번호와 관련된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획득하고, 위치 등록을 위한 요청에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가 획득된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전화번호가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에 포함될 때, 제어유닛(30)은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등록 단말이라고 판단하고 획득한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이동통신 단말(1)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수신할 때, 이동통신 단말(1)의 제어유닛(10)은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를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 저장유닛(24)에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1)은 로컬 전화번호 리스트(34)에 포함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 즉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이동통신 단말로의 통화를 제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1)은,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로컬 무선통신이 시작할 때,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이동통신 단말로의 통화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공공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만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단가가 고정량을 초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은 이동통신 단말(1)의 전력 소모 감소 등의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에 연결되기 때문에,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는 복수의 종류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서 인증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 및 전술한 로컬 기지국 리스트(33)를 사용하여 요청을 전송한 것들을 인증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의 결과로서, 본 실시예의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 는 복수의 로컬 기지국(2L)의 집중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의 건설 및 관리를 위한 단가를 낮게 유지하게 한다.
(제 3 실시예)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을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 1, 2 실시예와 같은 구성 또는 과정에 대하여 같은 식별 기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의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은, 제 1, 2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을 사용하여, 로컬 영역의 이동통신 단말 및 공공 영역의 이동통신 단말 사이에서 자유로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로컬 무선통신 제공 시스템은 로컬 통신 시스템 및 공공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로컬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로컬 기지국(2L)(도면에서 2L1 및 2L2) 및 로컬 통신 네트워크(6)를 포함한다. 각 로컬 기지국(2L)은 기본적으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로컬 기지국(2L)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로컬 기지국(2L, 2K)은 공공 통신 시스템 및 로컬 통신 시스템 사이의 중개자의 기능을 가지고, 공공 기지국유닛(201), 채널 스위칭유닛(202), 및 인증서버유닛(203)을 포함한다.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되는 공공 기지국유닛(201)은 스위치 어레이(211), 공공 무선 기지국(212), 및 스위칭 제어유닛(213)을 포함하 고, 공공 기지국유닛(201) 자신의 공공 무선 영역의 이동통신 단말(1)로 통신하는 보통의 공공 기지국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로컬 통신 시스템을 공공 통신 시스템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스위치 어레이(211)는 예를 들어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로 구성되고, 그리고 채널들(통신경로)을 채널 스위칭유닛(202), 이동 교환센터(4), 및 스위칭 제어유닛(213)의 제어에 따른 공공 무선기지국(212)으로 그리고 이들로부터 전환한다.
공공 무선기지국(212)은 앞서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공공 무선기지국(2P)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자체의 공공 무선영역내에서 이동통신 단말(1)과 통신한다.
공공 무선기지국(212)은 그 내부에 저장된 공공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 리스트를 갖는다.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통신 발신 끝단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와 통신 타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의거하여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요청을 수신할 때,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어떤유닛으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채널 스위칭유닛(202)(요청이 채널 스위칭유닛을 통해 제공된다)(S41단계),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요청이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를 통해 제공된다)(S42단계), 또는 공공 무선기지국의 공공 무선영역내에서의 이동통신 단말(S43단계).
연결요청이 채널 스위칭유닛(202)로부터 수신되었다고 판단될 때(S41단계에서 "예"),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수신지 이동통신유닛이 공공 무선 기지국(212) 의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단계).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다고 판단될 때(S44단계에서 "예"),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공공 무선기지국(212)과 채널 스위칭유닛(202)이 연결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S45단계).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S44단계에서 "아니오"),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채널 스위칭유닛(202)을 이동 스위칭유닛(204)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S46단계).
연결요청이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부터 있다고 판단될 때(S42단계에서 "예"),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가 공공 무선 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지는 여부를 판단한다(S47단계).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 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다고 판단될 때(S47단계에서 "예"),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이동통신 스위칭센터(4)가 공공 무선기지국(212)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S48단계).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기지국(212)의 공공 무선영역내에 없다고 판단될 때(S47단계에서 "아니오"),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채널 스위칭유닛(202)을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와 연결한다(S46단계).
연결요청이 공공 무선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판단될 때(S43단계에서 "예"),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49단계).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 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다고 판단될 때(S49단계에서 "예"),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채널 스위칭유닛(202)을 공공 무선기지국(212)과 연결한다(S45단계).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S49단계에서 "아니오"), 스위칭 제어유닛은 공공 무선기지국(212)을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와 연결한다(S48단계).
즉,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1) 로컬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가 통신할 때, 통신 채널을 전환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함으로서 채널 스위칭유닛(202)과 공공 무선 기지국(212)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2) 로컬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시스템상의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할 때, 통신 채널을 전환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함으로서 통신 채널을 전환하기 위해 채널 스위칭유닛(202)과 이동통신 스위칭센터(4)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3) 공공 무선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시스템 상의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할 때, 통신채널을 전환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함으로서 공공 무선기지국(212)과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스위칭유닛(202)은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와 어레이 제어유닛(222)로 구성되고, 이동통신 단말 사이의 통신 채널을 제어한다.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는 크로스바 스위치의 매트릭스 배열이다. 어레 이 제어유닛(222)은 상호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들 사이의 위치관계에 따라 통신 채널(통신 경로)을 전환하도록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를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어떤 로컬 기지국(2L)(S51단계) 또는 공공기지국유닛(201)이 연결요청을 보냈는지를 판단한다(S52단계).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연결요청이 로컬 기지국(2L)으로부터라고 판단되었을 때(S51단계에서 "예"), 인증서버유닛(203)의 조회에 따라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가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단계). 인증서버유닛(203)으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다고 판단되어질 때(S53단계에서 "예"),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1)을 제어함으로서 상호 통신하는 2개의 이동통신 단말들을 연결한다(S54).
인증서버유닛(203)으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S53단계에서 "아니오"),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을 제어하므로서 로컬 통신 네트워크(6)를 공공 기지국유닛(201)과 연결한다(S55단계).
연결요청이 공공기지국유닛(201)으로부터 있다고 판단될 때(S52단계에서 "예"),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인증서버유닛(203)의 조회에 따라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6단계). 인증서버유닛(203)으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통신 수신지 단말에서의 이동통신 단 말의 위치가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다고 판단될 때(S56단계에서 "예"),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을 제어하므로서 로컬 통신 네트워크(6)를 공공 기지국유닛(201)에 연결한다(S55단계).
인증서버유닛(203)으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통신 수신지 단말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가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S56단계에서 "아니오"),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적절한 에러처리과정을 수행한다(S57단계).
즉, (1) 상호 통신하는 2개의 이동통신 단말들의 양쪽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을 때,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를 제어함으로서 양쪽의 통신 단말들은 상호 연결되고, 그리고 (2) 상호 통신하는 2개의 이동통신 단말들중 하나가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고, 나머지 하나가 공공 무선 영역내에 있을 때,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를 제어하여 로컬 통신 네트워크(6)와 공공 기지국유닛(201)이 연결되도록 한다.
인증서버유닛(203)은 제 2 실시예에서의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로컬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로컬 기지국(2L1, 2L2, 2K)의 리스트와 그 내부에 저장된 로컬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1)의 전화번호 리스트를 갖는다.
로컬 기지국(2L), 채널 스위칭유닛(202)의 어레이 제어유닛(222), 및 스위칭 제어유닛(213) 각각은 제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이 이하에서 설명되어진다.
우선, 이하의 설명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A)이 무선 기지국(2K)(공공 무선 영역)의 공공 기지국유닛(201)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내에 있고; 이동통신 단말(1B)은 로컬 기지국(2L1)의 로컬 무선통신 영역내에 있고; 이동통신 단말(1C)은 로컬 기지국(2L2)의 로컬 무선 통신 영역내에 있고;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1D)은 이동 시스템(7) 상에 있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내에서, 단말 식별정보(전화번호)는 이동통신 단말(1A, 1B, 1C)이 무선 기지국(2K)에 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무선기지국(212)내에서, 자체 무선기지국(212)의 공공 무선 네트워크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A)의 단말 식별정보(전화번호)가 등록되고, 그리고 로컬 기지국(2K)내의 인증서버유닛(203)내에서 로컬 통신 네트워크(6)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 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B, 1C)의 단말 식별정보가 등록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이 설명된다. 설명은 실시예와 특정 예제를 갖는 각각의 실시예들로 나누어진다.
(1. 로컬 통신 네트워크(6)의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B)로부터 로컬 통신 네트워크의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C)로의 통신)
이동통신 단말(1B)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C)로 연결요청(통신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로컬 기지국(2L1)은 로컬 기지국(2K)로 신호를 라우팅한다.
로컬 기지국(2K)의 채널 스위칭유닛(202)의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S51단계에서 "예" 및 S53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이후, S54단계에서,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1C)이 로컬 기지국(2L2)의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인증서버유닛(203)에 조회한다. 이후, 어레이 제어유닛(222) 은 크로스바 스위칭 어레이(221)를 제어하므로서 로컬기지국으로부터 로컬기지국(2L2)까지의 채널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1B 및 1C)을 연결하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고, 이후 이동통신 단말(1B 및 1C) 사이의 통신이 통상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2. 로컬 기지국(2K)의 공공 무선영역(단, 로컬 무선 영역은 아님)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A)로부터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C)로의 통신)
이동통신 단말(1A)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C)로의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로컬기지국(2K)의 공공 기지국유닛(201)의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S41단계 및 S42 단계에서 "아니오", 그리고 S43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이후,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채널 스위칭유닛(202)을 경유하여 인증서버유닛(203)에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1C)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인증서버유닛(203)은 이동통신유닛(1C)이 로컬기지국(2L2)의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어레이 제어유닛(222)을 경유하여 스위칭 제어유닛에 통보한다.
스위칭 제어유닛(211)은 공공기지국(2L1)을 채널 스위칭유닛(202)과 연결하기 위하여 통보에 따라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S46단계).
한편,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공공기지국유닛(201)을 통해 연결요청을 수신하여, S51단계에서는 "아니오"라고, 그리고 S52단계에서는 "예"라고 판단한다. 이후, 인증서버유닛(203)으로부터의 통보에 따라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 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56단계에서 "예"), 공공기지국유닛(201)으로부터 로컬 기지국(2L2)으로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를 제어한다(S55단계).
따라서, 공공기지국유닛(201)으로부터 채널 스위칭유닛(202)을 경유하여 로컬 기지국(2L2)까지의 채널이 형성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들(1A 및 1C) 사이의 통신이 통상의 과정에 따라 수행된다.
(3. 로컬 기지국(2K)의 공공무선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1A)로부터 로컬 무선 네트워크 밖의 이동통신 단말(1D)로의 통신)
이동통신 단말(1A)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D)로의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로컬기지국(2K)의 공공기지국유닛(201)의 스위칭 제어유닛(211)은 S41단계 및 S42단계에서 "아니오"라고, 그리고 S43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이후,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인증서버유닛(203)에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1D)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인증서버유닛(203)은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기지국(2L)들중 어디에도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스위칭 제어유닛(213)에 통보한다.
통보에 따라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S49단계에서 "아니오"), 공공기지국(212)을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와 연결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1A)로부터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를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1D)까지의 통신 채널이 형성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들(1A, 1D) 사이의 통신이 통상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4. 로컬 통신 네트워크(6)의 로컬 무선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1B)로부터 공공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1D)로의 통신)
이동통신 단말(1B)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D)로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로컬 기지국(2L1)은 로컬 기지국(2K)으로 요청을 라우팅한다.
이동통신 단말(1B)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D)로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채널 스위칭유닛(202)의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로컬 기지국(2K)에 요청을 라우팅한다.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채널 스위칭유닛(202)의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S51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이후, 어레이 제어유닛(221)은 인증서버유닛(203)을 조회하고,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1C)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S53단계에서 "아니오"). 이후,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를 제어하여 로컬 기지국(2L1)으로부터 공공 기지국유닛(201)까지의 채널을 형성한다(S55단계).
한편, 채널 스위칭유닛(202)을 경유하여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공공 기지국유닛(201)의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S41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그러면,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무선영역내에 있지 않은 것을 판단하기 위하여 공공 기지국(211)에 조회하고(S44단계에서 "아니오"), 채널 스위칭유닛(202)을 이동통신 스위칭유닛(4)과 연결한다(S46단계).
이것은 이동통신 단말(1B)로부터 로컬 무선기지국유닛(2L1),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11), 공공 기지국유닛(201), 및 이동 스위칭유닛(4)을 경유하여 이동통신유닛(1D)까지 채널 경로를 형성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들(1B 및 1D) 사이의 통신이 통상의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5. 이동시스템(7) 상의 이동통신 단말(1D)로부터 로컬 기지국(2K)의 공공 무선 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1A)로의 통신)
이동통신 단말(1D)로부터 이동통신 단말(A1)로의 연결요청이 이동 스위칭유닛(4)내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로컬 기지국(2K)으로 라우팅된다.
연결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로컬 기지국유닛(2K)의 공공 기지국유닛(201)의 스위칭 제어유닛(2213)은 S41단계에서 "아니오"라고, 그리고 S42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1D)이 공공기지국(212)의 공공무선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공공기지국유닛(212)에 조회한다(S47단계에서 "예").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를 공공 기지국(212)과 연결하기 위하여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 더욱이,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이동통신 단말(1A)을 호출하기 위하여 공공기지국(212)을 제어하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1D)로부터 이동시스템(7), 이동 스위칭유닛(4) 및 공공 기지국유닛(201)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1A)까지의 채널이 형성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1D 및 1A) 사이의 통신은 통상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6. 이동시스템(7)상의 이동통신 단말(1D)로부터 로컬 기지국(2L)의 로컬 무선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1C)로의 통신)
이동통신 단말(1D)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C)로의 연결요청은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내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로컬 기지국(2K)으로 라우팅된다.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로컬 기지국(2K)의 공공기지국유닛(201)의 스위 칭 제어유닛(213)은 S41단계에서 "아니오"라고, 그리고 S42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이후,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공공 기지국(212)의 공공 무선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공공 무선기지국(212)에 조회한다. 공공 기지국(212)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스위칭 제어유닛(213)은 수신지가 공공 기지국(212)의 공공 무선영역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S47단계에서 "아니오"), 채널 스위칭유닛(202)이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어레이(211)를 제어한다(S48단계).
한편, 연결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채널 스위칭(202)의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S51단계에서 "아니오"라고, S52단계에서 "예"라고 판단한다. 그 다음,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수신지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인증서버유닛(203)에 조회한다. 인증서버유닛(203)으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통신 수신지 끝단에서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로컬 무선 영역을 커버하는 로컬 기지국(2L2)을 결정한다(S56단계). 어레이 제어유닛(222)은 공공기지국유닛(201)으로부터 로컬 기지국(2L2)까지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21)를 제어한다(S55단계).
이것은 이동통신 단말(1D)로부터 이동시스템(7), 이동 스위칭유닛(4), 공공무선기지국(201), 크로스바 스위치 어레이(211) 및 로컬 무선 기지국(2L2)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1C)까지의 통신경로를 형성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1D 및 1C) 사이의 통신은 통상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앞서의 구조는 (1)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들 사이의 통신, (2) 로컬 무선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과 공공무선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 사이의 통신, 및 (3) 산업기반시설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공공무선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4는 로컬 무선 통신용 무선 통신 시설을 갖지 않는 로컬 기지국(2K)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컬 기지국(2K)은 로컬 무선 통신용 무선 통신시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구성에서, 로컬 기지국(2L 또는 2K)에 의해 형성되는 로컬 무선 영역밖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영역내로 들어올 때, 이동통신 단말은 그 무선유닛의 전력을 더 낮춤으로서 로컬 무선기지국과 통신하게 된다. 더욱이, 로컬 무선영역내의 이동통신 단말이 로컬 무선영역밖으로 나올 때, 무선유닛의 전력은 증가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은 공공무선 기지국(또는 공공 기지국유닛)과 통신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들 및 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의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서,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등록된 단말이라고 판단될 때,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는 전송전력 레벨 감소지시신호를 이동통신 단말(1)에 전송한다.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단말(1)은 무선유닛(12)내의 전송 전력의 출력레벨을 공공기지국(2P)에 의해 수신될 수 없는 레벨까지 제어하고, 이로서 공공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1)은 제 1 실시예의 로컬 무선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1)로부터의 조회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단말(1)이 로컬 무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등록된 단말이라고 판단될 때,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는 로컬 전화번호 저장유닛(32)에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를 리스트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1)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로서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전화번호 리스트 상에 포함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로의 통화는 제한된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는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가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를 통해 복수의 로컬 기지국(2L)과 연결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복수의 로컬 기지국(2L)이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1)은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4)로 전송되어질 위치 등록요청 보다는 로컬 무선통신 인증서버(3)에 대한 인증요청을 전송한다.
더욱이, 물론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공공 네트워크 연결제어유닛 및 통화 제어유닛(25) 등의 구성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10)의 소프트웨어 처리과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유닛(10)은 앞서 설명한 공공 네트워크 연결제어유닛(13)과 통화제어유닛(25)으로 기능하도록 제어되고, 전술한 각각의 처리과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이동통신 단말(1)(예를 들어, 저장 유닛(19)) 내에 저장되며, 제어유닛(10)은 그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물론, 그러한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1)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앞서 설명한 프로그램을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에 적용함으로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로 기능하도록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은 임의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인터넷과 같은 통신 매체를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함으로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과 변화가 본 발명의 요지와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 이내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수정들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2005년 1월 12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 2005-5055 호에 기초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한다. 앞서 일본특허출원의 공개는 전체로서 참조되어 이하에서 통합된다.

Claims (20)

  1.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1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2 기지국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상기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제 1 기지국과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을 정도로 통신용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 상태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의이용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상기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한수단은 통신용 전송 전력을 상기 제 1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상기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통화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상기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에의 통화를 위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에의 통화를 위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6. 제 1 통신 네트워크,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 적어도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1 기지국의 통신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2 기지국의 통신영역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증유닛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특정하는 단말 식별정보를 전송하므로써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조회수단; 및
    상기 인증유닛에 의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통보받았을 때,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을 정도로 상기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용 전송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유닛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상기 통신 조회수단에 의해 전송된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식별정보 수신수단;
    상기 단말 식별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 및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조회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통보하는 조회결과 통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조회결과 통보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그 통신용 전송 전력을 줄이도록 지시하는 전송 전력 감소 지시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회 결과를 통보하고, 그리고
    상기 조회결과 통보수단에 의해 전송된 전송 전력 감소 지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전송 전력이 상기 제 1 기지국과 통신할 수 없을 정도까지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이로써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의 통신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의 통신영역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통신조회수단은 단말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 2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인증유닛에 상기 제 2 기지국을 식별하는 제 2 기지국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유닛은,
    통신 가용성을 판단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식별하는 기지국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식별정보 저장수단;
    통신 가용성이 판단될 수 있는 각 기지국과 별도로 미리 등록되어, 상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상기 통신 조회수단으로부터 단말 식별정보 및 제 2 기지국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 수신수단;
    상기 식별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 2 기지국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가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지국 식별정보 판단수단;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판단수단이 대응 기지국 식별정보가 발견되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식별정보 획득수단;
    상기 식별정보 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획득수단에 의하여 획득된 단말식별정보에 포함된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 및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획득된 단말 식별정보에 포함되어 있다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조회결과를 통보하는 조회결과 통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조회결과 통보수단은 상기 단말 식별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모든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회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통보하고, 그리고
    상기 조회결과 통보수단에 의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 일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단말 식별정보 내에 포함되지 않은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통화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3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수신지 끝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연결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 3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스위칭수단은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3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3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3 기지국의 통신영역 밖인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통신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스위칭수단은,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3 기지국의 통신 영역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3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유닛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스위칭수단은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5. 제 1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유닛을 갖고,
    상기 인증유닛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의해 전송된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식별정보 수신수단;
    상기 단말 식별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 및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상기 제 1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그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지시하는 전송 전력 감소 지시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알리는 조회결과를 통보하는 제 1 조회결과 통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유닛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은, 통신 가용성이 판단되는 각 기지국에 대해 별개로 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사전에 등록된 단말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및
    상기 인증유닛은,
    통신 가용성을 판단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식별하는 기지국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식별정보 저장수단;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단말 식별정보 및 제 2 기지국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 수신수단;
    상기 식별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제 2 기지국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가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 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지국 식별정보 판단수단;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 판단수단이 대응 기지국 식별정보가 발견되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단말 식별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식별정보 획득수단;
    상기 식별정보 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단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여부를 판단하는 제 2의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 및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획득된 단말 식별정보에 포함되어 있다고 상기 제 2 단말 식별정보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조회 결과를 통보하는 제 2 조회 결과 통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 획득수단에 의하여 획득된 단말 식별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조회결과 통보수단은 상기 단말 식별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모든 단말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조회결과를 통보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말 식별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통화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하는 데이터 전송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3 기지국;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수신지 끝단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3 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3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3 기지국의 통신 영역 외의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며,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영역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3 기지국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수신지 끝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영역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영역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수신지 끝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이 상기 제 3 기지국의 통신 영역 내에 있을 때 상기 제 3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상기 통신 수신지 끝단에 연결하는 연결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0. 이동통신 단말 내에 포함된 컴퓨터를,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1 기지국의 통신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다른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 2 기지국의 통신영역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다고 상기 통신 가용성 판단수단이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을 정도로 통신용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으로서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그 위에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0060003487A 2005-01-12 2006-01-12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KR100842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05055A JP4569301B2 (ja) 2005-01-12 2005-01-12 移動体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規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5-00005055 2005-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433A KR20060082433A (ko) 2006-07-18
KR100842150B1 true KR100842150B1 (ko) 2008-06-27

Family

ID=3665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487A KR100842150B1 (ko) 2005-01-12 2006-01-12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10145B2 (ko)
JP (1) JP4569301B2 (ko)
KR (1) KR100842150B1 (ko)
CN (1) CN18055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908B2 (ja) 2006-02-15 2011-05-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リソース配置マネージャ、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319538B1 (ko) * 2006-11-10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표시장치
US9497642B2 (en) * 2007-06-29 2016-11-15 Alcatel Lucent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a home base station router
JP2010539887A (ja) * 2007-09-19 2010-12-1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電力磁気共振器から生じた電力を最大化すること
EP2071738B1 (en) * 2007-12-13 2016-09-07 Alcatel-Lucent USA Inc. A picocell base station and method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of pilot signals therefrom
KR101478144B1 (ko) * 2007-12-27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통신 방법
JP4950091B2 (ja) * 2008-01-25 2012-06-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無線局装置切換方法および無線局装置切換プログラム
JP5117940B2 (ja) * 2008-06-24 2013-0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WO2010004714A1 (ja) * 2008-07-07 2010-0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US8477941B1 (en) * 2008-07-10 2013-07-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aintaining secure communication while transitioning networks
CN101867904A (zh) * 2010-06-10 2010-10-20 候万春 一种提供智能拨号的电话终端、系统和方法
JP6180251B2 (ja) * 2013-09-19 2017-08-16 アイホン株式会社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6450257B2 (ja) * 2015-05-19 2019-01-0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446A (ko) * 2000-01-05 2001-07-23 정용주 씨디엠에이 무선사설교환기/키폰시스템의 가입자 로밍제어 방법
KR20030015859A (ko) * 2001-08-16 2003-02-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셀 선택
KR20030016617A (ko) * 2001-08-21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 사설망 진입 자동 알림 방법
JP2004159073A (ja) * 2002-11-06 2004-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KR20040092911A (ko) * 2003-04-29 200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의 데이터 호 처리 장치 및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515A (en) * 1993-06-17 2000-09-19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fixed and mobile units used therefor
JPH09247741A (ja) * 1996-03-07 1997-09-19 Toshiba Corp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GB2322040A (en) * 1997-02-05 1998-08-12 Nokia Mobile Phones Ltd Number storage and call establishment in a cordless/cellular hybrid phone
US6539226B1 (en) 1998-02-16 2003-03-25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US7308263B2 (en) * 2001-02-26 2007-12-11 Kineto Wireles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handover of a tele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a licensed wireless system and an unlicensed wireless system
JP2003224511A (ja) * 2002-01-30 2003-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近距離無線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とその通信システム
US7142861B2 (en) * 2003-12-12 2006-1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communications in a hierarchical cell structure
US7433690B2 (en) * 2003-12-15 2008-10-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version of voice-over-IP media control messaging into mobile control channel signaling using a voice-over IP gateway
US8190124B2 (en) * 2004-10-22 2012-05-29 Broadcom Inc. Authentication in a roaming environment
US20060142021A1 (en) * 2004-12-29 2006-06-29 Lucent Technologies, Inc. Load balancing on shared wireless channe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446A (ko) * 2000-01-05 2001-07-23 정용주 씨디엠에이 무선사설교환기/키폰시스템의 가입자 로밍제어 방법
KR20030015859A (ko) * 2001-08-16 2003-02-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셀 선택
KR20030016617A (ko) * 2001-08-21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 사설망 진입 자동 알림 방법
JP2004159073A (ja) * 2002-11-06 2004-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KR20040092911A (ko) * 2003-04-29 200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의 데이터 호 처리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5576B (zh) 2010-06-23
JP4569301B2 (ja) 2010-10-27
US8010145B2 (en) 2011-08-30
US20060154670A1 (en) 2006-07-13
JP2006197079A (ja) 2006-07-27
CN1805576A (zh) 2006-07-19
KR20060082433A (ko)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150B1 (ko)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
KR101669059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3411393B2 (ja)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追跡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位置追跡方法
CN101523959A (zh) 利用近场通信进行通信移动性管理的装置和方法
KR1007356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등급 제한 리스트를 이용한서비스 상태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8092474A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0138706A (ja) 無線通信端末器のwapサ―バアドレス指定方法
JP527283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KR20010029049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지피에스를 이용한 관광정보 서비스 방법
US2005003646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9185192B2 (en)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JPH09322245A (ja) 地域情報提供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3353293B2 (ja) 携帯電話の電源オフ通知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30037057A (ko) 공중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가입자 인식모듈 업데이트 방법
KR20060123456A (ko) 활성화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장비
JP649157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0092570A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移動通信方法
JP200713479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識別情報送信装置
JP2001016355A (ja) 無線端末装置
JP3824435B2 (ja) 通信端末装置
KR200700796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 모드 변경 방법
KR100226325B1 (ko) 개인통신서비스에서의 가입자등록방법
JP200233045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方法
JP4473886B2 (ja) 通信管理装置およびキャリア情報更新方法
JPH1066132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