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331B1 -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331B1
KR100841331B1 KR1020070004651A KR20070004651A KR100841331B1 KR 100841331 B1 KR100841331 B1 KR 100841331B1 KR 1020070004651 A KR1020070004651 A KR 1020070004651A KR 20070004651 A KR20070004651 A KR 20070004651A KR 100841331 B1 KR100841331 B1 KR 10084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encoded
packet
transport packet
time st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으로부터 타임스탬프 정보를 제거한 후 비디오 데이터를 구간 단위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 정보 및 설정된 압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하는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트랜스포트 패킷에 상기 재 부호화에 따른 타임스탬프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및 재생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TV 또는 PVR 장치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 및 저장 장치에 대해 녹화된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대해 선별적으로 스트림을 가공 또는 재 부호화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데이터 크기를 압축해 더욱 많은 하드디스크 공간을 확보하여 PVR 장치의 저장 매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하도록 제공한다.
타임스탬프, 물리적 위치 정보, 재 부호하

Description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files of playing recor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 구간 기록 파일을 관리하는 재생 기록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프로그램의 구간별 중요도에 따라 구간 단위로 재부호화하는 파일 매니저의 구성도.
도 3(a,b)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간 단위의 압축을 수행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a,b)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간별 재 부호화된 패킷의 물리적 위치를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의 구간 단위로 압축하여 재생 기록 파일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튜너 20. TP 디코더
30. TP 디먹스 40. A/V 디코더
50. A/V 프로세서 60. Output 인터페이스
70. 제어부 80. 사용자 인터페이스
91. EPG 파서 + 데이터 프로세서 92. 파일 매니저
93. 전용 메모리 94. PVR 다운로드/업로드 처리부
95. 하드디스크 96. 인덱스 파일 생성부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PVR 장치를 사용하다 보면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자 하는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다. 기존의 PVR 장치에는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 삭제 또는 일부 구간 삭제 이외에는 저장 매체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 실제로 PVR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해서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의 화질 또는 비디오 포맷 등을 재조절하여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으면서 프로그램의 용량을 줄임으로써 더욱 많은 저장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존재한다. 특히 스포츠와 같은 콘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관심 있는 구간을 제외한 부분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위해 삭제하지 않고 해당 구간을 남겨 놓되 그 구간의 대해 화질 또는 영상 크기를 축소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프로그램의 크기를 압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TV 또는 PVR 장치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 및 저장 장치에 대해 녹화된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대해 선별적으로 스트림을 가공 또는 재 부호화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데이터 크기를 압축해 더욱 많은 하드디스크 공간을 확보하여 PVR 장치의 저장 매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생 기록 장치는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는 트랜스포트 패킷 디먹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에 타임스탬프를 추가하는 제어부; 상기 타임 스탬프가 추가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별 물리적인 위치를 트랜스포트 패킷 단위로 표시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부; 상기 인텍스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구간별 재 부호화를 수행하고 타임스탬프를 생성하는 파일 매니저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 매니저는 상기 저장된 트랜스포트 패킷으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복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압축 파라미터를 근거하여 재 부호화하는 비디오 인코더; 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고 타임 스탬프를 추가하는 트랜스포트 패킷 먹스;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구간별 설정된 상기 압축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전용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 파라미터는 양자화 계수 값, 비디오의 가로 및 세로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 부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구간별 패킷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덱스 파일 생성부는 상기 재 부호화된 방송 프로그램 패킷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드디스크는 재 부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g나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으로부터 타임스탬프 정보를 제거한 후 비디오 데이터를 구간 단위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 정보 및 설정된 압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하는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트랜스포트 패킷에 상기 재 부호화에 따른 타임스탬프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타임 스탬프는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는 시점의 시스템 클럭 값, 시스템이 미리 정한 상대적인 시간 값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 정보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픽쳐 시작 코드(Picture start code)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 부호화에 따른 타임스탬프는 TimeStamp(n) = ts2 + (n-1)*(ts3-ts2)/P <ts2, ts3; 재 부호화된 패킷 구간, P ; ts2의 재부호화된 패킷 수> 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 부호화된 트랜스포트 패킷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 구간 기록 파일을 관리하는 재생 기록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튜너(1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프로그램의 주파수 대역으로 셋팅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TP 디코더(20)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 스트림을 추출한다. TP 디먹스(30)는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오디오 및 EPG 등과 같은 데이터 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한다. A/V 디코더(40)는 분리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해당 부호화 알고리즘에 각각 대응하여 디코딩한 후 원 신호로 복원한다. EPG 파서 및 데이터 프로세서(91)는 분리된 EPG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재생되거나 호출될 때 OSD 방식으로 처리한다.
제어부(70)는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 할 때 PVR 다운로드/업로드 처리부(94)에 해당 스트림의 속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70)는 하드디스크(95)에 저장되는 스트림을 188 바이트 크기의 트랜스포트 패킷에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는 타임 스탬프를 추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스탬프(Time-stamped transport packet)는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는 시점의 시스템 클럭 값 또는 시스템에서 미리 정한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결정되며 이러한 타임 스탬프는 향후 하드디스크(95)에서 해당 스트림을 로딩할 때, 속도 조절을 위한 값, 즉 업로드의 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는 사용자로부터 녹화 프로그램 호출, 재생, 타임 시프트, 일시 정지 등의 메뉴 기능을 입력받는다.
PVR 다운로드/업로드 처리부(94)는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하드디스크(95)로 저장하기 위한 다운로드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타임 시프트 또는 재생 기능의 동작이 요청될 때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출력을 위해 하드디스크(95)에 저장된 타임 스탬프(TTP) 값을 참조하여 재생 과정을 제어한다.
하드디스크(95)는 녹화 파일의 물리적 위치를 명시한 파일 할당 테이블(File Allocation Table; FAT)과 같은 테이블 형태로 인덱스 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 정보인 EPG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방송 제목, 장르 정보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저장한다.
인덱스 파일 생성부(96)는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트랙(track) 플레이의 원활한 구현을 위해 비디오 데이터의 픽쳐 시작 코드(Picture start code)들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즉, 인덱스 파일을 근거하여 각 프레임의 물리적인 위치를 TP 스트림 패킷 단위로 표시하여 재생 시 특정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해당 프레임 또는 비디오 구간의 시작점을 하드디스크(95) 내에서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파일 매니저(92)는 인덱스 파일을 이용하여 녹화된 프로그램의 구간과 TP 스트림의 위치의 매핑 작업, 녹화 프로그램의 구간별 재 부호화에 필요한 파라미터의 작업 관린, 재 부호화 작업의 수행 및 재 부호화된 스트림의 저장에 필요한 제어 작업을 담당한다. 이때, 재 부호화 작업이 진행되는 프레임 및 파라미터 데이터 등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해 전용 메모리(93)를 사용한다. 전용 메모리(93)는 하드디스크(95)에서 일부 공간을 할당해서 사용할 수 동 있고 램(RAM)과 같이 시스템의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A/V 프로세서(50)는 본 발명에 따른 재 부호화된 녹화 프로그램의 인덱스 파일 및 타임 스탬프 정보를 근거하여 구간 단위로 해당 스트림을 연속하여 프로세싱한다. Output 인터페이스(60)는 처리된 해당 스트림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프로그램의 구간별 중요도에 따라 구간 단위로 재부호화하는 파일 매니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매니저의 구성은 TP 디먹스(11), 비디오 디코더(12), 비디오 인코더(13), TP 먹스(14)로 이루어진다. TP 디먹스(11)는 저장된 녹화 프로그램의 업로드 실행에 따른 해당 스트림의 입력을 받아 타임 스탬프를 제거한 후 비디오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만을 비디오 디코더(12)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프로그램의 오디오 및 EPG 관련 데이터는 전용 메모리(15)에 저장한다. 비디오 디코더(12)는 해당 비디오 PES 패킷을 복호화한 후 전용 메모리(15)로 전송한다.
비디오 인코더(13)는 전용 메모리(15)로부터 비디오 픽처 시작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구간별 설정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인코딩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인코딩을 위한 파라미터는 화질을 결정하는 rate control에 필요한 양자화 계수 값과 비디오의 가로 및 세로크기 값을 포함한다. TP 먹스(14)는 인코딩된 비디오 PES 패킷과 전용 메모리(15)에 저장된 오디오 및 EPG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한다. 재 부호화된 파일의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는 작업은 파일 매니저에서 이루어진다.
도 3(a,b)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간 단위의 압축을 수행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는 압축하기 이전의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도표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간 단위의 압축을 실행한 비디오 데이터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단위의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간별 중요도 또는 재 부호화를 위한 구간 단위의 결정된 파라미터로 수행된다. 이를 위한 기준 파라미터는 장면별 중요도, 하이라이트, 사용자 기호 등의 정보로 미리 설정된다. 도 3에서 구간 ts1, ts 2, ts3라고 표시된 부분은 각각의 장면 1, 장면 2, 장면 3의 첫 번째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표시한다. 장면 1, 2, 3은 각각 K, L, M 개의 트랜스포트 패킷(TP)으로 구성된다.
도 3a의 스트림에 대한 장면 구간 1은 압축하지 않고 장면 구간 2와 3에 대해서만 압축을 실행한다. 도 3b는 장면 구간 1, 2, 3에 대해 재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에 따른 각각의 대응되는 장면 구간 가, 나 ,다를 나타낸다. 이때, 장면 구간 1은 재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은 것이므로 장면 구간 가와 동일하다. 하지만 재 부호화에 의한 장면 구간 나 와 다를 구성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개수를 각각 P, Q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P < L , Q < M ( L ; 장면구간 2의 TP 개수, M ; 장면구간 3의 TP 개수)
재 부호화에 따른 트랜스포트 패킷 수는 줄지만 각 장면 구간의 재생 시점은 동일하므로 장면 구간 2와 장면 구간 나의 시작 시점은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장면 구간 2의 시작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와 장면 구간 나의 시작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는 동일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이때, 각 패킷에 부여되는 타임 스탬프는 해당 구간에 대해 균일한 비트율을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선형 매핑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면 구간 나에 포함되는 패킷 중에서 n 번째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TimeStamp(n) = ts2 + (n-1)*(ts3-ts2)/P
//ts2, ts3; 재 부호화된 패킷 구간, P ; ts2의 재부호화된 패킷 수//
타임 스탬프는 전용 메모리로부터 재 부호화된 패킷을 다운로드 처리부로 전송할 때 패킷 앞에 추가하여 전송한다.
도 4(a,b)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간별 재부호화된 패킷의 물리적 위치를 나타낸 표이다.
도 4a는 도 3a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대한 할당된 패킷 번호에 대한 물리적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3b에서 설명한 재 부호화된 패킷의 물리적 위치 정보의 갱신을 나타낸다. 패킷 번호 N은 도 3에서 재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은 장면 구간 1 또는 가의 위치 정보로 물리적 위치 역시 Position (N)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재부호화가 수행된 장면 구간 2, 3에 대한 패킷 번호 N+L, N+L+M은 각각 물리적 위치 정보가 Position(N+P)+Offset, Position(N+P+Q)+Offset으로 갱신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의 구간 단위로 압축하여 재생 기록 파일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간 단위별로 압축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해당 프레임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501~S506). 이때, 해당 스트림의 i 번째 트랜스포트 패킷을 입력받는다(S502). 입력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S503). 해당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임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한다(S504). 한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디코딩이 완료될 때까지 상위 단계들을 반복한다(S505). 완성된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압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재 부소화를 수행한다(S507).
재 부호화가 완료되면 기존의 오디오 및 기타 데이터와 함께 트랜스포트 패 킷을 생성한다. 각 패킷에 대해 타임스탬프를 부여하여 PVR의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S508). 이때 해당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패킷 사이에 연결 링크를 표시한 정보를 재 부호화된 데이터에 맞게 추가한다. 즉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재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지만 일부 구간에 대해서만 재 부호화를 수행할 경우 해당 구간만 로딩하여 재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런 경우 프로그램에서 기존에 바뀌지 않은 데이터와 새롭게 변경된 데이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준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패킷에 대한 물리적 저장 위치 정보를 바뀐 부분에 대해서만 갱신하면 된다(509).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PVR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HD급으로 그대로 저장하기보다는 중요한 장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 선별적으로 화질 또는 해상도를 조절하여 용량을 압축함으로써 해당 프로그램이 저장 장치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다른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PVR에 더욱 많은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으로부터 타임스탬프 정보를 제거한 후 비디오 데이터를 구간 단위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 정보 및 설정된 압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하는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트랜스포트 패킷에 상기 재 부호화에 따른 타임스탬프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스탬프는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는 시점의 시스템 클럭 값, 시스템이 미리 정한 상대적인 시간 값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 정보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픽쳐 시작 코드(Picture start code)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 부호화에 따른 타임스탬프는
    TimeStamp(n) = ts2 + (n-1)*(ts3-ts2)/P
    <ts2, ts3; 재 부호화된 패킷 구간, P ; ts2의 재부호화된 패킷 수> 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 부호화된 트랜스포트 패킷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6.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는 트랜스포트 패킷 디먹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에 타임 스탬프를 추가하는 제어부;
    상기 타임 스탬프가 추가된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별 물리적인 위치를 트랜스포트 패킷 단위로 표시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부;
    상기 인텍스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구간별 재 부호화를 수행하고 타임스탬프를 생성하는 파일 매니저를 포함하는 재생 기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매니저는
    상기 저장된 트랜스포트 패킷으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복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압축 파라미터를 근거하여 재 부호화하는 비디오 인코더;
    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및 부가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을 생성하고 타임 스탬프를 추가하는 트랜스포트 패킷 먹스;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구간별 설정된 상기 압축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전용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생 기록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파라미터는 양자화 계수 값, 비디오의 가로 및 세로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 부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구간별 패킷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파일 생성부는 상기 재 부호화된 방송 프로그램 패킷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는 재 부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스탬프는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는 시점의 시스템 클럭 값, 시스템이 미리 정한 상대적인 시간 값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 정보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픽쳐 시작 코드(Picture start code)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장치.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매니저는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재 부호화된 트랜스포트 패킷에 타임스탬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기록 장치.
    TimeStamp(n) = ts2 + (n-1)*(ts3-ts2)/P
    <ts2, ts3; 재 부호화된 패킷 구간, P ; ts2의 재부호화된 패킷 수>
KR1020070004651A 2007-01-16 2007-01-16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KR10084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51A KR100841331B1 (ko) 2007-01-16 2007-01-16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51A KR100841331B1 (ko) 2007-01-16 2007-01-16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331B1 true KR100841331B1 (ko) 2008-06-25

Family

ID=3977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651A KR100841331B1 (ko) 2007-01-16 2007-01-16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095B1 (en) * 1994-06-27 1997-06-21 Korea Electronics Telecomm Bit rate control method for scene change
KR19980029969A (ko) * 1996-10-28 1998-07-25 양승택 장면 전환시의 비트 할당 방법
KR20020021688A (ko) * 2000-09-16 2002-03-22 니시무로 타이죠 화상 부호화방법 및 화상 부호화장치
KR20040040584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적응적 디지털 영상 기록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095B1 (en) * 1994-06-27 1997-06-21 Korea Electronics Telecomm Bit rate control method for scene change
KR19980029969A (ko) * 1996-10-28 1998-07-25 양승택 장면 전환시의 비트 할당 방법
KR20020021688A (ko) * 2000-09-16 2002-03-22 니시무로 타이죠 화상 부호화방법 및 화상 부호화장치
KR20040040584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적응적 디지털 영상 기록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4366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content data,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laying back content data, and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content data
JP5369599B2 (ja) 映像符号化装置、映像符号化方法
KR101426241B1 (ko) 개인 맞춤형 녹화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4153791A (ja) 動画像・音声記録装置及び動画像・音声記録方法
KR20070049504A (ko)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의 역방향 콘텐츠 저장 및재생방법
KR20110044493A (ko)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JP4786888B2 (ja) 映像ストリーム処理装置
JP5274179B2 (ja) 字幕放送システム及び字幕放送方法
KR100841331B1 (ko) 재생 기록 장치 및 재생 기록 파일 관리 방법
JP2017183762A (ja) 映像ストリーム生成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404057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同期再生方法
JPWO2006075457A1 (ja) 記録装置
JP6742515B2 (ja) 符号化映像再生装置および符号化映像再生方法
JP5078417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US8275246B2 (en) Digital content reproducing and storing apparatus, digital content reproducing and storing method, digital content storing apparatus, digital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digital content reproducing and storing program
JP2008252832A (ja) 受信装置、データストリーム出力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装置の制御方法、データストリーム出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345548A (ja) 情報処理装置
KR20150104822A (ko) 녹화된 영상 컨텐츠를 편집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3897753B2 (ja) 記憶出力装置
WO2012124413A1 (ja) ビデオサーバ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274695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3825646B2 (ja) Mpeg装置
JP4861221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録画ファイル加工方法
JP4833325B2 (ja)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記録装置、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記録方法、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記録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記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4187040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