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04B1 -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04B1
KR100840004B1 KR1020060096403A KR20060096403A KR100840004B1 KR 100840004 B1 KR100840004 B1 KR 100840004B1 KR 1020060096403 A KR1020060096403 A KR 1020060096403A KR 20060096403 A KR20060096403 A KR 20060096403A KR 100840004 B1 KR100840004 B1 KR 10084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tact portion
wall
connector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268A (ko
Inventor
임정순
Original Assignee
임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순 filed Critical 임정순
Priority to KR102006009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14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축조시 벽체나 기둥 등을 위한 거푸집 패널 조립시 인코너 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소재 패널로 벽접촉부와 일반 패널과 연결되는 패널접촉부를 구성하되, 상기 벽접촉부를 이루는 주(主)분체의 주(主)절곡부에 상기 두 주(主)분체를 서로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를 도입하여 거푸집 패널 조립 및 해체 작업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는 축조될 벽체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축조될 벽체 인코너 부위의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가지며 주(主)절곡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 주(主)분체로 이루진 벽접촉부; 상기 벽접촉부의 각 주(主)분체 측면단부에 보조절곡부를 형성하며 결합되어 있으며, 일반패널과 연결되는 두 보조분체로 이루어진 패널접촉부; 및 상기 주절곡부 또는 상기 보조절곡부,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를 기점으로 상기 두 분체를 서로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푸집, 인코너, 패널, 절곡부, 접촉부, 분체, 절개부, 체결공, 보강판

Description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IN-CORNER COUPLING IMPLEMENT FOR CONSTRUCTION MO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 대한 여러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인코너연결구
10: 벽접촉부 11A,11B: 주(主)분체
13: 주(主)절곡부 15: 절개부
20: 패널접촉부 21A,21B: 보조분체
22: 보강판 23: 보조절곡부
25A,25B: 절개부 25a: 절개공
25b: 절개선 27: 체결공
30: 체결핀 40: 일반패널
본 발명은 건축물 축조시 벽체나 기둥 등을 위한 거푸집 패널 조립시 인코너 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連結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두께는 갖는 합성수지 소재 패널로 벽접촉부와 유로폼 등의 일반 패널과 연결되는 패널접촉부를 구성하되, 상기 벽접촉부를 이루는 주(主)분체의 주(主)절곡부 및/또는 상기 주분체와 상기 패널접촉부를 이루는 보조분체 사이의 보조절곡부에 상기 두 분체를 서로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를 도입하여 거푸집 패널 조립시 및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거푸집 패널 해체시 작업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거푸집의 패널은 초기 베니어합판 패널로부터 최근 거푸집의 조립과 해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유로폼으로 대표되는 여러 개량 패널까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 소재면에서는 베니어합판으로 대표되는 목재를 비롯하여 FRP와 같은 특수 합성수지나 철재 또는 합금 소재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거푸집 패널의 변화방향은 건물의 고층화와 아파트로 대표되는 대단위 집합건물이나 고층건물의 건축경향에 발마추기 위한 것으로,
종래 개량패널을 대표하는 유로폼은 실용신안등록 제0205912호(2000.09.27) 『거푸집용 측단부 패널』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기재된 유로폼을 비롯한 종래 패널은 돌출되거나 꺾이는 벽체의 인코너 또는 아웃코너 부분을 위하여 별도의 패널 또는 부재를 필요로 하는데, 거푸집의 인코너 또는 아웃코너 패널과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등록 제0249661호(1999.12.27) 『콘크리트 벽구조체의 코오너부 구축용 거푸집 시스템』에는 별도의 패널 사용 없이 기존 패널, 특히 유로폼을 가능한 그대로 사용하면서 아웃코너 부분은 공지된 슬라이드식 아웃코너 전용 클램프를 사용하고, 인코너 부분은 신규한 직각잡기 삼각대와 인코너용 클램프를 사용하여 패널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역시 삼각대를 비롯한 기타 부재를 인코너에 사용할 패널에 용접 결합시켜야 하고, 인코너 부분에는 특정 부재가 부착된 특정 패널을 사용하여야만 하여 패널의 범용성이 떨어진다.
또 특정 인코너 연결구와 관련된 것으로는,
인코너부재와 관련된 실용신안공고 제1995-0003711호(1995.05.13) 『건축용 거푸집조립체의 탈리구조』,
인코너 및 아웃코너 부재 모두를 제시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345038호(2004.03.04) 『건축용 거푸집』,
유로폼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용신안등록 제0241690호(2001.07.26) 『거푸집용 인코너틀』과 실용신안등록 제0357642호(2004.07.20) 『인코너판넬 보강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확고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유동성이 전혀 없어
이미 조립된 패널과 패널 사이에 인코너 연결구를 투입하거나,
직각 등의 특정 각도를 벗어난 코너 부분의 축조가 필요한 경우나,
바닥의 평활도가 떨어져 조립된 패널이 휜 경우 이를 보정할 경우 등과 같이
인코너부분의 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 대처할 수 없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0086363호(1995.03.08) 『입방체형의 조립식 콘크리트 건물 생산용 벽체형트의 코너 플레이트구조』에서는 탄성을 갖는 코너플레이트를 벽체패널에 나사고정하고, 설치 및 해체를 별도의 코너가이드의 작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데,
실제 건설현장에서 일일이 코너가이드를 작동하게 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상기 코너플레이트가 갖는 탄성으로 인하여 조립된 거푸집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투입하고 다짐기나 진동기로 충격을 주어 축조될 구조물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고려할 때, 이러한 과정에서 탄성을 갖는 상기 코너플레이트가 쪼그라들거나, 뒤틀리거나, 파손되어 터지는 등의 문제가 예상된다.
만약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코너플레이트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필연 적으로 탄성이 감소되어 의도된 장점이 없어진다.
나아가 실용신안등록 제0257253호(2001.11.30) 『인코너 형틀』에서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두 플레이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각도의 코너 부분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바,
이러한 인코너형틀은 금속소재로 제조될 것인데, 한번 벽체 축조에 사용된 후 상기 샤프트 부위에는 필연적으로 콘크리트가 달라붙게 되므로 이후 인코너형틀 사용시에는 각도 조절이 쉽지 않아 불편하다.
특히 거푸집 해체 후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형틀 보관은 접힌 상태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재사용시 형틀을 펼치는 것은 더욱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고 형틀을 녹여 다시 제작하는 것은 형틀의 공급단가를 높이는 것이 되므로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각종 거푸집 인코너 연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일정 두께는 갖는 합성수지 소재 패널로 벽접촉부와 유로폼 등의 일반 패널과 연결되는 패널접촉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접촉부를 이루는 주(主)분체의 주(主)절곡부 및/또는 상기 주분체와 상기 패널접촉부를 이루는 보조분체 사이의 보조절곡부에 상기 두 분체를 서로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를 도입하여 거푸집 패널 조립시 및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거푸집 패널 조립시 작업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공급단가를 낮출 수 있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분체의 벌어지는 동작만을 고려하여 상기 절개부의 형태를 통상적으로 90도를 이루는 벽체에 적합하도록 절개공과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하거나,
상기 분체가 벌어지고 좁아지는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상기 절개부를 요입장홈의 형태로 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절개부 형태를 도입할 수 있는 인코너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유로폼과 같은 일반패널과의 연결을 위하여 패널접촉부를 이루는 보조분체에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체결핀으로 인하여 상기 패널접촉부 보조분체 부분이 가압 수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와 일반패널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판을 도입한 인코너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는 축조될 벽체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축조될 벽체 인코너 부위의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가지며 주(主)절곡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 주(主)분체로 이루진 벽접촉부; 상기 벽접촉부의 각 주(主)분체 측면단부에 보조절곡부를 형성하며 결합되어 있으며, 일반패널과 연결되는 두 보조분체로 이루어진 패널접촉부; 및 상기 주절곡부 또는 상기 보조절곡부,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를 기점으로 상기 두 분체를 서로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C)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하면,
벽접촉부(10)를 이루는 두 주(主)분체(11A)(11B)의 주(主)절곡부(13) 쪽을 ‘중심’으로 정하고, 상기 주(主)절곡부의 양 반대쪽을 ‘측면’으로 정하며,
조립된 거푸집에서 콘크리트 몰타르와 접촉하게 되는 쪽을 '내측‘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외측’으로 정한다.
도 1 및 도 2 (a)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C)는 벽접촉부(10)를 이루는 두 주(主)분체가 중심 주(主)절곡부(13)에서 일정 각도로 굽은 상태로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주절곡부(13)의 내측면은 라운드 가공되어 있어 콘크리트 몰타르 양생 후 거푸집 해체시 인코너 연결구(C)가 콘크리트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두 주(主)분체는 축조될 벽체(W)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축조될 벽체 인코너 부위의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갖는다.
여기서 벽체 높이에 ‘상응’한다 함은 전체 벽체 높이가 2m일 경우 상기 주분체(11A)(11B)의 높이는 2m이거나, 2m의 높이를 균등하게 또는 불균등하게 분할한 길이(예: 1m 또는 0.5m 등의 높이)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연결구(C)는 상기 벽접촉부(10)의 각 주(主)분체(11A)(11B) 측면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보조분체(21A)(21B)로 이루어진 패널접촉부(20)를 포함하는데,
상기 벽접촉부(10)와 패널접촉부(20)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제조원가의 절감을 위하여 바람직하며, 기본적으로 발포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에 거푸집 패널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강도 보장을 위하여 경화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 혼합으로 물성을 특정할 수 있다.
또 상기 패널접촉부(20)는 상기 벽접촉부(10)의 길이와 동일한 것일 두 있으 나, 일정 간격을 두고 드문드문 보조분체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고,
상기 패널접촉부(20)는 상기 벽접촉부(10)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재료의 강도에 따라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데 일반적으로 10~25mm일 수 있고,
상기 패널접촉부(20)를 이루는 보조분체(21A)(21B)의 폭은 도 1에 도시된 일반패널, 특히 유로폼 패널(40)의 테두리부재(41)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핵심을 이루는 것은 상기 벽접촉부(10)를 이루는 주분체(11A)(11B) 각각과 절곡 연결되어 패널접촉부(20)를 이루는 보조분체(21A)(21B)가
상기 벽접촉부(10)의 각 주(主)분체(11A)(11B) 측면단부에서 형성하는 보조절곡부(23) 각각에 형성된 절개부(25A)(25B)인데,
상기 절개부의 역할은 상기 절곡부(23)를 기점으로 상기 두 분체(11A,21A)(11B,21B)가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절개부는 두 분체(11A,21A)(11B,21B)가 쉽게 벌어지면서 좁혀지는 동작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거나, 벌어지는 동작만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a)에 도시된 연결구(C)에서 상기 절개부(25A)(25B)는 벽접촉 부(10)와 패널접촉부(20)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 각도(예: 90도)를 이루는 보조절곡부(23)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공(25a)과, 상기 절개공(25a)에서 축조될 벽체의 외부를 향하여 자른 절개선(25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선(25b)에서 각 주(主) 및 보조(補助) 분체 쌍(11A,21A)(11B,21B)은 항상 맞닿아 있으므로 좁힘 동작 보다는 펼침 동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절개부(25)를 갖는 연결구(C)는 축조된 거푸집에 요구되는 견고성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 도 2 (b)에 도시된 연결구(C)에서 상기 절개부는 역시 벽접촉부(10)와 패널접촉부(20)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 각도(예: 90도)를 이루는 보조절곡부(23)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절곡부에서 축조될 벽체의 외부를 향하여 트여 있는 요입장홈(125)으로 이루어져서,
각 주(主) 및 보조(補助) 분체 쌍(11A,21A)(11B,21B)은 좁힘동작과 펼침동작이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절개부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지는 건축현장 여건, 건축물의 형태나 공법에 따라 결정된다.
도 2 (c)에 도시된 연결구(C)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절개부가 두 주분체(11A)(11B) 사이의 주절곡부(13)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개부(15)는 벽접촉부(10)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 각도(예: 90도)를 이루는 절곡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공(15a)과, 상기 절개공(15a)에서 축조될 벽체의 외부를 향하여 자른 절개선(15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선(15b)에서 두 주분체(11A)(11B)는 항상 맞닿아 있으므로 좁힘동작 보다는 펼침동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것이다.
도 2 (c)의 절개부 형태와 상기 도 2 (a) 또는 도 2 (b)의 절개부 형태를 비롯한 다른 여러 형태의 절개부는 하나의 연결구에 모두 또는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접촉부(20)의 보조분체(21A)(21B)에는 다른 일반 패널과의 연결을 위하여 체결핀(30)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체결공(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체결공(27)은 유로폼 패널(40)과 같은 일반패널의 테두리부재(41)에 형성된 체결공(43)에 상응하는 위치와 형태를 가져야 한다.
상기 체결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27)에 삽입될 경우 최초 투입이 쉽도록 단부의 폭을 좁힌 협폭부(33)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부(31), 그리고 다른 체결핀(3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35)을 갖는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모든 연결구(C)에서 상기 패널접촉부(20)의 보조분체(21A)(21B)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중심 쪽 모서리가 잘려 형성된 쐐기부, 특히 라운드 형태로 가공된 쐐기부(21a)가 더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쐐기부로 인하여 다른 패널(40)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핀(30)을 두 보조분체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삽입할 경우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폭이 그만큼 넓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고, 아울러 재료 절감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또 도 1 및 도 2의 (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연결구(C)는 상기 두 체결핀(30)을 통하여 상기 유로폼 패널(40)과의 연결시 상기 패널(40)의 테두리부재(41)의 외측에 용접 부위 등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돌출부(41a)(41b)를 고려하여,
상기 패널접촉부(20)를 이루는 보조분체(21A)(21B) 측면에 상기 돌출부(41a)(41b)에 대응되는 요입부(21b)(21c)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C)와 유로폼 패널(40)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는 금속에 비하여 압력이 가해질 경우 수축도가 더 큰데,
다른 일반 패널(40)의 테두리부재(41)와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연결구(C)의 패널접촉부(20)가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핀(30)이 체결공(43)(27)에 삽입되어 조립된 거푸집에
축조될 구조물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몰타르를 투입하고 다짐기나 진동기로 충격을 가할 경우 상기 패널접촉부(20) 보조분체(21A)(21B), 특히 가압 많은 힘이 작용하는 상기 체결핀(30)의 머리부(31)와 접촉하는 체결공(27) 부위는 가압 수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확고하게 밀착되어 있던 상기 보조분체(21A)(21B)와 상기 일반 패널(40)의 테두리부재(41) 사이에는 틈이 벌어지게 되고, 이 틈으로 콘크리트 몰타르가 빠져 나오게 되므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콘크리트 몰타르가 분출되는 정도는 아니더라도 벌어진 틈으로 인하여 양생된 벽체는 수직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울퉁불퉁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철부분은 일일이 그라인더로 갈아내어야 하므로 건축비용 상승과 공기(工期) 증가, 건물 내구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수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면 되지만, 그만큼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는 일반적으로 경도에 상응하는 정도로 탄성이 떨어질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연결구의 핵심인 절개부로 인한 주(主) 및 보조(補助) 분체 쌍(11A,21A)(11B,21B)이 벌어지고 좁아지는 동작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연결구(C)에서는 상기 체결핀(30)의 머리부(31)와 접촉하는 상기 패널접촉부(20) 각 보조분체(21A)(21B)의 중심 쪽 면에 체결핀에 대비한 보강판(22)을 도입하는 것을 착안하였다. 상기 보강판(22)은 금속소재이거나 압축정도가 금속에 상응하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보강판(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연결구(C)의 패널접촉부(20) 보조분체(21A)(21B)에 형성된 체결공(27)과 일반패널(40) 테두리부재(41)의 체결공(43)에 상응하는 체결공(22a)이 형성되어 있어야하고,
상기 보강판(22)은 상기 보조분체(21A)(21B) 전체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거나, 상기 보조분체의 체결공(27) 위치에만 배열되는 길이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패널접촉부(20)의 보조분체(21A)(21B)에는 상기 중심부를 향한 면에 상기 보강판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은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상기 보강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는 갖는 홈(128)이거나,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22)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진 후 중심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두 이탈방지편(129a)을 갖는 슬라이드홈(129)일 수 있다.
도 3 (b)에 도시된 슬라이드홈(129)에 결합되는 보강판은 밋밋한 판재가 아니라 슬라이드홈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의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를 이용한 인코너부의 거푸집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패널, 특히 유로폼 패널(40)들의 밀착된 테두리부재(41)의 체결공(43)에 체결핀(30)을 이용하여 좌우 상하로 연결하여 오다 가 코너를 형성할 부분에 이르면 본 발명의 연결구(C)를 조립하는데,
이때 상기 연결구의 패널접촉부(20) 두 보조분체(21A)(21B) 양측에 이미 유로폼 패널(40)이 조립되어 있고 본 발명의 연결구(C)를 위한 자리만이 비어 있을 경우에는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로써 요입장홈(125)이 형성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주(主) 및 보조(補助) 분체 쌍(11A,21A)(11B,21B)을 좁힌 상태로 투입하면 되고,
만약 상기 연결구의 패널접촉부(20) 두 보조분체(21A)(21B)의 어느 일측에 유로폼 패널(40)이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 (a)에 도시된 절개공(25a)으로 이루어진 절개부를 갖는 연결구나 도 2 (b)에 도시된 요입장홈을 갖는 연결구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접촉부(20)의 두 보조분체(21A)(21B) 사이로 체결핀(30)을 투입함에 있어,
상기 보조분체 체결공(27)을 거쳐 상기 유로폼 패널(40)의 테두리부재(41) 체결공(43)으로 체결핀(30)의 협폭부(33)가 먼저 삽입되도록 찔러 넣는데, 필요에 따라 망치 등의 공구로 체결핀의 머리부(31)를 가격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로폼 패널(40)의 체결공(43)으로 돌출된 상게 체결핀(30)의 삽입공(35)에 다른 체결핀을 삽입 결합시키고, 필요에 따라 역시 다른 체결핀의 머리부를 망치로 가격하여 투입한다.
만약 상기 보강판(22)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보강판의 체결공(22a) 에서 상기 보조분체의 체결공(27) 및 상기 유로폼 패널(40)의 체결공(43)으로 차례로 거쳐 체결핀이 투입된다.
상기 체결핀은 각 체결공 마다 위치하고, 두 체결핀(30)의 결합으로 상기 연결구(C)의 패널접촉부(20) 보조분체(21A)(21B)와 상기 유로폼 패널(40)의 테두리부재(41)는 밀착된다.
만약 상기 연결구의 패널접촉부(20) 양측 모두에 유로폼 패널이 조립되어 거푸집이 완성된 후 또는 조립 중에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최초 측량을 잘 못하여 패널이 직선을 이루지 않을 경우에는,
튀어나온 패널이나 전체 패널을 내외측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보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상기 절개부(25)로 인하여 주(主) 및 보조(補助) 분체 쌍(11A,21A)(11B,21B)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거푸집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다.
또 콘크리트 몰타르 타설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절개부를 기점으로 쉽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편리하다.
그러면서도 조립된 거푸집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투입하고 다짐기나 진동기로 충격을 주어 축조될 구조물의 밀도를 증가시킬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나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가 없으므로 거푸집에 요구되는 견고성을 해칠 위험이 없고, 이러한 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판으 로 인하여 더욱 확실해진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연결구들과는 절개부, 특히 두 벽접촉부(10) 사이의 주절곡부에 형성된 절개부(115) 연질 합성수지가 충진된 점이 주요하게 다른데,
상기 절개부에 구비된 충진체(115A)(점선으로 영역 표시)는 상기 두 주분체(11A)(11B)가 주절곡부에서 상기 절개부(115)로 인하여 각도 조절시 파손되는 문제를 보완하게 하면서도 본 발명의 제1목적인 인코너 연결구의 각도조절 기능에도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절개부(115)에 채워진 연질 합성수지 충진체(115A)는 물론 보조절곡부의 절개부에도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벽접촉부와 상기 패널접촉부 또한 합성수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절개부 충진체와 상호 접합력이 있는 합성수지,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절개부 충진체와 같은 소재이되 물성만이 경질인 합성수지인 것이 좋을 것이다.
또 도 4에 도시된 인코너 연결구(C)에서 상기 벽접촉부와 상기 패널접촉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서도, 일점쇄선으로 영역을 표시한 중심부위(17B)에는 발포제가 혼합된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미세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어 경량화 효과와 소재절감 효과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 외곽부위(17A)에는 발포제가 혼합되지 않거나 소량 혼합된 합성수지로 성 형되어 입자조성이 조밀하고 딱딱한 성질을 가지게 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앞서 도 1 및 도 2의 (a)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폼 등의 일반 패널(40)의 테두리부재(41)의 외측에 용접 부위 등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돌출부(41a)(41b)를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연결구(C)의 패널접촉부(20) 보조분체(21A)(21B)에 역시 요입부(121b)(121c)를 형성하고 일반 패널과의 밀착성을 높이되,
상기 패널접촉부의 요입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융기부(121b')(121c')를 연질 합성수지로 성형(점선으로 영역 표시)하여 일반패널과 체결핀에 의하여 조립될 경우 수축이 가능하여 밀착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였다.
상기 융기부(121b')(121c')는 연속된 것이 아니라 중간에서 끊어져 있어 재료절감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벽접촉부와 상기 패널접촉부 또한 합성수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융기부와 상호 접합력이 있는 합성수지,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융기부와 같은 소재이되 물성만이 경질인 합성수지인 것이 좋을 것이다.
아울러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연결구의 외면에는 공지된 다양한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어 콘크리트 성형체로부터 연결구를 분리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떨어지면서도, 성형면의 매끈함을 높여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인코너 연결구 자체의 색감 및 질감의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는 일정 두께는 갖는 합성수지 소재 패널로 벽접촉부와 유로폼 등의 일반 패널과 연결되는 패널접촉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접촉부를 이루는 주(主)분체의 주(主)절곡부 및/또는 상기 주분체와 상기 패널접촉부를 이루는 보조분체 사이의 보조절곡부에 상기 주(主) 및 보조(補助) 분체 쌍을 서로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를 도입하여 거푸집 패널 조립시 및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거푸집 패널 조립시 작업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공급단가를 낮출 수 있고,
또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절개부를 도입하고, 보강판을 도입하여 유로폼과 같은 일반패널과의 연결을 위하여 패널접촉부를 이루는 보조분체에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을 형성할 경우 상기 체결핀으로 인하여 상기 패널접촉부 보조분체 부분이 가압 수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와 일반패널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인코너 연결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축조될 벽체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고 축조될 벽체 인코너 부위의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가지며 주(主)절곡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 주(主)분체로 이루진 벽접촉부;
    상기 벽접촉부의 각 주(主)분체 측면단부에 보조절곡부를 형성하며 결합되어 있으며, 일반패널과 연결되는 두 보조분체로 이루어진 패널접촉부; 및
    상기 주절곡부 또는 상기 보조절곡부,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를 기점으로 상기 두 분체를 서로 벌리거나 좁히는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패널접촉부에서 일반패널과의 접촉면에는 외측에 치우친 위치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인코너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부의 보조분체에는 체결핀의 삽입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공과,
    상기 절개공에서 축조될 벽체의 외부를 향하여 자른 절개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절곡부에서 축조될 벽체의 외부를 향하여 트여 있는 요입장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접촉부의 보조분체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중심 쪽 모서리가 잘려 형성된 쐐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접촉부와 상기 패널접촉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벽접촉부 및 상기 패널접촉부 보다 연질의 합성수지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접촉부와 상기 패널접촉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위에는 발포제가 혼합된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미세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어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외곽부위에는 발포제가 혼합되지 않거나 소량 혼합된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입자조성이 조밀하고 딱딱한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 결구.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접촉부와 상기 패널접촉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패널접촉부의 요입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융기부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20060096403A 2006-09-29 2006-09-29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84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03A KR100840004B1 (ko) 2006-09-29 2006-09-29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03A KR100840004B1 (ko) 2006-09-29 2006-09-29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276A Division KR100639156B1 (ko) 2005-09-07 2006-05-11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68A KR20070028268A (ko) 2007-03-12
KR100840004B1 true KR100840004B1 (ko) 2008-06-20

Family

ID=3810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403A KR100840004B1 (ko) 2006-09-29 2006-09-29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339A (ko) 2022-03-14 2023-09-21 윤병주 인코너 거푸집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1267B2 (en) * 2011-11-1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ghtly coupled, low power image processing
CN107130736A (zh) * 2017-06-21 2017-09-05 山东新活新材料科技有限公司 转角立柱和其制作方法及利用其的铝模板构件、施工方法
CN107587715A (zh) * 2017-09-23 2018-01-16 二十二冶集团天津建设有限公司 铝合金模板根部处理方法
CN111424962A (zh) * 2020-03-11 2020-07-17 广东亚旺模架技术有限公司 铝模板墙体减厚的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648U (ko) * 1981-04-30 1982-11-04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648U (ko) * 1981-04-30 1982-11-0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339A (ko) 2022-03-14 2023-09-21 윤병주 인코너 거푸집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68A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KR101316018B1 (ko)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연결시스템
US9650784B2 (en) Modular units for insulating concrete forms
KR100840004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639156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0805192B1 (ko) 저항부재를 갖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CN104350206A (zh) 用于建造混凝土路面的预制模具
KR100839602B1 (ko) 거푸집 패널용 스페이서
KR100805193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구
KR102316529B1 (ko)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KR101273640B1 (ko)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보강구
KR100805195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US20040261342A1 (en) Re-usable non-metallic construction forming system
JP3392132B1 (ja)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200412746Y1 (ko) 거푸집 패널용 스페이서
JP2778272B2 (ja) 壁型枠,壁型枠の製造方法並びに壁型枠を使用した壁の施工方法
KR20000002289U (ko) 거푸집용 유로폼패널
US20100308203A1 (en) Construction
CN210685363U (zh) 一种建筑砼用浇筑腔散拼软模板及其拼装连接件
KR100639158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100805194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20230150599A (ko)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JP3078862U (ja) コンクリートフォームパネル
KR200357639Y1 (ko) 거푸집용 플랫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