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599A -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599A
KR20230150599A KR1020220050171A KR20220050171A KR20230150599A KR 20230150599 A KR20230150599 A KR 20230150599A KR 1020220050171 A KR1020220050171 A KR 1020220050171A KR 20220050171 A KR20220050171 A KR 20220050171A KR 20230150599 A KR20230150599 A KR 2023015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euroform
corner member
assembly
euro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산
Original Assignee
김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산 filed Critical 김동산
Priority to KR102022005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599A/ko
Publication of KR2023015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또는 천정을 연결하는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코너재와 유로폼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재는 유로폼 및 코너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코너재는 접촉되는 유로폼의 일단부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이 가능토록 유로폼과 코너재 사이에 일정한 이동간극을 갖도록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ASSEMBLY FOR CONER MOLD WITH EASILY SEPARATING}
본 발명은 벽면 또는 천정을 연결하는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코너재와 유로폼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재는 유로폼 및 코너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코너재는 접촉되는 유로폼의 일단부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이 가능토록 유로폼과 코너재 사이에 일정한 이동간극을 갖도록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과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해체되는 가설물의 일종이다.
거푸집패널의 재료로는 목재 또는 금속재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평판상의 판재 및 각형 바를 연결하여 구성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규격화되어 제작되는 유로폼(euroform)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폼패널을 이용함으로써 동일 자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므로 자재비의 절감 효과를 갖고 작업을 단순화, 가속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키는 장점을 가져온다.
한편, 상기 거푸집을 설치하는 시공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과 평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 (벽면 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과 기둥과 천장 또는 바닥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코너부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코너에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하다.
상기 코너 거푸집은 코너가 형성된 안쪽에서 모서리 부분의 압력을 지탱하는인코너 패널과 바깥쪽에서 모서리 부분의 압력을 지탱하는 아웃코너 패널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에서 인코너 패널은 일반적으로 서로 직각으로 고정된 철재 플레이트를 용접 또는 리벳팅의 방법으로 부착하고 각 플레이트 사이에 철재편의 보강재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제작되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등록실용신안 제408508호에 인코너용 마감재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유로폼(2)이 접촉되는 직각면에는 상기 유로폼과 맞대어 쐐기, 못, 볼트 등의 결속부재(3)로 상호 결속될 수 있게 " "형의 취부홀(11)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결속부재(3)를 내부에 넣을 수 있도록 인코너의 대각선방향을 개방구(10)로 형성한 "C " 단면형상의 마감재(1)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코너용 마감재는, C자 형상으로 유로폼(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의 유로폼(2) 제거후 타측에 연결되는 유로폼의 제거시 마감재(1)와 유로폼(2)이 동일평면을 형성토록 하여 분리작업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너재 및 연결재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 코너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최소 하중에 의해 코너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코너재 및 연결재를 통하여 벽면 및 천정등의 타설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타격없이 분리가 가능하여 코너재의 사용수명을 늘일 수 있도록 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코너재와 연결재 및 유로폼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재는 유로폼 및 코너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코너재는 유로폼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일단이 지지되는 유로폼과 코너재 타측이 일정한 이동간극을 갖도록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코너재는 C형상으로 일측에 연결재의 지지턱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토록 지지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코너재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유로폼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요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너재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코너재와 유로폼 사이에 이동간극이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연결재는, 유로폼 및 코너재의 가로 및 세로방향 이동을 방지토록 설치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재 및 연결재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코너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최소 하중에 의해 코너재의 분리가 가능하며, 코너재 및 연결재를 통하여 벽면 및 천정등의 타설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타격없이 분리가 가능하여 코너재의 사용수명을 늘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인코너 설치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재 어셈블리의 분해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코너재 어셈블리에 의한 벽체 시공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재 어셈블리의 분리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재에 의한 분리상태도이다.
도6 내지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코너재를 슬래브시공에 적용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코너재 어셈블리(A)는, 복수의 유로폼(200)을 서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300)을 성형할 때 벽체나 천정등의 모서리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코너재(110)와 연결재(15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재(150)는, 구조물의 성형시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면서 측면에 밀착되는 유로폼(200) 및 코너재(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15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턱(155)의 일측에 핀(미도시)이 삽입되는 제1요홀(159)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1요홀(159)에 대향되도록 유로폼(200) 역시 제2요홀(20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너재(110)는, 유로폼(20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유로폼의 타단과 코너재 타측이 일정한 이동간극(C)을 갖도록 함몰되는 동작홀(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재(110)는, 전체적으로 C형상으로 일측에 연결재(150)의 지지턱(155)이 장착될 때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토록 지지홈(11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로폼(200)은, 제2요홀(209)에 연장되어 돌출부(207)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도6 및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슬래브의 시공시 벽면에 별도의 연결재(150)를 적용하거나 벽체를 형성하거나, 도8과 같이 별도의 연결재없이 유로폼(200)을 직접연결하여 사용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코너재(110)는, 도7과 같이 내측면 모서리부의 일측에 하중의 작용시 파손을 방지토록 라운드부가 형성되어도 좋으며, 벽체를 형성하는 일측이 길게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코너재 어셈블리(A)는, 복수의 유로폼(200)을 서로 연결하여 일정면적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300)을 성형할 때 사용되고, 벽체나 천정등의 모서리를 시공할 때 유로폼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코너재(110)와 연결재(15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300)을 성형시 벽체와 천정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재(150)는, 구조물의 성형시 동일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면서 측면에 밀착되는 유로폼(200) 및 코너재(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155)이 일체로 형성되어 유로폼(200)의 돌출부(207) 및 코너재(110)의 지지홈(117)에 물려 유로폼 및 코너재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턱(155)의 일측에 핀이 삽입되는 제1요홀(159)이 형성되어 유로폼의 제2요홀(209)과 대향될 때 이에 삽입되는 핀을 통하여 연결재와 유로폼의 연결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너재(110)는, 유로폼(200)과 접촉될 때 유로폼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하면서 유로폼의 타단과 코너재 타측이 일정한 이동간극(T1)을 갖도록 함몰되는 동작홀(115)이 형성되어 압력의 작용시 코너재가 이동간극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코너재(110)가 외부의 힘 작용으로 이동간극(T1)만큼 이동할 때 상기 코너재(110)는 구조물(300)에서 분리간극(T2) 만큼 분리되어 코너재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재(110)는, 전체적으로 C형상으로 일측에 연결재(150)의 지지턱(155)이 장착될 때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토록 지지홈(117)이 구비되어 연결재가 밀착지지된다.
더하여, 상기 코너재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보강편(114)이 더 구비되어 압력의 작용시 코너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6 및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슬래브의 시공시 벽면에 별도의 연결재(150)를 적용하여 슬래브 및 벽체를 동시에 형성하여도 좋다.
더하여, 도8과 같이 별도의 연결재없이 코너재(110)와 유로폼(200)을 직접연결하여 슬래브 및 벽체를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코너재(110)는, 도7과 같이 내측면 모서리부의 일측에 하중의 작용시 파손을 방지토록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코너재의 분리시 하중이 집중될 때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8과 같이 벽체를 형성하는 일측이 길게 형성되어 슬래브에 적용시 벽체에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를 길게 하게 하중을 벽체에 용이하게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110...코너재 115...동작홀
117...지지홈 150...연결재
155...지지턱 200...유로폼
300...구조물

Claims (4)

  1. 복수의 유로폼에 의한 구조물의 성형시 벽면 또는 천정을 형성하는 유로폼과 상기 유로폼에 연결되면서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코너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재는, 유로폼의 일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토록 유로폼과 코너재 타측이 일정한 이동간극을 갖도록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재는, C형상으로 일측에 연결재의 지지턱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토록 지지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코너재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유로폼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동작홀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재가 외부의 힘 작용으로 이동간극만큼 이동할 때 상기 코너재는 구조물에서 분리간극 만큼 분리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재와 유로폼은 연결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재는, 유로폼 및 코너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코너재의 내측에 보강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KR1020220050171A 2022-04-22 2022-04-22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KR20230150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71A KR20230150599A (ko) 2022-04-22 2022-04-22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71A KR20230150599A (ko) 2022-04-22 2022-04-22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599A true KR20230150599A (ko) 2023-10-31

Family

ID=8854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171A KR20230150599A (ko) 2022-04-22 2022-04-22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5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89215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CN102105644B (zh) 对模板和配件的改进
KR1011655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강재형틀
KR101594974B1 (ko) 복합보
KR20090003307U (ko) 걸이형 슬라브 거푸집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230150599A (ko) 분리가 용이한 코너재 어셈블리
KR100889338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102477121B1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CN210315967U (zh) 预制件安装结构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CN214302170U (zh) 一种装配式建筑
CN220954621U (zh) 一种电梯井道模具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CN220521957U (zh) 一种装配式叠合楼板后浇带处防漏浆结构
CN215926724U (zh) 可周转的异型构造柱定型模具
JPH0419135Y2 (ko)
CN213806068U (zh) 模壳
KR20230075023A (ko)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101034462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200198525Y1 (ko) 목재 벽체거푸집 해체용 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