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986B1 -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 Google Patents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986B1
KR100839986B1 KR1020070050180A KR20070050180A KR100839986B1 KR 100839986 B1 KR100839986 B1 KR 100839986B1 KR 1020070050180 A KR1020070050180 A KR 1020070050180A KR 20070050180 A KR20070050180 A KR 20070050180A KR 100839986 B1 KR100839986 B1 KR 10083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urnace
melting
makeup
ca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열
Original Assignee
(주)기억되는 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억되는 사람들 filed Critical (주)기억되는 사람들
Priority to KR102007005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4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specially adapted to be crem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용융하기 위한 소성로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수용하여 용융시키는 도가니와, 상기 도가니가 올려지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을 개폐하면서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상면(上面)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에 고온의 화염을 공급하도록 분사노즐을 구비한 가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도가니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끝단이 상기 도가니의 외경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화염이 상기 도가니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비교적 저렴한 흑연 도가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 내부를 내화벽돌과 주조가능한 내화물인 캐스터블과 세라믹울을 통해 단열처리를 함과 동시에 받침대와 본체 사이의 틈을 다수개소에서 절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본체와 도어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를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본체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용융용 소성로 내부를 고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장, 유골, 용융, 소성로, 도가니

Description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Furnace for melting remains after cre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의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의 본체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의 도어 및 받침대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11 : 케이스
12 : 내화벽돌 13 : 캐스터블
14 : 세라믹울 15 : 돌출판
16 : 철심 17 : 걸림부
20 : 도가니 30 : 받침대
31 : 바닥판 34 : 롤러
35 : 레일 40 : 도어
41 : 도어판 42 : 고정판
43 : 걸림판재 44 : 걸림봉
45 : 고리부 50 : 덮개부
51 : 관통공 52 : 커버
53 : 마개 54 : 배기공
55 : 링 60 : 가열장치
61 : 가스버너 62 : 분사노즐
63 : 점화기 64 : 가스공급관
65 : 압력조절장치 66 : 밸브
67 : 압력측정기 68 : 송풍기
69 : 온도측정기
본 발명은 시신을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용융하기 위한 소성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수용하여 용융하는 도가니에 가스버너에서 분사된 화염이 직접 닿지 않도록 분사노즐을 도가니와 이격되게 설치함으로써 도가니의 파손을 방지하여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흑연 소재의 도가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가니를 올려놓는 받침대와 도어를 일체로 형성하여 소성로 본체에 결합되도록 하며, 소성로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내화벽돌과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을 도포하고 세라믹 울을 구비한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례는 매장 문화가 발달되어 왔고, 그로 인해 국토의 많은 면적이 분묘에 의해 잠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화장한 유골을 함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납골당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납골당의 경우 건설에 따른 대규모 민원 소요사태, 막대한 건설비용과 사후관리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유골은 도자기 등으로 구성된 함에 내입한 상태에서 서랍장 형태의 수납장에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습기 등에 의해 유골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골을 특정한 장소에 뿌리는 산골의 경우에도 산골 후 고인과의 단절감과 허전함 또는 상실감 등의 문제점이 있어 산골 문화 확산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유골에 대한 일반인들의 시각적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골을 결정체화하여 보관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즉, 화장 후에 남은 유골을 고온에서 재차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만든 다음 이를 작은 크기로 분리시켜 냉각시키게 되면 유골의 본래 부피보다 1/3 ~ 1/5의 부피로 줄어들게 되며, 다양한 색상을 가 진 결정체로 재결정시킴으로써 화장 후의 잿빛 유골에 비해 그 외관에 대한 거부감이 없게 되며, 이를 유리용기 등에 담아 보관할 경우 외관이 미려하여 번거롭게 납골당에 안치시킬 필요없이 각 가정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제조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78496호에는 죽은 사람의 시신에서 수습한 유골을 고온 용융하여 보석처럼 빛깔이 영롱한 구형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78496호에 개시된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에 연결코드로 연결된 제어반 및 본체에 호스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로 구성되며, 본체는 전체적으로 철판으로 된 하우징으로 덮여 있으며, 본체 내부에는 가열기구와, 로 장치 및 가열기구와 로 장치를 전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동기들이 구비되어 있다.
가열기구는 가스 공급관과, 가스 공급관 끝에 연결된 가스 노즐과, 가스 노즐과 연결되는 부위에서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며 가스 공급관을 감싸는 외관과, 외관이 가스 노즐과 만나는 부위에 가까이 설치되며 압축공기 공급관을 연결시키는 엘보우와, 외관에 고정되며 전체적으로 가열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가스 공급관은 연료원에 연결되고, 압축공기 공급관은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가스
와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지지대는 전동기에 연결되어 가열기구를 상하좌우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또한, 로 장치는 용융도가니를 받히는 도가니 받침대와, 도가니 받침대 하부 에 설치된 중량추와, 도가니 받침대를 고정시키고 작동시키기 위한 축과, 축을 회전지지하기 위한 회전받침대로 구성된다. 축의 끝에는 전동기가 연결되어 로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가스 노즐이 직접 도가니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화염이 도가니에 직접 닿게 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게 사용되는 흑연소재의 도가니의 경우 도가니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가격이 비싼 텅스텐 소재의 고온용 도가니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체 내부의 고온에 의해 전동기들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단열벽을 설치하고는 있으나, 그 이외의 부위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본체 내부의 열이 본체의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23870호에는 2000℃의 고온에서 장시간 견딜 수 있는 세라믹재질 또는 알루미나 재질로 구성된 가열용기를 구비하여, 가열노즐에서 나온 화염이 직접 가열용기에 닿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용융하기 위한 도가니에 가스버너의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화염이 직접 닿지 않도록 분사노즐이 도가니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저가의 흑연 소재의 도가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가니를 올려놓는 받침대와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일체로 형성하여 도어를 열면 도가니도 함께 본체에서 이탈하게 하여 용융된 유골의 처리 작업이 수월하게 할 뿐더 러 본체 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에 내화벽돌과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단열재인 세라믹 울을 도포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고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수용하여 용융시키는 도가니와, 상기 도가니가 올려지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을 개폐하면서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상면(上面)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에 고온의 화염을 공급하도록 분사노즐을 구비한 가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도가니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끝단이 상기 도가니의 외경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소성로의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소성로의 본체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소성로의 도어 및 받침대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수용하여 용융시키는 도가니(20)와, 상기 도가니(20)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받침대(3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前面)을 개폐하면서 상기 받침대(30)에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도어(4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50)와, 상기 도가니(20)에 고온의 화염을 공급하도록 분사노즐(62)을 구비하는 가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철강 재질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벽을 따라 적층되는 내화벽돌(12)과, 상기 내화벽돌(12)의 내벽부에 도포되는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Cast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10) 내부에 용융용 도가니(20)가 구비되어 화장 후 남은 유골이 고온으로 용융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1)는 철강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전면(前面)과 상면(上面) 그리고 하면(下面)이 각각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판재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좌우 측면 및 배면 하부에는 후술할 내화벽돌(12)이 적층될 수 있도록 판재형상의 돌출판(15)이 케이스(11)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1)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내화벽돌(12)이 상기 돌출판(15) 위에 다수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내화벽돌(12)의 내벽부에는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 이 도포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판(15)에 처음 적층되는 내화벽돌(12)은 다른 내화벽돌(12)보다 상기 케이스(11)의 내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며, 다른 내화벽돌(12)은 일정한 폭을 유지하며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조가능 내화물인 상기 캐스터블(13)에 의해 둘러싸인 본체(10) 내부의 공간이 전체적으로 원형상으로 되도록 하며, 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후술할 도가니(20)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이격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스터블(13)이 반죽상태에서 상기 내화벽돌(12)에 잘 결합하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봉 형상의 철심(16)이 상기 내화벽돌(12) 사이에 군데군데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내화벽돌(12) 사이에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봉 형상의 철심(16)을 삽입한 후에 반죽 형태의 캐스터블(13)을 상기 내화벽돌(12)과 철심(16)에 도포하되, 상기 가스버너(61)의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이 원호를 그리면서 전파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도가니(20)의 외경부에서 대략 12cm 정도 이격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스터블(13)의 내벽부에 추가적으로 세라믹울(14)을 도포하는 것이 상기 본체(10) 내부의 단열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케이스(11) 상부 모서리 네 곳에는 로우프 등을 연결하여 상기 본체(10)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고리 모양의 걸림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가니(20)는 상부가 개방된 항아리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가니(20)는 가격이 저렴하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흑연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30)는 철강 재질의 바닥판(31)과 상기 바닥판(31) 위에 내화벽돌(12)을 적층하고 그 위에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이 도포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화벽돌(12)은 한층으로 적층할 수 있으나 이층으로 적층하는 것이 단열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다층으로 적층시에는 내화벽돌(12)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봉 형상의 철심(16)을 내화벽돌(12)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적인 단열을 위하여 상기 캐스터블(13) 위에 세라믹울(14)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30)의 좌·우측 하단부에는 롤러(34)를 부착하고, 상기 받침대(30) 하부에 레일(35)을 설치하여 상기 롤러(34)가 상기 레일(35) 위를 왕복함으로써 상기 받침대(30)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30)가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30)의 양 측면과 상기 본체(10)의 하부 측면은 다수 개소에서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30)를 상기 본체(10)에서 분리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경계부는 일정한 틈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대(30)의 바닥판(31)은 단차를 갖는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면의 폭은 상기 케이스(11)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양 돌출판(15)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하고, 상부면의 폭은 상기 돌출판(15) 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폭을 갖되, 상부면과 돌출판(15)이 이루는 틈은 하부면과 상기 케이스(11)의 좌우 측면이 이루는 틈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31)의 상부면에 처음 적층되는 내화벽돌(12)은 상기 바닥판(31)의 상부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하되 상기 케이스(11)의 돌출판(15)에 처음 적층되는 내화벽돌(12)과 동일한 틈을 유지하도록 하며, 그 위에 적층되는 내화벽돌(12)은 상기 돌출판(15)의 다른 내화벽돌(12)과 동일한 틈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받침대(30)의 바닥판(31)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철강 재질의 도어판(41)과, 상기 도어판(41)의 배면에 다층으로 적층된 내화벽돌(12)과, 상기 내화벽돌(12)의 외벽에 도포된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캐스터블(13)을 상기 내화벽돌(12)의 외벽에 도포시에 단면이 오목한 원호 형상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캐스터블(13)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도가니(2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하여 후술할 가스버너(61)의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의 전파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40)를 상기 본체(10)에서 분리시킬 때 적층된 내화벽돌(12) 이 상기 도어(4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쓰러질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도어판(41)의 배면에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봉 형상의 철심(16)을 다수개 용접하되, 상기 철심(16)의 타단부는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사각단면의 고정판(42)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내화벽돌(1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40)의 도어판(41) 좌우 측면 상·하부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걸림판재(4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판재(43)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일단은 고리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가 연결된 걸림봉(44)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40)가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40)와 본체(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상기 걸림봉(44)을 회동시켜 상기 'ㄷ'자 형상의 걸림판재(43)에 걸림봉(44)을 끼운 후 상기 걸림봉(44)의 고리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40)가 상기 본체(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40)의 도어판(41) 전면 하부에는 걸림공이 구비된 고리부(4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리부(45)에 갈고리 등을 끼워 넣어 작업자가 상기 도어(4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열장치(60)에 의해 본체(10)를 가열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10) 및 도어(40)는 고온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40)가 냉각되기 전에는 작업자가 맨손으로 상기 도어(40)를 열 수가 없으므로, 상기 고리부(45)에 갈고리 등을 끼워 넣음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도어(40)를 직접 만지지 않고도 상기 도어(40)를 본체(10)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덮개부(5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관통공(51)이 형성된 커버(52)와, 상기 커버(52)의 관통공(51)을 개폐하는 마개(53)와, 상기 커버(52) 및 마개(53)의 상부를 덮는 세라믹울(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52)는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로 이루어지되 외곽은 사각형상으로 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덮도록 하며, 그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51)은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53)는 상기 커버(52)에 형성된 관통공(51)을 개폐하도록 원형 단면을 가지되 상기 관통공(51)의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마개(53)도 상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 내부가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게 되므로 밀폐되어 있다면 폭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작동을 위하여 본체(10)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마개(53)의 중앙부에는 배기공(5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가스버너(61)의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이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도가니(20)를 가열하여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용융시키되, 상기 본체(10) 내부는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본체(10) 내의 공기가 가열되어 팽창하게 되므로 만약 본체(10)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있다면 상기 본체(10)는 가열공기에 의해 폭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개(53)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기공(54)을 통하여 가열 공기가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본체(10)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개(53)의 상부에는 상기 마개(53)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링(55)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링(55)에 별도의 도구를 연결하여 상기 마개(53)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커버(52)의 중앙부가 개구되어 상기 커버(52)의 중앙부를 통해 새로운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상기 도가니(20) 내부로 투입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커버(52) 및 마개(53)를 덮는 세라믹울(14)은 상기 커버(52)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개(53)에 형성된 배기공(54)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찬가지로 배기를 위한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울(14)은 두께가 대략 1㎝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장치(6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 가스버너(61)와, 상기 가스버너(61)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돌출 삽입되어 화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2)과, 상기 가스버너(61)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버너(61)를 점화시키도록 하는 점화기(63)와, 상기 가스버너(61)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64)과, 상기 가스공급관(64)의 중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버너(61)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65)와, 상기 가스공급관(64)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키는 밸브(66)와, 상기 가스공급관(64)의 중도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67)와, 상기 가스버너(61)와 주름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에 고속으로 산소를 함유한 공기를 다량 공급하며 상기 가스버너(61)의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이 상기 본체(10) 내부로 고속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기(68)와, 상기 본체(10)의 일측벽에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69)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가스버너(61)는 별도로 구비된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 등의 가스탱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본체(10) 내부를 가열시키도록 하며, 상기 가스버너(61)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 내부로 삽입된 분사노즐(62)에 의해 분사된 화염이 화장 후 남은 유골이 수용된 도가니(20)를 가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62)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도가니(20)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편, 그 끝단이 상기 도가니(20)와 상기 본체(10) 내벽에 도포된 캐스터블(13)에 의해 구획되는 화염이 전파되는 통로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배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에 의해 공급된 열이 상기 도가니(20)와 상기 본체(10) 내벽에 도포된 캐스터블(13)로 구획된 화염 전파통로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도가니(20) 외경부 전체을 가열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이 상기 도가니(20)의 외경부에 직접 닿지 않게되어 상기 도가니(20)가 열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우려가 사라지게 된다.
상기 점화기(63)는 상기 가스버너(61)에 공급된 가스에 점화용 스파크를 튀겨주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기 충격에 의한 스파크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스공급관(64)은 일반적인 가스공급용 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스공급관(64) 중도에 설치된 밸브(66)는 공급되는 가스를 인위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콕(cock) 밸브 등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압력측정기(67)는 가스공급관(64)을 통해 가스버너(61)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연동하여 게이지 바늘이 움직이는 일반적인 압력게이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압력조절장치(65)는 가스탱크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다이얼식으로 되어 있어 공급되는 압력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압력조절밸브가 내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송풍기(68)는 블로우팬과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원공급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여 블로우팬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부로 산소가 함유된 공기를 고속 및 다량으로 공급시키는 장치로서, 가스버너(61)의 일측에 주름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68)에 의해 공급된 산소에 의해 가스가 연속적으로 연소할 수 있게 하며, 더구나 상기 가스버너(61)의 화염이 분사노즐(62)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측정기(69)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삽설되어 온도값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서모커플(thermo-couple)과, 상기 서모커플의 저항값을 읽어 온도값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40)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30)를 본체(10)에서 분리하여 받침대(30) 상부에 올려진 도가니(20)에 화장 후 남은 유골을 넣은 후에 받침대(30)를 본체(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어(40)의 도어판(41) 좌우 측면 상·하부에 구비된 단면이 'ㄷ'자 형상의 걸림판재(43)에 본체(10)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된 걸림봉(44)을 회동시켜 상기 'ㄷ'자 형상의 걸림판재(43)에 걸림봉(44)을 끼운 후 상기 걸림봉(44)의 고리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40)가 상기 본체(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가열장치(60)의 가스공급관(64)의 중도에 설치된 밸브(66)를 열어 가스버너(61)에 별도로 구비된 가스탱크에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도록 하며, 점화기(63)를 구동시켜 스파크를 튀겨 주게 되면 가스버너(61)에 화염이 발생되며, 송풍기(68)에 의해 공급된 다량의 산소에 의해 가스가 연소하여 발생된 화염이 분사노즐(62)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전파된다.
상기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은 본체(10) 내부에 도포된 원호 형상의 캐스터블(13) 내벽부를 따라 본체(10)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나선방향으로 선회하 면서 도가니(20)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가니(20)에 화염이 직접 닿지 않게 됨으로써 도가니(20)가 화염에 의한 열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염려가 사라지게 되며, 이로써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흑연 도가니(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0) 내부는 단열을 위하여 내화벽돌(12)과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 및 세라믹울(14)로 덮여 있으며 받침대(30)와 본체(10) 사이의 틈이 다수개소에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0) 내부에 공급된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본체(10) 내부를 고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가스공급관(64)의 중도에 설치된 압력측정기(67)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과 온도측정기(69)를 통해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계측하여 적정 온도에 이르게 되면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압력조절장치(65)와 밸브(66)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도가니(20) 속의 유골이 모두 용융되면 밸브(66)를 잠궈 공급되는 가스를 완전히 차단시키고, 본체(10)에서 도어(40)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30)를 분리시킨다. 이때, 도어(40)는 고온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맨손으로 본체(10)에서 분리시킨다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도어(40)의 도어판(41) 전면 하부의 걸림공이 구비된 고리부(45)에 갈고리 등을 끼워 원거리에서 당기게 되면, 받침대(30)의 좌·우측 하단부에 부착된 롤러(34)가 레일(35)을 따라 구름으로써 상기 도어(40)와 받침대(30)를 본체(10)에서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체(10)에서 분리된 받침대(30)의 상부에 놓인 도가니(20)를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받침대(30)에서 들어올려 화장 후 남은 유골의 용융액을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에 주입하도록 한다.
비워진 도가니(20)를 다시 받침대(30)에 올려 놓고 새로운 유골을 투입한 후에 도어(40)를 밀어 도어(40) 및 받침대(30)가 본체(10)와 결합되도록 하거나, 먼저 도어(40) 및 받침대(30)가 본체(10)와 결합되도록 한 후에 본체(10) 상부에 구비된 덮개부(50)의 커버(52)의 관통공(51)에 결합된 마개(53)를 들어올려 상기 관통공(51)을 통하여 새로운 유골을 투입한 다음에 가스버너(61)를 착화시켜 새로운 유골을 용융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는 도가니에 가스버너의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화염이 직접 닿지 않게 되어 비교적 저가의 흑연 소재의 도가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가니를 올려놓는 받침대와 도어를 일체로 형성하여 도어를 열면 도가니도 함께 본체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용융된 유골의 처리 작업이 수월하게 될 뿐더러, 본체 내부를 내화벽돌과 주조가능한 내화물인 캐스터블과 세라믹울을 통해 단열처리를 함과 동시에 받침대와 본체 사이의 틈을 다수개소에서 절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본체와 도어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를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본체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융용 소성로 내부를 고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육면체 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수용하여 용융시키는 도가니(20)와;
    상기 도가니(20)가 올려지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받침대(3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前面)을 개폐하면서 상기 받침대(30)에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도어(4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上面)을 개폐하는 덮개부(50)와;
    상기 본체(10)에 고온의 화염을 공급하도록 분사노즐(62)을 구비한 가열장치(6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62)은 상기 도가니(20)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끝단이 상기 도가니(20)의 외경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10)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철강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진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벽을 따라 적층되는 내화벽돌(12)과, 상기 내화벽돌(12)에 도포되는 주 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Castabl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전면(前面)과 상면(上面) 및 하면(下面)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의 좌우 측면 및 배면 하부에는 상기 내화벽돌(12)이 적층될 수 있도록 판재형상의 돌출판(15)이 상기 케이스(11)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의 상부 모서리에는 고리 모양의 걸림부(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블(13)은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간이 원형상으로 되도록 하여, 상기 도가니(20)와 이격되도록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돌(12)과 상기 캐스터블(13)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층된 상기 내화벽돌(12) 사이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봉 형상의 철심(16)이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20)는 흑연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철강 재질의 바닥판(31)과, 상기 바닥판(31) 위에 적층된 내화벽돌(12)과, 상기 내화벽돌(12)에 도포된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10) 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1)의 좌·우측 하단부에는 롤러(34)를 부착하고, 상기 받침대(30) 하부에 레일(35)을 설치하여 상기 롤러(34)가 레일(35) 위를 왕복함으로써 상기 받침대(30)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2.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블(13)에는 세라믹울(14)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0)는 철강 재질의 도어판(41)과, 상기 도어판(41)의 배면에 다층으로 적층된 내화벽돌(12)과, 상기 내화벽돌(12)의 외벽에 도포된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블(13)은 단면이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41)의 배면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봉 형상의 철심(16)을 다수개 용접하되, 상기 철심(16)의 타단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사각단면의 고정판(42)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41) 좌우 측면 상·하부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걸림판재(4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를 이루는 철강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진 케이스(11)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걸림판재(43)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단은 고리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가 연결된 걸림봉(4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41) 전면 하부에는 걸림공이 구비된 고리부(4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50)는 주조가능 내화물인 캐스터블(13)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관통공(51)이 형성된 커버(52)와, 상기 커버(52)의 관통공(51)을 개폐하는 마개(53)와, 상기 커버(52) 및 마개(53) 상부를 덮는 세라믹울(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51)은 상방으로 갈 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53)는 상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53)의 상부에는 링(55)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21. 제 18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53)의 중앙부에는 배기공(54)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60)는 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 가스버너(61)와, 상기 가스버너(61)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돌출 삽입되어 화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2)과, 상기 가스버너(61)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버너(61)를 점화시키도록 하는 점화기(63)와, 상기 가스버너(61)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 관(64)과, 상기 가스공급관(64)의 중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버너(61)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65)와, 상기 가스공급관(64)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시키는 밸브(66)와, 상기 가스공급관(64)의 중도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67)와, 상기 가스버너(61)와 주름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에 고속으로 산소를 함유한 공기를 다량 공급하며 상기 가스버너(61)의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화염이 상기 본체(10) 내부로 고속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기(68)와, 상기 본체(10)의 일측벽에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6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기(69)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삽설되어 온도값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서모커플(thermo-couple)과, 상기 서모커플의 저항값을 읽어 온도값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KR1020070050180A 2007-05-23 2007-05-23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KR10083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180A KR100839986B1 (ko) 2007-05-23 2007-05-23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180A KR100839986B1 (ko) 2007-05-23 2007-05-23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986B1 true KR100839986B1 (ko) 2008-06-19

Family

ID=3977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180A KR100839986B1 (ko) 2007-05-23 2007-05-23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9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83B1 (ko) * 2009-10-21 2012-06-19 임병삼 유골 고형화 장치
KR2016013929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세원특수금속 시편제작용 용해로
KR101742103B1 (ko) * 2015-12-29 2017-05-31 주식회사 알앤비 단열재 균열방지를 위한 가열로용 커버부재 및 이를 장착한 가열로
KR20180003862A (ko) * 2016-07-01 2018-01-10 정병학 유골을 이용한 사리 제조장치
CN109579529A (zh) * 2018-11-21 2019-04-05 北京启顺京腾科技有限责任公司 省力调节的罐式煅烧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337U (ja) * 1984-07-31 1986-03-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焼却残渣溶融炉
JPH11108560A (ja) 1997-08-04 1999-04-23 Ariake Serako Kk 金属溶湯の保温炉及び金属溶湯樋
KR100562722B1 (ko) 2004-06-15 2006-03-28 박만우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KR200431054Y1 (ko) 2006-08-29 2006-11-14 김상남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연계구성한 브라운가스 화장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337U (ja) * 1984-07-31 1986-03-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焼却残渣溶融炉
JPH11108560A (ja) 1997-08-04 1999-04-23 Ariake Serako Kk 金属溶湯の保温炉及び金属溶湯樋
KR100562722B1 (ko) 2004-06-15 2006-03-28 박만우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
KR200431054Y1 (ko) 2006-08-29 2006-11-14 김상남 화장재 용융처리를 위한 브라운가스 고온용융도가니로를연계구성한 브라운가스 화장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83B1 (ko) * 2009-10-21 2012-06-19 임병삼 유골 고형화 장치
KR2016013929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세원특수금속 시편제작용 용해로
KR101717924B1 (ko) * 2015-05-27 2017-03-20 주식회사 세원특수금속 시편제작용 용해로
KR101742103B1 (ko) * 2015-12-29 2017-05-31 주식회사 알앤비 단열재 균열방지를 위한 가열로용 커버부재 및 이를 장착한 가열로
KR20180003862A (ko) * 2016-07-01 2018-01-10 정병학 유골을 이용한 사리 제조장치
KR102525834B1 (ko) 2016-07-01 2023-04-26 정병학 유골을 이용한 사리 제조장치
CN109579529A (zh) * 2018-11-21 2019-04-05 北京启顺京腾科技有限责任公司 省力调节的罐式煅烧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986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 용융용 소성로
JP2011078401A (ja) 組み立て式多面体ドーム形状の食品焼成窯
US8915732B1 (en) Ventless fireplace
KR101272160B1 (ko) 화목 가스 가마
US8758673B2 (en) Portable oven
KR101981004B1 (ko) 피자 화덕
JP2010230193A (ja) 火葬炉
JP2006234324A (ja) 陶芸用窯
JP3148001U (ja) 電気炉
KR200263303Y1 (ko) 도가니형 저항전기로
JP6960158B2 (ja) 自己伸長性を有する成型物
KR100446695B1 (ko) 도가니형 저항전기로
WO2005071337A1 (ja) 炉の構造
JPH10185444A (ja) 自動陶芸窯
WO2003008132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frittage d&#39;argile d&#39;argent
JP2524956Y2 (ja) 高温雰囲気炉
KR200449086Y1 (ko) 도자기 소성용 가마
KR101796458B1 (ko) 장작 가마의 댐퍼
CN218460845U (zh) 一种钢包盖烘烤窑结构
US11224228B1 (en) Three sensor oven
CN107270703A (zh) 一种天然气熔铜炉
RU2335719C2 (ru) Камерная печь
JP2001091163A (ja) 多段窯業用窯
KR200226779Y1 (ko) 환원을 겸한 도자기 소성용 전기가마
JP2011179796A (ja) 還元焼成機能付き電気式陶芸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