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731B1 -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731B1
KR100838731B1 KR1020060131397A KR20060131397A KR100838731B1 KR 100838731 B1 KR100838731 B1 KR 100838731B1 KR 1020060131397 A KR1020060131397 A KR 1020060131397A KR 20060131397 A KR20060131397 A KR 20060131397A KR 100838731 B1 KR100838731 B1 KR 10083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terial
fuel cell
solid electrolyte
electrolyte fue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장재하
조남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2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casting molten glass, e.g. 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2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3/00Production processes
    • C03C2203/10Melt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를 결정화 유리에 결합제와 분산매를 첨가하여 복잡한 기구 없이 간단하고 빠른 공정으로 밀봉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하게 밀봉재 제조가 가능한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산화바륨-산화규소-붕산-산화알루미늄 혼합물을 용융시켜 프리트를 제조하고, 그 제조된 프리트를 평균입경 5.4~20.0㎛의 결정화 유리 입자로 분쇄한 후, 여기에 분산매로 자이렌, 아크릴 레진을 프리트 대비 5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첨가하여 결정화 유리 레진을 제조한 후, 그 유리 레진을 원하는 규격의 몰드에 부어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 자이렌, 아크릴 레진, 프리트

Description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alant for solid electrolyte fuel cell}
도1은 평판형 고체전해질연료전지의 단면 구조,
도2는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도3은 밀봉재 제조용 몰드에 밀봉재를 부은 형상,
도4는 제조된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 판,
도5는 비교 예 1로 제조된 밀봉재 판의 크랙,
도6은 비교 예 1로 제조된 밀봉재의 단면 구조,
도7은 비교 예 2로 제조된 밀봉재의 단면 구조,
도8은 발명 예 1로 제조된 밀봉재 판,
도9는 발명 예 3으로 제조된 밀봉재의 단면 구조.
본 발명은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 (sealant)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고체전해질연료전지는 음극, 전해질 및 양극으로 이루어진 단위전지로 구성되고 이 단위전지와 분리판(interconnect)의 여러 개 가 스택을 형성하며, 이 연료전지 스택에서 연료인 수소가스와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있어서, 유리입자에 용매를 첨가한 후 레진을 첨가하여 밀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전해질연료전지는 단위전지의 구성방법에 따라서 평판형(planar design), 원통형(tubular design) 및 적층형(monolithic design)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평판형 연료전지에서는 구성요소와 분리판의 밀봉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도1에 나타내었듯이 평판형 연료전지는 음극, 전해질 및 양극으로 이루어진 단위전지로 구성되고, 이 단위전지 여러 개를 적층하여 스택을 형성하게 되며, 그리고 이 연료전지 스택에서 연료 가스인 수소와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판과 단위전지 구성요소 사이를 밀봉해야 한다.
이와 같이 분리판과 구성요소 사이를 고온에서 기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밀봉재는 열 충격(thermal cycling) 가동 중에도 연료가스와 산화제 (즉 공기)의 장기적으로 안정한 분리가 가능하고, 구성요소와 열화학 (thermochemical) 및 열기계적 (thermomechanical) 보완성이 있어야 하며, 분리판과 접합할 때 단락 (short circuit)이 일어나지 않으며, 그리고 스택 요소와 기계적 및 열적 불일치를 보완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밀봉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는 주로 결정화 유리 (glass ceramics)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재료는 장기간이 아닌 몇 천 시간에는 충분하며, 열 충격은 스택의 가열 및 냉각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며, 유리와 분리판의 화학적 반응으로 부식저항성이 감소되며 그리고 결정화 유리의 취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된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결정화 유리에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섬유를 첨가하는 방안, 운모 등의 원료를 이용하여 압축시킨 단일 및 복합 층으로 된 밀봉재를 제조하는 방안 그리고 운모와 유기 결합제를 물결 모양의 금속 가스켓 (gasket)에 첨가하는 방안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밀봉재의 제조 방법은 주로 일종 조성의 밀봉재를 압착하여 판 (sheet)을 제조하는 방안, 얇은 판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 및 봉상(rod type)으로 만드는 방안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단지 밀봉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밀봉재 판을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유리의 입도분포, 레진 및 분산매의 첨가량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은 잘 보고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형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를 결정화 유리에 결합제와 분산매를 첨가하여 복잡한 기구 없이 간단하고 빠른 공정으로 밀봉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하게 밀봉재 제조가 가능한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바륨-산화규소-붕산-산화알루미늄 혼합물을 용융시켜 프리트를 제조하고, 그 제조된 프리트를 평균입경 5.4~20.0㎛의 결정화 유리 입자로 분쇄한 후, 여기에 분산매로 자이렌, 아크릴 레진을 프리트 대비 5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첨가하여 결정화 유리 레진을 제조한 후, 그 유리 레진을 원하는 규격의 몰드에 부어 건조시킴으로써, 평판 형 고체산화물연료전지용 밀봉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이렌의 첨가량은 2.2~14.9중량% 이고, 아크릴 레진의 첨가량은 16.3~32.6중량% 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리트를 평균입경 5.4~20.0㎛로 하는 이유는, 결정화 유리를 평균입도가5.4㎛ 보다 작으면 결정화 유리와 레진이 함유된 혼합물을 몰드에 부어 건조시킬 때, 건조 중에 제조된 판에서 크랙이 발생하게 되어 부적합하게 된다. 그리고 평균 입경이 20.0㎛ 보다 크면 제조된 밀봉재 판이 강도가 낮아 가공에 적합하지 않고 또한 실제 스택에 적용할 때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크면 잘 융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결정화 유리에 첨가되는 아크릴 레진의 함량이 16.3중량%보다 작으면 밀봉재 판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점성을 지니지 않아 판상으로 펼칠 수 없으며, 그리고 레진이 32.6중량% 이상 첨가되면 밀봉재 판을 단위전지 또는 스택에 적용하여 실링(sealing)할 때 너무 많은 결합제로 인하여 실링재에 다량의 기공이 존재하게 되어 연료가스와 공기가 누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정화 유리에 첨가되는 아크릴 레진의 혼합성과 용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자이렌은 그 함량이 2.2중량% 이하이면 결정화 유리에 첨가되는 레진의 혼합이 어려울 뿐 아니라, 레진이 잘 용해되지 않으며, 그 첨가량이 14.9중량% 이상이면 밀봉재 판의 건조 중에 첨가된 자이렌이 기공을 형성하여 이 밀봉재 판을 사용하면 형성된 기공으로 인하여 충분한 실링을 할 수 없게 된다.
이하, 하기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고체산화물연료전지용 밀봉재 판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었다. 산화바륨 (BaO)-산화규소 (SiO2)-붕산 (B2O3)-산화알루미늄 (Al2O3) 혼합물을 용융시켜 제조한 프리트(frit)를 분쇄하여 3가지 조건으로 결정화 유리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유리 분말은 각각 2.8, 5.4 및 20.0㎛의 평균 입도를 지녔다. 평균입경 2.8, 5.4 및 20.0㎛인 분쇄된 결정화 유리 입자 각각에 자이렌을 2.2~14.9중량%를 습윤시킨 후, 이 혼합물에 아크릴 레진 16.3~32.6중량%를 첨가하여 교반기로 충분히 혼합하여 실링재 원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링재 원료를 그도2에 나타낸 몰드에 부은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다시 2~3회 실링재 원료를 몰드에 충분히 채워서 도3과 같이 밀봉재 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밀봉재 판은 60℃±5℃ 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이 건조된 밀봉재 판을 가공하여 도4와 같이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 판으로 완성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결정화 유리의 평균입경 자이렌 (중량%) 아크릴레진 (중량%) 건조 후 상태 미세구조
2.8㎛ 5.4㎛ 20㎛
비교예1 73.3 10.4 16.3 크랙 발생 도 6
비교예2 62.9 14.9 22.2 " 도 7
발명예1 69.3 6.3 24.4 크랙 없음
발명예2 65.2 2.2 32.6 "
발명예3 73.3 10.4 16.3 " 도 9
발명예4 65.2 2.2 32.6 "
상기 표1의 비교 예 1과 2에서 알 수 있듯이 결정화 유리입자가 2.8㎛ 보다 작으면 레진의 함량 16.3~22.2중량%로 증가시켜도 도5에 나타내었듯이 밀봉재의 건조 중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비교 예 1과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밀봉재 판의 파단면의 미세구조를 각각 도6 및 도7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6 및 도7에서 알 수 있듯이 미세한 유리 입자로 구성되었으나, 첨가된 레진의 형상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첨가된 레진이 미세한 유리 입자의 크랙을 방지 할 수 없었다.
발명 예 1과 2의 평균입경 5.4㎛인 유리 분말에 자이렌 2.2~6.3중량% 및 아크릴 레진 24.4~32.6중량% 첨가시켜 제조한 밀봉재 판은 건조 중에 크랙도 발생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변형도 없이 잘 제조되었으며, 그리고 발명 예 1의 형상은 도8에 나타내었다.
평균입경 20㎛인 결정화 유리분말에 자이렌 2.2~10.4중량% 및 아크릴 레진 16.3~32.6중량 5% 첨가하여 제조한 발명 예 3 및 4의 결과에서도 시편의 건조 중에 크랙이나 변형이 없는 균일한 밀봉재 판 (도3)을 제조 할 수 있었으며, 이 판을 가공하여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 판 (도4)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발명 예 3의 밀봉재 판의 파단면의 미세구조를 도9에 나타내었으며,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굵은 골재 입자에 미세한 유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큰 유리 입자 주위에 아크릴 레진이 분포되어 있어 건조 중에 크랙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 판을 결정화 유리에 결합제와 분산매를 첨가하여 복잡한 기구 없이 간단하고 빠른 공정으로 밀봉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하게 밀봉재 제조가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산화바륨-산화규소-붕산-산화알루미늄 혼합물을 용융시켜 프리트를 제조하고, 그 제조된 프리트를 평균입경 5.4~20.0㎛의 결정화 유리 입자로 분쇄한 후, 여기에 분산매로 자이렌, 아크릴 레진을 프리트 대비 5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첨가하여 결정화 유리 레진을 제조한 후, 그 유리 레진을 원하는 규격의 몰드에 부어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자이렌의 첨가량은 2.2~14.9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레진의 첨가량은 16.3~32.6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KR1020060131397A 2006-12-20 2006-12-20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KR10083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397A KR100838731B1 (ko) 2006-12-20 2006-12-20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397A KR100838731B1 (ko) 2006-12-20 2006-12-20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731B1 true KR100838731B1 (ko) 2008-06-16

Family

ID=3977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397A KR100838731B1 (ko) 2006-12-20 2006-12-20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06B1 (ko) * 2013-12-27 2015-07-21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복합 밀봉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497A (ko) * 2005-03-29 2006-10-11 도쿄토 무연붕규산(無鉛硼珪酸)염 유리 프릿 및 그 유리 페이스트
KR20060129462A (ko) * 2004-02-16 2006-12-15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이용한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462A (ko) * 2004-02-16 2006-12-15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이용한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060105497A (ko) * 2005-03-29 2006-10-11 도쿄토 무연붕규산(無鉛硼珪酸)염 유리 프릿 및 그 유리 페이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06B1 (ko) * 2013-12-27 2015-07-21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복합 밀봉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3880B2 (ja) 固体酸化物燃料電池用密封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658684B2 (en) Sanbornite-based glass-ceramic seal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EP2519990B1 (en) Thin, fine grained and fully dense glass-ceramic seal for sofc stack
CN102145978B (zh) 用于连接SiC陶瓷的玻璃焊料、制备方法及应用
KR20130019408A (ko) 고온에서 작동하는 장치의 가스켓용 비트로 세라믹 유리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조립방법
Goel et al. Optimization of La2O3-containing diopside based glass-ceramic sealants for fuel cell applications
KR20120104511A (ko) 고온에서 작동되는 장치의 개스킷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조립 방법
CN102531392A (zh) 一种低温共烧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00073833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결정화 유리 복합체 밀봉재의 제조 방법
US6475938B1 (en) Method of forming a glass ceramic material
KR100838731B1 (ko) 고체전해질연료전지용 밀봉재의 제조방법
KR100693938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고온 밀봉재
US11731897B2 (en) Sealing compositions
CN106486638B (zh) 一种电池绝缘环及其制备方法及使用该绝缘环的动力电池
EP3728150B1 (en) Sealing compositions
KR101180217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밀봉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8631A (ko)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밀봉재 및 그 제조방법
AU2021218224B2 (en) Glass composition for fuel cell stack sealing
KR20230146033A (ko) 연료전지 스택을 밀봉하기 위한 유리 조성물
CN117756543A (zh) 一种高温合金用高纯度、高抗热震性氧化锆坩埚
CN115304380A (zh) 一种辊道窑传动用碳化硅辊棒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