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509B1 - 펠팅 니들 - Google Patents

펠팅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509B1
KR100838509B1 KR1020060132723A KR20060132723A KR100838509B1 KR 100838509 B1 KR100838509 B1 KR 100838509B1 KR 1020060132723 A KR1020060132723 A KR 1020060132723A KR 20060132723 A KR20060132723 A KR 20060132723A KR 100838509 B1 KR100838509 B1 KR 10083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ntations
section
partial
sections
f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031A (ko
Inventor
프랭크 포크
위르겐 바이트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6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felting needle)은 그 각각이 직선 에지(edge)로 바람직하게 구현되는 두 개의 부분 섹션(section ; 15, 16)들을 갖는 작업부(working part ; 12)를 포함한다.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 약간 꼬인다. 각각의 부분 섹션은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offset)되어 배열된 압입부(indentation)를 갖는 압입부의 적어도 하나의 링을 구비한다. 그 결과, 모든 노치(notch)는 두 개의 부분 섹션(15, 16)들 사이의 섹션의 약간의 꼬임에도 불구하고 종축(14)의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향된다. 따라서, 펠팅 니들은 종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인열 저항(tearing resistance)을 갖는 양모(fleece) 재료 및 니들 천공된 펠트 재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펠팅 니들, 섕크, 압입부, 에지, 섹션

Description

펠팅 니들{Felting needle}
도 1은 펠트 재료 제조용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의 측면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의 변형 실시예의 측면으로부터의 확대도.
도 5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의 정면도.
도 6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의 상이한 변형 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8: 니들 보드 9: 펠팅 니들
11: 섕크 12: 작업부
15, 16: 부분 섹션 21, 22, 23, 24, 25, 26: 압입부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05년 12월 27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 05 028 503.0호 의 우선권을 청구하고, 그 요지가 전체로서 참조로 본원에 합체되었다.
본 발명은 펠팅 니들(felting needle)에 관한 것이다.
펠팅 니들들은 펠트 및 양모(fleece) 재료의 제조에 사용되고 엉킨 섬유의 양모를 강화하기 위해 양모 재료를 통해 신속하게 반복된 시퀀스(sequence)로 천공된다. 그 결과, 양모 내의 섬유는 얽히고 양모는 더 치밀해진다.
원리적으로, 이 목적에 적합한 펠팅 니들들은 DE 21 01 769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은 직선형 작업부 뿐만 아니라 나사형 작업부를 포함하는 펠팅 니들을 개시하고 있다. 작업부는 직선형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작업부들의 에지는 압입부(indentations)들을 구비한다.
비치밀 상태(non-compacted state)에서, 펠팅 니들들로 치밀화될 섬유 양모는 예를 들면 섬유가 하나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섬유 웨브(web)(카드 웨브)의 다수의 층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 유형의 섬유 웨브가 예를 들어 DE 21 01 769 A1호에 따른 직선형 펠팅 니들로 치밀화되면, 상이한 인열(tearing) 또는 파단(breaking) 저항이 대부분 종방향 및 측방향에 발생하고,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한편, DE 21 01 769 A1호로부터 공지된 꼬인 작업부들를 갖는 펠팅 니들들이 사용되면, 작업부들의 꼬임은 더 큰 천공 구멍 및 니들 펠트 프로세스의 낮은 효율을 초래한다.
US 461,602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대향 방향으로 대면하는 압입부를 갖는 각각의 에지를 제공함으로써 니들 펠트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직선형 뿐만 아니 라 꼬인 작업부를 갖는 펠팅 니들을 사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수단은 기본적으로 니들 펠트 프로세스의 순서를 변경하여 대부분 니들 펠트 제품의 외관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준다.
이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표면 방향으로 인열 저항의 차이가 감소되는 고효율 양모 및 펠트 재료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펠팅 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에 정의된 바와 같은 펠팅 니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은 압입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섹션들로 분할되는 작업부(working part)를 갖는다. 양 부분 섹션들은 압입부들을 구비한 에지들을 갖고, 이 에지들은 적어도 압입부를 갖는 구역에서 작업부의 종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 수단의 결과로서, 압입부는 꼬이지 않은(non-twisted) 펠팅 니들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천공 인입(punching in) 방향(또한 그의 역방향)으로 배향되고, 따라서 이들이 천공 인입 중에 최고 가능한 수의 섬유까지 취출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니들 펠트 프로세스에 효율적으로 기여한다. 이들 부분 섹션들 사이에서, 작업부가 그 종축 둘레에서 꼬이거나 선회된다. 따라서, 동일 에지를 따라 제공된 압입부는 천공 인입 중에 상이한 섬유 그룹을 정렬하지 않고 취출하고, 이에 의해 니들 펠트 효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직선형으로 설계되고 꼬이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부의 꼬인 또는 선회된 섹션은 짧은 꼬인 섹션에 제한된다. 이 이유로, 전체 길이에 걸쳐 꼬여진 작업부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천공 인입 구멍 둘레로 섬유를 유도하여 이 구멍을 확장시키는 경향은 이 경우에 관찰될 수 없다. 오히려, 이 경우의 니들 펠트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에서 효율적이며, 이에 의해 높은 종방향 및 측방향 인열 저항을 갖는 양모를 형성한다. 특히, 측방향 및 종방향 인열 저항에 대해 측정된 값에 근사하여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은 특히 방향층들을 갖는 다층 웨브로부터 양모 또는 펠트 재료를 제조하는데 적합하지만, 또한 명백한 배향을 갖지 않는 니들 펠트 엉킨 섬유층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섬유층은 종종 "섬유 웨브"라 불린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부의 각각의 부분 섹션은 압입부의 적어도 하나의 링을 구비하고, 바람직한 경우에 정확하게 압입부의 하나의 링을 구비한다. 이 경우, 작업부의 부분 섹션의 각각의 에지는 정확하게 하나의 압입부를 구비한다. 삼각형 단면에 있어서, 따라서 3개의 압입부가 부분 섹션에 형성된다. 이들 압입부는 바람직하게는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또는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이웃하는 에지의 두 개의 압입부의 축방향 오프셋은 대략 3mm 내지 4mm, 바람직하게는 3.18mm이다. 이 경우, 압입부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선을 따라 배열되지만, 상이한 배열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작업부의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은 더 긴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부분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압입부의 링을 구비하고, 두 개의 섹션들은 꼬인 섹션에 의해 분리된다. 바람직한 경우에, 이 거리는 6mm 내지 7mm, 바람직하게는 6.35mm이다. 서로 가장 근접하게 되는 일렬로 된 두 개의 압입부, 즉 부분 섹션의 압입부의 링에 있는 그러한 압입부는 바람직하게는 작업부의 상이한 에지에서 구현된다. 이는 니들 펠트 효율을 증가시키고 제조되는 양모 재료의 횡단 및 종방향 인열 저항을 균등화한다.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의 압입부의 링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나사선(screw line)에 위치될 수 있다. 나사선은 상이한 피치(pitch), 상이한 권취 방향, 또는 또한 바람직한 동일한 피치를 가질 수 있다.
꼬임 섹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은 바람직하게는 부분 섹션의 수와 각각의 부분 섹션의 에지의 수를 곱한 값으로 360°를 나눈 값인 각도에 의해 종축 둘레로 꼬인다. 삼각형 단면 및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을 갖는 펠팅 니들의 경우, 꼬임각은 60°(360°/(2 ×3) = 60°)이다. 3개의 부분 섹션 및 삼각형 단면을 갖는 펠팅 니들에 있어서, 이 식은 40°의 꼬임각이 된다. 정사각형 단면 및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을 갖는 작업부에 있어서, 이는 45°의 꼬임각이 된다. 따라서, 부분 섹션의 에지는 달성 가능한 양호한 니들 펠트 효율에 기인하여 바람직한 "갭을 갖고 배열"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부가의 상세는 도면,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로부터 이어진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 및 펠트 재료 제조용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섬유 웨브로부터 니들 천공된 펠트 또는 양모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시스템은 이에 따라 섬유 박편(flake)(3)을 처리함으로써 종방향으로 방향성 층을 갖는 섬유 웨브(2)를 생성하기 위해 다수의 롤러들을 갖는 소위 카드(1)를 포함한다. 카드(1)는 섬유 박편의 섬유를 기계적으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세척하며, 정제하고 이들을 섬유 웨브로 배열하는 기능을 한다. 이 웨브는 교차 스택커(stacker) 또는 횡단 스택커(5)로 섬유 웨브를 이송하는 운송 벨트(4)에 전달된다. 이 교차 스택커(5)는 다수 층으로 이루어진 스택(6 ; stack)을 생성하고, 중첩 층은 상이한 배향을 갖는다. 스택(6)은 이를 펠팅 니들(9)을 갖는 니들 보드(8)를 포함하는 니들 펠트기(7)에 공급한다. 이들은 화살표 1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하고, 따라서 스택 내로 반복적으로 천공하여 이를 펠트 또는 양모 재료로 치밀화한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펠팅 니들(9)의 실시예에 있다. 이 유형의 펠팅 니들(9)은 도 2에 예로서 도시된다. 펠팅 니들(9)은 원통형 섕크(11)가 이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상태로 상부에 더 도시되지 않은 체결 섹션을 갖는다. 섕크(11)는 그 팁(13)을 통해 연장하는 종축(14)에 동심이고 직선으로 배열된 작업부(12)로 전이된다. 섕크(11)는 바람직하게는 종축(14)에 동심으로 배열된다.
작업부(12)는 엉킨 섬유의 니들 펠트를 위해 사용되는 펠팅 니들(9)의 섹션을 나타낸다. 이는 꼬인 섹션(17)(꼬인 구역)에 의해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섹션(15, 16)들로 이루어진다. 팁(13)이 부분 섹션(16)에 구현될 때, 부분 섹션(15)은 섕크(11)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섕크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다.
도 3은 부분 섹션(15, 16)들 및 그 사이에 배열된 섹션(17)의 사시도를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부분 섹션(15, 16)들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삼각형인 동일 단면을 갖고, 단면은 또한 예를 들면 2개, 4개 또는 다수의 단면, 별형 단면 등의 형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업부(12)는 3개의 연속 에지(18, 19, 20)들을 갖는다. 에지(18)는 부분 섹션(15)을 따른 에지(18a)로서, 구역(17)을 따른 에지(18b)로서, 그리고 부분 섹션(16)을 따른 에지(18c)로서 연장한다. 대응적으로, 에지(19, 20)들은 작업부(12)의 길이에 걸쳐 에지(19a 내지 19c 및 20a 내지 20c)처럼 연장한다. 에지(18a, 19a, 20a)들은 바람직하게는 직선형으로 구현되고 종축(14)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동일 방식으로, 에지(18c, 19c, 20c)들은 바람직하게는 직선형으로 구현되고 종축(14)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에지(18b, 19b, 20b)들은 나사산을 따르고, 본원의 경우에는 좌향 나사 볼트의 나사선을 따른다. 최종 꼬임을 도시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고, 꼬임 영역의 도시가 도 5에는 생략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지(18a, 18b, 19a, 19c, 20a, 20c)들은 각각 쌍으로 배열되고 오프셋된다. 꼬임각은 360°와 부분 섹션(15, 16)들의 수(본 경우에는 2)와 에지(18, 19, 20)들의 수(본 경우에는 3)의 적으로부터의 몫으로서 계산된다. 따라서, 회전각은 60°이고, 에지(18c, 19c, 20c)들은 에지(18a, 19a; 18a, 20a; 19a, 20a)들 사이의 거리 사이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3개의 압입부(21, 22, 23)들을 갖는 압입부의 적어도 하나의 링이 작업부(12)의 부분 섹션(16)에 제공된다. 게다가, 3개의 압입부(24, 25, 26)들을 갖는 압입부의 적어도 하나의 링이 부분 섹션(15)에 제공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압입부는 각각의 부분 섹션(15, 16)들의 각각의 에지(18a, 19a, 20a 및/또는 18c, 19c, 20c)들에 할당된다. 압입부는 바람직하게는 천공 인입 방향으로, 즉 팁(13)을 향해 배향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대향 방향으로 배향된 압입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압입부(21 내지 26)들은 종축(14)에 평행하게 배열된 에지(18a, 19a, 20a 및/또는 18c, 19c, 20c)들을 따라 위치된다. 에지(18a, 19a, 20a 및 18c, 19c, 20c)들의 평행선은 적어도 압입부(21 내지 26)들을 포함하는 구역에 걸쳐 연장한다. 압입부(21 내지 26)들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종축(14)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각각의 부분 섹션(15, 16)들에서, 각각의 압입부(24, 25, 26 및/또는 21, 22, 23)들은 이들이 나사선을 따라 배치되도록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 섹션(15) 상의 나사선은 항상 동일한 피치 및 권취 방향을 갖는다. 이 경우, 권취 방향은 항상 구역(17)의 권취 방향에 반대이다. 그러나,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권취 방향에 있을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압입부의 링에 의해 결정된 나사선의 권취 방향에 의해서만 상이하다. 이와 달리, 도 3에 따른 펠팅 니들(9)의 설명은 또한 도 4에 따른 실시예에도 대응적으로 적용되고, 그 역도 또한 같다.
압입부의 각각의 링의 압입부(21, 22, 23 및/또는 24, 25, 26)들은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4mm의 범위이지만, 바람직하게는 3.18mm인 거리(A)로 배열된다. 이 경우에 측정된 거리는 압입부의 개시부 또는 대안적으로 압입부에 대해 결정된 임의의 다른 기준점 사이의 거리이다. 종방향에 대해 서로 가장 근접한 양 부분 섹션(15, 16)들의 압입부(23, 24)들은, 바람직하게는 구역(17)의 길이보다 상당히 길고 또한 거리(A)보다 긴 거리(B)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거리(B)는 거리(A)의 길이의 두 배이고, 바람직한 경우에 6.36mm이다.
구역(17)에서의 작업부(12)의 꼬임 또는 선회의 결과로서,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3개의 에지만을 가질지라도 6각형 니들의 방식으로 기능하는 펠팅 니들이 얻어진다. 따라서 양모 재료의 니들 펠트 동안에, 더 많은 섬유가 다수의 방향으로부터, 즉 방향(14)에서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압입부의 배향의 결과로서 취출된다. 이는 양모 재료의 다양한 응력 방향에 의해 인가된 인열력의 적응에 유리하게 영향을 준다. 게다가, 천공된 구멍의 크기 및 섬유로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작업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천공 구멍 둘레의 섬유의 고정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펠팅 니들(9)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작업부 단면의 보조하에 상이한 작업부 단면을 갖는다. 본 경우에 서로에 대한 부분 섹션(15, 16)의 꼬임은 45°이다(360°: (2 ×4) = 45°; 두 개의 부분 섹션들 및 4개의 에지). 8개의 에지 펠팅 니들의 효과가 달성되고, 니들 펠트 효율은 압입부를 구비하는 에지의 종방향 배향에 기인하여 이전의 예에서 특히 높다.
이하의 작업 단계가 양모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다양한 뱃치(batch) 및 직선화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스택은 도 1에 도시된 니들 보드(8) 하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천천히 이동된다. 이 공정에서, 니들 보드(8)의 펠팅 니들(9)은 스택을 통해 급속한 순서로 천공한다. 펠팅 니들(9)은 이들 각각의 팁(13)으로 스택을 관통하고, 초기에 압입부(21, 22, 23)가 섬유를 취출하고 이어서 이들을 하향 견인한다. 부가의 진행 동안, 이후에 꼬인 구역(17)이 재료를 통해 천공하고 압입부(24, 25, 26)를 구비한 직선형 부분 섹션(15)으로 이어진다. 이들 압입부는 압입부의 이전의 링의 압입부에 대해 오프셋되고 따라서 펠트를 위해 천공 구멍 내로 재차 견인되는 다른 섬유를 취출한다. 복귀 행정 중에, 부분 섹션(15)은 초기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활주하고, 이어서 이는 꼬인 섹션(17)의 통과 중에 변형되고, 직선형 부분 섹션(16)이 활주되어 나온다. 꼬인 섹션(17)의 통과의 결과로서, 구멍 내로 견인된 스레드(thread)가 잔류 섬유체 내로 가공되고, 이는 양모 재료의 강도를 보강한다.
부분 섹션(15, 16)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단면(Q1, Q2)을 갖고, 따라서 동일한 수의 에지(18a, 19a, 20a 및/또는 18c, 19c, 20c)를 또한 각각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펠팅 니들(9)은 두 개의 부분 섹션(15, 16)들을 구비한 작업부(12)를 갖고, 여기서 각각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에지로 구현된다. 두 개의 부분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 약간 꼬인다. 각각의 부분 섹션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 압입부를 갖는 압입부의 적어도 하나의 링을 구비한다. 그 결과, 모든 압입부는 두 개의 부분 섹션(15, 16)들 사이의 약간의 꼬임에도 불구하고 종축(14)의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향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펠팅 니들에 의해, 양모 재료 및 니들 천공된 펠트가 제조될 수 있고, 이는 종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인열 저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은 다양한 변형, 변경 및 적응이 용이하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펠팅 니들은 다양한 표면 방향에서의 인열 저항의 차이가 감소되는 고효율 양모 및 펠트 재료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6)

  1. 종방향(14)을 규정하고 작업부(12)가 그 상부에서 구현되는, 두 개의 코너 또는 다중 코너 단면(Q1, Q2)을 갖는 종방향 섕크(11)를 갖고,
    상기 작업부(12)는 압입부(21 내지 26)들을 구비하고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섹션(15, 16)들로 분할되며, 상기 섹션들에서 적어도 이들 압입부(21 내지 26)들의 구역에서의 에지(18a, 19a, 20a; 18c, 19c, 20c)들은 종방향(1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 선회된 단면(Q1, Q2)들을 갖는 펠팅 니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18a, 19a, 20a; 18c, 19c, 20c)들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3. 제 1 항에 있어서, 꼬임 섹션(17)이 상기 부분 섹션(15, 16)들 사이에 구현되고, 이 꼬임 섹션은 종방향(14) 둘레에서 나사선으로 연장하는 에지(18b, 19b, 20b)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 섹션(17)은 압입부를 갖지 않고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21 내지 26)들은 종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에지(18a, 19a, 20a; 18c, 19c, 20c)들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21 내지 26)들은 나사선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분 섹션(16)의 압입부(21 내지 23)들은 다른 부분 섹션(15)의 압입부(24 내지 26)들과 동일한 나사선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분 섹션(16)의 압입부(21 내지 23)들은 다른 부분 섹션(15)의 압입부(24 내지 26)들과 상이한 나사선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들은 대향 방향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섹션(16, 15)들의 압입부(21 내지 26)들은 각각의 에지(18a, 19a, 20a; 18c, 19c, 20c)를 따라 각각 측정되고 하나의 에지(18, 19, 20)를 따라 상기 꼬임 섹션(17)을 가로질러 측정된 압입 간격(B)보다 상당히 짧은 압입부들 사이의 거리(A)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분 섹션(15, 16) 내의 압입 간격(A)은 두 개의 부분 섹션(15, 16)들 사이의 압입 간격(B)의 크기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섹션(15, 16)들의 압입 간격(A)은 3mm 내지 4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섹션(15, 16)들 사이의 압입 간격(B)은 6mm 내지 8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12)는 삼각형 단면(Q1, Q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15.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한 상기 부분 섹션(15, 16)들의 꼬임각은 부분 섹션(15, 16)들의 수로 나누고, 이어서 상기 작업부(12)의 에지(18, 19, 20)들의 수로 360°를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21 내지 26)들은 종방향(14)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팅 니들.
KR1020060132723A 2005-12-27 2006-12-22 펠팅 니들 KR100838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8503.0 2005-12-27
EP05028503A EP1806444B1 (de) 2005-12-27 2005-12-27 Filznad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31A KR20070069031A (ko) 2007-07-02
KR100838509B1 true KR100838509B1 (ko) 2008-06-17

Family

ID=3635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723A KR100838509B1 (ko) 2005-12-27 2006-12-22 펠팅 니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46418B2 (ko)
EP (1) EP1806444B1 (ko)
JP (1) JP4496207B2 (ko)
KR (1) KR100838509B1 (ko)
CN (1) CN1990931B (ko)
DE (1) DE502005007017D1 (ko)
ES (1) ES2322159T3 (ko)
TW (1) TWI3211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6444B1 (de) * 2005-12-27 2009-04-01 Groz-Beckert KG Filznadel
JP2009012132A (ja) 2007-07-05 2009-01-22 Denso Wave Inc 多関節型ロボットおよびワーク受け渡し方法
CN101638831B (zh) * 2008-07-30 2011-01-05 青岛锦钻针业有限公司 刺针
DE502009000627D1 (de) * 2009-02-12 2011-06-16 Groz Beckert Kg Nadel für eine Textilmaschine
CN102817185B (zh) * 2012-08-28 2014-12-24 无锡市华润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纺针
CN102817186B (zh) * 2012-08-28 2015-08-19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布料无纺针
WO2017127449A1 (en) 2016-01-19 2017-07-27 Schaefer Emily B Footwear with felting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CN114098223A (zh) 2016-01-19 2022-03-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材料间的刺绣过渡部的鞋类
US10321738B2 (en) 2016-01-19 2019-06-18 Nike, Inc. Footwear with embroidery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US10448706B2 (en) 2016-10-18 2019-10-22 Ni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footwear with fel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01769A1 (en) 1971-01-15 1972-07-20 Sievers, Klaus, 2000 Hamburg Felting needle - with beard nicks at uniform angles after twisting
US4030170A (en) 1975-04-23 1977-06-21 Torrington Gmbh Felting needle
JPS6244092U (ko) 1985-09-02 1987-03-17
JPH05214659A (ja) * 1992-02-03 1993-08-24 Organ Needle Co Ltd フェルト製造用針およびその製法
EP1806444A1 (de) * 2005-12-27 2007-07-11 Groz-Beckert KG Filznade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02A (en) 1891-10-20 Alfred julius boult
US1073140A (en) * 1912-10-14 1913-09-16 Witmer J Kendig Sewing-needle.
US2873507A (en) * 1956-03-06 1959-02-17 Torrington Co Felting needle
US3353243A (en) * 1965-12-15 1967-11-21 Edson P Foster Felting needle
US3566663A (en) * 1967-06-01 1971-03-02 Singer Co Felting needle
US3479708A (en) * 1968-05-15 1969-11-25 Edson P Foster Felting needle
US3645222A (en) * 1970-09-24 1972-02-29 Singer Co Self-threading sewing machine needle
US3727276A (en) * 1971-04-06 1973-04-17 E Foster Felting needle
US3753412A (en) * 1971-12-02 1973-08-21 Torrington Co Selectively hardened needles
US3976525A (en) * 1973-08-10 1976-08-24 Fiber Bon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needled scouring pad
DD243055A1 (de) * 1985-11-27 1987-02-18 Textiltech Forsch Filznadel zum nachnadeln von textilen flaechengebilden
JPH0116785Y2 (ko) * 1986-04-12 1989-05-17
CN2066034U (zh) * 1990-03-01 1990-11-21 薛同乐 高断位无应力针刺针
CN2075662U (zh) * 1990-09-28 1991-04-24 周彬弟 一种针刺生产用刺针
FR2718758B1 (fr) * 1994-04-18 1996-06-14 Aerospatiale Procédé et machine pour la réalisation d'une armature pour une pièce de matière composite.
JPH0827654A (ja) * 1994-07-07 1996-01-30 Sekisui Chem Co Ltd 熱成形性繊維複合材料の製造方法
US6233797B1 (en) * 1999-07-13 2001-05-22 Groz Beckert Kg Felt needle
DE102004037716B4 (de) * 2004-08-04 2009-04-02 Groz-Beckert Kg Nachbehandlungsnadel für textile Flächengebil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01769A1 (en) 1971-01-15 1972-07-20 Sievers, Klaus, 2000 Hamburg Felting needle - with beard nicks at uniform angles after twisting
US4030170A (en) 1975-04-23 1977-06-21 Torrington Gmbh Felting needle
JPS6244092U (ko) 1985-09-02 1987-03-17
JPH05214659A (ja) * 1992-02-03 1993-08-24 Organ Needle Co Ltd フェルト製造用針およびその製法
EP1806444A1 (de) * 2005-12-27 2007-07-11 Groz-Beckert KG Filzna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6207B2 (ja) 2010-07-07
US7246418B2 (en) 2007-07-24
DE502005007017D1 (de) 2009-05-14
EP1806444A1 (de) 2007-07-11
TW200738927A (en) 2007-10-16
JP2007177387A (ja) 2007-07-12
ES2322159T3 (es) 2009-06-17
CN1990931B (zh) 2010-08-11
CN1990931A (zh) 2007-07-04
EP1806444B1 (de) 2009-04-01
TWI321175B (en) 2010-03-01
US20070143975A1 (en) 2007-06-28
KR20070069031A (ko) 200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509B1 (ko) 펠팅 니들
KR101085373B1 (ko) 평평한 텍스타일 직물을 바느질하기 위한 니들
DE112009005271T5 (de) Schneidwerkzeug
KR20180124896A (ko) 섬유 강화 수지 성형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US5148584A (en) Apparatus for needling a nonwoven web
DE202010011380U1 (de) Schutzhandschuh
EP0544167B1 (de) Papiermaschinenbespannung, insbesondere Trockensieb
DE102005032779C5 (de) Sicherheitseinlage, insbesondere Schnittschutzeinlage
CN112011899B (zh) 用于针刺机的剥网板和托网板
US8789244B2 (en) Wire profile for card clothing
EP1184511B1 (de) Filz für die Papierherstellung
GB2216913A (en) Stitch-bonded fabric
EP1500733B1 (de) Strickmaschinennadel
EP1408142B1 (de) sägezahndraht für karden-garnitur
EP1526193B1 (de) Garnitur an einem Fixkamm einer textilen Kämm-Maschine
EP1745172B1 (en) Structuring needle for treating fiber webs
EP2172584A1 (de) Strickmaschinennadel mit geschlitztem Mäanderbogen
DE102004052414B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ine biaxiale Gitterstruktur aufweisenden Kettenwirkware mit großen Gitteröffnungen
EP1273688B1 (de) Verwendung einer Lochnadel für Wirkmaschinen zur Herstellung von Gewirken
DE102014219225A1 (de) Transportband
DE102007023978A1 (de) Flor - Einlegevorrichtung zur Herstellung gleichmässiger Polfaser - Vlieswirkstoffe auf Nähwirk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