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422B1 -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감량용 피부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 Google Patents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감량용 피부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422B1
KR100838422B1 KR1020037015487A KR20037015487A KR100838422B1 KR 100838422 B1 KR100838422 B1 KR 100838422B1 KR 1020037015487 A KR1020037015487 A KR 1020037015487A KR 20037015487 A KR20037015487 A KR 20037015487A KR 100838422 B1 KR100838422 B1 KR 10083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t
butan
formula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661A (ko
Inventor
하라마리코
사토유리에
이케모토다케시
이노우에신타로
니시오히로유키
모리모토야스오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03Monocyclic carbocyclic rings other than cyclohexane rings; Bicyclic carbocyclic ring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이한 방향이나 맛을 갖지 않고 범용 특성이 뛰어나며, 또한 전신 또는 국소의 지방조직의 감소를 촉진하여 비만체질의 개선, 또는 동조직의 증대를 방지함으로써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에 유효한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감량용 피부 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및 의약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3045048312-pct00007
(상기 화학식1에서, Z는 하기 화학식 2, 3으로 나타나는 어느 원자단을 나타내고; R1, R2는 수소원자, 또는 글루코스 잔기이다. 단, R1 또는 R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수소원자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3045048312-pc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03045048312-pct00009

Description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감량용 피부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LIPOLYSIS ACCELERATOR, COSMETIC SKIN PREPARATION FOR BODY WEIGHT REDUCTION AND FOOD OR BEVERAGE COMPOSITION EACH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DUCING BODY WEIGHT EACH BASED ON ACTIVITY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신 또는 국소 지방 조직의 감소를 촉진하여 비만 체질의 개선, 또는 동조직의 증대를 방지함으로써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에 유효한 지방 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이의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및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총 섭취 칼로리의 증가, 특히 지방 섭취량의 증가에 따라서, 비만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과영양에 기초하는 체지방의 과잉 축적 상태로 소비 에너지에 대해서 섭취 에너지가 과잉이 되면 그 과잉분을 백색 지방 세포의 중성 지방(체지방)으로서 축적하여 발생한다. 체지방으로서의 축적이 큰 비만은 미용상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지혈증(고콜레스테롤 혈증 또는 고트리글리세리드 혈증), 지방간, 당뇨병, 고혈압 등의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들 질병 중, 고지혈증은 혈청 지질 즉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인지질, 유리 지방산 등 중 1종 이상의 성분이 이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이고, 상기 상태가 장기간 계속되면 동맥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하기 쉬워져, 동맥 경화를 발생 진전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지방간은 영양과다나 알콜류의 과잉 섭취 등에 의해 간장 내에 지질, 특히 중성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특히 비만에 의한 과영양성의 지방간은 과잉의 칼로리 섭취에 의해, 말초의 지방 조직으로부터의 지방산 동원(動員)이 증가하고, 또한 간에서의 지방산 합성·중성 지방 합성이 항진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종합임상, 제 50 권, 제 12 호, 3215-3221 페이지, 2001년).
고지혈증이나 지방간의 치료 방법으로서는 식사 요법과 적절한 운동 요법이 있지만,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 약제가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서는 고지혈증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나 피브라이트계 약제를 들 수 있다(쇼와의학회 잡지, 58권, 5호, 397-401페이지, 1998년).
한편, 특히 여성은 비만이 아니어도 외관상으로 슬림하고 단단한 몸을 갈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복강내 내장 지방[장간막 지방이나 대망(大網)지방]의 축적은, 비만인 사람 뿐만 아니라 정상 체중인 사람에게 있어서도 종종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해명되고 있다(종합 임상, 제 50 권, 제 12 호, 3277-3282 페이지, 2001년).
상기 이유에 의해, 체지방이 축적된 결과 발생하는 외관상의 비만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복강 내 내장 지방을 분해하는 지방 분해 촉진제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한번 축적된 지방 세포를 감소시키기는 어렵고, 지방 세포를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빠른길인데 이를 위해서는 지방 중의 유적(油滴)을 분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유적은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효소(포스포리파아제C)에 의해 분해되지만, 유적은 물을 겉돌게 하는 인지질의 막으로 덮여 있으므로, 유적 주변의 소포체라는 물의 덩어리 중에 있는 효소는 접근할 수 없다. 한편, 운동함에 의해서 교감 신경을 활발하게 하여 지방 분해 호르몬이 분비된다. 상기 호르몬은 인지질의 막을 제거하고, 효소와 유적의 친화성을 높임으로써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호르몬과 동일하게 유적과 효소의 친화성을 높이는 작용을 갖는 물질인 지방 분해 촉진제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생각되며,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라즈베리 케톤이나 진게론 및 그 유도체가 지방 조직에 축적된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고, 비만의 억제, 또는 비만 체질의 개선에 유효한 것을 발견했다(일본 특개2000-169325호 공보).
그러나, 라즈베리 케톤이나 진게론은 지방 분해 촉진제로서는 유용하지만, 특유의 방향을 갖고 있으므로 배합량에 한도가 있고, 특히 지방 분해 작용에 기초하는 항비만약, 고지혈증 치료약, 지방간 치료약 등의 치료약으로의 범용성의 측면에서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특이한 방향이나 맛을 갖지 않고 범용 특성이 뛰어나고 또한 전신 또는 국소의 지방 조직의 감소를 촉진함으로써 비만 체질의 개선, 또는 동조직의 증대를 방지하여 항비만 효과를 갖는 유효한 지방 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및 의약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지방세포에 작용하여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작용을 갖고, 또한 방향이나 맛을 갖지 않는 물질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지방 조직에 축적된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는 작용을 갖고, 그 작용에 기초하는 항비만 효과, 고지혈증 치료 효과 및 지방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Figure 112003045048312-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Z는 하기 화학식 2 및 3으로 나타내는 어느 원자단을 나타내고; R1 및 R2는 수소 원자 또는 글루코스 잔기임(단, R1 또는 R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수소 원자임)]
Figure 112003045048312-pct00002
Figure 112003045048312-pct00003
즉,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이의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및 의약 용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및 보통 사료 투여군의 하복부 주위 피하 지방의 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및 보통 사료 투여군의 자궁 주위 지방과 후복막 지방의 양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및 보통 사료 투여군의 장간막 지방의 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1주간 마다의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값의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표는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를 섭취한 경우, ▲표는 고지방식 사료를 섭취한 경우, ■표는 보통 고형 사료를 섭취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 대해서 p<0.05로 유의차 있음(Dunnett's test)
**: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 대해서 p<0.01로 유의차 있음(Dunnett's test)
##: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 대해서 p<0.01로 유의차 있음(Student's tes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열거한다.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4-(3'-글루코실-4'-히드록시페닐)-부탄-2-온
·4-(4'-글루코실-3'-히드록시페닐)-부탄-2-온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
·4-(3'-글루코실-4'-히드록시페닐)-부탄-2-올
·4-(4'-글루코실-3'-히드록시페닐)-부탄-2-올
이하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일부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을 갖는 피부 화장료로서 이미 제안되어 있는 것이다(일본 특개2000-239143호 공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에서 화학식 중, Z는 일례에서는 화학식 2이고, R1 및 R2 모두 수소 원자인,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은 상기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생강에 포함되는 진게론 [4-(3'-메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온]으로부터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삼브롬화붕소나 요오드화 수소산을 사용하여 메틸에테르를 개열(開裂)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R1 또는 R2 중 어느 것이 글루코스 잔기인 것은 라즈베리 과실 등의 식물로부터 적당한 용매에 의해 추출하고, 필요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농축이나 건고(乾固)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피토케미스트리, 제 29 권, 제 12 호, 3853-3858 페이지(1990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에서 화학식 중, Z는 일례에서는 화학식 3이고, R1 및 R2 모두 수소원자인,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은 진게론을 수소화 붕소 나트륨으로 환원함으로써 얻어지는 4-(3'-메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올로부터,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천연물로부터 추출해도 얻을 수 있다. 또한, S.Mabic들의 방법에 따라서,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이나,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글루코시드를 합성할 수 있다[Tetrahedron Letter, Vol.34, No.28,4531-4534(1993)].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지방 분해 촉진제로서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의약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 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의약품의 형태에 따라서도 여러가지 다르고 한 개념으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 화장료나 음식품 조성물로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 중에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한 것은 0.01 중량% 내지 3 중량%이다. 0.001 중량%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지 않는 경우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알맞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의약품으로서 배합하는 경우의 투여량은 환자의 병태(病態), 연령, 체중 등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한 것은 성인에 대해서 1일당, 1 ㎎ 내지 5000 ㎎ 상당량을, 보다 바람직한 것은 50 ㎎ 내지 2000 ㎎ 상당량을 한번에, 또는 2~3회로 나누어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한다.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는 예를 들어 피부 화장료, 음식품, 의약품 등에 배합할 수 있고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의 경우에는 피부 도포용, 욕용(浴用), 세정용 등을 목적으로 한 크림, 유액, 젤, 스틱, 시트, 파프, 분말, 액체, 과립 등 여러 가지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에는 필수 성분인 상기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피부 화장료에서 사용되는, 유분, 안료, 계면 활성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항염증제, 살균제, 방부제, 색소 등의 외에, 부토파민, 이소프로테레놀 등의 β아드레날린 작용 흥분제, 요힌빈, 에르고톡신 등의 α2 아드레날린 작용 억제제, 테오피린, 카페인 등의 크산틴 유도체, 밀리논, 암리논 등의 비피리딘 유도체,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 작용을 갖는 라즈베리 케톤이나 진게론 등의 공지물질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 조성물의 경우에는 츄잉검, 초컬릿, 캔디, 구미젤리, 음료, 스프, 아이스크림, 면류, 베이커리 식품, 알콜 음료 등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 조성물에는 필수 성분인 상기 화합물 외에 통상의 음식품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당류, 향료, 유화제, 유제품, 단백질, 안정제, 착색료, 산미료(酸味料), 유지, 곡류, 알류, 검 베이스, 카페인 등의 크산틴 유도체, 하이드록시구연산,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 작용을 갖는 캅사이신, 라즈베리 케톤이나 진게론 등의 공지 물질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나 음식품 조성물을 사용한 체중감량 방법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를 함유하는 의약품의 경우에는 캅셀제, 정제, 과립제, 세립제, 산제(散劑), 액제 등의 경구 투여 제제, 주사제, 외용제 등의 비경구 투여 제제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를 함유하는 의약품에는 필수 성분인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그대로 본 발명의 약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구 투여 제제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 부형제, 붕괴제 등의 통상의 의약 첨가물, 예를 들어 젖당,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스, 카르멜로스 칼슘, 무수규산, 합성 규산 알루미늄 및/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을 가하여 상법에 의해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 제제인 주사제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 만니톨, 염화나트륨, 글루코스, 솔비톨, 글리세롤, 크실리톨, 프룩토오스, 말토오스, 만노스 등의 등장화제, 아황산 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벤질알콜, 파라히드록시 안식향산 메틸 등의 보존제 등 외에, 용해보조제, 무통화제(無痛化劑)나 pH 조정제 등을 가하여 상법에 의해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지방 분해 촉진 효과는 하기의 지방 분해 시험 및 피하 지방 분해 시험에서 평가했다. 또한, 항비만 효과는 고지방식 부하 마우스에 대한 체중 증가 억제 시험 및 고지방식 부하 래트에 대한 체지방 증가 억제 시험, 고지혈증 치료 효과는 고지방식 부하 래트에 대한 고지혈증 치료 평가 시험, 지방간 치료 효과는 고지방식 부하 마우스에 대한 지방간 치료 평가 시험에서 평가했다. 라즈베리 케톤 및 진게론은 시판의 것을 사용했다.
〔합성예 1〕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의 합성
진게론[4-(3'-메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한 후, -30℃에서 1.0㏖/L의 삼브롬화 붕소/디클로로메탄 용액을 가했다. 교반하, 실온까지 서서히 반응계의 온도를 높인 후, 실온하에서 또한 2 시간 반응시켰다. 얼음물을 가한 후, 2 %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가했다. 아세트산 에틸에서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유기층을 감압하로 농축하여 얻은 갈색 오일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7/3)에서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얻었다.
〔합성예 2〕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의 합성예
진게론[4-(3'-메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수소화 붕소 나트륨으로 환원함으로써 얻은, 4-(3'-메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을 사용하여,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을 얻었다.
〔시험예 1〕(지방분해시험)
(1) 시험 방법
로드벨의 방법〔Rodbell, M.,J.Biol.Chem.,239,375(1964)〕에 의해 위스터계 웅성 래트(체중 150~200g)의 부고환 지방 조직으로부터 콜라게나아제 용액을 사용하여 유리 지방 세포를 조제했다. 피험물 농도가 100 ㎍/mL이 되도록 조제한 소혈청 알부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최종 농도 0.05 ㎍/mL)을 포함하는 행크스 완충액 중에 상기 세포를 가하고 37 ℃에서 1 시간 반응했다. 유리된 지방산을 추출하고 구리 시약 및 발색 시약에 의해 지방산량을 정량했다.
지방분해 촉진율(%)=[A/B]×100
A: 피험물 첨가시의 지방산량
B: 컨트롤(피험물 무첨가)의 지방산량
(2) 시험 결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피험물 지방분해 촉진율(%)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194.3±12.4 P<0.001
라즈베리 케톤 (후기 참고예의 화합물) 142.0±6.8 P<0.01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인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은 컨트롤에 비해 지방 분해를 유의로 촉진했다.
〔시험예 2〕(피하 지방 분해 시험)
(1) 시험 방법
위스터계 래트(웅, 7~9 주령)의 복부를 제모 후, 동부위 피부를 피하 지방 조직과 함께 적출하여 직경 2 ㎝의 프란츠형 확산셀에 장착했다. 상부 셀 내의 피부 각질 층 상에, 후기 실시예 1~2, 비교예 및 참고예의 피부 화장료 0.5 g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피하 지방 조직측의 하부 셀에 pH 7.2 인산 완충 생리 식염액을 채웠다. 셀을 37 ℃로 유지, 6 시간 방치한 후, 하부 셀에서 완충 용액을 채취하여 용액 중에 유리된 글리세롤량을 효소법(베링거 만하임사 제조 F-키트;글리세롤)에서 측정했다. 또한, 측정은 5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냈다.
(2) 시험 결과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유리 글리세롤(μ㏖/mL)
실시예 1(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1 % 배합) 174.5
실시예 2(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3 % 배합) 191.6
비교예 60.8
참고예(라즈베리 케톤 배합) 132.4
표 2로부터 분명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제제(후기 실시예 1~2)를 도포함으로써, 미배합제제(후기 비교예)의 경우 보다도 지방 분해물인 유리 글리세롤량이 현저하게 증가했다. 또한, 지방 분해 촉진제인 라즈베리케톤 배합 제제(후기 참고예)도 유리 글리세롤량은 고가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배합 제제(후기 실시예 1~2)에서는 그것보다도 더욱 유리 글리세롤이 고가였다.
〔시험예 3〕(고지방식 부하 마우스에 대한 체중증가 억제시험)
(1) 시험 방법
ICR계 마우스(웅성, 5주령) 7마리(평균체중 31g)를 1군으로서 사용했다. 3군의 마우스에 보통 사료 투여군에는 보통 고형 사료(오리엔탈 효모 주식회사 제조, MF)만을, 또한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는 표 3에 나타낸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배합고지방식 사료, 고지방식 사료를 각각 3주간 주었다. 시험 개시시 및 개시후 3주째에 체중을 측정했다. 또한, 사료 및 물은 자유 섭취시켰다.
성분명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고지방식 사료
우지 40중량부 40중량부
콘스타치 10중량부 10중량부
그래뉴당 9중량부 9중량부
미네랄*1 4중량부 4중량부
비타민*2 1중량부 1중량부
카제인 35중량부 36중량부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1중량부 -
*1: ICN사제 AIN 미네랄 믹스
*2: ICN사제 AIN비타민 믹스
(2)검정방법
결과의 판정은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의 각각의 체중을 비교하여 실시했다. 또한, 시험 성적에서의 검정은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 way-ANOVA)을 실시하여,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므로 다중비교검정(post-hoc test)을 실시했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투여군 평균체중(g) 체중의 증가량(g)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38.4 7.4* (p<0.05;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의 증가량과 비교)
고지방식 사료 43.2 12.2
보통사료 38.1 7.1
*:p<0.05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의 체중 증가는 미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고지방식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로 억제되었다.
〔시험예 4〕(고지방식 부하 래트에 대한 체지방 증가 억제시험)
(1) 시험 방법
스프래그·돌리(Sprague-Dawley)계 래트(자성, 9주령)를 8마리를 1군으로 하여 사용했다. 3군의 래트에, 보통 사료 투여군에는 보통 고형 사료(니혼 크레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CE-2)만을, 또한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는 표 5에 나타낸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배합 고지방식 사료, 고지방식 사료를 각각 6 주간 주었다. 그 후, 부검을 실시하여 하복부 주위 피하 지방, 자궁 주위 지방과 후복막 지방 및 장간막 지방을 적출하여 당해 지방 중량을 측정했다. 또한, 사료 및 물은 자유 섭취시켰다.
성분명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고지방식 사료
우지 20중량부 20중량부
셀룰로스 파우더 5중량부 5중량부
α화 전분 1중량부 1중량부
그래뉴당 10중량부 10중량부
미네랄 7중량부 7중량부
비타민 1중량부 1중량부
카제인 55중량부 56중량부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1중량부 -
(2) 검정 방법
결과의 판정은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의 각각의 하복부 주위 피하 지방, 자궁 주위 지방과 후복막 지방 및 장간막 지방을 비교하여 실시했다. 또한, 유의차 검정은 더넷(dunnett) 검정을 사용했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도 1~도 3에 도시한다.
도 1~도 3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의 하복부 주위 피하 지방, 자궁 주위 지방과 후복막 지방 및 장간막 지방의 중량은, 모두 미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로 감소되었다.
〔시험예 5〕(고지방식 부하 래트에 대한 고지혈증 치료 평가 시험)
(1) 시험 방법
시험예 4와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개시시 및 개시 후 1주마다 채혈을 실시하고,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값을 측정했다. 또한, 사료 및 물은 자유 섭취시켰다.
(2) 검정 방법
결과의 판정은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의 각각의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값을 비교하여 실시했다. 또한, 유의차 검정은 더넷(Dunnett) 검정을 이용했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서는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값의 상승이, 미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로 억제되었다.
〔시험예 6〕(고지방식 부하 마우스에 대한 지방간 치료 평가 시험)
(1) 시험 방법
ICR계 마우스(웅성, 5 주령) 6 마리를 1군으로 하여 사용했다. 2 군의 마우스에는 표 3에 도시한 고지방식 사료를 6 주간 주었다. 그 후,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 표 3에 도시한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배합 고지방식 사료, 고지방식 사료를 각각 5주간 주었다. 또한, 보통 사료 투여군에는 보통 고형 사료(오리엔탈 효모 주식회사 제조, MF)를 11 주간 주었다. 또한, 사료 및 물은 자유 섭취시키고, 시험 종료일에는 18 시간 절식했다. 그 후, 부검을 실시하여 간장의 외측 좌엽을 생리식염액에서 관류(灌流)후, 관류 부위의 일부를 채취했다. 채취한 간장 100 ㎎을 생리식염액 0.9 mL에서 10 % 호모지네이트액을 제작했다. 10 % 간 호모지네이트액 0.1 mL에 클로로포름/메탄올(2:1 v/v)을 2.4 mL가하고, 2 분간 진탕 혼화(混和)하여, 실온에서 800×g, 10 분간 원심분리했다. 얻어진 클로로포름층을 시험관에 0.1 mL 분취했다. 그 후, 질소 가스 통기하에서 70 ℃로 설정한 드라이블록배스(이우치세이에이도 제조)를 사용하여 시험관내의 클로로포름을 증발시키고 추출물을 건고(乾固)시켰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효소법에 의해 와코준약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키트를 사용하여, 흡광도에 의해 간장 중 트리글리세리드 값을 산출했다.
(2) 검정 방법
결과의 판정은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의 각각의 간장 중 트리글리세리드 값을 비교하여 실시했다. 또한, 시험 성적에서의 검정은 일원 배치 분산 분석(one way-ANOVA)을 실시하고,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므로 다중비교검정(post-hoc test)을 실시했다.
(3) 시험 결과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투여군 간장 중 트리글리세리드값 (㎎/g liver)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16.0** (p<0.01;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비교)
고지방식 사료 35.6
보통사료 10.7
**: p<0.01
표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촉진제 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에서는 간장 중 트리글리세리드 값의 증가가, 미배합 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고지방식 사료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2, 비교예 및 참고예(젤상 체중감량용 피부 화장료)>
표 7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상법에 의해 A, B 각 성분을 개별적으로 혼합 용해후, B성분을 A성분에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젤상 체중감량용 피부 화장료를 조제했다.
배합성분(질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참고예
(A성분)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1.0 3.0 - -
라즈베리 케톤 - - - 1.0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0.3 0.3
에디트산 2나트륨 0.1 0.1 0.1 0.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이소프로판올아민 1.0 1.0 1.0 1.0
스쿠와란 10.0 10.0 10.0 10.0
(B성분)
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 0.8 0.8 0.8 0.8
카라기난 3.0 3.0 3.0 3.0
크산탄감 3.0 3.0 3.0 3.0
폴리비닐알콜 2.0 2.0 2.0 2.0
에탄올 45.0 45.0 45.0 45.0
메탄올 0.1 0.1 0.1 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3(츄잉검)>
하기 조성의 츄잉검을 조제했다.
검 베이스 20
말티톨 73.5
환원물엿 4
애플향료 0.5
갈시니아엑기스*1 1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1
*1; 갈시니아엑기스:
인터헬스사 제조 「시트리맥스 HCA-500-F」(히드록시구연산; HCA 47.5% 함유)
<실시예 4(정과)>
하기 조성으로 정과를 조제했다.
솔비톨 72.9
자당지방산에스테르 4
라즈베리 향료 0.1
갈시니아엑기스*1 3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10
<실시예 5(정제)>
(처방)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1중량부
젖당 93중량부
합성규산알루미늄 5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중량부
(조작)
상기의 각 성분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타정기에서 1정 300 ㎎으로 타정하여 1정 중에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30 ㎎를 포함하는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6(정제)>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4-(3', 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을 대신한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7(정제)>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4-(3'-글루코실-4'-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대신한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8(스킨로션)>
(처방)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3.0 중량%
에탄올 10.0 중량%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 5.0 중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 중량%
향료 0.05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크산탄감 0.1 중량%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1 중량%
정제수 잔량
(조작)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상기의 글리세린으로부터 정제수까지의 각 성분중에 균일하게 용해한 후, 얻어진 혼합물과 상기 에탄올로부터 향료까지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고 분산하여 스킨 로션을 얻었다.
<실시예 9(스킨로션)>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의 배합량을 0.5 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스킨로션을 얻었다.
<실시예 10(스킨로션)>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의 배합량을 0.01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스킨로션을 얻었다.
<실시예 11(스킨로션)>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을 대신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스킨로션을 얻었다.
<실시예 12(스킨로션)>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의 배합량을 0.5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스킨로션을 얻었다.
<실시예 13(스킨로션)>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의 배합량을 0.01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스킨로션을 얻었다.
<실시예 14(스킨크림)>
(처방)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3.0 중량%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2.0 중량%
밀랍 1.0 중량%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6) 솔비탄 1.0 중량%
바세린 4.0 중량%
유동 파라핀 12.0 중량%
N-스테아로일-L-글루타민산 나트륨 5.0 중량%
카라기난 0.3 중량%
메틸파라벤 0.1 중량%
정제수 잔량
(조작)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및 상기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로부터 유동파라핀까지의 각 성분을 상기 N-스테아로일-L-글루타민산 나트륨 에탄올로부터 정제수까지의 각 성분에 혼합한 것을, 각각 균일하게 가열용해하여 온도를 80℃로 했다. 다음에, 상기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로부터 유동파라핀까지의 각 성분 중에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및 상기 N-스테아로일-L-글루타민산 나트륨에탄올로부터 정제수까지의 각 성분의 혼합물을 주입하고, 유화한 후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스킨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5(스킨 크림)>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의 배합량을 0.5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스킨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6(스킨 크림)>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의 배합량을 0.01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스킨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7(스킨 크림)>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을 대신한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스킨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8(스킨 크림)>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의 배합량을 0.5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스킨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9(스킨 크림)>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올의 배합량을 0.01중량%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스킨 크림을 얻었다.
이상의 실시예 1~19의 피부 화장료, 음식품, 의약품은 모두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갖는 것이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상기 시험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방분해 촉진작용, 당해 작용에 기초한 체중 증가 억제 작용,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저하 작용 및 간장 중 트리글리세리드 저하 작용을 갖는 것이고, 또한 특이한 방향이나 맛을 갖지 않고 범용 특성이 뛰어나며, 지방 분해 촉진제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전신 또는 국소의 지방 조직을 감소시켜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 비만 체질의 개선에 유효한 지방 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 감량용 피부 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및 의약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지며, 지방 분해를 촉진하여 비만,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 또는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00437815-pct00014
    (화학식 2)
    Figure 112008000437815-pct00015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 있어서,
    R1 및 R2는 수소 원자 또는 글루코스 잔기임. 단, R1 또는 R2 중 어느 한 쪽은 수소 원자임.]
  2. 4-(3',4'-디히드록시페닐)-부탄-2-온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감량 용 피부 화장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이외의 동물의 체중 감량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37015487A 2001-05-28 2002-05-24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감량용 피부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KR100838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8268 2001-05-28
JPJP-P-2001-00158268 2001-05-28
JP2002057996 2002-03-04
JPJP-P-2002-00057996 2002-03-04
PCT/JP2002/005090 WO2002096399A1 (fr) 2001-05-28 2002-05-24 Accelerateur de lipolyse, preparation dermatologique cosmetique pour reduction de masse corporelle, et composition d'aliment ou de boisson contenant cet accelerateur, et procede de reduction de masse corporelle et utilisation medicinale sur la base de l'activite de cet accelera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661A KR20040004661A (ko) 2004-01-13
KR100838422B1 true KR100838422B1 (ko) 2008-06-16

Family

ID=2661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487A KR100838422B1 (ko) 2001-05-28 2002-05-24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감량용 피부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02886B1 (ko)
JP (2) JP4531335B2 (ko)
KR (1) KR100838422B1 (ko)
CN (1) CN1512878A (ko)
DE (1) DE60218165T2 (ko)
WO (1) WO2002096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282B1 (ko) 2013-01-15 2015-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하이드로진저론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325A (ja) * 1998-12-11 2000-06-20 Kanebo Ltd 脂肪分解促進剤及び痩身用皮膚化粧料
JP2000239143A (ja) * 1999-02-22 2000-09-05 Kanebo Ltd 皮膚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6374B1 (fr) * 1994-02-18 1996-04-19 Sederma Sa Nouvelles compositions cosmé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contenant des extraits de plantes.
JP2618202B2 (ja) * 1994-06-23 1997-06-11 株式会社ロッテ 血中脂質降下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JP3532999B2 (ja) * 1995-03-24 2004-05-31 株式会社ロッテ 新規なタンニン類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リパーゼ阻害剤
RU2089213C1 (ru) * 1995-12-21 1997-09-10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частн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радиент" Средство для фитокоррекции
JPH1053532A (ja) * 1996-08-08 1998-02-2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3768626B2 (ja) * 1996-12-02 2006-04-19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脂肪分解促進剤および痩身用皮膚化粧料
JPH11187843A (ja) * 1997-12-25 1999-07-13 Lotte Co Ltd 肥満改善用の飲食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AU2001277056B2 (en) * 2000-07-25 2005-09-29 Merck & Co., Inc. N-substituted indol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325A (ja) * 1998-12-11 2000-06-20 Kanebo Ltd 脂肪分解促進剤及び痩身用皮膚化粧料
JP2000239143A (ja) * 1999-02-22 2000-09-05 Kanebo Ltd 皮膚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8165T2 (de) 2007-11-22
EP1402886A4 (en) 2004-10-06
JP4531335B2 (ja) 2010-08-25
JP5081270B2 (ja) 2012-11-28
WO2002096399A1 (fr) 2002-12-05
KR20040004661A (ko) 2004-01-13
EP1402886B1 (en) 2007-02-14
JPWO2002096399A1 (ja) 2004-09-09
JP2010222356A (ja) 2010-10-07
EP1402886A1 (en) 2004-03-31
DE60218165D1 (de) 2007-03-29
CN1512878A (zh)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9347B2 (en) Dihydroxyphenyl compounds and glucoside compounds thereof
EP0727217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god-type ellagitannin as active ingredient
KR100595944B1 (ko) 소염진통제
JP4828922B2 (ja) 抗アレルギー剤
US7589121B2 (en) Use of furan alkyls for preparing a drug for treating obesity and cosmetically treating overweight
KR100539495B1 (ko) 글리코실-엘-아스코르브산의아실화유도체
ES2364153T3 (es) Utilización de alquil-furanos para el tratamiento cosmético de la celulitis.
JP6343000B2 (ja) オイゲノー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838422B1 (ko)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체중감량용 피부화장료, 음식품 조성물 및 그 작용에 기초하는 체중 감량 방법
JP2004331579A (ja) 真皮マトリックス産生促進剤
KR100755742B1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478021B1 (ko) 수용성이개선된프로폴리스추출물
WO2020256380A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0256381A1 (ko) 옥타데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7031302A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及び代謝異常症候群予防剤
KR102089209B1 (ko) 구아이아콜, 피톨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5689247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JPH04230628A (ja) 脂質調節薬としての10員環ラクトンの使用
KR20180010084A (ko) 3-O-갈로일-3,3&#39;,5,5&#39;,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반(3-O-galloyl-3,3&#39;,5,5&#39;,7- pentahydroxyflavan)을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JPH01279818A (ja) 白髪黒化剤
KR20230067034A (ko) 항산화, 미백, 항염증, 피부보호 등의 기능을 갖는 락토페린 유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JP2004075558A (ja) 美白改善用キット
KR20170098182A (ko)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99699A (ko) 디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