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182A -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182A
KR20170098182A KR1020170021592A KR20170021592A KR20170098182A KR 20170098182 A KR20170098182 A KR 20170098182A KR 1020170021592 A KR1020170021592 A KR 1020170021592A KR 20170021592 A KR20170021592 A KR 20170021592A KR 20170098182 A KR20170098182 A KR 2017009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itching
allerg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관
오유근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7/0018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42368A2/ko
Publication of KR2017009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G01N2333/70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및 에모딘은 히스타민 의존성 및 히스타민 비의존성 가려움증뿐만 아니라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등 다양한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바, 의약품, 피부외용제, 식품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or inflammatory skin disease}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증(pruritus)은 긁고 싶은 심정을 증가시켜 심한 고통을 동반하는 피부과적인 증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및 다양한 피부질환의 대표적 증상이다. 피부질환에서 발생하는 심한 가려움증은 수면장애, 정서적 불안정, 과민한 스트레스반응 등 이차적인 악화요인과 함께 같은 환자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질환 자체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환자와 주변사람들에게도 상당한 수준의 사회심리적 고통을 야기시킨다.
피부는 바깥쪽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큰 장기이며 밖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가해지는 외부자극이나 내부병변에 의해 나타나는 가려움증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표피의 한 성분을 이루고 있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는 각질형성 외에도 면역반응 조절물질로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인터루킨(interleukin), TNF-a, 인터페론, 케모카인 등을 분비하여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에는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각종 질환이 빈번히 발생한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은 악화와 완화가 반복되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만성질환으로 면역학적 기능 이상과 알레르기 항원의 노출과 같은 다인자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피부 염증성 질환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심각한 가려움증으로 인해 유발되는 피부병소를 반복하여 긁는 행위는 피부 장벽의 붕괴와 더불어 피부염을 더욱 악화시킨다. 그러므로 가려움증 또는 가려움증으로 인해 긁는 행위를 조절하는 것이 아토피 피부염에 있어서 중요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일 것이다.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질환들은 자꾸 긁다 보면 상처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감염 및 외부 알러젠에 의한 2차 감염에 따른 염증이 동반된다. 현재 가려움증에 사용되는 유일한 약물은 항히스타민제이나 가려움을 유발하는 물질은 히스타민 이외에도, IL-1을 비롯한 여러 사이토카인, 뉴로펩타이드(serotonin, acethycholine, substance P), 다양한 염증 물질(leukotrines, prostaglandins) 등, 많은 물질들이 관여하므로 항히스타민제의 효과가 제한적이며, 병변이 만성으로 진행되면 가려움을 나타내는 기작들이 더 복잡해져 더 많은 물질들이 관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만성 가려움증이 항히스타민제에 저항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히스타민 의존성 및 히스타민 비의존성 가려움증 모두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및 에모딘이 히스타민 의존성 및 히스타민 비의존성 가려움증뿐만 아니라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등 다양한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특허출원번호 10-2009-0106620 국내특허출원번호 10-2008-0008483
본 발명의 목적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및 에모딘은 히스타민 의존성 및 히스타민 비의존성 가려움증뿐만 아니라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등 다양한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바, 의약품, 피부외용제, 식품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NED19가 히스타민 유도 가려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가 클로로퀸 유도 가려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에모딘이 히스타민 유도 가려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에모딘이 클로로퀸 유도 가려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에모딘이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NED19는 trans-NED19 또는 cis-NED19를 모두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NED19((1R,3S)-1-[3-[[4-(2-Fluorophenyl)piperazin-1-yl]methyl]-4-methoxyphenyl]-2,3,4,9-tetrahydro-1H-pyrido[3,4-b]indole-3-carboxylic acid)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8-bromo-cyclic adenosine diphosphate)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에모딘(emodin)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은 시판중인 것을 구입하거나 직접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예방"은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병인을 제거하거나 조기 발견하여 해당 질환을 막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레르기와 염증은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에 하나로, 상기 알레르기는 생물체가 어떤 외래성 물질과 접하게 될 때 생체 내에서 급격한 반응 능력의 변화, 즉 항원항체반응이 발생하게 되는 데, 상기 반응이 과민하게 반응하는 경우를 말한다. 아울러, 염증은 조직 변질, 순환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증상들을 수반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이라 하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이라 함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땀띠, 두드러기 또는 건선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가려움증이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및 에모딘은 히스타민 의존성 및 히스타민 비의존성 가려움증뿐만 아니라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등 다양한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바, 의약품, 피부외용제, 식품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및 에모딘과 함께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투여는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주사, 직장 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주입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및 에모딘은 1일 0.1 내지 10000 mg/kg(체중)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또는 피하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되는 방식이라는 어떤 경로로든지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과 함께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목적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공지기술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오일제, 왁스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등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과 같은 통상적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또는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및 개선,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 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과 함께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은 소양증이라고도 하며,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욕망을 일으키는 불쾌한 감각으로, 피부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증상이다. 가려움증은 유발 원인 또는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가려움증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살갗의 거칠어짐으로 인한 피부염,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땀띠, 진무름, 동상, 두드러기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증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의 개선을 통해 피부 보습 증진 또는 피부 과각질화 방지를 유도함으로써 피부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외에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 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 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유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 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페이스트, 팩, 세안제,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 (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 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 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 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 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ED19의 수득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NED19는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exas, USA)에서 구입하였다(Cat. No. sc-362814).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실시예 2. 브로모 - 사이클릭 ADP-리보오스(Br- cADPR )의 수득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는 시그마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Sigma, Catalog # B5416).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실시예 3. 에모딘(emodin)의 수득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모딘은 시그마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Sigma, Catalog # E7881).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실시예 4. 실험 동물의 준비
이하 모든 동물 실험은 전북대학교의 실험동물운영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6~8 주령의 Balb/c 마우스는 오리엔트 사(Orient Laboratory Animals)에서 구입하였다 (Seoul, Korea). 마우스는 21∼24℃가 유지되고, 12시간 명암 주기가 반복되는 환경에서 유지하였으며, 물 및 식이를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실험예 1. NED19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효과 검증
먼저, 히스타민 200 ㎍을 0.1 ㎖의 PBS에 용해시켜 마우스의 오른쪽 귀 뒤쪽의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증을 유발시켰다. 실험군의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NED19를 1-100 μM의 농도로 제조한 후, 히스타민과 혼합하여 주사하였으며, 30 분 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마우스를 챔버(11 cm x 11 cm, 18 cm 높이)에 넣고 비디오로 촬영하였으며, 뒷다리를 이용하여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NED19가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브로모 - 사이클릭 ADP-리보오스(Br- cADPR )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효과 검증
먼저, 클로로퀸 400 ㎍을 0.1 ㎖의 PBS에 용해시켜 마우스의 오른쪽 귀 뒤쪽의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증을 유발시켰다. 실험군의 경우, 상기 실시예 2의 Br-cADPR을 1 μM의 농도로 제조한 후, 클로로퀸과 혼합하여 주사하였으며, 30 분 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마우스를 챔버(11 cm x 11 cm, 18 cm 높이)에 넣고 비디오로 촬영하였으며, 뒷다리를 이용하여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r-cADPR이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 즉, 히스타민 비 의존성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에모딘(emodin)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효과 검증
3-1.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효과 검증
먼저, 히스타민 100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마우스의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증을 유발시켰다. 실험군의 경우, 상기 실시예 3의 에모딘을 0.1 - 10 μM의 농도로 제조한 후, 히스타민과 혼합하여 마우스의 피하에 주사하였으며, 1 시간 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마우스를 챔버(11 cm x 11 cm, 18 cm 높이)에 넣고 비디오로 촬영하였으며, 뒷다리를 이용하여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모딘이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2.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효과 검증
먼저, 클로로퀸 200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마우스의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증을 유발시켰다. 실험군의 경우, 상기 실시예 3의 에모딘을 0.1 - 10 μM의 농도로 제조한 후, 클로로퀸과 혼합하여 마우스의 피하에 주사하였으며, 1 시간 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마우스를 챔버(11 cm x 11 cm, 18 cm 높이)에 넣고 비디오로 촬영하였으며, 뒷다리를 이용하여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모딘이 농도 의존적으로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 즉, 히스타민 비 의존성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3.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효과 검증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NCB를 이용하여 마우스에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오른쪽 귀를 면도하여 털을 제거한 후 올리브유:에탄올(1:4 부피비)에 녹인 DNCB 1% 용액 20 ㎕ 를 발라 감작 (sensitization)시켰다. 7일 후 동일한 귀에 0.5%의 DNCB 10 ㎕을 발라주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3의 에모딘을DMSO 및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켜 0.1 - 10 μM의 농도로 제조한 후, 각 용액 20 ㎕을 DNCB 마지막 처리 10 분 후에 1회에 걸쳐 오른쪽 귀에 바르고 1 시간 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의 경우 생리 식염수를 발라주었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모딘이 농도 의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이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및 에모딘은 히스타민 의존성 및 히스타민 비의존성 가려움증뿐만 아니라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등 다양한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바, 의약품, 피부외용제, 식품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 1. 산제의 제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 2. 정제의 제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
2-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3-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0.5 %
베타-1,3-글루칸 1.0 %
부틸렌글리콜 2.0 %
프로필렌글리콜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
폴리솔베이트 80 0.4 %
에탄올 10.0 %
트리에탄올아민 0.1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의 제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0.5 %
베타-1,3-글루칸 1.0 %
밀납 4.0 %
폴리솔베이트 60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
유동파라핀 0.5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3.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3. 영양크림의 제조
NED19, 브로모-사이클릭 ADP-리보오스 또는 에모딘 1.0 %
베타-1,3-글루칸 5.0 %
밀납 10.0 %
폴리솔베이트 60 1.5 %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
유동파라핀 10.0 %
스쿠알란 5.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5.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Claims (8)

  1.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화학식 3]
    Figure pat0000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땀띠, 두드러기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화학식 1]
    Figure pat00010

    [화학식 2]
    Figure pat00011

    [화학식 3]
    Figure pat00012
  4.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 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Figure pat00015
  5.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6

    [화학식 2]
    Figure pat00017

    [화학식 3]
    Figure pat00018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살갗의 거칠어짐으로 인한 피부염,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땀띠, 진무름, 동상, 두드러기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에 의해 유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증진 또는 피부 과각질화 방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에멀젼, 현탁액, 유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페이스트, 팩, 세안제, 비누, 오일, 왁스, 콘실스틱 또는 에어로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21592A 2016-02-19 2017-02-17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98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1808 WO2017142368A2 (ko) 2016-02-19 2017-02-17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9807 2016-02-19
KR1020160019807 2016-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182A true KR20170098182A (ko) 2017-08-29

Family

ID=5975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592A KR20170098182A (ko) 2016-02-19 2017-02-17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1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20130130306A (ko) 복합 생약 추출물(gs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31883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H10139679A (ja) ケミカルメディエーター遊離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医薬品並びに食品
KR101248503B1 (ko) 녹차 잎의 열수추출물 및 녹차 잎의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0411B1 (ko) 증숙 처리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9271A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76939B1 (ko)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6B1 (ko) 티아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925603A1 (en) Composition for allergy prevention, atopic dermatitis alleviation or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undecane or undecanal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370317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carvone or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147591B1 (ko) 구아일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984195B1 (ko) 자스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819670B1 (ko)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9903B1 (ko) 캠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97720B1 (ko)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70098182A (ko)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