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112B1 -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112B1
KR100838112B1 KR1020060055036A KR20060055036A KR100838112B1 KR 100838112 B1 KR100838112 B1 KR 100838112B1 KR 1020060055036 A KR1020060055036 A KR 1020060055036A KR 20060055036 A KR20060055036 A KR 20060055036A KR 100838112 B1 KR100838112 B1 KR 100838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case
delete delete
microcapsule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0363A (ko
Inventor
이경훈
이치한
정찬희
Original Assignee
이경훈
이치한
정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훈, 이치한, 정찬희 filed Critical 이경훈
Priority to KR102006005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112B1/ko
Publication of KR2007012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9/00Use of polymers with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nd with a nitrogen or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in a side chain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의류 및 휴대폰 케이스 등과 같이 내부 또는 외부 온도에 의해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축열과 방열을 통해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상전이물질, 축열, 방열, 마이크로캡슐, ABS, 시트

Description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Mobile Phone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2는 도 1의 S300의 세부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등과 같이 내부 또는 외부 온도에 의해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축열과 방열을 통해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대가 발달됨에 따라 휴대폰은 필수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폰은 내장된 밧데리의 발열로 인해 휴대폰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액정과 내부 부품의 고장이 잘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의류 및 신발 분야에서 쾌적성을 증진을 위한 고기능성 제품의 시 트에 관한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는 주로 외부공기가 잘 들어오고 내부공기는 외부로 잘 빠져 나가도록 하는 공기통풍 위주의 시트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고기능성 시트의 궁극적인 목적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스스로 쾌적성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성 기능 및 이를 응용한 제품개발에 있다.
따라서 외부 또는 내부온도에 따라 축열과 방열 기능을 통해 적극적인 적정온도변화를 가변시킬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와, 의류 및 신발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의류 및 휴대폰 케이스 등과 같이 내부 또는 외부 온도에 의해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축열과 방열을 통해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70% 내지 90%중량을 점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ABS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합성수지재에 10 내지 30%중량을 점유하는 축열 상전이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을 혼합하여 성형하며, 이때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입경이 1 내지 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전이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의 벽재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캡슐을 혼합하여 블랜딩수지를 생성하며, 상기 블랜딩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레트수지를 생성하고, 상기 펠레트 수지를 사출기에 투입하여 사출 완성하는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랜딩수지는 압출기에서 16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압출하여 펠레트수지를 생성하며, 상기 압출된 펠레트수지는 사출기에서 16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400 내지 1200kg/㎟ 압력하에 사출하여 완성하되,
휴대폰케이스의 축열 효과를 증대시키고 외관의 질적미감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표면에 폴리카보네이트 포함된 코팅재를 도장하여 제 1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코팅층의 상부에 축열마이크로캡슐 포함된 코팅재를 도장하여 제 2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코팅층의 상부에 UV을 조사하여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등과 같이 내부 또는 외부 온도에 의해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축열과 방열을 통해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는 70% 내지 90%중량을 점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또 는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ABS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합성수지재 및 상기 합성수지재에 10 내지 30%중량을 점유하는 상전이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를 혼합하여 성형된 구조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는 실시예이며, 이외에, 컴퓨터케이스, 노트북케이스. LCD판넬, PDP판넬 등과 같은 모든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마이크로캡슐은 내부에 상전이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전이 물질은 비교적 낮은 온도변화에서도 용융과 결정화 현상을 일으켜 외부의 온도변화에 따라 스스로 열을 흡수, 저장, 방출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행하는 물질이다. 즉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면 용융화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면 결정화하면서 열을 방출하는 축열과 방열 특성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러한 상전이물질을 수용하는 마이크로캡슐인데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벽재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입경이 1 내지 10㎛의 범위이고, 평균입경은 2 ~ 4㎛의 범위를 갖는다.
이는 마이크로캡슐의 입경이 10㎛ 이상의 경우 마이크로캡슐의 균일성의 저하와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경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외에, 휴대폰 케이스의 경도와 축열 물성은, 합성수지재와 마이크로캡슐의 함량률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게 되는 데, 마이크로캡슐의 함량비가 높아질수록 축열기능은 증가 하지만 경도가 감소하게 되어 제조상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 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캡슐의 중량비가 10%이하 일 경우에는 축열 특성이 제품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0%이상일 경우에는 축열특성은 우수하지만 휴대폰 케이스의 경도가 약해서 불량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S300의 세부순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0% 내지 90%중량을 점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ABS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합성수지재에 10 내지 30%중량을 점유하는 축열 상전이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를 혼합하여 블랜딩수지를 생성한다.(S100)
이후 상기 블랜딩수지를 압출기에 투입시켜 16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압출하여 펠레트수지를 생성한다.(S200)
여기서 펠레트수지는 펠레타이즈를 관통시켜 알갱이화 시킨 것이다.
이 후 펠레트수지를 사출기에 투입하여 16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400 내지 1200kg/㎟ 압력으로 사출하여 완성한다.(S300)
이 때 S300단계는 후처리 공정으로 휴대폰케이스의 축열 효과를 증대시키고 외관의 질적미감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표면에 폴리카보네이트 포함된 코팅재를 도장하여 제 1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10)와, 상기 제 1코팅층의 상부에 축열마이크로캡슐 포함된 코팅재를 도장하여 제 2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20)와, 상기 제 2코팅층의 상부에 UV을 조사하여 완성하는 단계(S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
PC/ABS 블랜딩수지에 입경이 2 내지 4㎛의 마이크로캡슐을 20%중량을 혼합하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16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압출한 후, 펠레타이즈를 관통시켜 대량생산에 적합한 펠레트수지를 만들고, 상기 펠레트수지를 사출기를 사용하여 몰드에 주입시켜 휴대폰 케이스를 만들었다.(이 때 선행조건은 사출기 내부의 몰드온도가 60 내지 120℃ 이고, 스크류의 속도는 30 내지 110rpm이다.)
*실험결과 1*
[실시예 1]로 제조된 휴대폰 케이스와 일반 케이스를 휴대폰 장비에 장착하여 60℃ 드라이 오븐에서 10분간 고온으로 처리하여 열화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실시예 1로 제조된 휴대폰 케이스의 온도는 25 내지 30℃ 정도의 온도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케이스는 오차범위 내에서 약 50 내지 55℃ 정도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2*
[실시예 1]로 제조된 휴대폰 케이스를 휴대폰 장비에 창착하여 60℃ 드라이 오븐에서 고온으로 처리한 다음 바로 드라이 아이스 위에 방치하여 저온으로 처리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열화상(Thermography, Model TH3102MR)을 이용하여 축열 성능을 확인하였는데, 이 결과 고온에서는 휴대폰 케이스가 전체적으로 높은 온도를 나타내었지만, 드라이 아이스 위에서 저온으로 급격하게 처리하자 휴대폰케이스가 급격하게 식지 않고 일정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상전이물질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가 열 저장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물과 마이크로캡슐을 7:3의 비율로 혼합한 에멀젼을 수용성 폴리우레탄극세사섬유시트에 코팅하여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물과 마이크로캡슐을 7:3의 비율로 혼합한 에멀젼을 수용성 폴리우레탄극세사섬유시트에 코팅하여 건조 후에 폴리카보네이트시트를 압착하여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시트와 필름의 축열 및 방열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 DSC(Plastics-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각각 축열량은 13.50 J/g 이었다. 이로 인하여 축열 마이크로캡슐을 코팅 한 섬유 또는 필름이 열 방출 및 저장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휴대폰 케이스는 그 자체가 우수한 축열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휴대폰 사용시 느껴지는 뜨거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폰의 오작동 및 부품의 고장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70% 내지 90%중량을 점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ABS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합성수지재에 10 내지 30%중량을 점유하는 축열 상전이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을 혼합하여 성형하며, 이때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입경이 1 내지 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전이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의 벽재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캡슐을 혼합하여 블랜딩수지를 생성하며, 상기 블랜딩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레트수지를 생성하고, 상기 펠레트 수지를 사출기에 투입하여 사출 완성하는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랜딩수지는 압출기에서 16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압출하여 펠레트수지를 생성하며, 상기 압출된 펠레트수지는 사출기에서 16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400 내지 1200kg/㎟ 압력하에 사출하여 완성하되,
    휴대폰케이스의 축열 효과를 증대시키고 외관의 질적미감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표면에 폴리카보네이트 포함된 코팅재를 도장하여 제 1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10)와,
    상기 제 1코팅층의 상부에 축열마이크로캡슐 포함된 코팅재를 도장하여 제 2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20)와,
    상기 제 2코팅층의 상부에 UV을 조사하여 완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055036A 2006-06-19 2006-06-19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KR10083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036A KR100838112B1 (ko) 2006-06-19 2006-06-19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036A KR100838112B1 (ko) 2006-06-19 2006-06-19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363A KR20070120363A (ko) 2007-12-24
KR100838112B1 true KR100838112B1 (ko) 2008-06-20

Family

ID=3913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036A KR100838112B1 (ko) 2006-06-19 2006-06-19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38B1 (ko) * 2011-07-11 2013-07-19 조연수 상변화물질 전자기기 온도조절케이스
KR102038593B1 (ko) * 2018-10-02 2019-10-31 김현철 목화탄소섬유에 잠열 물질을 포함한 의료용 침대
JP7235107B2 (ja) * 2019-05-17 2023-03-08 株式会社レゾナック 蓄熱シート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703A (ko) * 2003-11-18 2005-05-23 공성철 축열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축열발포체
KR20060001829A (ko) * 2005-08-04 2006-01-06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잠열 기능성 생분해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제품
KR200418386Y1 (ko) 2006-03-09 2006-06-14 은광판지포장 주식회사 바닥재용 골판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703A (ko) * 2003-11-18 2005-05-23 공성철 축열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축열발포체
KR20060001829A (ko) * 2005-08-04 2006-01-06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잠열 기능성 생분해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제품
KR200418386Y1 (ko) 2006-03-09 2006-06-14 은광판지포장 주식회사 바닥재용 골판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363A (ko) 200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9585B2 (en) Method for forming a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ed cas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KR100838112B1 (ko)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CN110177830A (zh) 复合材料、电子设备和制造电子设备的方法
CN104830047A (zh) 利用彩色tpu发泡粒子、片材制备成型体、薄片的方法
CN110982173B (zh) 一种软触感聚丙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4262940A (zh) 彩色tpu发泡材料、利用彩色tpu发泡材料制备鞋材的方法及用途
CN102477192A (zh) 抗静电聚氯乙烯发泡板材
US2714076A (en) Plasticized pellet of thermoplastic material and process of making same
Qiu et al. Prepar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microencapsulated paraffin with polyurea/acrylic resin hybrid shells as phase change energy storage materials
Naikwadi et al. Fabrication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icroencapsulated eutectic phase change material‐integrated polyurethane sandwich tin panel composite for thermal energy storage in buildings
JP4506924B2 (ja) 合成樹脂成型物の製造方法
Cai et al. Poly (thioctic acid): From Bottom‐Up Self‐Assembly to 3D‐Fused Deposition Modeling Printing
CN106519702B (zh) 用于制备开孔硅橡胶海绵的组合物和制备开孔硅橡胶海绵的方法
Cabrera et al. Pressurized water pellets and supercritical nitrogen in injection molding
TWI510158B (zh) 電子裝置殼體的形成方法及所製成之電子裝置殼體結構
KR20030041891A (ko) 잠열저장물질을 함유한 고분자수지
US6805945B1 (en) Waterproof heat-preservative film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06995547A (zh) 一种eva微胶囊发泡母粒及制备工艺
KR102009859B1 (ko)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05586A (zh) 微发泡功能母粒组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冰箱发泡板
US20140370216A1 (en) Case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Yun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nductive microcapsule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
JP2011026397A (ja) 発泡剤混合樹脂粉粒体及び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Peng et al. Novel foaming method to fabricate microcellular injection molded polycarbonate parts using sodium chloride and active carbon as nucleating agents
CN103339173B (zh) 绝缘树脂材料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