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21B1 -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21B1
KR100836721B1 KR1020070018015A KR20070018015A KR100836721B1 KR 100836721 B1 KR100836721 B1 KR 100836721B1 KR 1020070018015 A KR1020070018015 A KR 1020070018015A KR 20070018015 A KR20070018015 A KR 20070018015A KR 100836721 B1 KR100836721 B1 KR 100836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oxygen
condensate
check valve
stora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영
심상구
배준형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1Physical processing only by making use of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변화를 발생시켜서 제습을 하고,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고습산소의 수분이 응축되어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부;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외기가 멤브레인을 통해 질소가 분리되어 고습산소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을 높이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고습산소의 수분을 분리하도록 하는 오리피스가 구비되는 토출구; 및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오리피스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오리피스에 의해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상기 산소를 제습할 수 있고,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체크밸브의 개방시 응축수가 역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Figure R1020070018015
산소발생기, 제습, 응축수 배출, 오리피스, 체크밸브, 제어수단

Description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Excluding appartus of condensed water for oxygen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배수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멤브레인 40 : 응축수 저장부
42 : 유입구 44 : 배수부
46 : 체크밸브 47 : 차단 부재
48 : 탄성 부재 49 : 솔레노이드
60 : 토출구 80 : 오리피스
본 발명은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변화를 발생시켜서 제습을 하고,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소발생기는 여러 곳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차량의 내부나 밀폐된 실내에서 창문을 닫은 상태로 히터나 에어컨을 작동할 경우 밀폐된 실내의 공기가 탁해지고 산소의 농도가 저하된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공기의 오염 및 산소농도의 저하는 자동차를 포함한 탑승자나 실내의 거주자를 쉽게 피로하게 하고 나아가 불쾌감까지 느끼게 한다.
이로 인하여 산소발생기는, 가장 흔하게는 사무실이나 일반가정의 밀폐된 공간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현대인의 일상생활에서 쌓인 피로의 회복 및 세포의 활성화를 돕기 위한 용도로 많이 쓰인다. 또한, 의료용 산소발생기, 자동차용 산소발생기, 잠수부의 공기탱크 충전용 산소발생기 및 에어컨 등의 공기 정화용도 등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가압교대흡착)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멤브레인 방식, 전기분해 방식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중에서 멤브레인 방식의 산소발생기는 흡입한 공기로부터 산소를 분리하여 실내로 공급해 주는 기계장치로서 산소발생시에 수분이나 습기가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산소와 함께 수분이 배출되지 않도록 발생된 수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특히, 산소발생기와 산소 배출부와의 사이가 배출관으로 연결되어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산소 배출부에서 산소가 배출될 때 배출관에 존재하는 수분이 산소와 함께 배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소발생기 내부나 산소 배출관에 워터트랩과 같은 수분 제거기를 두고 있지만 수분 제거기가 있다 하더라도 그 수분 제거기를 거친 후에 산소 배출부로 연결되는 산소 배출관에 발생하는 수분은 제거되지 않은 채 산소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분을 수용하는 수용용기가 구비된 산소발생기가 제안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분을 수용하는 수용용기가 구비된 산소발생기는 수용용기에 수용된 물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 계속적으로 체크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용용기의 수용된 물을 버리는 시기를 놓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나아가, 수용용기에 수용된 물의 버리는 시기를 놓치면, 수용된 물이 산소 토출구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사용자에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의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변화를 발생시켜서 제습을 하고,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고습산소의 수분이 응축되어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부;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외기가 멤브레인을 통해 질소가 분리되어 고습산소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을 높이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고습산소의 수분을 분리하도록 하는 오리피스가 구비되는 토출구; 및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 저장부 내의 응축수가 배출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수부는, 상기 체크밸브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체크밸브를 일정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산소발생기의 초기 가동시 또는 정지시에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배수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는, 산소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산소의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수분이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멤브레인(20), 응축수 저장부(40), 및 오리피스(80)를 포함한다.
상기 멤브레인(20)은 흡입한 외기에서 질소를 분리하여 고습산소를 발생시키는 분리막으로서, 중공사 분리막이 사용된다. 상기 중공사 분리막은 산소 발생 효율이 높으나 수분 또한 다량으로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저장부(40)는, 멤브레인(20)으로부터 발생된 고습산소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즉, 응축수 저장부(40)는 멤브레인(20)으로부터 발생된 고습산소가 내부로 들어오도록 유입구(42)가 형성되고, 내부에 들어온 산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구(60)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응축수 저장부(40)는 오리피스(80)에 의해 고습산소로부터 분리된 수분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80)는 응축수 저장부(40)로부터 상기 산소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6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오리피스(80)는 산소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산소가 흐르는 관로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로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된 조리개 기구이다. 상기 오리피스(80)가 응축수 저장부(40)로부터 산소가 토출되는 토출구(60)에 설치됨으로써, 오리피스(80)의 전단과 후단에서의 압력은 변화한다. 여기에서, 오리피스(80)의 전단에 배치된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은 상승한다. 즉, 오리피스(80)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산소의 양을 줄어들도록 조절하여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리피스(80)에 의해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산소가 제습된다. 즉, 오리피스(80)로 인한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높은 압력은 산소로부터 수분을 분리하여 응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오리피스(80)는,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체크밸브(46)의 개방시 응축수가 역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응축수 저장부(40)는 오리피스(80)에 의해 산소로부터 분리되어 저장된 수분을 배수하는 배수부(44)를 가진다.
상기 배수부(44)는 응축수 저장부(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응축수가 배출되는 체크밸브(46)를 포함한다.
상기 체크밸브(46)는 응축수 저장부(40)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홀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47)와, 상기 차단 부재(47)에 대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4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48)는 차단 부재(47)가 배수홀을 밀폐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체크밸브(46)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솔레노이드(49)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자기장을 형성시킴으로써, 도체인 차단 부재(47)를 하측으로 내려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크밸브(46)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체크밸브(46)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은 상기 토출구(60)에 설치된 오리피스(80)에 의해 변화한다. 즉, 외기로부터 멤브레인(20)에 의해 산소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산소의 유량에 따라 오리피스(80) 전에 배치된 응축수 저장부(40)의 압력은 변화한다. 또한, 오리피스(80)에 의해 분리된 응축수의 양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응축수의 양에 따라 응축수 저장부(40)의 압력은 변화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수단은 변화하는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을 감지하여 체크밸브(4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체크밸브(46)를 일정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산소발생기를 가동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응축수 저장부(40)의 내의 응축수 량이 늘어나는데, 산소발생기의 크기 및 그 성능에 따라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응축수의 양도 변화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러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체크밸브(46)가 일정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개폐하도록 제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응축수는 그 저장량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적정한 시간에 배수된다.
한편, 체크밸브(46)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제어수단은, 산소발생기의 초기 가동시 또는 정지시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체크밸브(46)를 개방시킨다.
상기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응축수는, 산소발생기를 가동시키기 않고 방치해 두는 경우에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응축수가 오염이 됨으로써, 산소발생기 내부 또한 위생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산소발생기의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서, 산소발생기의 초기 가동시 또는 정지시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체크밸브(46)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 저장부(40')는 그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며, 멤브레인(20)으로부터 발생된 산소가 들어오는 유입구(42')가 응축수 저장부(40') 내부에 채워진 일정량의 물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축수 저장부(40')는 그 하측에, 상기 멤브레인(20)으로부터 발생된 산소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유입구(42')가 위치한다.
여기에서, 응축수 저장부(40') 내부의 일정량의 물은 산소발생기가 가동하기 전에 채워진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유입구(42')를 통해 들어오는 산소의 온도저감 및 물의 응집력을 이용함으로써, 산소의 제습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산소는 응축수 저장부(40')의 유입구(42')를 통해 들어와서 수용된 물을 통과함에 따라 수용된 물에 의해 온도가 저감됨으로써, 산소로부터 일정량의 수분이 분리된다. 아울러, 물의 응집력 현상으로 인하여 산소로부터 수분이 분리된다. 물론, 물을 통과하는 산소의 버블링 현상으로 인하여 산소가 가시화되는 효과도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리피스에 의한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상승은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오리피스로 인하여, 상기 응축수 저장부 내의 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게 형성되어 체크밸브의 개방시, 응축수가 역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고습산소의 수분이 응축되어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부(40);
    상기 응축수 저장부(40)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외기가 멤브레인(20)을 통해 질소가 분리되어 고습산소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을 높이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고습산소의 수분을 분리하도록 하는 오리피스(80)가 구비되는 토출구; 및
    상기 응축수 저장부(40)의 하단에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부(44);를 포함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44)는,
    상기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응축수가 배출되는 체크밸브(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46)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44)는,
    상기 체크밸브(46)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응축수 저장부(40) 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체크밸브(4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체크밸브(46)를 일정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산소발생기의 초기 가동시 또는 정지시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체크밸브(46)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20070018015A 2007-02-22 2007-02-22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0836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015A KR100836721B1 (ko) 2007-02-22 2007-02-22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015A KR100836721B1 (ko) 2007-02-22 2007-02-22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721B1 true KR100836721B1 (ko) 2008-06-10

Family

ID=3977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015A KR100836721B1 (ko) 2007-02-22 2007-02-22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69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매립가스 이송관의 응축수 자동 배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903A (ja) * 1986-09-18 1988-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素吸入装置
KR200322885Y1 (ko) 2003-05-22 2003-08-14 주식회사 옥시큐어 산소발생장치
KR20030067797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옥시큐어 산소발생장치
KR200371929Y1 (ko) 2004-10-04 2005-01-15 (주)바이오텔 산소공급장치
KR20060094384A (ko) * 2005-02-24 2006-08-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기용 산소발생 제어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903A (ja) * 1986-09-18 1988-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素吸入装置
KR20030067797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옥시큐어 산소발생장치
KR200322885Y1 (ko) 2003-05-22 2003-08-14 주식회사 옥시큐어 산소발생장치
KR200371929Y1 (ko) 2004-10-04 2005-01-15 (주)바이오텔 산소공급장치
KR20060094384A (ko) * 2005-02-24 2006-08-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기용 산소발생 제어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69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매립가스 이송관의 응축수 자동 배출 시스템
KR102000140B1 (ko) * 2018-01-04 2019-07-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매립가스 이송관의 응축수 자동 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985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JP2008114068A (ja) 液体濾過システム
ATE502610T1 (de) Filter zur desodorierung für eine stomavorrichtung
US9694118B2 (en) Portable vacuum device
RU2007106440A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одачей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эндоскоп
CN208465462U (zh) 车辆和车辆空气检测装置及其水气分离器
KR100836721B1 (ko)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JP2012167899A (ja) 加湿装置
JP2000288934A (ja) レンズ研削装置の脱臭システム
KR101279451B1 (ko) 의료용 석션장치
ATE270578T1 (de) Filtereinrichtung für ein vakuumtoilettensystem
KR100814965B1 (ko)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JP2008286492A (ja) 加湿装置
US20070026687A1 (en) Oxygen-rich gas supply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ondensate removal unit
CN209411831U (zh) 排气结构、龙头、水处理系统及净水设备
JP6320080B2 (ja) 腹水又は胸水の濾過液濃縮方法及び濾過液濃縮システム
CN209958455U (zh) 一种马桶的除臭装置
KR20000006644A (ko)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KR100836723B1 (ko) 산소발생기용 제습장치
KR101154089B1 (ko) 자동차 공기정화시스템
KR200371929Y1 (ko) 산소공급장치
JPH02115743A (ja) 臭気ガス計測装置
CN110470526A (zh) 用于车辆空气检测装置的水气分离器及其应用
JP3128731B2 (ja) ドレン蓄溜送出装置
KR101514085B1 (ko) 트럭용 산소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