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929Y1 - 산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산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29Y1
KR200371929Y1 KR20-2004-0028058U KR20040028058U KR200371929Y1 KR 200371929 Y1 KR200371929 Y1 KR 200371929Y1 KR 20040028058 U KR20040028058 U KR 20040028058U KR 200371929 Y1 KR200371929 Y1 KR 200371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oxygen supply
pipe
casing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소준호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텔 filed Critical (주)바이오텔
Priority to KR20-2004-0028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기와; 산소공급관을 통해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며 산소발생기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통과시키면서 산소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기와; 외부의 지지샤프트에 끼워져 결합하며 그 내부에 상기 수분제거기를 통과한 산소를 통과시키는 산소통로를 갖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산소통로를 통과한 산소를 원하는 위치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플렉시블튜브를 갖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산소공급장치는, 장치가 간단하고 고장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산소내의 수분 제거효율이 높다. 또한 산소를 원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예컨대 산소를 사용자의 얼굴 주위에 분출시킬 경우 그만큼 쾌적성을 배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소공급장치{Oxygen suppling device}
본 고안은 산소발생기를 갖는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소발생기는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산소와 산소 이외의 기체로 분리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산소를 필요처로 공급하는 기계장치로서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산소발생기로서 PSA(Pressure Swing Adsorption)방식을 채용한 산소발생기와 평막이나 중공사막을 이용한 막분리방식을 갖는 산소발생기가 있다.
한편 상기 산소발생기가 발생한 산소를 최적의 농도와 건조도를 유지한 상태로 원하는 장소에 공급하는 것이 산소공급장치이다. 상기 산소공급장치에는 산소발생기에서 생산된 산소를 필요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산소공급관도 포함된다.
그런데 산소발생기에서 발생된 산소에는 어느 정도의 습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습기는 산소가 산소공급관 내부를 유동하는 동안 겪는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 응축하게 된다. 산소공급관의 내부에 발생한 응축수는 산소의 흐름을 방해하고 산소공급장치의 내부를 부식시켜 장치의 노화를 촉진시키며 특히 산소의 습도를 높혀 공급산소의 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산소공급장치에 별도의 수분제거기를 설치하여 산소 내의 습기 및 산소공급관내에 발생된 응축수를 제거하거나, 최소한 응축수가 산소공급관의 토출구 외부로 튀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산소공급장치(11)를 차량(A)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산소공급장치(11)는, 차량(A)의 트렁크내에 설치되며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기(13)와, 상기 산소발생기(13)에서 생산된 산소를 운전석 앞의 그릴(G)로 이동시키는 제 1,2산소공급관(17,19)과, 상기 제 1산소공급관(17)과 제 2산소공급관(19) 사이에 위치하며 제 1산소공급관(17)에서 제 2산소공급관(19)으로 넘어가는 산소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수분제거기(15)를 갖는다.
상기 수분제거기(15)는 산소내에 섞여 있는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수분제거기(15)는, 외부에 대해 밀폐되며 상기 제 1,2산소공급관(17,19)이 그 양단에 각각 인입 고정되는 밀폐 케이싱(15a)과, 상기 케이싱(15a)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공성포집부(15b)로 구성된다. 상기 다공성포집부(15b)는 케이싱(15a) 내부로 유입된 산소를 통과시키며 산소가 통과하는 동안 산소내부의 습기를 응축시켜 산소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분제거기(15)는, 다공성포집부(15b)의 사용이 오래될수록 포집능력이 저하하므로 케이싱(15a)을 열고 주기적인 정비를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포집부(15b)는 항상 축축한 상태이므로 케이싱(15a)의 내부가 전체적으로 습해 케이싱이 쉽게 부식되며 특히 습기 제거효율이 높지 못하다.
아울러 산소가 나오는 그릴(G)이 탑승자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되는 산소가 그릴(G)로부터 탑승자의 코나 입으로 이동하는 동안 오염되거나 농도가 낮아져 쾌적성이 저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장치가 간단하고 고장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산소내의 수분 제거효율이 높고, 또한 산소를 원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예컨대 산소를 사용자의 얼굴 주위에 분출시킬 경우 그만큼 쾌적성을 배가할 수 있는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있다.
도 1은 차량에 장착된 종래의 산소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공급장치를 차량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변환밸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변환밸브 심볼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수분제거기의 내부 구성 및 수분제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의 좌석에 장착된 산소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산소공급부를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공급장치의 다른 예를 차량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0:산소공급장치 13:산소발생기
15,51:수분제거기 15a,51a:케이싱
15b:다공성포집부 17:제 1산소공급관
19:제 2산소공급관 51b:격판
51c:관통구멍 51d:상부캡
51e:산소유출파이프 51f:하부캡
51g:산소유입파이프 51h:분사구멍
51k,51n:경사면 51m:몸체
53:산소공급부 53a:고정블록
53b:플렉시블튜브 53c:디퓨져
53d:개방구 53e:밀착면
53f:가압스크류 53g:암나사구멍
53h:공급관연결부 53k:튜브연결부
53p:산소통로 53s:샤프트수용홈
55:콘트롤러 57:변환밸브
57a:스프링 57b:솔레노이드
59:배수관
A:차량 G:그릴(grill)
S:좌석 H:헤드레스트
Z:지지샤프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기와; 산소공급관을 통해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며 산소발생기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통과시키는 수분제거기와; 외부의 지지샤프트에 끼워져 결합하며 그 내부에 상기 수분제거기를 통과한 산소를 통과시키는 산소통로를 갖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산소통로를 통과한 산소를 원하는 위치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플렉시블튜브를 갖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제거기는; 외부에 대해 밀폐된 케이싱과, 상기 산소공급관에 연결되며 케이싱의 내부로 부분 삽입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산소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산소를 케이싱 내에 분사함으로써 산소의 압력이 포화수증기압 이하로 하강되도록 하는 다수의 분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산소유입파이프와, 상기 산소유입파이프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공급된 산소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유출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하단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튜브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끼워져 밀폐를 이루고 상기 산소유출파이프가 관통 설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끼워져 밀폐를 이루고 상기 산소유입파이프가 관통 설치되는 하부캡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산소유출파이프와 산소유입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디스크형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산소유입파이프의 상단부는 막혀있고, 상기 분사구멍은 산소유입파이프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산소를 반지름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에는 케이싱의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산소유입파이프측으로 흘러 분사구멍을 통해 하부로 흘러 나갈 수 있도록 산소유입파이프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유입파이프에 연결된 산소공급관에는 상기 분사구멍을 통과해 하부로 흘러나오는 응축수를 산소공급관 외부로 배출하는 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지지샤프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샤프트수용홈과, 상기 샤프트수용홈의 측부에 위치하며 샤프트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의 지지샤프트를 샤프트수용홈의 내주면측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에 나사결합하되 축회전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단부로 상기 지지샤프트를 샤프트수용홈의 내주면측으로 압착하는 가압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단부에는 배출되는 산소를 확산시키는 디퓨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공급장치를 차량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소공급장치(50)는, 차량(A)의 트렁크내에 설치되며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기(13)와, 상기 산소발생기(13)에 제 1산소공급관(17)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 1산소공급관(17)을 통해 공급된 산소를 통과시키는 수분제거기(51)와, 제 2산소공급관(19)을 통해 상기 수분제거기(51)에 연결되고 수분제거기(51)를 통과한 산소를 탑승자의 얼굴 주위에 분사하는 산소공급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산소공급관(17)에는 변환밸브(57)가 구비된다. 상기 변환밸브(57)는 도 3에 심볼로 나타낸 공지의 3포오트 2위치 밸브이다. 상기 변환밸브(57)의 내부에는 산소발생기(13)의 산소를 수분제거기(51)로 유도하는 제 1경로와, 상기 제 1경로를 차단하고 수분제거기(51)에 의해 모아진 응축수를 배수관(59)으로 내보내는 제 2경로를 갖는다.
상기 제 1경로는 변환밸브(57)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도 3의 57a)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 2경로는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콘트롤러(55)의 제어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도 3의 57b)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수분제거기(51)를 통과하며 후술할 원리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산소는 제 2산소공급관(19)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부(53)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산소공급부(53)는 좌석(S) 등받이 상단에서 헤드레스트(H)를 지지하는 지지샤프트(Z)에 지지되며 상기 제 2사소공급관(19)을 통해 공급된 산소를 내부 통과시키는 고정블록(53a)과, 상기 고정블록(53a)에 연결되며 고정블록(53a)을 통과한 산소를 원하는 위치로 유도하는 플렉시블튜브(53b)와, 상기 플렉시블튜브(53b)의 단부에 장착되며 산소를 넓게 분출하는 디퓨저(53c)로 이루어진다. 상기 산소공급부(53)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변환밸브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밸브 심볼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변환밸브(57)에는 스프링(57a) 및 솔레노이드(57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스프링(57a)은 상기한 제 1경로를 개방하기 위한 것이고 솔레노이드(57b)는 콘트롤러(55)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제 1경로를 차단하고 제 2경로를 개방하여 상기 수분제거기(51) 내부 및 수분제거기(51)와 변환밸브(57) 사이에 고여있는 응축수가 배수관(59)을 통해 화살표 p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수분제거기(51)의 세부 구성 및 수분제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산소가 상기 산소공급부(53)로 이동하는 모습이고, 도 4b는 응축수가 수분제거기 하부로 빠지는 모습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수분제거기(51)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케이싱(51a)과, 상기 케이싱(51a)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산소공급관(17) 및 제 2산소공급관(19)에 각각 이어지는 산소유입파이프(51g) 및 산소유출파이프(51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51a)은 상하단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격판(51b)을 갖는 원통형 몸체(51m)와, 상기 몸체(51m)의 상단부에 밀폐 결합하는 상부캡(51d)과, 상기몸체(51m)의 하단부에 밀폐 결합하는 하부캡(51f)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산소유출파이프(51e)는 상기 상부캡(51d)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고 산소유입파이프(51g)는 상기 하부캡(51f)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킨다.
상기 하부캡(51f)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상면에는 상기 산소유입파이프(51g)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51k)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51k)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케이싱(51a)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산소유입파이프(51g)측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산소유입파이프(51g)는 그 하단부가 상기 제 1산소공급관(17)측으로 개방되며 상단부가 막힌 파이프로서 그 외주면에 다수의 분사구멍(51h)을 갖는다. 상기 분사구멍(51h)은 관통구멍이고 하부로부터 올라온 산소를 반지름 방향으로 분사하여 산소의 압력이 포화수증기압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산소의 압력이 낮아지면 산소 내부의 습기가 응축되어 몸체(51m) 내벽면에 맺히고 마침내 아래로 흘러내려 하부캡(51f)의 경사면(51k)을 타고 산소유입파이프(51g)측으로 모여든다.
상기 산소유입파이프(51g)로 모여든 응축수는 일부 분사구멍(51h)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간다. 아울러 하부로 빠져나간 응축수는 추후 상기 콘트롤러(55)의 제어에 의해 제 1산소공급관(17)으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상기 과정을 통해 수분이 제거된 산소는 상기 격판(51b)의 관통구멍(51c)을 통과해 산소유출파이프(51e)를 거친 후 제 2산소공급관(19)으로 빠져나가필요처로 유도된다.
도면부호 51n은 경사면을 의미한다. 상기 경사면(51n)은 격판(51b)의 상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축수를 관통구멍(51c)으로 유도하여 하부로 신속히 배출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산소공급장치의 산소공급부를 차량의 좌석(S)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산소공급부(53)는, 좌석(S)의 등받이 상부에서 지지샤프트(Z)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산소통로(53p)를 갖는 고정블록(53a)과, 상기 고정블록(53a)의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산소통로(53p)에 연통하며 소정길이 연장되는 플렉시블튜브(53b)와, 상기 플렉시블튜브(53b)의 단부에 위치하며 플렉시블튜브(53b)로부터 분출되는 산소를 넓게 확산하는 디퓨저(53c)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블록(53a)의 양측에는 공급관연결부(53h) 및 튜브연결부(53k)가 고정된다. 상기 공급관연결부(53h) 및 튜브연결부(53k)는 상기 산소통로(53p)의 개방구에 고정된 기계요소이다. 상기 공급관연결부(53h)는 상기 제 2산소공급관(19)을 산소통로(53p)에 연통시키고, 튜브연결부(53k)는 상기 플렉시블튜브(53b)를 산소통로(53p)에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튜브(53b)는 공지의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휘어 놓으면 그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 디퓨저(53c)는 스폰지로 제작된 커버로서 상기 플렉시블튜브(53b)의 단부에 고정되어 플렉시블튜브(53b)로부터 분출되는 산소가 넓게 퍼지도록 한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산소공급부를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블록(53a)의 일측에 샤프트수용홈(53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수용홈(53s)은 고정블록(53a)의 위아래로 관통한 구멍으로서 그 측부가 개방구(53d)를 통해 지지샤프트(Z)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지지샤프트(Z)는 개방구(53d)를 통과해 샤프트수용홈(53s) 내부에 들어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수용홈(53s) 내주면에는 그 곡률이 상기 지지샤프트(Z)의 외주면의 곡률과 같은 밀착면(53e)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밀착면(53e)은 가압스크류(53f)에 의해 밀리는 지지샤프트(Z)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면이다.
상기 샤프트수용홈(53s)의 측부에는 암나사구멍(53g)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구멍(53g)에는 가압스크류(53f)가 끼워진다. 상기 가압스크류(53f)는 암나사구멍(53g)에 나사 결합한 상태로 축회전 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그 단부가 상기 지지샤프트(Z)에 대해 진퇴운동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수용홈(53s)내에 지지샤프트(Z)를 끼운 상태로 가압스크류(53f)를 죄면 가압스크류(53f)가 지지샤프트(Z)를 밀착면(53e)측으로 가압하여 지지샤프트(Z)가 밀착면(53e)에 압착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지지샤프트(Z)가 밀착면(53e)측으로 압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53a)이 지지샤프트(Z)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블록(53a)의 위치를 조절하려면 상기 가압스크류(53f)를 약간 풀어 느슨하게 한 후 고정블록(53a)의 위치를 변경하고 가압스크류(53f)를 다시 죄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산소공급장치(5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산소발생기(13)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디퓨저(53c)의 위치를 자기 얼굴 주변의 원하는 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플렉시블튜브(53b)는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디퓨져(53c)의 위치는 손을 대지 않는 한 변함없이 유지된다.
여하튼 상기 산소발생기(13)가 동작하여 발생된 산소는 제 1산소공급관(17)과, 수분제거기(51)와, 고정블록(53a)내의 산소통로(53p)를 통과해 플렉시블튜브(53b)를 거쳐 디퓨저(53c)를 통해 탑승자의 얼굴 주위에 산소를 공급한다.
이 때 산소내에 혼합되어 있는 수분은 상기 수분제거기(51)를 통과하는 동안 응축되어 수분제거기(51)의 케이싱(51a) 및 수분제거기(51)와 변환밸브(57) 사이의 제 1산소공급관(17) 사이에 머물러 있게 된다. 상기 응축수는 콘트롤러(55)를 통해 변환밸브(57)를 동작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공급장치의 다른 예를 차량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산소공급관(17)에 설치되던 변환밸브(도 2의 57)가 생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산소발생기(13)의 출력이나 운전모드를 조절하여 산소발생기(13)로부터 토출되는 산소내의 습기가 애초 어느 정도 낮을 경우, 굳이 상기한 변환밸브(57)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산소발생기(13)가 토출하는 토출산소내의 습도가 높지 않을 경우 산소내의 습기는 수분제거기(51)를 통과하면서 응축하기는 하지만 계속되는 산소의 흐름에 의해 서서히 증발하여 증기상태로 배출될 뿐 최소한 액체상태 즉 물방울로 튀겨나가지 않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산소공급장치를 차량에 적용하였지만 차량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기타 필요한 장소에 얼마든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적용할 경우 상기 산소발생기(13)를 차량 뒤쪽의 트렁크가 아닌 다른 공간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산소공급장치는, 장치가 간단하고 고장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산소내의 수분 제거효율이 높다. 또한 산소를 원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예컨대 산소를 사용자의 얼굴 주위에 분출시킬 경우 그만큼 쾌적성을 배가할 수 있다.

Claims (9)

  1.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기와;
    산소공급관을 통해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며 산소발생기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통과시키는 수분제거기와;
    외부의 지지샤프트에 끼워져 결합하며 그 내부에 상기 수분제거기를 통과한 산소를 통과시키는 산소통로를 갖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산소통로를 통과한 산소를 원하는 위치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플렉시블튜브를 갖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기는;
    외부에 대해 밀폐된 케이싱과,
    상기 산소공급관에 연결되며 케이싱의 내부로 부분 삽입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산소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산소를 케이싱 내에 분사함으로써 산소의 압력이 포화수증기압 이하로 하강되도록 하는 다수의 분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산소유입파이프와,
    상기 산소유입파이프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공급된 산소를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유출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하단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튜브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끼워져 밀폐를 이루고 상기 산소유출파이프가 관통 설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끼워져 밀폐를 이루고 상기 산소유입파이프가 관통 설치되는 하부캡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산소유출파이프와 산소유입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디스크형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유입파이프의 상단부는 막혀있고, 상기 분사구멍은 산소유입파이프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산소를 반지름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에는 케이싱의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산소유입파이프측으로 흘러 분사구멍을 통해 하부로 흘러 나갈 수 있도록 산소유입파이프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유입파이프에 연결된 산소공급관에는 상기 분사구멍을 통과해 하부로 흘러나오는 응축수를 산소공급관 외부로 배출하는 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지지샤프트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샤프트수용홈과,
    상기 샤프트수용홈의 측부에 위치하며 샤프트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의 지지샤프트를 샤프트수용홈의 내주면측으로 가압하여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에 나사결합하되 축회전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단부로 상기 지지샤프트를 샤프트수용홈의 내주면측으로 압착하는 가압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단부에는 배출되는 산소를 확산시키는 디퓨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공급장치.
KR20-2004-0028058U 2004-10-04 2004-10-04 산소공급장치 KR200371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58U KR200371929Y1 (ko) 2004-10-04 2004-10-04 산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58U KR200371929Y1 (ko) 2004-10-04 2004-10-04 산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29Y1 true KR200371929Y1 (ko) 2005-01-15

Family

ID=4944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058U KR200371929Y1 (ko) 2004-10-04 2004-10-04 산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9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721B1 (ko) 2007-02-22 2008-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721B1 (ko) 2007-02-22 2008-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569A (en) Compressed air pressure supply system
JP5647115B2 (ja) 液体フィルタに据え付けられるモジュール挿入物及びそれを備える燃料フィルタ
KR101906985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JP5571077B2 (ja) 液体フィルタに据え付けられるモジュール挿入物及びそれを備える燃料フィルタ
KR200371929Y1 (ko) 산소공급장치
KR101002535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KR100814965B1 (ko)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JP2891953B2 (ja) 除湿装置
ATE270578T1 (de) Filtereinrichtung für ein vakuumtoilettensystem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KR100836723B1 (ko) 산소발생기용 제습장치
JP4560296B2 (ja) 脱湿装置
KR200439787Y1 (ko) 차량용 산소토출장치
JP3326086B2 (ja) ドレン除去装置
KR100836721B1 (ko)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JP2004508855A (ja) 自浄式アイロン
JP3129152B2 (ja) 加湿器
JP2008255660A (ja) 便器洗浄装置
JPH09253436A (ja) 圧縮空気の油・水分除去装置
JP3083456B2 (ja) 除湿空気の供給システム
KR200239444Y1 (ko) 정수기의 보조저수통장치
JP2006095505A (ja) 除湿空気の間欠供給装置
JP3774379B2 (ja) ホース収納式水栓の水切構造
KR200421671Y1 (ko) 차량용 산소공급장치
KR200307041Y1 (ko) 산소발생장치의 수분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