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965B1 -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 Google Patents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965B1
KR100814965B1 KR1020070018017A KR20070018017A KR100814965B1 KR 100814965 B1 KR100814965 B1 KR 100814965B1 KR 1020070018017 A KR1020070018017 A KR 1020070018017A KR 20070018017 A KR20070018017 A KR 20070018017A KR 100814965 B1 KR100814965 B1 KR 10081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ort
dehumidifier
condensat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구
배준형
정윤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산소의 습도를 낮추고 이때 응결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가 제공된다.
상기 산소발생기는 유입된 공기에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산소 분리기; 상기 산소 분리기에서 유입된 고습도의 산소에서 습기를 분리하여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며, 고습도의 산소에서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상기 산소 분리기와 상기 제습장치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산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구 측의 산소배출라인과 연결된 제1 포트와, 상기 제습장치의 산소 공급구 측의 산소공급라인과 연결된 제2 포트와, 상기 산소 분리기의 질소 배출구와 연통된 질소배출라인과 연결된 제3 포트를 구비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 중 2개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러한 산소발생기는 고습도의 산소에서 응결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며, 적절한 습도의 산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Figure R1020070018017
산소발생기, 멤브레인, 제습장치, 산소분리기, 유로전환밸브, 배수 체크밸브

Description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Oxygen Generator Having Dehumid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습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습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습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산소발생기 110...산소 분리기
111...멤브레인 113...산소 배출구
114...질소 배출구 120...유로전환밸브
121...제1 포트 122...제2 포트
123...제3 포트 130...압축기
131...제1 헤드 132...제2 헤드
140...필터 153...산소배출라인
155...산소공급라인 156...질소배출라인
200...제습장치 201...하우징
202...캡 204...내부 덮개
210...산소 공급부 211...산소 공급구
220...제습부 221,222...산소유입라인
223...에어 스톤 230...응축수 저장조
231...제1 수조 232...제2 수조
233...격벽 240...응축수 배출부
241...응축수 배출라인 242...출구
250...산소 배출부 251...오리피스
252...산소 토출구 C1...역토출방지 체크밸브
C2...산소공급 체크밸브 C3...배수 체크밸브
S...밀폐부재
본 발명은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소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산소의 습도를 낮추고 이때 응결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소발생기는 여러 곳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흔하게는 사무실이나 일반가정의 밀폐된 공간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현대인의 일상생활에서 쌓인 피로의 회복하기 위한 위한 용도로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밀폐된 실내에서 창문을 닫은 상태로 히터나 에어컨을 작동할 경우 실내의 공기가 단시간 동안 탁해지게 되고 산소의 농도가 저하됨은 공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공기의 오염 및 산소농도의 저하는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쉽게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실내 등 밀폐된 공간에 각종 공기청정기나 산소발생기 등의 공기조화(air conditioning) 시스템을 설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산소발생기는 크게 화학적, 전기적 방식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PSA, RVSA 방식과, 평막 혹은 원형의 중공사와 같은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제오라이트 방식, 전기적 방식, 화학적 방식의 경우, 일정 기간 사용 후 산소발생체(분리체)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평막이나 중공사 등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산소발생기는 먼지나 기타의 오염원에 의한 막힘이 없을 경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산소발생기는 막에 대한 기체의 극성의 차이를 이용하거나 기체분자의 크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막의 친수성으로 인하여 막에 대한 산소의 투과도보다 물의 투과도가 매우 높게 된다. 즉, 막을 통해 분리된 산소는 막에 공급되는 공기 혼합물에 비해 3~4배 높은 상대습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관로와 산소를 흡입하는 장치 내에서 고습도의 산소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고습도의 산소와 함께 사용자 측으로 토출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흡입하는 산소는 습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응결된 물이 산소와 함께 토출되므로, 사용자에게 사용상 불쾌감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감기 등 병리적인 문제까지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산소의 유량과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성능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산소 발생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산소의 습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어 산소 공급관로와 산소 흡입장치 내에서 응축수의 발생이 더욱 촉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응축수의 처리를 위하여, 흡착/흡수식과 같은 제습제를 이용한 제습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습방식은 초기 제습효과가 좋은 이점이 있으나, 장기 사용시 제습성능이 급격히 감소하고 재생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 적용상 한계가 있다.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가 산소를 흡입하기 위한 장치, 즉 산소 흡입용 헤드셋이나 산소 흡입용 스탠드의 유로 상에 별도로 구성된 버퍼 탱크(buffer tank)를 설치함으로써, 배관 내에 맺힌 응축수를 따로 저장하여 산소 토출구로 물방울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습방식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버퍼 탱크에 고인 물의 양을 수시로 확인하고 일일이 버려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량의 수분이 버퍼 탱크에 채워지거나 버퍼 탱크 내의 습도가 포화습도 이상이 되면 산소 토출구를 통해 수분이 재토출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습효과에 있어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측면으로서, 산소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고습도의 산소에서 응결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제습효과가 탁월하고 사용자에게 적정 습도의 산소를 제공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응축수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유입된 공기에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산소 분리기; 상기 산소 분리기에서 유입된 고습도의 산소에서 습기를 분리하여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며, 고습도의 산소에서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상기 산소 분리기와 상기 제습장치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산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구 측의 산소배출라인과 연결된 제1 포트와, 상기 제습장치의 산소 공급구 측의 산소공급라인과 연결된 제2 포트와, 상기 산소 분리기의 질소 배출구와 연통된 질소배출라인과 연결된 제3 포트를 구비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 중 2개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 공급구에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연결하며, 상기 응축수 저장조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저장조의 출구와 연통된 상기 산소 공급구를 통하여 응축수를 상기 질소배출라인의 하부 유로로 배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응축수 저장조의 출구와 상기 산소 공급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수 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배수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라인과,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과 별도로 설치되며 상기 산소 공급구에서 유입된 산소를 상기 제습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산소유입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산소유입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제습장치의 내부의 응축수 저장조에서 상기 산소 공급구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산소공급 체크밸브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습장치는, 그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습장치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배수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응축수 저장조의 응축수가 상기 산소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질소배출라인의 하부 유로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발생수단은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 토출구와 연결된 유로에 설치된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산소발생기는 상기 제습장치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감지하여 상기 제습장치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산소발생기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산소 분리기에 공급하는 압축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기는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산소 분리기에 공급하는 제1 헤드부와, 상기 산소 분리기에서 분리된 산소를 가압하여 상기 제습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압축기의 제2 헤드부 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기는 유입된 공기를 복수 회 가압하여 상기 산소 분리기에 공급하도록 복수 개의 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습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습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산소발생기(100)는 유입된 공기에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멤브레인(111)을 구비하는 산소 분리기(110)와, 상기 산소 분리기(110)에서 유입된 고습도의 산소에서 습기를 분리하여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장치(200)와, 상기 산소 분리기(110)와 상기 제습장치(200)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는 유로전환밸브(120)와, 상기 유로전환밸브(120)의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압 하여 상기 산소 분리기(110)에 공급하는 압축기(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 분리기(11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2)와, 유입된 공기에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멤브레인(111)과, 상기 멤브레인(111)을 투과한 산소를 배출하는 산소 배출구(113)와, 상기 멤브레인(111)을 투과하지 못한 질소를 배출하는 질소 배출구(114)를 구비한다. 한편, 멤브레인(111)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112) 이전의 유로에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1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산소 분리기(110)는 멤브레인(111)을 통하여 산소와 질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며, 멤브레인(막)(111)의 친수성으로 인하여 멤브레인(111)을 통과한 산소는 높은 습도를 가지게 된다. 즉, 산소 배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되는 산소는 흡입된 외부 공기보다 높은 습도, 예를 들어 약 95% 이상의 상대습도를 갖게 되며, 반대로 멤브레인(111)을 투과하지 못하여 분리된 질소는 흡입된 외부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 예를 들어 약 30% 이하의 상대습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산소 분리기(110)에서 분리된 산소는 높은 습도를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고습도의 산소를 사용자가 직접 흡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병리학적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산소 분리기(110)에서 분리된 산소에 함유된 수분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저습도의 산소를 토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습(정확하게는 습도를 낮춤)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산소 분리기(110) 후단에 제습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습장치(200)는 산소 분리기(110)에서 유입된 고습도의 산소에서 습기를 분리하여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토출하고, 그 내부에는 고습도의 산소에서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조(도 5의 230 참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습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산소 분리기(110)와 제습장치(200) 사이의 유로에는 유로전환밸브(120)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전환밸브(120)는 산소 분리기(110)의 산소 배출구(113) 측의 산소배출라인(153)과 연결된 제1 포트(121)와, 제습장치(200)의 산소 공급구(211) 측의 산소공급라인(155)과 연결된 제2 포트(122)와, 산소 분리기(110)의 질소 배출구(114)와 연통된 질소배출라인(156,157)과 연결된 제3 포트(123)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포트(121), 제2 포트(122) 및 제3 포트(123) 중 2 개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유로전환밸브(120)의 유로를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산소분리기(110)에서 산소 및 질소가 분리되는 경우, 산소 공급구(211)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유로전환밸브(120)의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 사이의 유로를 연결하고, 제1 포트(121)와 제3 포트(123) 사이의 유로 및 제2 포트(122)와 제3 포트(123)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산소배출구(113)에서 배출된 산소는 산소배출라인(153), 제1 포트(121), 제2 포 트(122), 산소공급라인(155)을 거쳐 제습장치(200)의 산소공급구(211)로 보내진다. 또한, 질소 배출구(114)에서 배출된 질소는 질소배출라인(156)을 거쳐 제3 포트(123) 후단의 질소배출라인(157)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제습장치(200)의 응축수 저장조(도 5의 230)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유로전환밸브(120)의 제2 포트(122)와 제3 포트(123)를 연결하고,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 사이의 유로 및 제1 포트(121)와 제3 포트(123)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 저장조(도 5의 230)에 저장된 응축수는 산소 공급구(211), 산소공급라인(155), 제2 포트(122), 제3 포트(123)를 거쳐 질소배출라인(15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3 포트(123)의 후단의 상부 질소배출라인(156)과 하부 질소배출라인(157) 사이에는 제3 포트(123)에서 상부 질소배출라인(157)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크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산소발생기(100)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산소 분리기(110)에 공급하도록 압축기(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30)는 유입된 공기가 산소분리기(110)의 멤브레인(111)을 잘 통과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13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가압함으로써 산소의 유량과 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산소의 습도가 더욱 높아지 게 되어 산소 공급관로와 산소 흡입장치 내에서 응축수의 발생이 더욱 촉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200)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는 고습도의 산소에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여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토출하게 되므로 고습도로 인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개의 헤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30)는 외기 공급라인(151)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압축공기 공급라인(152)을 통하여 산소 분리기(110)의 공기 유입구(112) 측으로 공급하도록 유입/유출구(131a,131b)를 갖는 제1 헤드부(131)와, 산소 분리기(110)에서 분리되어 산소배출라인(153)을 통해 유입된 산소를 가압하여 하부 산소배출라인(154), 유로전환밸브(120)의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 그리고 산소공급라인(155)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장치(200)에 공급하도록 유입/유출구(132a,132b)를 갖는 제2 헤드부(132)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유로전환밸브(120)의 제1 포트(121)는 압축기(130)의 제2 헤드부(132)의 유출구(132b)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산소 분리기(110)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가압하고, 산소 분리기(110)에서 분리된 산소를 2차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압축기(130)의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산소농도 및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산소발생기의 유로 구조에 대해 살펴 본다. 도 2에 도시된 산소발생기(100)는 압축기(130)에서 복수 회 가압된 공기를 산소분리기(110)에 공급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산소발생기의 구조와 유사하다.
도 2에 도시된 산소발생기(100)는 유입된 공기를 복수 회 가압하여 산소 분리기(110)에 공급하도록 복수 개의 헤드(131,132)를 구비하는 압축기(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1 헤드(131)의 유입구(131a)와 제2 헤드(132)의 유입구(132a)에서 2회 흡입되고, 제2 헤드(132)의 유출구(132b)와 제1 헤드(131)의 유출구(131b)에서 2회 압축됨으로써 충분히 압축된 공기를 산소 분리기(11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압축기를 갖는 산소발생기(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산소발생기(100)는 단일의 헤드를 갖는 압축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와는 달리 압축기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산소발생기에 사용되는 제습장치(2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장치(200)는 산소발생부(100a)의 산소공급라인(155)과 연결되어 산소발생부(100a)에서 생성된 산소가 유입되는 산소 공급부(210)와, 상기 산소 공급부(210)를 통하여 유입된 산소에서 습기를 분리하며 응축수 저장조(230)를 구비하는 제습부(220)와, 상기 응축수 저장조(230)에 저장된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라인(241)을 통하여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 부(240)와, 상기 제습부(230)에서 제습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토출구(252)를 구비하는 산소 배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산소 공급부(210)는 산소발생부(100a)에서 생성된 산소가 유입되는 산소 공급구(211)를 구비하며, 이러한 산소 공급구(211)는 산소공급라인(155)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산소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된 산소는 산소 공급구(211)와 연결된 산소유입라인(221,222)을 통하여 제습부(220)로 유입된다.
이러한 제습부(220)는 유입된 산소에서 습기를 분리하여 고습도의 산소를 저습도의 산소로 변화시키며, 고습도의 산소에서 응축되어 분리된 응축수는 제습부(220) 내부에 설치된 응축수 저장조(230)에 저장된다.
한편, 제습장치(200)는 응축수 저장조(230)의 일측에 형성된 출구(242)를 통하여 응축수 저장조(230)에 저장된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라인(241)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응축수 배출부(240)를 구비하며, 제습부(220)의 상부에는 제습된(습도가 낮춰진)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배출구(252)를 구비하는 산소 배출부(250)가 설치된다.
이때, 제습부(220)의 응축수 저장조(230)는, 산소유입라인(221,222)과 연결되어 산소가 유입되는 산소 유입구(224)를 구비하며 산소에서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제1 수조(231)와, 상기 제1 수조(231)와 격벽(233)을 통하여 분리되며 상기 제1 수조(231)에서 넘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제2 수조(2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응축수 배출라인(241)은 제2 수조(232)와 연결된다.
한편, 제1 수조(231)에 설치되는 산소 유입구(224)는 제1 수조(231)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수조(231)의 하측으로 유입된 산소는 제1 수조(231)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통과하면서 버블링되고, 이 과정에서 고습도의 산소에 함유된 습기 중 일부는 응축수와 접촉하면서 응결이 촉진된다.
이때, 제1 수조(231)의 하측으로 유입된 산소가 작은 기포를 형성하여 응축수와 고습도의 산소 사이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도록 상기 산소 유입구(224)에는 기포화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이러한 기포화 수단으로 에어 스톤(223)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세한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관이나 다공질의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응축수 저장조(230)를 2개의 수조(231,232)로 분리함으로써 제1 수조(231)에서는 일정 수준의 물이 유지되므로 물의 응집력을 통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수조(232)에 저장된 응축수는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안정적인 제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응축수 저장조(230)가 두 개의 수조(231,232)로 분리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응축수 저장조(2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습부(220)의 제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습부(220)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제습부(220)는 압력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한 체적을 갖는 기체를 압축하면 단위 체적당 포화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산소발생부(100a)에서 유입된 고습도의 산소를 대기압 이상으로 압축하게 되면, 압축된 고습도의 산소의 포화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고, 포화수증기량을 초과한 수분은 응결되어 응축수가 된다.
예를 들어, 상대습도 90%인 산소를 절반의 부피로 압축하게 되면 상대습도가 180%가 되며, 상대습도 100%를 초과한 80%의 수분은 응결되어 응축수가 된다. 이와 같이, 압축을 통하여 일부 수분이 응결된 산소를 대기압인 외부로 토출하게 되면 단열팽창에 의한 압력강하로 인하여 단위체적당 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어 토출되는 산소의 습도는 대략 50~60%의 낮은 습도를 갖게 된다.
즉, 제습부(220) 내부에 압력발생수단을 설치하고, 이러한 압력발생수단에 의하여 제습부(220) 내부의 압력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습부(220) 내부에서 고습도의 산소에 함유된 수증기(수분)를 감소시켜 토출되는 산소의 습도를 적정수준으로(예를 들어 60% 정도의 습도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력발생수단은 공지의 압축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배출부(250)의 산소 토출구(252) 전방에 구비된 오리피스(251)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오리피스(251)의 직경은 제습부(220) 내부의 설정 압력과 토출되는 설정 유량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소유입라인(221)에는 응축수 저장조(230)의 제1 수조(231)에 저장된 응축수가 산소 공급부(2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산소공급 체 크밸브(C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산소공급 체크밸브(C2)는 산소공급부(210)에서 유입된 산소가 제1 수조(23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되, 제1 수조(231)에 저장된 응축수가 산소 공급구(211)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부(240)의 응축수 배출라인(241)에는 응축수 저장조(230)의 출구(242)와 산소 공급구(211)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수 체크밸브(C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체크밸브(C3)는 산소 공급부(210)에서 유입된 산소가 제2 수조(232)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응축수 저장조(230)의 제2 수조(232)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 개방되어 응축수가 산소 공급부(210)의 산소 공급구(211)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 체크밸브(C3)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하여 제어부의 지시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개방되거나 수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일정한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어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220) 내부에 오리피스(251) 등의 압력발생수단이 설치된 경우에는 산소공급부(210)에서 산소가 공급되지 않을 때 배수 체크밸브(C3)의 제2 수조(232) 측에 걸리는 압력이 산소공급부(210)에 연결된 유로에 걸리는 압력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산소공급부(210)에서 산소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배수 체크밸브(C3)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응축수 저장조(230)의 제2 수조(232)에 저장된 응축수가 배수 체크밸브(C3)를 통하여 배출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산소공급부(210)의 산소 공급구(211) 및 이에 연결된 산소공급라인(155)를 통하여 유로전환밸브(120)의 제2 포트(122) 및 제3 포트(123)를 통하여 하부 질소배 출라인(157)으로 배출된다.
즉, 산소발생부(100a)에서 산소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압축기(130)에 의해 고압의 산소가 공급되므로 산소 공급부(210)에 배수 체크밸브(C3)가 개방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이 유지되지만, 산소발생부(100a)에서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습부(220)의 압력이 높은 상태임에 비해 산소 공급부(210)의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배수 체크밸브(C3)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산소공급부(210)는, 산소발생부(100a)와 연결이 해제될 때, 응축수 저장조(230)의 제2 수조(232)에 저장된 응축수가 산소 공급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산소발생부(100a)와 연결될 때 개방되고 산소발생부(100a)와 연결이 해제될 때 폐쇄되는 역토출방지 체크밸브(C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역토출방지 체크밸브(C1)는 산소 공급구(211)가 산소발생부(100a)와 연결되는 경우, 산소 발생시 산소분리기(110)로부터 제습부(220)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응축수 저장조(230)에서 응축수 배출시 응축수가 산소공급라인(155)을 통하여 유로전환밸브(120)의 제2 포트(122)로 보내지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역토출방지 체크밸브(C1)는 산소 공급구(211)와 산소발생부(100a)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된다.
한편, 산소 공급부(210)의 산소공급구(211)는, 산소발생부(100a)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제습부(220)에 공급됨과 동시에 응축수 저장조(230)에 저장된 응축수가 산소발생부(100a)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도록 산소유입라인(221,222) 및 응축수 배출라인(241)과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산소 공급부(210)와, 제습부(220)와, 응축수 배출부(240)와, 산소 배출부(250)를 포함하는 제습장치(200)를 설치하기 위한 일 예로서, 상기 제습장치(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방된 중공형의 하우징(201) 상측과 하측 각각에 하우징(201)의 양단을 폐쇄하도록 탈착가능한 캡(202)과 하부 덮개(20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1)의 일측에는 역토출방지 체크밸브(C1), 산소공급 체크밸브(C2) 및 배수 체크밸브(C3)가 함께 설치될 수 있도록 체크밸브 삽입체(20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밸브 삽입체(206)를 덮도록 측면 커버(20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커버(207)에는 역토출방지 체크밸브(C1)가 체크밸브 삽입체(206)에 장착되도록 개구(207a)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커버(207)는 돌기(207b)와 조임부(207c)를 통하여 하우징(20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는 격벽(233)을 통하여 구획된 제1 수조(231) 및 제2 수조(232)로 이루어지는 응축수 저장조(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1)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응축수 저장조(230)의 제1 수조(231)에 산소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심미적 효과를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산소발생기의 작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조(231)의 하측에는 산소 유입구(224)가 형성된 유로 가이드 부재(205)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 부재(205)에 형성된 에어 스톤 장착구(205a)에는 에어 스톤(223)이 밀폐부재(S)를 개재하여 장착되며, 상기 에어 스톤(223)의 하측은 하부 덮개(20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유로 가이드 부재(205)는 산소공급 체크밸브(C2)가 장착되는 돌출부(205b)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산소공급 체크밸브(C2)를 통해 유입된 산소를 에어스톤(223) 측으로 안내하는 산소유입라인(222)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201)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캡(202)에는 오리피스(251)와 산소토출구(252)를 갖는 산소토출구(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202)은 상기 응축수 저장조(230)에 수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01)의 상부와 캡(202) 사이에는 탈착 가능한 내부 덮개(20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덮개(204)는 제1 수조(231)의 상부에만 개구(204a)가 형성되고 제2 수조(232)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 저장조(230)에 물을 보충할 때 제1 수조(231) 측으로만 물이 보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 덮개(204)는 소정 깊이를 가져 사용자가 필요 이상으로 물을 보충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201), 캡(202), 하부 덮개(203) 및 유로 가이드 부재(205) 사이의 연결부와, 제습장치(200)와 산소발생부(100a)의 연결부와, 체크밸브(C1,C2,C3)의 설치부 등에는 밀폐를 위해 오링(O)과 같은 밀폐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산소발생기(100)는 제습장치에 설치된 마그네트(260)를 감지하여 제습장치(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마그네트(26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자기센서(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제습장치(200)가 산소발생기 본체에 장착된 경우, 즉 산소공급라인(155)과 산소 공급구(211)가 연결된 경우에만 산소와 질소의 분리가 일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산소발생기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습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제습장치(200)는 산소 공급구(211)와 연결된 유로의 일측에 응축수 배출라인(241)이 구비되고 타측에 산소유입라인(221)이 형성된다. 산소 공급구(211)를 통하여 산소유입라인(221)으로 유입된 산소는 오리피스(251)의 작용으로 제습부(220) 내부에서 가압되어 응축되므로 산소토출구(252)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산소의 습도는 크게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되어 응축수 저장조(230)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수 체크밸브(C3)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될 때 산소 공급구(211)를 통하여 도 1 또는 도 2의 산소공급라인(155)을 통하여 유로전환밸브(120)의 제3 포트(123)를 거쳐 하부 질소배출라인(157)으로 배출된다.
도 6에서는 응축수의 일부를 응축수 저장조(230)에 잔류시키기 위해 응축수 배출라인(241)이 응축수 저장조(23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5에서와 같이 응축수 배출라인(241)을 응축수 저장조(230)의 하측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배수 체크밸브(C3)는 기본적으로 도 5에서 설명한 배수 체크밸브(C3)와 그 기능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제습장치(200)는 산소 공급구(211)와 연결된 유로의 일측에 응축수 배출라인(241)이 구비되고 타측에 산소유입라인(221)이 형성된다. 산소 공급구(211)를 통하여 산소유입라인(221)으로 유입된 산소는 산소공급 체크밸브(C2)를 통하여 응축수 저장조(230)의 하부로 공급된다. 이때, 응축수 저장조(230)를 통과하는 산소는 응축수와의 접촉에 의해 수분이 응결되고, 오리피스(251)의 작용으로 제습부(220) 내부에서 가압되어 응축되므로 산소토출구(252)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산소의 습도는 크게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되어 응축수 저장조(230)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수 체크밸브(C3)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될 때 산소 공급구(211)를 통하여 도 1 또는 도 2의 산소공급라인(155)을 통하여 유로전환밸브(120)의 제3 포트(123)를 거쳐 하부 질소배출라인(157)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7에서는 응축수의 일부를 응축수 저장조(230)에 잔류시키기 위해 응축수 배출라인(241)이 응축수 저장조(23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5에서와 같이 응축수 배출라인(241)을 응축수 저장조(230)의 하측에 설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산소공급 체크밸브(C2)와 배수 체크밸브(C3)는 기본적으로 도 5에서 설명한 산소공급 체크밸브(C2) 및 배수 체크밸브(C3)와 그 기능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캡(202)을 열어 응축수 저장조(230) 중에서 산소 공급부(210)로부터 산소가 유입되는 제1 수조(231)에 소정량의 물을 채워넣는다. 이러한 보충수는 고습도의 산소가 물과 접촉할 때 물의 응집력 및 산소 온도 저감을 통하여 제습효과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산소가 버블링되는 심미적인 효과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산소 발생부(100a)의 산소공급라인(155)과 제습장치(200)의 산소 공급구(211)를 연결하게 되면 역토출방지 체크밸브(C1)가 개방되고, 마그네트(260)의 자기력이 산소발생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된 자기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면서 산소발생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산소발생부(100a)가 작동하면 산소분리기(110)에서 분리된 산소는 유로전환밸브(120)의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 산소공급라인(155)을 거쳐 제습장치(200)의 산소 공급구(211)로 유입되며, 이후 산소유입라인(211,212), 에어 스톤(223)을 거쳐 응축수 저장조(230)의 제1 수조(231)에 유입된다. 제1 수조(231)에 유입된 산소는 버블링되면서 수증기(수분) 함량이 적어지게 되고 오리피스(251)의 작용에 의해 제습부(220)의 압력이 올라가면서 산소 내에 함유된 수분의 응결이 촉진된다. 따라서, 산소 토출구(252)를 통해 토출되는 산소는 상대습도 50~60% 정도의 낮은 습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산소발생기(100)의 지속적 사용에 따라 응결되어 제1 수조(231)에 저장된 응축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격벽(233)을 넘어 제2 수조(232)에 저장되므로 제습부(220)에서 지속적인 제습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응축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산소발생 운전시간이 종료되어 산소 발생이 종료되면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유로전환밸브(120)의 제2 포트(122)와 제3 포트(123)가 연결된다. 이때, 제습부(220)의 내부압력, 즉 응축수 저장조(230)의 응축수에 걸리는 내부 압력은 산소발생운전에 따라 고압을 유지한 상태이고, 유로전환밸브(120)의 제2 포트(122)와 제3 포트(123)가 연결되면서 산소 공급구(211) 및 이와 연통된 응축수 배출라인(241)에 걸리는 압력은 대기압이 된다. 따라서, 배수 체크밸브(C3) 전후 유로의 압력차이에 의해 배수 체크밸브(C3)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배수 체크밸브(C3)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흘러나온 제2 수조(232)의 응축수는 산소 유입구(211), 산소공급라인(155), 유로전환밸브(120)의 제2 포트(122)와 제3 포트(123), 하부 질소배출라인(15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는 달리, 오리피스(251) 등의 압력발생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배수 체크밸브(C3)가 수동으로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일정 시점에서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면 유로전환밸브(120)는 다시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를 연결하도록 유로가 전환되어 산소발생을 위한 대기 모드가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1 수조(231)에 적정량을 초과하여 과다한 물을 채울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습장치(200)의 안정적 운용 및 충분한 제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산소발생기를 가동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제습장치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안정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즉, 산소발생기 동작 초기에 소정시간 산소 발생 운전을 하면, 제1 수조(231)에 적정 수준 이상으로 저장된 물은 산소 공급에 의한 버블링에 의해 격벽을 넘어 제2 수조(23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안정화 시간 동안 산소발생 운전을 한 후 응축수 배출을 할 수 있도록 유로전환밸브(120)의 제2 포트(122)와 제3 포트(123)를 연결하여 제2 수조(232)에 저장된 응축수를 일시에 배출할 수 있으며, 이후 다시 유로전환밸브(120)의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를 연결하여 제습장치(200)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도 5와 같이, 응축수 저장조(230)가 두 개의 수조(231,232)를 구비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응축수 저장조(230)가 단일의 수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도 5의 제2 수조(232)와 관련된 사항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제2 수조(232)가 제1 수조(231)를 넘친 응축수를 저장하고 이를 배출한다는 점 등을 제외하고는 도 4의 응축수 저장조(23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전환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제습장치 내의 응축수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제습효율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습효과가 탁월하고 사용자에게 적정 습도의 산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장치 내부에 압력 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습효과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산소발생 운전 종료시 배수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트와 자기센서를 통하여 제습장치가 장착된 경우에만 산소발생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역토출방지 체크밸브, 산소공급 체크밸브, 배수 체크밸브 등 다수 개의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유로를 효율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안정적인 산소 발생 및 응축수 배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헤드를 구비하는 압축기를 구비함으로써 발생되는 산소의 농도와 유량을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1)

  1. 유입된 공기에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산소 분리기;
    상기 산소 분리기에서 유입된 고습도의 산소에서 습기를 분리하여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며, 고습도의 산소에서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상기 산소 분리기와 상기 제습장치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산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구 측의 산소배출라인과 연결된 제1 포트와, 상기 제습장치의 산소 공급구 측의 산소공급라인과 연결된 제2 포트와, 상기 산소 분리기의 질소 배출구와 연통된 질소배출라인과 연결된 제3 포트를 구비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 중 2개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 공급구에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연결하며, 상기 응축수 저장조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저장조 의 출구와 연통된 상기 산소 공급구를 통하여 응축수를 상기 질소배출라인의 하부 유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응축수 저장조의 출구와 상기 산소 공급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수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배수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라인과,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과 별도로 설치되며 상기 산소 공급구에서 유입된 산소를 상기 제습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산소유입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산소유입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제습장치의 내부의 응축수 저장조에서 상기 산소 공급구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산소 공급 체크밸브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는 그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습장치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배수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응축수 저장조의 응축수가 상기 산소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질소배출라인의 하부 유로로 자동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발생수단은 저습도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 토출구와 연결된 유로에 설치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감지하여 상기 제습장치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마그네트(26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자기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산소 분리기에 공급하는 압축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산소 분리기에 공급하는 제1 헤드부와, 상기 산소 분리기에서 분리된 산소를 가압하여 상기 제습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압축기의 제2 헤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유입된 공기를 복수 회 가압하여 상기 산소 분리기에 공급하 도록 복수 개의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KR1020070018017A 2007-02-22 2007-02-22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KR10081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017A KR100814965B1 (ko) 2007-02-22 2007-02-22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017A KR100814965B1 (ko) 2007-02-22 2007-02-22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965B1 true KR100814965B1 (ko) 2008-03-19

Family

ID=3941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017A KR100814965B1 (ko) 2007-02-22 2007-02-22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9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489A1 (ko) * 2012-06-21 2013-1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KR20190124421A (ko) * 2018-04-26 2019-11-05 비고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농축 장치
CN114324696A (zh) * 2021-12-30 2022-04-12 杭州谱育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富集技术的分析装置和方法
CN117085474A (zh) * 2023-09-25 2023-11-21 珠海蕲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医用分子筛制氧用高效率气水自动分离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923A (ja) 1984-10-04 1986-05-02 Matsushita Seiko Co Ltd 酸素濃縮器
JP2002159824A (ja) 2000-11-24 2002-06-04 Tokico Ltd 気体分離装置
KR200341010Y1 (ko) 2003-11-12 2004-02-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산소 농축기
KR20040036171A (ko) * 2002-10-23 2004-04-30 (주)바이오텔 차량 및 옥내 겸용 산소발생장치
KR20050069322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923A (ja) 1984-10-04 1986-05-02 Matsushita Seiko Co Ltd 酸素濃縮器
JP2002159824A (ja) 2000-11-24 2002-06-04 Tokico Ltd 気体分離装置
KR20040036171A (ko) * 2002-10-23 2004-04-30 (주)바이오텔 차량 및 옥내 겸용 산소발생장치
KR200341010Y1 (ko) 2003-11-12 2004-02-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산소 농축기
KR20050069322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489A1 (ko) * 2012-06-21 2013-1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KR20190124421A (ko) * 2018-04-26 2019-11-05 비고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농축 장치
KR102503020B1 (ko) 2018-04-26 2023-02-22 비고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농축 장치
CN114324696A (zh) * 2021-12-30 2022-04-12 杭州谱育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富集技术的分析装置和方法
CN114324696B (zh) * 2021-12-30 2023-11-10 杭州谱育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富集技术的分析装置和方法
CN117085474A (zh) * 2023-09-25 2023-11-21 珠海蕲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医用分子筛制氧用高效率气水自动分离装置
CN117085474B (zh) * 2023-09-25 2024-03-15 珠海蕲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医用分子筛制氧用高效率气水自动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9388A (en) Oxygen enriching apparatus
KR100814965B1 (ko)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KR100895890B1 (ko) 산소발생기
KR100836723B1 (ko) 산소발생기용 제습장치
KR100364584B1 (ko) 기체분리막을 이용한 산소공급장치
JP3974616B2 (ja) 空調システムの酸素富化空気供給装置
JP3723478B2 (ja) 濃縮酸素供給装置
KR102349902B1 (ko)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KR20190007772A (ko) 공기정화장치
KR102129833B1 (ko) 기체 멤브레인과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산소발생장치
KR200384033Y1 (ko) 산소발생 공기청정기
KR200284400Y1 (ko) 산소 발생장치
KR20210037768A (ko) 산소 발생 장치
KR100638643B1 (ko)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장치
KR200342601Y1 (ko) 산소발생장치
KR200307385Y1 (ko)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정화기
JPH0312901B2 (ko)
JP3110016U (ja) 酸素発生用枕
KR200371929Y1 (ko) 산소공급장치
KR100836721B1 (ko) 산소발생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JP2008061734A (ja) 酸素濃縮装置及び医療用酸素濃縮装置
KR20000053669A (ko)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KR200293560Y1 (ko) 고효율 산소발생장치
KR200203610Y1 (ko)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KR20110056941A (ko) 산소 공급 기능을 구비한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