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902B1 -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 Google Patents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902B1
KR102349902B1 KR1020190151412A KR20190151412A KR102349902B1 KR 102349902 B1 KR102349902 B1 KR 102349902B1 KR 1020190151412 A KR1020190151412 A KR 1020190151412A KR 20190151412 A KR20190151412 A KR 20190151412A KR 102349902 B1 KR102349902 B1 KR 10234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filter
module
dust collector
filter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019A (ko
Inventor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정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성 filed Critical 정우성
Priority to KR1020190151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9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3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관 형상으로 된 다수의 세라믹 필터가 집진기의 함체에 착탈 가능하게 배열되어서 오염공기를 필터링하고 역세척 및 교체를 통해 세라믹 ??러의 필터링 환경을 유지해서 집진기의 실내 환경을 최적화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흡연실을 조성하는 부스; 관 형상의 세라믹 필터와,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관통해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서포팅 패널이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연통하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TRAP EQUIPPED WITH CERAMIC FILTER MODULE}
본 발명은 공기 정화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관 형상으로 된 다수의 세라믹 필터가 집진기의 함체에 착탈 가능하게 배열되어서 오염공기를 필터링하고 역세척 및 교체를 통해 세라믹 ??러의 필터링 환경을 유지해서 집진기의 실내 환경을 최적화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우리나라의 성인남성 흡연율은 2017년 기준 21.2%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 사무실, 음식점, 길거리 등에서 간접흡연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수의 흡연자들도 간접흡연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이를 직시하고 현재 공공장소에서 흡연금지에 관한 법적/제도적 규제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인 관리 및 규제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발생되고 있다. 물론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은 비흡연자에게 불쾌감과 더불어 신체적 피해를 주므로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그런데 흡연자의 흡연권도 보호할 의무가 있는 해당 기관에서는 흡연 규제와 흡역구역 축소에 제약이 있고, 현재의 규제만으로도 흡연자는 자신의 흡연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공공장소에서 흡연자가 흡연금지 규제를 지키며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흡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이 미연에 방지되어 비흡연자의 건강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집진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집진기와 관련한 기술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8-072332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집진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04678호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집진기" 등이 안출되어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집진기"는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칸막이가 필요없고, 설치공간의 제한없이 이동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상부에 기둥(5)으로 지지된 천정(7)을 구비하고, 천정(7)의 상부에 커버(4)를 덮어서 천정(7)과 커버(4) 사이에 에어챔버를 형성한다. 이 에어챔버내에 천정(7)의 중앙에서 오염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청정기(2)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에 정화된 공기를 에어챔버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에어챔버로 배출된 공기가 다시 상기 천정(7)의 둘레에 형성된 방출구멍(8)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집진기"는 도 2와 같이 담배연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지붕부(290)에 송풍팬이 구성된 흡입구(240)와,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30)로 구성된 정화장치를 구비하여 집진기 내부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흡연자용 부스의 천정(7)이나 지붕부(290)에 설치된 공기청정기(2) 또는 정화장치는 상대적으로 체적이 큰 집진기 내에 오염공기를 필터링하기에는 충분한 용량을 갖추지 못했다. 물론 종래 공기청정기(2) 또는 정화장치를 대형화해서 집진기 내에 오염공기의 필터링을 가능하게 해도 흡연자가 지속해서 배출하는 오염공기는 해당 필터의 유효기간을 빠르게 단축시키므로, 관리자가 해당 공기청정기(2) 또는 정화장치의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 또는 세척해야 했다. 더욱이 공기청정기(2) 또는 정화장치에 내설된 필터를 교체 또는 세척하기 위해서는 공기청정기(2) 또는 정화장치의 하우징을 개구하는 작업이 선행되므로, 필터 교체와 세척 등의 관리작업이 수월하지 못했다.
결국, 종래 공기청정기(2) 또는 정화장치와 같이 집진기 및 배관과는 독립된 개체의 정화수단만으로는 집진기 내에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없었고, 상기 정화수단에 내장된 필터를 번거로운 과정을 통해 빈번히 교체하고 세척해야 하는 불편 또한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흡연자가 지속적으로 내뿜는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고, 필터의 빈번한 교체와 세척 없이도 흡연실 내의 공기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필터 교체 또한 손쉽게 할 수 있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연실을 조성하는 부스;
관 형상의 세라믹 필터와,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관통해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서포팅 패널이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 및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연통하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팅 모듈;
을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관 형상으로 된 다수의 세라믹 필터가 집진기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열되어서 집진기의 실내 오염공기를 큰 체적에서 효율적으로 필터링하고, 세라믹 필터의 역세척과 손쉬운 교체 등을 통해 최적의 필터링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흡연자는 흡연을 위한 최상의 환경에서 흡연을 할 수 있고, 세라믹 필터의 손쉬운 교체 작업과 교체 주기 연장을 통해 관리자는 집진기 관리가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부스형 집진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집진기에서 공기 정화를 위해 이루어지는 기류 모습을 집진기의 정단면에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 설치되는 세라믹 필터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 도시한 집진기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 세라믹 필터가 내설된 세라믹 필터 모듈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 도시한 집진기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에서 세라믹 필터 모듈의 인입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다른 실시 예에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이 모듈 삽입구에 삽입되며 어댑팅 모듈과 접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서 세라믹 필터 모듈의 세라믹 필터와 어댑팅 모듈의 통기관이 연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4에 도시한 집진기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3에 도시한 집진기에서 세라믹 필터 세척을 위해 이루어지는 공기 역류 모습을 집진기의 정단면에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서 세라믹 필터 세척으로 포집된 분진을 수용하는 역세척 필터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4 도시한 집진기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에서 역세척 필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집진기에서 공기 정화를 위해 이루어지는 기류 모습을 집진기의 정단면에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 설치되는 세라믹 필터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 도시한 집진기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집진기(B)는, 흡연실(S1)을 조성하는 부스(100)와, 흡연실(S1)의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부스(100)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배열하게 설치되는 관 형상의 세라믹 필터(210)와, 세라믹 필터(210)의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통하도록 부스(100)에 설치되는 어댑팅 모듈(300)과, 흡연실(S1)의 공기가 세라믹 필터(210)와 어댑팅 모듈(300)을 경유해서 순환하도록 부스(100)에 설치되는 순환팬(400, 400')을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의 일실시 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스(100)는, 집진기(B)의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10)와, 외부와 격리된 흡연실(S1)을 이루도록 베이스(110)의 둘레를 감싸는 벽면패널(120)과, 벽면패널(120)에 의해 형성된 흡연실(S1)을 덮는 루프(130)와, 집진기(B) 내에 세라믹 필터(210)와 순환팬(400, 400')이 설치되도록 지지하고 집진기(B)를 흡연실(S1)과 정화실(S2)과 기압실(S3)로 구획하는 선반 프레임(140)을 구성한다. 여기서, 벽면패널(120)은 흡연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미도시함)와 도어(121)가 구성된다.
본 실시의 집진기(B)는 부스(100)의 흡연실(S1) 상에 한 쌍의 정화실(S2, S2')을 구성하고, 한 쌍의 정화실(S2, S2') 사이에 기압실(S3)을 구성한다. 따라서 흡연실(S1)로부터 양측 정화실(S2, S2')로 각각 유입된 공기는 정화된 후에 중앙에 위치한 기압실(S3)로 유입되고, 기압실(S3)로 유입된 공기는 흡연실(S1)로 다시 배출된다.
본 실시의 부스(100)는 흡연실(S1)과 정화실(S2)과 기압실(S3)의 경계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경계별로 설치되는 제1필터(151)와 제2필터(152)와 제3필터(153)를 더 구성한다. 결국, 흡연실(S1)에서 정화실(S2)로 유입되는 공기의 분진은 제1필터(151)에서 우선 집진하고, 정화실(S2)에서 기압실(S3)로 유입되는 공기의 분진은 제2필터(152)에서 집진하며, 기압실(S3)에서 흡연실(S1)로 배기되는 공기의 분진은 제3필터(153)에서 집진한다.
세라믹 필터(210)는 부스(100)의 정화실(S2)에 설치되어서, 흡연실(S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한다. 참고로, 세라믹 필터(21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가진 다공성 세라믹으로 기체나 유체가 투과하고, 상기 투과 과정에서 매진이나 현탁액을 여과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멍은 정밀여과(MF), 한외여과(UF), 나노여과(NF), 역삼투 필터(RO)로 나뉘며, 정밀여과(MF, microfiltration)는 0.1~10μm, 한외여과(UF, ultrafiltration)는 10~100nm, 나노여과(NF, nanofiltration)는 1~10nm, 역삼투(RO, reverse osmosis)는 1nm 이하이다.
본 실시의 세라믹 필터(210)는 상기 구멍을 투과한 공기가 세라믹 필터(210)를 따라 이동하도록 관 형상을 이루고, 세라믹 필터(210)의 단부는 기압실(S2)과 연통하도록 개구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세라믹 필터(210)는 다수 개가 정화실(S2) 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세라믹 필터(210)의 각 단부가 서포팅 패널(220)에 관통하게 고정되며, 서포팅 패널(220)은 기압실(S2)을 향해 배치된다.
어댑팅 모듈(300)은 서포팅 패널(220)을 관통한 세라믹 필터(210)의 배기 공기가 기압실(S3)로 유입되도록 배관되고, 부스(110)의 정화실(S2)과 기압실(S3)의 경계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어댑팅 모듈(300)은 서포팅 패널(220)과 접면하고, 세라믹 필터(210)와 연통하는 관통공(331a)을 구성한다. 본 실시의 관통공(331a)은 도 10와 같이 어댑팅 모듈(300)을 관통하도록 내설된 통기관(3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팅 모듈(3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본 실시의 순환팬(400, 400')은 부스(100)의 기압실(S3)에 설치되어서 흡연실(S1)의 공기가 세라믹 필터(210)를 경유하여 순환하도록 공기를 펌핑한다. 본 실시에서 순환팬(400, 400')은 기압실(S3)의 공기를 흡연실(S1)로 강제 배기시키므로, 도 2와 같이 흡연실(S1)의 공기는 정화실(S2)로 우선 유입된 후에 기압실(S3)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에서 집진기(B)의 공기는 흡연실(S1)과 정화실(S2)과 기압실(S3)과 다시 흡연실(S1) 순으로 순환한다. 결국, 흡연실(S1)의 오염공기는 세라믹 필터(210)의 외면을 통해 중공으로 유입되므로, 상기 오염공기의 분진이 세라믹 필터(210)의 외면에 퇴적된다.
이와는 반대로 순환팬(400, 400')은 기압실(S3)의 공기를 정화실(S2)로 강제 배기시켜서 흡연실(S1)의 공기가 기압실(S3)로 우선 유입되도록 한 후에 정화실(S2)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연실(S1)의 오염공기는 기압실(S3)을 통해 세라믹 필터(210)의 중공을 통해 외부에 배출되므로, 상기 오염공기의 분진이 세라믹 필터(210)의 중공에 퇴적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 세라믹 필터가 내설된 세라믹 필터 모듈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 도시한 집진기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에서 세라믹 필터 모듈의 인입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다른 실시 예에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집진기(B)는, 어댑팅 모듈(300)과 슬라이딩하게 접면하는 제1접합면(221)을 구비하고 세라믹 필터(210)의 단부가 제1접합면(221)에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서포팅 패널(220)과, 세라믹 필터(210)를 수용하고 서포팅 패널(220)이 고정되며 하면이 개방된 제1하우징(230)을 구성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200)을 더 포함한다. 이에 대응해서 본 실시의 부스(100)는 세라믹 필터 모듈(200)이 삽탈하도록 개구된 모듈 삽입구(MG)가 형성된다.
본 실시의 세라믹 필터 모듈(200)은 다수의 세라믹 필터(210)를 수용하며 부스(100)에 인입출하게 구성된 집합체로서, 집진기(B)가 최적의 정화 환경을 유지하도록 관리자는 세라믹 필터 모듈(200)을 주기적으로 교체 및 관리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세라믹 필터(210)는 제1하우징(230)에 수용되고, 세라믹 필터(210)의 단부는 서포팅 패널(220)에 관통하게 고정된다. 또한 흡연실(S1)과 마주하는 제1하우징(230)의 하면은 통기를 위해 개방되며, 상기 하면에는 필요에 따라 보조필터(240)가 설치된다. 본 실시에서 세라믹 필터(210)는 서포팅 패널(220)에 노출된 구조이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 따라서 서포팅 패널(220)에 노출되는 구간은 보호관(211)으로 대체되어서, 외력으로부터 세라믹 필터(210)를 보호할 수 있다.
결국, 관리자는 세라믹 필터 모듈(200)을 모듈 삽입구(MG)를 통해 정화실(S2)로부터 손쉽게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다.
한편, 정화실(S2)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한 세라믹 필터 모듈(200)은 정화실(S2)에 설치되면 세라믹 필터 모듈(200)의 세라믹 필터(210)가 어댑팅 모듈(300)과 통기 가능해야 하고, 더 나아가 상기 통기 과정에서 누출이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1접합면(221)은 세라믹 필터(210)의 단부 둘레에 끼움홈(222)이 형성된다. 또한 어댑팅 모듈(300)은, 세라믹 필터(210)에 대응하는 통기관(310)과, 통기관(3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320)와, 제1접합면(221)과 접면하며 통기관(310)의 단부가 끼움홈(222)에 삽탈하도록 인입출하는 제2접합면(331)을 구비하고 통기관(310)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330)을 구성한다.
따라서 어댑팅 모듈(300)의 통기관(310)은 제2접합면(331)을 관통해서 돌출 가능하고, 이렇게 돌출된 통기관(310)의 단부는 끼움홈(222)으로 삽입되면서 세라믹 필터(210)의 보호관(211)을 감싸며 연통한다.
결국, 관리자는 세라믹 필터 모듈(200)의 제1접합면(221)이 어댑팅 모듈(300)의 제2접합면(331)과 접면하며 슬라이딩하도록 세라믹 필터 모듈(200)을 정화실(S2)에 삽입하고, 세라믹 필터 모듈(200)이 지정된 위치에 이르면 통기관(310)을 제1접합면(221)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통기관(310)의 단부를 끼움홈(222)에 삽입한다. 이를 통해 세라믹 필터(210)와 기압실(S3)은 배기 가능하게 연통하고, 통기관(310)과 보호관(211) 간의 결속을 통해 누출 없는 안정된 통기 환경을 구축한다.
본 실시의 통기관(310)은 파이프(311)와 플랜지(312)와 스프링(313)을 구성한다. 또한, 다수의 파이프(311)를 엮어 일체로 연결하는 링커(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파이프(311)는 통기관(310)의 본체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3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파이프(311)는 서포터(320)를 관통하여 제2접합면(331)으로 인입출 한다. 이를 위해 서포터(320)는 파이프(311)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321)이 형성된다.
플랜지(312)는 파이프(311)의 둘레에 돌출하게 형성된다. 플랜지(312)는 제2하우징(330) 안에 위치한 파이프(311) 구간에 위치한다. 플랜지(312)는 패킹을 위한 재질일 수 있다.
스프링(313)은 통기관(310)이 제2접합면(331)에서 돌출하도록 탄력을 가한다. 따라서 통기관(310)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스프링(313)의 탄력에 의해 통기관(310), 즉 파이프(311)의 단부는 제2접합면(331)에서 돌출된 자세를 유지한다. 본 실시의 스프링(313)은 코일 스프링이고, 플랜지(312)와 서포터(320) 사이에 배치됐으나, 스프링(313)의 종류와 설치 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링커(314)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의 파이프(311)를 일체로 엮어서 다수의 파이프(311)가 일률적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에서 링커(314)는 일렬로 배열된 파이프(311)를 연결하도록 했으나, 어댑팅 모듈(300)에 구성된 모든 파이프(311)를 일체로 엮어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이 모듈 삽입구에 삽입되며 어댑팅 모듈과 접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서 세라믹 필터 모듈의 세라믹 필터와 어댑팅 모듈의 통기관이 연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어댑팅 모듈(300)은, 통기관(310)에 고정되며 통기관(310)의 인입출 방향으로 제2하우징(330)에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자성 프레임(340)과, 통기관(310)의 단부가 제2접합면(331)으로 인입되도록 자성 프레임(340)에 자력을 가하는 전자석(350)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접합면(331)에서 인입출하도록 제2하우징(330)에 설치된 통기관(310)은 자성 프레임(340)과 고정되므로, 자성 프레임(340)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자성 프레임(340)이 제2접합면(331) 방향으로 이동하면 통기관(310)의 단부는 제2접합면(331)으로부터 인출하고, 제2접합면(331)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통기관(310)의 단부는 제2접합면(331)으로 인입하는 것이다. 한편, 스프링(313)은 통기관(310) 자체를 제2접합면(331) 방향으로 탄력을 가하므로, 통기관(310)의 단부는 항시 제2접합면(33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통기관(310)이 제2접합면(33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 인출된 통기관(310)이 세라믹 필터 모듈(200)의 정화실(S2) 삽입 시 간섭을 준다. 또한 세라믹 필터 모듈(200)이 정화실(S2)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통기관(310)의 단부가 끼움홈(22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세라믹 필터 모듈(200)의 정화실(S2) 인출 시 간섭을 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어댑팅 모듈(300)에 자성 프레임(340)과 전자석(350)을 구성하고, 관리자가 전자석(350)에 전기를 인가하면 전자석(350)이 자력을 일으켜서 도 11의 (a)도면과 같이 자성 프레임(340)을 인력으로 당긴다. 이때, 관리자는 세라믹 필터 모듈(200)을 정화실(S2)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필터 모듈(200)의 삽입 또는 인출이 완료되면, 전자석(350)을 단전해서 자력을 상실시킨다. 상기 자력이 상실된 통기관(310)은 스프링(313)의 탄력에 의해 도 11의 (b)도면과 같이 통기관(310)의 단부가 제2접합면(331)에서 인출되고, 끼움홈(222)에 삽입된다.
참고로, 자성 프레임(340)은 전자석(350)의 자력에 반응하는 도전체이다.
본 실시에서 프레임(340)은 자성을 갖는 패널이고, 전자석(350)은 프레임(34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력수단이었으나, 프레임(34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력수단은 이외에도 볼스크류 기술, 크랭크 기술, 서보모터 기술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12는 도 4에 도시한 집진기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집진기(B)는, 세라믹 필터(210)와 어댑팅 모듈(300)을 경유한 공기가 부스(100)의 출입구로 하향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에어분사노즐(160)을 더 포함한다.
에어분사노즐(160)은 기압실(S3)의 공기가 흡연실(S1)로 강제 분사되는 통로이다. 본 실시의 에어분사노즐(160)은 기압실(S3)과 흡연실(S1)의 경계를 구성하는 선반 프레임(140)에 설치되고, 에어분사노즐(160)의 분사구가 부스(100)의 출입구를 향해 하향 조준된다. 따라서 에어분사노즐(160)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출입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므로, 흡연자의 출입 시 도어(121)가 열려도 상기 에어커튼은 흡연실(S1)의 오염공기가 외부로 무단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에서 기압실(S3)의 공기는 정화실(S2)에서 정화된 공기이므로, 에어분사노즐(160)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정화된 공기이다.
본 실시의 집진기(B)는 기압실(S3)과 흡연실(S1)의 배기 통로가 에어분사노즐(160)에 한정된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압실(S3)과 흡연실(S1) 간의 배기 통로가 다수 구성되어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에서 제3필터(153)는 에어분사노즐(160)에 내설된다.
도 13은 도 3에 도시한 집진기에서 세라믹 필터 세척을 위해 이루어지는 공기 역류 모습을 집진기의 정단면에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일실시 예에서 세라믹 필터 세척으로 포집된 분진을 수용하는 역세척 필터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4 도시한 집진기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에서 역세척 필터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집진기(B)의 공기 정화 과정에서 분진이 퇴적된 세라믹 필터(210)는 순환 공기를 역류시켜서 세척할 수 있다. 즉, 흡연실(S1)과 정화실(S2)과 기압실(S3) 순으로 공기가 순환하면서 세라믹 필터(210)에 퇴적된 분진을 공기 역류를 통해 세라믹 필터(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집진기(B)는 도 13과 같이 순환팬(400, 400')을 역회전시켜서 흡연실(S1)과 기압실(S3)과 정화실(S2) 순으로 공기를 역류시킨다. 이 과정에서 세라믹 필터(210)의 외면에 퇴적된 분진은 기류에 의해 세라믹 필터(210)로부터 이탈하고, 이를 통해 세라믹 필터(210)는 세척된다.
한편, 본 실시의 집진기(B)는, 어댑팅 모듈(300)에서 세라믹 필터(210)로 역류하여 흡연실(S1)로 분사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흡연실(S1)과 세라믹 필터(210)를 경계하게 배치되는 패널형상의 역세척 필터(500, 500')를 더 포함한다.
역세척 필터(500, 500')는 세라믹 필터(210)의 세척 중에 분리된 분진을 포집해서 수거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를 위해 통기 가능하면서도 분진은 필터링할 수 있는 미세한 망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의 역세척 필터(500, 500')는 흡연실(S1)의 일반적인 공기 정화 중에는 불필요하므로, 역세척 중에만 부스(10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한 본 실시의 역세척 필터(500, 5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역세척 필터(500, 500')는, 역류한 공기가 관통하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외곽 프레임(510)과, 상기 통기공을 덮도록 외곽 프레임(510)에 고정되는 필터링 망(520)을 구성한다. 이에 대응해서 부스(100)는, 역세척 필터(500, 500')가 삽탈하도록 개구된 필터 삽입구(170, 170')가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 삽입구(170, 170')는 흡연실(S1)과 세라믹 필터(210)를 경계하는 위치에 역세척 필터(500, 500')가 배치되도록, 흡연실(S1)과 정화실(S2)의 경계 구간에 형성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역세척 작업 이전에 필터 삽입구(170, 170')에 역세척 필터(500, 500')를 삽입하고, 역세척 과정에서 역세척 필터(500, 500')는 세라믹 필터(210)에서 분리되는 분진을 포집한다. 역세척이 완료하면, 관리자는 필터 삽입구(170, 170')에서 역세척 필터(500, 500')를 인출해 수거하고, 역세척 필터(500, 500')에 포집된 분진을 제거한다.
참고로, 필터 삽입구(170, 170')는 역세척 필터(500, 500')의 인입출을 위해 개구된 구조이므로, 집진기(B)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 정화 중에는 필터 삽입구(170, 170')에 커버(미 도시함)을 삽입해서 폐구한다. 물론 상기 커버는 역세척을 위해 분리할 수 있다.
미 설명부호 '530'은 외곽 프레임(510)에 설치되는 '손잡이'이며, 관리자는 손잡이(530)를 이용해서 역세척 필터(500, 500')를 사용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부스 110; 베이스 120; 벽면패널
121; 도어 130; 루프 140; 선반 프레임
151; 제1필터 152; 제2필터 153; 제3필터
160; 에어분사노즐 170, 170'; 필터 삽입구
200, 200'; 세라믹 필터 모듈
210; 세라믹 필터 211; 보호관 220; 서포팅 패널
221; 제1접합면 222; 끼움홈 230; 제1하우징
240; 보조필터 300; 어댑팅 모듈 310; 통기관
311; 파이프 312; 플랜지 313; 스프링
320; 서포터 330; 제2하우징 340; 자성 프레임
350; 전자석 400, 400'; 순환팬 500, 500'; 역세척 필터
510; 외곽 프레임 520; 필터링 망 530; 손잡이
B; 집진기 MG; 모듈 삽입구 S1; 흡연실
S2, S2'; 정화실 S3; 기압실

Claims (8)

  1. 흡연실을 조성하는 부스; 관 형상의 세라믹 필터와,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관통해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서포팅 패널이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연통하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팅 모듈;을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어댑팅 모듈은, 상기 세라믹 필터와 연통하는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와, 상기 통기관이 세라믹 필터와 연통하게 결합하도록 탄력을 가해 돌출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통기관에 고정되어서 통기관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설되는 자성 프레임과, 상기 통기관의 단부가 세라믹 필터와 분리되도록 자성 프레임에 자력을 가하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2. 흡연실을 조성하는 부스; 관 형상의 세라믹 필터와,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관통해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서포팅 패널이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연통하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팅 모듈;을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는, 상기 세라믹 필터 모듈이 삽탈하도록 개구된 모듈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3. 흡연실을 조성하는 부스; 관 형상의 세라믹 필터와,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관통해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서포팅 패널이 구성된 세라믹 필터 모듈; 상기 세라믹 필터의 단부가 연통하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팅 모듈;을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어댑팅 모듈에서 세라믹 필터로 역류하여 흡연실로 분사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흡연실과 세라믹 필터를 경계하게 배치되는 패널형상의 역세척 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팅 모듈은, 상기 세라믹 필터와 연통하는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팅 모듈은, 상기 통기관이 세라믹 필터와 연통하게 결합하도록 탄력을 가해 돌출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팅 모듈은, 상기 통기관에 고정되어서 통기관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설되는 자성 프레임과, 상기 통기관의 단부가 세라믹 필터와 분리되도록 자성 프레임에 자력을 가하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필터와 어댑팅 모듈을 경유한 공기가 부스의 출입구로 하향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에어분사노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필터는, 역류한 상기 공기가 관통하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외곽 프레임과, 상기 통기공을 덮도록 외곽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링 망을 구성하고;
    상기 부스는, 상기 역세척 필터가 삽탈하도록 개구된 필터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KR1020190151412A 2019-11-22 2019-11-22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KR102349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12A KR102349902B1 (ko) 2019-11-22 2019-11-22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12A KR102349902B1 (ko) 2019-11-22 2019-11-22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19A KR20210063019A (ko) 2021-06-01
KR102349902B1 true KR102349902B1 (ko) 2022-01-11

Family

ID=7637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412A KR102349902B1 (ko) 2019-11-22 2019-11-22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589B1 (ko) 2021-12-07 2022-04-28 정민호 연마 분진 집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315Y2 (ja) 1990-11-30 1997-06-11 アマノ株式会社 集塵機等に於けるフイルタの取付部
KR101737339B1 (ko) 2016-09-02 2017-05-18 주식회사 대림엘이디 고효율의 우수한 자체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510B1 (ko) * 2008-06-30 2011-08-25 최용준 세라믹필터용 집진기
KR100992841B1 (ko) * 2008-06-30 2010-11-0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스형 집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315Y2 (ja) 1990-11-30 1997-06-11 アマノ株式会社 集塵機等に於けるフイルタの取付部
KR101737339B1 (ko) 2016-09-02 2017-05-18 주식회사 대림엘이디 고효율의 우수한 자체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19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329B1 (ko)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쉘터
KR101752965B1 (ko)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102170721B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349902B1 (ko) 세라믹 필터 모듈을 장착한 부스형 집진기
KR20070057486A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160024507A (ko) 공기청정시스템
US10190786B2 (en) Humidifying air cleaner
KR102170681B1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공기청정기
KR101856979B1 (ko) 공기 청정기
KR200358216Y1 (ko) 참숯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490864Y1 (ko) 빨래방의 먼지제거 및 정화공기 공급장치
JP2007160027A (ja) 空気清浄装置
KR20100052375A (ko) 공기 청정기
CN217875996U (zh) 一种抽油烟机的中空过滤装置、双核过滤器及抽油烟机
KR101806392B1 (ko) 흡연실 천장 설치용 필터박스
KR20200000242A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어셈블리
KR20190119458A (ko) 물 필터 마스크
KR200301939Y1 (ko) 천연향 발생기능을 갖는 투 도어식 공기정화기
KR102262223B1 (ko)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KR100855286B1 (ko) 공기청정기
CN116558031A (zh) 一种空气加湿滤芯组件、空气加湿净化器和空调
KR102152824B1 (ko) 담배 연기 제거기
JP3135855U (ja) 喫煙用空気清浄機及びそれを設置した喫煙室
CN112097341B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8098788U (zh) 风淋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