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91489A1 -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 Google Patents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91489A1
WO2013191489A1 PCT/KR2013/005457 KR2013005457W WO2013191489A1 WO 2013191489 A1 WO2013191489 A1 WO 2013191489A1 KR 2013005457 W KR2013005457 W KR 2013005457W WO 2013191489 A1 WO2013191489 A1 WO 20131914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odule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54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형근
최원길
조항대
박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31914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914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3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cation duct us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a duct in which a flow fan is installed for gas flow, it does not use a separate power or removes water by using less power or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cation duct us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removing trace gases.
  • This dehumidification is the same in the general industrial field. Therefore, a separate dehumidifier is used to remove water from the gas containing moisture, and the dehumidifier is required to cool the gas to increase the saturated steam pressure. Therefore, for dehumidification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energy for cooling the gas and energy for heating again are required. Therefore, if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input gas can be lowered at least in part, a considerable energy saving effect can be enjoy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stall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a duct in which a flow fan is installed for gas flow, so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using no power or using less power. It is to provide a dehumidification duct using.
  • the inlet is supplied gas; An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gas flows out; A flow fan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flow gas; A dehumidifier hav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low fan and capable of selectively absorbing moisture from the flowing gas; And a gas-liquid separator connected to the dehumidifier, and the gas-liquid separator is a dehumidification duct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having a lower pressure than the outlet portion so as to absorb and separate the moisture from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the gas-liquid separator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vacuum pump,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ehumidifier in the outlet.
  • a first control valve is install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vacuum pump.
  • gas-liquid sepa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neck formed in the inlet.
  • a second control valve is install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inlet.
  • 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having a space in which gas flows; A negative pressure chamber connected to the housing, insulated from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separation pipe installed therein; And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one or both end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 the dehumid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at can selectively absorb a specific trace gas from the flowing gas.
  •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dehumid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llow fiber membrane capable of selectively absorbing specific trace gases in addition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hat can selectively absorb moisture.
  • This dehumidification duct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indoor humidity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typical building.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mfort index of the people in the building can be lowered, and that the complaints caused by the current indoor temperature regulation are largely resolv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pose a method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energy required for dehumidification,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a clean room in addition to the air conditioning facilities of the building.
  • the gas including the combustion flue gas containing sulfurous acid gas (SO 2 ) in almost the same structure, it can be used to treat trace gases such as sulfurous acid gas in addition to water recovery.
  • SO 2 sulfurous acid ga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humidification duct us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ample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ed in the dehumidification duct of FIG.
  • FIG. 3 is another exampl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ed in the dehumidification duct of FIG.
  • the great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removal of moisture from the supplied gas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low fan 108 in the duct having the flow fan 108.
  • the dehumidification duct 100 basically includes an inlet part through which gas is supplied, an outlet part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 flow fan 108 disposed between the inlet part and the outlet part to flow gas, Dehumidifiers are additionally arranged.
  • the flow fan 108 functions to suck air from the inlet and forcibly discharge it to the outlet in order for the gas to flow.
  • the flow fan 108 uses power such as electric energy, and the flow fan 108 may use a known fan.
  • a dehumidifier 110 hav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selectively absorbing moisture from the flowing gas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low fan, and a gas including water vapor or water vapor separated and separated by the dehumidifier 110 is in a liquid state.
  • the gas-liquid separator 114 is connected to the dehumidifier 110 with the water and the gas.
  • the dehumidifier 110 has a housing 122 having a space in which gas flows, and a negative pressure chamber 130 connected to the housing 122, isolated from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122, and having a separation pipe 132 installed therein. And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2 and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30.
  • the housing 122 may have the same size as other parts of the dehumidifying duct 100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housing 122 than the dehumidification duct 100,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pressure by reducing the flow rate of the gas.
  •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126 and connectors 124 and 128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126.
  • the connectors 124 and 128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26. Therefore, when the connectors 124 and 128 communicate with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30,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26. Accordingly, unlike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30 shown in FIG. 2,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using 122 may be instal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hollow fiber membrane 126 is a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of a polymer membrane fiber (hereinafter hollow fiber membrane) made of a hollow fiber-like structure having excellent selectivity for moisture, as shown in Figure 2, such a hollow fiber membrane ( 126)
  •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configured by forming a cluster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embers are uniformly distributed by the connectors 124 and 128 and then fixing both ends thereof.
  • the hollow fiber membrane 126 may have a coating layer to improve moisture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dried hollow fiber surface using, for example, a known coating agent such as polydimethylsiloxane solution.
  • the H 2 O permeability (2,000 Barrer) in the gas is 8,000 times larger than that of N 2 (0.25 GPU), so water can be separated very easily (Sybrandus Jacob Metz, Water Vapro and Gas Transport Through Polymeric Membranes ", Ph.D. Dissertation (2003).
  • SO 2 permeability (1220 GPU) was 225 times higher than CO 2 permeability (5.4 GPU) and N 2 permeability (2.4 GPU), respectively. And 506 are large so that SO 2 can be easily separated ", Membrane 22, 6, 404-414 (Dec. 2012)).
  • the polysulfone polymer membrane and the polyisimide hollow fiber membrane may be mixed and disposed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 the target gas can be removed by select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high selectivity for removal.
  • the separation pipe 132 is connect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114.
  • the dehumidifier 111 has a housing 134, a negative pressure chamber 142, and a separation tube 144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dehumidifier 110, but all of the connectors 136 and 138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40. There is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with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42.
  • the dehumidifiers 110 and 111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fur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is idea.
  • the gas-liquid separator 114 is a well-known technique, by forcibly condensing and separ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coming gas, serves to reduce the total amount of water vapor in the gas. Therefore, the gas passing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114 has a considerably dry state compared to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 the output side of the gas-liquid separator 114 is connected to the inlet.
  • the neck portion 104 is formed in the inlet portion to connect the gas-liquid separator 114 to the neck portion 104 so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appli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28 increases. That i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outlet by increasing the flow rate in the neck 104, the pressure drops.
  • the gas-liquid separator 114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vacuum pump 120, the discharge side of the vacuum pump 1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than the dehumidifier 110 in the outlet.
  • a first control valve 118 is install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114 and the vacuum pump 120, and a second control valve 116 is install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114 and the inlet. Can be.
  • the first control valve 118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16 ar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gas-liquid separator 114. Therefore, when the vacuum pump 120 is not used, or when the negative pressur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neck 104 is not used, the first control valve 118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16 are not us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lose one and open the other.
  • Dehumidification duct 100 is basical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ehumidification duct 100 will be described.
  • gas is introduced into the dehumidifier 110 from the front of the dehumidifier 109 and th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dehumidifier rear end 112.
  • the pressure of the dehumidifier front 109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neck 104. Therefore, when the second control valve 116 is in an open state, an external pressure becomes larger than the in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26, and water contained in the gas passing around the hollow fiber membrane 126 is hollow. It penetrates through the desert 126 and flows into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30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126.
  • Moisture or gas containing moisture collected in the negative pressure chamber 130 is introduced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114 through the separation pipe 132. Therefore, since the water or the gas containing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114 is at or near the saturated steam state, condensation occurs in the gas-liquid separator 114 so that the water falls into a liquid, and water is removed. Only the dried gas is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14. The gas thus discharged is fed back to the neck 104. Therefore, the dry matter and the gas flowing from the outside in the neck 104 is mixed, the absolute humidity is lowered as a whole, the mixed gas passes through the dehumidifier 110 while passing through the flow fan 108 again. . Therefore, the gas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er 110 is significantly low humidity.
  •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gas supplied by the dehumidification duct 100 is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energy load of the cooling device and the warming device connected to the dehumidification duct 100.
  • the air conditioner even if the same temperature by reducing the relative humidity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lower the discomfort index.
  • the neck 104 and the dehumidifier front end 109 are not large, by operating the vacuum pump 120 and opening the first control valve 118, the neck ( Compared to relying solely on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104, the amount of water or gas containing water that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dehumidifier 110 may be increased. That is, the water separation ability is improved.
  • the dry matter discharg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14 is supplied to the dehumidifier rear end 112. Therefore, the gas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duct 100 may be discharged in a dry state.
  • the water recover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114 may be separated and disposed of or recycled.
  • dehumidification duct 102 neck shear
  • neck 106 neck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유동을 위하여 유동팬이 설치된 덕트에 중공사막 모듈을 설치하여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수분제거가 가능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에 관한 것으로, 기체가 공급되는 유입부;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부;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돼서 기체를 유동시키는 유동팬; 상기 유동팬의 후단에 설치돼서 유동하는 기체로부터 수분을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가지는 제습기; 및 상기 제습기와 연결되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서 수분을 흡수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기액분리기는 유출부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유입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체유동을 위하여 유동팬이 설치된 덕트에 중공사막 모듈을 설치하여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수분제거 또는 다른 미량기체의 제거가 가능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연료비의 상승과 온실가스 배출문제가 대두되면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그 와 관련하여 여름철 피크전력 상승으로 인한 전력예비율 급감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대형건물의 여름철 실내온도를 규제하여 냉방부하 절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방안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형 상점, 관공서 등에서 고객 및 근무자의 불만이 증대하고 있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실내공조는 제습, 제진, 온도유지의 역할을 한다. 특히, 같은 온도라고 하더라도 습도가 낮으면 인간이 느끼는 불쾌지수는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실내온도 규제 하에서 실내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면 위의 문제는 상당부분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습도를 낮추기 위한 제습은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저온상태로 공기 중 수분을 응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서, 일반적인 공조시스템에서 제습을 위해서는 반드시 냉방장치를 가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제습은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수분을 함유하는 가스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며, 이러한 제습장치에는 반드시 가스를 냉각시켜 포화수증기압을 상승시키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기체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습을 위해서는, 기체를 냉각시키는 에너지와 다시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입력되는 기체의 절대습도를 일부라도 낮출 수 있다면, 상당한 에너지 절약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유동을 위하여 유동팬이 설치된 덕트에 중공사막 모듈을 설치하여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수분제거가 가능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체가 공급되는 유입부;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부;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돼서 기체를 유동시키는 유동팬; 상기 유동팬의 후단에 설치돼서 유동하는 기체로부터 수분을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가지는 제습기; 및 상기 제습기와 연결되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서 수분을 흡수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기액분리기는 유출부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유입부와 연결되는 것을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이다.
상기 기액분리기는 진공펌프의 흡입측과 연결되며, 상기 진공펌프의 배출측은 상기 유출부에서 상기 제습기보다 후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진공펌프 사이에는 제1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유입부에 형성된 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는 제2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습기는, 기체가 유통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과 격리되며 분리관이 설치되는 부압챔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상기 부압챔버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사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습기는 유동하는 기체로부터 특정의 미량기체를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습기의 중공사막 모듈은 수분을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에 추가적으로 특정의 미량기체를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수분제거가 가능한 제습덕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습덕트는 일반적인 건물의 공기조화시스템에서 실내습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건물 내 사람들의 불쾌지수를 낮출 수 있어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실내온도 규제로 인한 불만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산업현장에서 수분을 포함하는 가스 중 수분 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의 제습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습장치에 유입되는 가스의 절대습도를 특별한 에너지 공급없이 또는 아주 적은 에너지만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건물의 냉방부하를 현격히 감소시켜 에너지 절약과 나아가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습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서, 건물의 공조설비 외에도 클린룸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거의 동일한 구조로 아황산가스(SO2)가 함유된 연소배가스를 비롯한 가스가 흐르는 덕트에 응용한다면 수분회수와 더불어 아황산가스와 같은 미량기체를 처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습덕트에 사용된 중공사막 모듈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제습덕트에 사용된 중공사막 모듈의 다른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유동팬(108)을 가지는 덕트 내에서 유동팬(108)의 전단과 후단에서 발생되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기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제습덕트(100)는 기본적으로 기체가 공급되는 유입부와,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돼서 기체를 유동시키는 유동팬(108)을 포함하고, 제습을 위한 제습부가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유동팬(108)은 기체가 유동하기 위하여 유입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출부로 강제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유동팬(108)은 전기에너지 등의 동력을 사용하며, 상기 유동팬(108)으로는 공지의 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팬의 후단에는 유동하는 기체로부터 수분을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가지는 제습기(110)가 설치되고, 상기 제습기(110)에 의해 흡수분리된 수증기 또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기체를 액체 상태의 물과 기체로 기액분리기(114)가 상기 제습기(110)에 연결된다.
상기 제습기(110)는 기체가 유통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22)과, 상기 하우징(122)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22) 내부의 공간과 격리되며 분리관(132)이 설치되는 부압챔버(130)와, 상기 하우징(12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부압챔버(130)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사막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22)의 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덕트(100)의 다른 부분과 같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122)의 크기를 제습덕트(100)보다 크게 하여 기체의 유동속도를 줄여 압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복수의 중공사막(126)과, 상기 중공사막(126)의 양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24,128)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24,128)는 상기 중공사막(126)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24,128)와 상기 부압챔버(130)를 연통시키면, 상기 부압챔버(130)는 상기 중공사막(126)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압챔버(1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하우징(122)의 상하에 모두 설치하고, 서로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공사막(126)은 수분에 대한 우수한 선택성을 지닌 속이 빈 섬유와 같은 구조로 제조되는 고분자막 섬유(이하 중공사막)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중공사막(126) 복수개를 커넥터(124,128)에 의해 균일하게 분포시킨 군집 형태를 구성한 후 그 양단을 고정하여 모듈함으로써 중공사막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중공사막(126)은 수분투과도 및 선택도를 향상시키는 코팅층을 가질 수 있다. 코팅층은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와 같은 공지의 코팅제를 이용하여 건조된 중공사 표면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중공사막(126)으로 폴리설폰 고분자막을 사용하였을 때 가스 중의 H2O 투과도(2,000 Barrer)는 N2(0.25 GPU)에 8,000배가 크므로 매우 손쉽게 수분을 분리할 수 있다(Sybrandus Jacob Metz, Water Vapro and Gas Transport Through Polymeric Membranes", Twente 대학 박사학위논문(2003)).
또한 폴리이서이미드 중공사막에 페박스와 폴리에틸렌그리콜 혼합용액을 코팅한 복합중공사막에서 SO2 투과도(1220 GPU)는 CO2 투과도(5.4 GPU)와 N2 투과도(2.4 GPU)에 비해 각각 225배와 506가 크므로 SO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형찬희, 박천동, 김기홍, 임지원, 황택성, 이형근, "Polyetherimide/PEBAX/PEG 복합 중공사막을 이용한 SO2/CO2/N2 혼합기체분리에 관한 연구", Membrane22, 6, 404-414 (Dec. 2012)).
따라서, 수분과 SO2를 동시에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폴리설폰 고분자막과 폴리이서이미드 중공사막을 동시에 혼합하여 배치하거나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거대상의 선택도가 높은 중공사막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목적하는 대상기체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관(132)는 상기 기액분리기(114)와 연결된다.
도 3은 또 다른 제습기(111)를 제시한다. 상기 제습기(111)는 하우징(134), 부압챔버(142), 분리관(144)의 형태는 상기 제습기(110)와 동일하나, 중공사막(140)의 양단에 설치되는 커넥터(136,138)이 모두 상기 부압챔버(142)에 연통되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제습기(110,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상을 기초로 또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
상기 기액분리기(114)는 공지의 기술로써, 유입되는 기체에 함유된 수분을 강제로 응결 분리시켜, 기체 중 전체 수증기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기액분리기(114)를 통과한 기체는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비해 상당히 건조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14)의 출력측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중공사막(128)의 내외부에 걸리는 압력의 차이가 커지도록, 상기 유입부에 목부(104)를 형성하여, 상기 목부(104)에 상기 기액분리기(114)를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목부(104)에서 유속이 증가하여 압력이 강하되는 것에 의해 유출부에 대한 압력차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습덕트(100)의 사용조건에 기인하여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 사이의 압력이 크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진공펌프(12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ㅇ기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기액분리기(114)는 상기 진공펌프(120)의 흡입측과 연결되며, 상기 진공펌프(120)의 배출측은 상기 유출부에서 상기 제습기(110)보다 후단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기액분리기(114)와 상기 진공펌프(120) 사이에는 제1조절밸브(118)가 설치되고, 상기 기액분리기(114)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는 제2조절밸브(1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밸브(118)와 상기 제2조절밸브(116)는 상기 기액분리기(114)에 대해 병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1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목부(104)와의 압력차에 의한 부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조절밸브(118)와 상기 제2조절밸브(116)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고 다른 하나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덕트(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제습덕트(100)의 작동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유동팬(108)을 회전시키면 당연히 상기 유동팬(108)의 전후단에는 압력차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유입부에 목부(104)가 형성되면, 상기 목부(104)는 목부전단부(102) 및 목부후단부(106)에 비해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기(110)에는 제습기전단(109)으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며 제습기후단(112)을 통해 기체가 배출된다.
상기 제습기전단(109)과 상기 목부(104)의 압력을 비교하면, 상기 제습기전단(109)의 압력이 상기 목부(104)의 압력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조절밸브(116)가 개방된 상태라면, 상기 중공사막(126)의 내부보다 외부의 압력이 크게 되고, 상기 중공사막(126)의 주위를 지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중공사막(126)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사막(126)의 내부를 거쳐 상기 부압챔버(130)로 유입된다.
상기 부압챔버(130)에 모여지는 수분 또는 수분을 포함하는 기체는 상기 분리관(132)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14)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기액분리기(114)로 공급되는 수분 또는 수분을 포함하는 기체는 포화수증기 상태이거나 이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상기 기액분리기(114)에서 응결이 발생하여 수분은 액체가 되어 낙하하고, 수분이 제거된 건조기체만이 상기 기액분리기(114)로부터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기체는 상기 목부(104)로 피드백된다. 그러므로, 상기 목부(104)에서 건조기체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체가 혼합되면서 전체적으로 절대습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 혼합기체가 다시 상기 유동팬(108)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기(110)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습기(110)를 통과한 기체는 습도가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덕트(100)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의 절대습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인하여, 상기 제습덕트(100)에 연결되는 냉방기기, 온방기기 등의 에너지 부하가 낮아지게 된다. 특히, 냉방기기의 경우 같은 온도라고 하더라도 상대습도를 떨어뜨리는 것에 의해 불쾌지수를 상당히 낮출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목부(104)와 상기 제습기전단(109) 사이의 압력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진공펌프(1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조절밸브(118)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부(104)와의 압력차에만 의존하는 것에 비하여 상기 제습기(110)로부터 강제로 분리된 수분 또는 수분을 포함하는 기체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수분의 분리능력이 향상된다. 이 때 기액분리기(114)에서 배출되는 건조기체는 상기 제습기후단(112)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제습덕트(100)를 통과한 기체는 건조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114)에서 회수된 수분은 분리하여 폐기하거나 재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소배가스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대해 도면 및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과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제습덕트 102: 목부전단
104: 목부 106: 목부후단
108: 유동팬 109: 제습기전단
110,111: 제습기 112: 제습기후단
114: 기액분리기 116: 제2조절밸브
118: 제1조절밸브 120: 진공펌프
122,134: 하우징 124,128,136,138: 커넥터
126,140; 중공사막 130,142: 부압챔버
132,144: 분리관

Claims (8)

  1. 기체가 공급되는 유입부;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부;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돼서 기체를 유동시키는 유동팬;
    상기 유동팬의 후단에 설치돼서 유동하는 기체로부터 수분을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가지는 제습기; 및
    상기 제습기와 연결되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서 수분을 흡수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기액분리기는 유출부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유입부와 연결되는 것을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진공펌프의 흡입측과 연결되며, 상기 진공펌프의 배출측은 상기 유출부에서 상기 제습기보다 후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진공펌프 사이에는 제1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유입부에 형성된 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는 제2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기체가 유통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과 격리되며 분리관이 설치되는 부압챔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상기 부압챔버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사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유동하는 기체로부터 특정의 미량기체를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의 중공사막 모듈은 수분을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에 추가적으로 특정의 미량기체를 선택흡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PCT/KR2013/005457 2012-06-21 2013-06-20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WO20131914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871A KR101328447B1 (ko) 2012-06-21 2012-06-21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KR10-2012-0066871 2012-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1489A1 true WO2013191489A1 (ko) 2013-12-27

Family

ID=4976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5457 WO2013191489A1 (ko) 2012-06-21 2013-06-20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8447B1 (ko)
WO (1) WO20131914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2759A (zh) * 2017-05-24 2017-09-12 成都市开悦化纤有限公司 一种调节工厂湿度的智能厂房
CN108187459A (zh) * 2018-01-19 2018-06-22 东莞理工学院 空气盘旋型膜除湿器、电渗析再生装置及其除湿制热系统
CN109405092A (zh) * 2018-12-26 2019-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处理机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069B1 (ko) * 2014-08-18 2016-08-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백연제거가 가능한 배기덕트
KR101754274B1 (ko) * 2015-11-13 2017-07-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절약형 제습분리막 모듈
KR101678665B1 (ko) * 2016-07-08 2016-11-22 주식회사 성지테크 멤브레인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공기조화기
KR101980257B1 (ko) * 2016-11-23 2019-05-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분리막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제습공조장치
KR101967212B1 (ko) * 2016-12-08 2019-08-13 한국기계연구원 멤브레인 제습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히트 펌프
WO2018147554A1 (ko) * 2017-02-13 2018-08-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물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KR101980284B1 (ko) * 2017-02-13 2019-05-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CN111059707B (zh) * 2019-12-04 2022-01-18 广东志高暖通设备股份有限公司 空调器避人判断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477142B1 (ko) * 2020-10-14 2022-12-1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광촉매와 uv를 통한 공기질 개선 구조의 분리막식 제습 시스템
KR102566489B1 (ko) * 2021-08-17 2023-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분리막 제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030A (ja) * 1992-08-05 1994-03-01 Nippondenso Co Ltd 圧縮空気乾燥装置
JPH11262620A (ja) * 1998-03-18 1999-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乾燥空気の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1232137A (ja) * 2000-02-23 2001-08-28 Smc Corp パージ空気流量を自動調整する膜式エアドライヤ
JP2006006989A (ja) * 2004-06-22 2006-01-12 Anest Iwata Corp 中空糸膜式エアドライヤ
KR100814965B1 (ko) * 2007-02-22 2008-03-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030A (ja) * 1992-08-05 1994-03-01 Nippondenso Co Ltd 圧縮空気乾燥装置
JPH11262620A (ja) * 1998-03-18 1999-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乾燥空気の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1232137A (ja) * 2000-02-23 2001-08-28 Smc Corp パージ空気流量を自動調整する膜式エアドライヤ
JP2006006989A (ja) * 2004-06-22 2006-01-12 Anest Iwata Corp 中空糸膜式エアドライヤ
KR100814965B1 (ko) * 2007-02-22 2008-03-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산소발생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2759A (zh) * 2017-05-24 2017-09-12 成都市开悦化纤有限公司 一种调节工厂湿度的智能厂房
CN108187459A (zh) * 2018-01-19 2018-06-22 东莞理工学院 空气盘旋型膜除湿器、电渗析再生装置及其除湿制热系统
CN108187459B (zh) * 2018-01-19 2024-01-16 东莞理工学院 空气盘旋型膜除湿器、电渗析再生装置及其除湿制热系统
CN109405092A (zh) * 2018-12-26 2019-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处理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447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91489A1 (ko)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제습덕트
EP2782657B1 (en) Distributed building-integrated carbon dioxide extraction system reducing fresh air requirements
CN105509222B (zh) 车库智能通风排烟除湿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7065396A1 (ko) 방수 및 방습기능을 갖는 터보 송풍기
WO2015163561A1 (ko)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제조 방법
CN105258297A (zh) 湿度调节系统及湿度调节方法
CN107452473A (zh) 一种变压器呼吸器
KR20200015163A (ko) 습도조절이 가능한 공조장치용 미세먼지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조장치
KR101389371B1 (ko) 제습 및 가습을 이용한 냉각덕트
WO2010140791A2 (ko) 열차용 냉방장치
CN110494696A (zh) 空气净化系统
KR20180006197A (ko) 분리막모듈을 적용한 실내공조유닛, 그 실내공조유닛의 작동방법 및 그 실내공조유닛을 구비한 공조시스템
KR101980284B1 (ko)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KR101754274B1 (ko) 에너지절약형 제습분리막 모듈
WO2018147554A1 (ko) 건물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CN205109226U (zh) 屋顶气楼式除尘器
CN211695194U (zh) 一种加湿再热外置型新风机
CN208720355U (zh) 空调系统
CN209926484U (zh) 一种利用余热回收的地下综合管廊除湿系统
CN210573450U (zh) 一种用于室内环境净化调控的控温控湿装置
CN107575942B (zh) 新风系统及新风除湿控制方法
CN106895507A (zh) 一种基于氧化石墨烯膜电渗析空气直接除湿的控制装置
CN214307385U (zh) 一种新型多功能恒湿设备
WO2012020907A1 (ko) 냉각/제습열 회수기술을 이용한 공조기
CN213272967U (zh) 一种新风除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075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075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