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613B1 -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613B1
KR100836613B1 KR1020020033695A KR20020033695A KR100836613B1 KR 100836613 B1 KR100836613 B1 KR 100836613B1 KR 1020020033695 A KR1020020033695 A KR 1020020033695A KR 20020033695 A KR20020033695 A KR 20020033695A KR 100836613 B1 KR100836613 B1 KR 100836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teeth
welding
welding wire
wire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698A (ko
Inventor
배효영
이요성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6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3Deree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02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do not rotate
    • B65H49/04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06Package-supporting devices for a single operative package
    • B65H49/08Package-supporting devices for a single operative package enclosing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8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mounted to facilitate unwinding of material from packages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용기내에 용접용 와이어가 엉키지 않도록 상호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용량의 용기로부터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서, 상기 관 형상의 적층체 상단 적층면에 링부재가 구비되고, 링부재는 대용량 용기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부재와 외부재내에 외부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외부재는 내경부로부터 내부재로 향한 다수개의 빗살이 뻗어 있고, 내부재는 외경부로부터 외부재로 향한 다수개의 빗살이 뻗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빗살들은 외부재로부터 내부재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들은 내부재로부터 외부재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어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로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엉킴 방지장치는 용접용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고 송급 저항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용접 작업성이 확보된다.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 송급 저항, 링 부재, 빗살

Description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WELDING WIRE FROM TANGL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로서,
a)도는 수직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있는 사시도,
b)도는 수직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있는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c)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외부재의 상부면과 내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있는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c)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외부재의 상부면 과 내부재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있는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c)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다수개의 빗살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을 이루고 서로 엇물려 있는 사시도,
b)도는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다수개의 빗살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을 이루고, 내부재와 외부재에 대해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면서 서로 엇물려 있는 사시도,
b)도는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로서,
a)도는 수직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있고, 링부재의 하면에 안내부재들이 형성된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c)도는 수직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있고, 링부재들의 하면에 안내부재들의 단턱이 형성된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c)도는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수직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내부재와 외부재에 대해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 상단 적층면과 예각(銳角)을 이루면서 서로 엇물리며, 링부재들의 하면에 안내부재들의 단턱이 형성된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다수개의 빗살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을 이루고 서로 엇물려 있고, 링부재들의 하면에 안내부재들의 단턱이 형성된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c)도는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다수개의 빗살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을 이루고, 내부재와 외부재에 대해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면서 서로 엇물려 있고, 링부재들의 하면에 안내부재들의 단턱이 형성된 사시도,
b)도는 도 a)의 단면도,
c)도는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외측 링과 내측 링들을 감싸는 덮개들을 구비한 링부재 사이에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을 형성한 사시도,
b)도는 도 a)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링부재 11a,11b....외부재,내부재
11c,11d .. 안내부재 12a,12a'....외부재의 빗살
12b,12b'....내부재의 빗살 100....수납용기
110....용접용 와이어 111....용접용 와이어 적층체
본 발명은 대용량 용기내에 용접용 와이어가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적층 수납된 용접용 와이어 수납용기(Pail Pack)의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적층 수납된 용접용 와이어가 서로 엇물려진 빗살들 사이로 자연스럽게 인출되고,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가 튀어 올라 서로 엉키지 않도록 상호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용량 용접용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내에 적층 수납된 용접용 와이어의 적층면 상부에 환상(環狀)의 부재를 올려놓고 용접용 와이어를 환상의 부재 내측으로 인출하는 장치와 외측으로 인출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내측 인출 장치로는 한국특허공고 87-1076호, 일본 특개소 61-183057호, 특개평 11-192552호가 대표적인데,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될 때 나선형의 루프(Loop)를 이루고 있는 후속의 와이어가 와이어 자체의 탄성에 의해 루프(Loop)에서 해방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루프(Loop)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고, 결국에는 수납용기의 내경보다도 루프(Loop)의 직경이 더 커져 내측 인출장치의 외경과 수납용기의 내경사이로 용접용 와이어가 빚어 나오는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의 한국특허공고 87-1076호는 환상의 부재에 완충 날개를 구비하여 환상의 부재 외경과 수납용기의 내경사이로 용접용 와이어가 빚어 나오는 폐단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접 작업시, 용접용 와이어가 소비됨과 동시에 수납용기의 내벽을 타고 자연스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고, 일본 특개소 61-183057호는 수납용기 내벽에 수직으로 띠를 부착하여 환상의 부재 외경과 수납용기의 내경사이로 용접용 와이어가 빚어 나오는 폐단을 방지하고, 환상의 부재가 부착된 띠를 타고 자연스럽게 하강되도록 제안되어 용접용 와이어의 상단 적층부와 환상부재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용접용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특히, 특개소 61-183057호에서는 용접용 와이어가 환상의 부재 바깥으로 튀어 올라 엉키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용접용 와이어의 내측인출 장치에서는 환상부재의 인출구멍으로 용접용 와이어가 끌려 나오면서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까지 끌고 나와 서로 엉키는 문제가 빈번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한국실용신안공고 91-5819호와 일본 특개평 4-133973호에서는 환상의 부재가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환상의 부재에 중량체를 올려놓고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끌려 나온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를 제어할 수 없었다.
특히, 일본 특개평 11-192552호에서는 환상부재의 인출구멍을 작게 하여 끌려 나오는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끌려 나온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가 서로 뒤엉켜 환상부재의 작은 인출구멍을 통해 빠져 나오지 못해 용접작업이 중단되는 사태가 빈번하였다.
상기의 외측인출 장치로는 일본 특개평 8-40642호, 특개평 9-156827호가 대표적인데, 상기 일본 특개평 8-40642호는 한국특허공고 87-1076호와 같이 환상의 부재에 완충 날개를 구비하여 용접 작업시, 용접용 와이어가 소비됨과 동시에 수납용기의 내벽을 타고 자연스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드러운 소재의 완충 날개를 구비하여 수납용기의 내벽과 환상부재의 외측에 부착된 완충날개 사이로 용접용 와이어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다소나마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가 끌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용접용 와이어가 완충날개에 걸려 인출저항이 증가되는 문제와 환상의 부재가 용접용 와이어와 같이 끌려 나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 때문에 일본 특개평 9-156827호에서는 완충날개를 보완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의 외측인출장치는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될 때 나선형의 루프(Loop)를 이루고 있는 후속의 와이어가 수직의 관형상을 이루는 적층체의 중앙 관 공극부로 끌려 떨어지면서 엉키는 폐단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다른 종래의 엉킴 방지장치는 한국실용신안공개 92-16429호, 92-21073호, 한국실용신안공고 95-483호가 있다.
한국 실용신안 공개 92-16429호에서는 상기 내측 인출 장치와 외측인출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용접용 와이어의 상단측면에 환상부재를 올려놓고 환상부재의 구멍에, 또 다른 작은 환상부재를 올려놓아 용접용 와이어가 환상부재와 작은 환상부재 사이로 빠져 나오게 하였다. 그러나,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가 끌려 나오는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으며, 일본 특개평 8-40642호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한국 실용신안 공개 92-21073호에서는 걸림턱을 구비한 환상부재를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를 걸러 엉킴을 방지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를 걸러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국실용신안공고 95-483호에서는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 중앙구멍에 작은 환상부재를 올려놓고 환상부재의 내측에 완충날개를 구비하여 작은 환상부재와 완충날개가 구비된 환상부재 사이로 용접용 와이어가 빠져 나오게 하였다. 그런데, 완충날개가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를 걸러주는 작용면에서는 다소 효과적이었으나,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면서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까지 끌고 나오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아 엉킴은 방지할 수 없었다. 또한, 완충날개와 용접용 와이어의 적층면 사이에 빈 공간으로 인해 용접용 와 이어가 튀어 올라 엉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가 끌려 나오거나, 튀어 올라 서로 엉키지 않도록 상호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함으로서 용접작업에 편리성을 강화시키고,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가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내부에 적층 수납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이루어 보관되는 대용량의 용기로부터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적층체 상단 적층면에 위치되고, 상기 대용량 용기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부재와, 상기 외부재내에 그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부재를 포함하는 링부재;
상기 외부재의 내경부로부터 내부재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빗살;및,
상기 내부재의 외경부로부터 외부재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빗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들은 외부재로부터 내부재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들은 내부재로부터 외부재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며,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사이에서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가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내부에 적층 수납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이루어 보관되는 대용량의 용기로부터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적층체 상단 적층면에 위치되고, 상기 대용량 용기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부재와, 상기 외부재내에 그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부재를 포함하는 링부재;
상기 외부재의 내경부로부터 내부재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빗살;
상기 내부재의 외경부로부터 외부재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빗살;및,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의 하면에서 각각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사이의 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에서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가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내부에 적층 수납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이루어 보관되는 대용량의 용기로부터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의 엉킴을 방 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적층체 상단 적층면에 위치되고, 상기 대용량 용기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측 링과, 상기 외측 링내에 그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측 링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링과 상기 내측 링들은 이들을 감싸는 덮개들을 구비한 링부재;
상기 외측 링을 감싸서 상기 덮개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외측 링의 내경부로부터 내측 링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
상기 내측 링을 감싸서 상기 덮개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내측 링의 외경부로부터 외측 링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및,
상기 외측 링과 내측 링의 각각의 덮개로 부터 다수개의 빗살들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되는 립(lip)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빗살들 사이에서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가 도 1에 도시 되어있다. 상기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용접용 와이어(110)가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적층 수납되고,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는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이루어 보관되는 대용량 용기(100)로부터 용접용 와이어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110)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용접용 와이어(110)가 용기(100)로부터 인출되면서 서로 엉키지 않도록 상호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관 형상의 적층체(111) 상단 적층면에 링부재(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링부재(11)는 대용량 용기(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부재(11a)와, 상기 외부재(11a)내에 외부재(1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부재(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재(11a)는 그 내경부로부터 내부재(11b)로 향한 다수개의 빗살(12a)이 뻗어 있고, 상기 내부재(11b)는 그 외경부로부터 외부재(11a)로 향한 다수개의 빗살(12b)이 뻗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 사이로 용접용 와이어(110)가 자연스럽게 인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110)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를 밀어내고 그 사이로 자연스럽게 인출되므로 종래 환상의 부재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량체를 올려 놓거나 하는 등으로 중량을 증가시켜야 되는 문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링부재(11)에 갖춰진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용접용 와이어(110)가 내부재와 외부재의 사이에서 인출될 때,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를 이루고 있는 용접용 와이어(110)가 미소한 인출력에 의해서도 쉽게 인출됨과 동시에, 루프(Loop) 상태에서 서서히 해방되면서 다수개의 빗살(12a)(12b)을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 진행방향 측으로 밀어내고, 한 가닥의 용접용 와이어(110)만 빠져 나오게 한다.
이때, 용접용 와이어(110)는 링부재(11)와 다수개의 빗살(12a)(12b)들로 인하여 적층된 제 위치에서 서서히 루프(Loop)를 해방시키므로, 종래의 내측인출장치 또는 외측인출장치에서와 같이 인출력에 의해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가 끌려 나와 엉키는 문제와 수납용기의 내벽과 인출장치의 외경 사이로 용접용 와이어가 빚어 나와 엉키는 폐단도 없어진다.
또한,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가 튀어 오르지 않도록 탄성 회복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110)가 튀어 오르는 것을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일정각도(θ)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일정각도(θ)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와이어 적층체의 상부면이 통상적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사구조는 와이어 적층체의 상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이 일치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와이어(1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면서 상기 빗살(12a)(12b)들에 접촉되는 각도를 축소시켜 인출저항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면서 복원될 수 있는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접용 와이어(110)를 적층 수납시, 또는 운반 및 취급도중에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고 있는 용접용 와이어(11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부 루프(Loop)가 하부 루프(Loop) 밑으로 끼어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되는 데, 종래에는 이때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110)가 2~3 가닥으로 끌려 나오고 결국에는 튀어 오르거나, 엉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는 상기 링부재(11)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재(11a)는 내경부로부터 내부재(11b)로 향한 다수개의 빗살(12a)이 뻗어 있고, 내부재(11b)는 외경부로부터 외부재(11a)로 향한 다수개의 빗살(12b)이 뻗어 있다. 따라서, 적층된 상부 루프(Loop)가 하부 루프(Loop) 밑으로 끼어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2~3 가닥의 용접용 와이어(110)가 동시에 끌려 나오는 것을 상기 다수의 빗살(12a)(12b)이 방지한다. 즉, 2~3 가닥의 용접용 와이어(110)가 동시에 끌려 나오더라도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이들에 인출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용접용 와이어(110)의 튀어 오름이나, 엉킴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11)는 외부재(11a)의 내경부로부터 내부재(11b)로 향한 다수개의 뻗은 빗살(12a)과, 내부재(11b)의 외경부로부터 외부재(11a)로 향한 다수개의 뻗은 빗살(12b)에 의해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면서 좌우로 미소한 유동을 일으키므로, 용접용 와이어(110)가 소모됨과 동시에 그 자중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하 강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와 같거나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용접용 와이어(110)가 용기(100)내에서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보다 길면,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될 때,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110)까지 끌고 나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각각의 외부재(11a) 또는 내부재(11b)의 빗살(12a)(12b) 길이는 외부재(11a)의 내경과 내부재(11b)의 외경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거나, 더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각각의 빗살(12a)(12b) 길이가 외부재(11a)의 내경과 내부재(11b)의 외경 사이의 간격보다 길면,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될 때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빗살(12a)(12b) 때문에 인출저항이 증가한다. 심할 경우,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110)에 의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가 끌려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인출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빗살(12a)(12b) 길이는 외부재(11a)의 내경과 내부재(11b)의 외경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거나, 더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과 내부재(11b)의 빗살(12b)이 서로 엇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외부재(11a)의 빗살(12a)과 내부재(11b)의 빗살(12b)이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를 상호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구조는 도 1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용 와이어(110)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인출될 때, 미소한 인출력에 의해서도 쉽게 인출됨과 동시에, 루프(Loop) 상태에서 서서히 해방되면서 다수개의 빗살(12a)(12b)을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 진행방향 측으로 밀어내고, 한 가닥의 용접용 와이어(110)만 빠져 나오게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도, 경사진 적층체의 상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이 일치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와이어(1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면서 상기 빗살(12a)(12b)들에 접촉되는 각도를 축소시켜 인출저항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의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외부재(11a)의 상부면과 내부재(11b)의 하부면에 볼트(15)등으로 고정되거나 요홈과 돌기의 결합으로 고정 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사출하여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구조는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됨으로서, 용접용 와이어(110)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인출될 때, 차례대로 빗살(12b)과 빗살(12a)을 통과함으로써 더욱 미소한 인출력에 의해서도 쉽게 인출된다.
따라서, 용접용 와이어(110)는 루프(Loop) 상태에서 서서히 해방되면서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을 통과하여 한 가닥의 용접용 와이어(110)만 빠져 나오게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빗살(12a)(12b)들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를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형성하고, 그 결합면에 장착하여 각각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도, 경사진 적층체의 상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이 일치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와이어(110)의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면서 상기 빗살(12a)(12b)들에 접촉되는 각도를 축소시켜 인출저항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상부면에 볼트(15)등으로 고정되거나 요홈과 돌기의 결합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사출하여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구조도 상기 도 3에 관련하여 설명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도, 도 3c)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될 때 인출 진행방향으로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휘어지기 용이하고, 인출 및 송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용접용 와이어(110)는 용기(100)내에 좌권 또는 우권으로 감길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 모든 구조에 적합하다. 즉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110)의 좌권 또는 우권 방향에 맞추어 링부재(11)를 뒤집어 사용하면 용접용 와이어(110)의 감긴 방향에 관계없이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 및 송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상의 띠 모양인 다수개의 빗살(12a)은 쉽게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으며,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를 제어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수직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재와 외부재에 대해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며, 상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의 상단 적층면과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으면 더욱 효과적이다.
즉,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될 때, 그 인출 진행방향으로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휘어지기 용이하고, 인출 및 송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의 상단 적층면을 외부재(11a)와 내부재(11b) 및, 이들에 각각 연결된 판상의 띠 모양인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하중을 가할 수 있어 용접용 와이어(110)의 튀어 오름을 방지함은 물론이며, 운반 및 취급시에 적층체(111)가 흐트러져 엉키지 않도록 별도의 가압장치(미도시)를 부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갖춰진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인 것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인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쉽게 휘어지거나 복원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인출 감이 매우 부드러워 인출 및 송급 저항을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가늘고 긴 촉수와 같아 후속의 용접용 와이어를 제어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어 그 각각의 단부들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는 다르게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와 같은 경우도, 경사진 적층체의 상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이 일치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와이어(1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면서 상기 빗살(12a')(12b')들에 접촉되는 각도를 축소시켜 인출저항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다. 그 이유는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될 때 인출 진행방향으로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휘어지기 더욱 용이하고, 인출 및 송급 저항을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더욱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도, 도 5b)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도 3및 도 4에 관련하여,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다수개의 빗살(12a)(12b),(12a')(12b')들이 볼트(15)를 이용하여 분리형으로 고정시킨 구조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와는 다르게 외부재(11a)와 내부재(11b)및 다수개의 빗살(12a)(12b),(12a')(12b')들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이면 더욱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일체형 구조는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동시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12a')(12b')들은 휘어지기 쉽고 탄성복원이 용이해야 하며, 사용시 파손 및 해체에 대한 내구성을 만족해야 하므로 합성수지등의 소재를 선택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기간의 보관이나 사용시, 수분 흡습이나 변질이 적어야 하며, 용접용 와이어(110)의 표면에 긁힘이나 이물질이 부착되어 송급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으면 곤란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부재(11)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 형상의 부품으로 조립된 것이면 매우 효과적이다. 하나의 링부재(11)인 상태에서 사출하면 사출금형이 매우 커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지만, 2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 형상의 부품으로 조립된 것이면, 사용 후 해체하여 폐기가 용이하며, 재활용 및 재사용을 위한 저장공간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가 도시 되어있다. 상기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용 접용 와이어(110)의 인출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내부재(11c)(11d)를 추가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갖춰진 안내부재(11c)(11d)는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하면에 각각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사이의 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각각 원반 고리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11c)(11d)들은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하면에 각각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거나, 또는 별도의 원반 고리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볼트(미도시) 또는 요홈과 돌기의 결합(미도시)으로 고정하는 등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재(11a)의 하면에 형성되는 안내부재(11c)는 상기 외부재(11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고, 상기 내부재(11b)의 하면에 형성되는 안내부재(11d)는 상기 내부재(11b)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재(11c)(11d)들은 각각 용접용 와이어(110)들이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 사이에서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측으로 과도하게 밀착되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 시에 상기 링부재(11)들 보다는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의 끝단 측에 보다 근접하여 용접용 와이어(110)들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의 인출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도 7c)에 도시 된 바와 같은, 수직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 물려 있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이 판상의 띠 모양을 이루고 서로 수평으로 엇물려 있는 구조에도 적용가능하여 상기 링부재(11)들의 하면에 안내부재(11c)(11d)들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형의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구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의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내부재(11b)와 외부재(11a)에 대해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의 상단 적층면과 예각(銳角)을 이루면서 서로 엇물린 구조에도 적용가능하며, 여기서 각각의 링부재(11)들의 하면에는 안내부재(11c)(11d)들의 단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을 이루고 서로 엇물려 있고, 링부재(11a)(11b)들의 하면에 안내부재(11c)(11d)들의 단턱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의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있는 구조에도 적용가능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구조는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을 이루고, 내부재(11b)와 외부재(11a)에 대해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면서 서 로 엇물려 있는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여, 링부재(11)들의 하면에 각각 안내부재(11c)(11d)들의 단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의 다수개의 빗살(12a')(12b')이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갖춰진 안내부재(11c)(11d)들은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하면에서 각각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사이의 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용접용 와이어(110)들이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12a')(12b')들 사이에서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측으로 과도하게 밀착되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 시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12a')(12b')들의 끝단부 측으로 와이어(110)가 보다 근접되도록 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에 가해지는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의 인출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한편, 제 12도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의 구조가 도시 되어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관 형상의 적층체(111)의 상단 적층면에 위치되는 링부재(11")가 상기 대용량 용기(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측 링(11a")과, 상기 외측 링(11a")내에 그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측 링(11b")을 갖고, 상기 외측 링(11a")과 상기 내측 링(11b")들을 각각 감싸는 덮개(13a")(13b")들을 구비한다. 즉, 외측링(11a")을 덮개(13a")가 감 싸고, 내측 링(11b")을 덮개(13b")가 감싸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링(11a")과 덮개(13a")사이에는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12a')이 고정된다. 즉, 상기 외측 링(11a")을 감싸도록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12a')이 감겨지고, 그 위를 감싸서 상기 덮개(13a")에 의해서 협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상기 외측 링(11a")의 내경부로부터 내측 링(11b")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내측 링(11b")과 덮개(13b")사이에도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12b')이 고정되며, 이는 상기 빗살(12a")과 마찬가지로, 상기 내측 링(11b")을 감싸도록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12b')이 감겨지고, 그 위를 감싸서 상기 덮개(13b")에 의해서 협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상기 내측 링(11b")의 외경부로부터 외측 링(11a")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빗살(12a')의 길이는 빗살(12b')의 길이보다 다소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 사이에서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내부재(11c")(11d")가 갖춰지며, 상기 안내부재(11c")(11d")는 상기 외측 링(11a")과 내측 링(11b")의 각각의 덮개(13a")(13b")로 부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되는 립(lip)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립 형상의 안내부재(11c")(11d")들은 각각의 덮개(13a")(13b")로 부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확장되 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상기 덮개(13a")(13b")들에 의한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의 고정부분이 상기 안내부재(11c")(11d")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외측링(11a")을 덮개(13a")가 감싸고 내측 링(11b")을 덮개(13b")가 감싸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상기 빗살(12a')(12b')들의 고정부분은 외측 링(11a")과 내측 링(11b")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단지, 상기 안내부재(11c")(11d")들은 빗살(12a')(12b')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안내하면서, 동시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 사이에서 상기 용접용 와이어(110)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측으로 과도하게 밀착되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인출 시에 상기 용접용 와이어(110)는 외측링(11a")과 내측 링(11b")보다는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의 끝단부 측에 근접하여 인출됨으로써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에 의한 인출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외측링(11a"),내측 링(11b"),덮개(13a")(13b")와 빗살(12a')(12b')들을 모두 철제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쉽게 제작 가능함은 물론, 제1및 제2 실시예들 보다 중량감 있게 용접용 와이어 수납용기(100)내의 와이어 적층체(111)를 눌러주어 후속의 와이어가 끌려 나오거나 튀어 올라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 함으로서 용접작업에 편리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사이에서 일정각도(θ) 경사진 상태로 서로 엇물려 배치되는 구조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1")는 덮개(13a")(13b")들 대신에 다수의 고정링 부재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사각 단면으로 이루어진 외측링(11a")과 내측 링(11b")에 각각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을 감고, 상기 외측링(11a")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외경을 갖는 복수의 고정링 부재들(미도시)을 상기 외측링(11a")의 상하에서 끼워 넣고, 내측 링(11b")의 외경보다 다소 큰 고정링 부재들(미도시)을 상기 내측링(11b")의 상하에서 끼워 넣어 각각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을 그 사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구조도 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구조는 당연히 본 발명으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는 내관(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용접용 와이어 수납용기(100)의 적층체(111)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용접용 와이어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상호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링부재(11)가 구비되고, 상기 링부재 사이의 빗살(12a)(12b)들로 인하여 후속의 와이어가 끌려 나오거나 튀어 올라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며, 와이어 적층체의 상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빗살들이 일치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와이어의 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용접작업에 편리성을 강화시키며,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유용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링부재(11)와 그 사이의 빗살(12a)(12b)들로 인하여 후속의 와이어가 끌려 나오거나 튀어 올라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하면에 형성된 안내부재(11c)(11d)들로 인하여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에 의한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저항을 최소화하여 보다 용접 작업에 편리성을 강화시키며, 더욱 용접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쉽게 제작 가능하고, 보다 중량감 있게 용접용 와이어 수납용기(100)내의 와이어 적층체(111)를 링부재(11)와 그 사이의 빗살(12a)(12b)들이 눌러주어 후속의 와이어가 끌려 나오거나 튀어 올라 서로 엉키는 일이 없게 되어 보다 용접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비록, 상기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대부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당업자들은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개시내용으로 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고, 이와 같은 변경 사항 및 개조 부분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모두 포함 된다는 점을 당업자들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다.

Claims (29)

  1. 용접용 와이어(110)가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내부에 적층 수납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가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이루어 보관되는 대용량의 용기(100)로부터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110)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적층체(111) 상단 적층면에 위치되고, 상기 대용량 용기(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부재(11a)와, 상기 외부재(11a)내에 그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부재(11b)를 포함하는 링부재(11);
    상기 외부재(11a)의 내경부로부터 내부재(11b)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빗살(12a);및, 상기 내부재(11b)의 외경부로부터 외부재(11a)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빗살(12b);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며,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 사이에서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과 내부재(11b)의 빗살(12b)이 서로 엇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판상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의 상단 적층면과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과 내부재(11b)의 빗살(12b')이 서로 엇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1. 용접용 와이어(110)가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내부에 적층 수납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가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이루어 보관되는 대용량의 용기(100)로부터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110)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적층체(111) 상단 적층면에 위치되고, 상기 대용량 용기(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부재(11a)와, 상기 외부재(11a)내에 그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부재(11b)를 포함하는 링부재(11);
    상기 외부재(11a)의 내경부로부터 내부재(11b)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빗살(12a); 상기 내부재(11b)의 외경부로부터 외부재(11a)로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 의 빗살(12b);및,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의 하면에서 각각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사이의 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 사이에서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내부재(11c)(1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과 내부재(11b)의 빗살(12b)이 서로 엇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판상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의 상단 적층면과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7.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8.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침상의 부러쉬(brush)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과 내부재(11b)의 빗살(12b')이 서로 엇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부재(11a)의 빗살(12a') 길이가 내부재(11b)의 빗살(12b')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4.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들은 외부재(11a)로부터 내부재(11b)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빗살(12b')들은 내부재(11b)로부터 외부재(11a)를 향하여 상부측으로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1c)는 상기 외부재(11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갖고, 상기 안내부재(11d)는 상기 내부재(11b)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춤으로써, 상기 안내부재(11c)(11d)들은 각각 용접용 와이어(110)들이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 사이에서 상기 외부재(11a)와 내부재(11b)측으로 과도하게 밀착되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6. 용접용 와이어(110)가 나선형의 연속적인 루프(Loop)로 편심을 이루면서 내부에 적층 수납되고, 상기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11)가 수직으로 세워진 관 형상을 이루어 보관되는 대용량의 용기(100)로부터 용접용 와이어(110)가 인출되는 경우, 용접용 와이어(110)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적층체(111) 상단 적층면에 위치되고, 상기 대용량 용기(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외측 링(11a")과, 상기 외측 링(11a")내에 그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내측 링(11b")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링(11a")과 상기 내측 링(11b")들은 이들을 감싸는 덮개(13a")(13b")들을 구비한 링부재(11");
    상기 외측 링(11a")을 감싸서 상기 덮개(13a")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외측 링(11a")의 내경부로부터 내측 링(11b")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12a');
    상기 내측 링(11b")을 감싸서 상기 덮개(13b")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내측 링(11b")의 외경부로부터 외측 링(11a")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침상의 부러쉬(brush)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빗살(12b');및,
    상기 외측 링(11a")과 내측 링(11b")의 각각의 덮개(13a")(13b")로 부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되는 립(lip)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 사이에서 인출되는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안내부재(11c")(1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1c")(11d")는 각각의 덮개(13a")(13b")로 부터 다수개의 빗살(12a')(12b')들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확장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측링(11a")과 내측링(11b")에 대하여 용접용 와이어(110)의 인출방향으로 예각(銳角)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29. 제26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빗살(12a')(12b')은 외측링(11a")의 빗살(12a')과 내측링(11b")의 빗살(12b')이 서로 엇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KR1020020033695A 2002-06-17 2002-06-17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KR100836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695A KR100836613B1 (ko) 2002-06-17 2002-06-17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695A KR100836613B1 (ko) 2002-06-17 2002-06-17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698A KR20030096698A (ko) 2003-12-31
KR100836613B1 true KR100836613B1 (ko) 2008-06-10

Family

ID=3238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695A KR100836613B1 (ko) 2002-06-17 2002-06-17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14B1 (ko) * 2002-12-30 2008-06-10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KR200467474Y1 (ko) * 2011-06-07 2013-06-14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66U (ja) * 1992-07-21 1994-03-29 高麗熔接棒株式会社 ペイルパック溶接ワイヤー引き出し用押え具
JP2000202630A (ja) * 1999-01-13 2000-07-25 Daido Steel Co Ltd 溶接ワイヤ充填ペイル
JP2001261238A (ja) * 2000-03-23 2001-09-26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溶接用ワイヤの装填物
KR200253490Y1 (ko) * 2001-08-10 2001-11-22 조선선재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송출장치
KR100463374B1 (ko) * 2000-12-18 2004-12-29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66U (ja) * 1992-07-21 1994-03-29 高麗熔接棒株式会社 ペイルパック溶接ワイヤー引き出し用押え具
JP2000202630A (ja) * 1999-01-13 2000-07-25 Daido Steel Co Ltd 溶接ワイヤ充填ペイル
JP2001261238A (ja) * 2000-03-23 2001-09-26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溶接用ワイヤの装填物
KR100463374B1 (ko) * 2000-12-18 2004-12-29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KR200253490Y1 (ko) * 2001-08-10 2001-11-22 조선선재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송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698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29751A (ja) 溶接用ワイヤの絡み防止装置
JP3955020B2 (ja) 溶接ワイヤ繰出しドラム
CA2712523C (en) Welding wire guide ring
SE534555C2 (sv) Styrring för svetstråd
US7938352B2 (en) Wire dispensing apparatus for packaged wire
WO1999038789A1 (en) Welding wire charge
KR100836613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KR100836614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JPH05178538A (ja) ペイルパック用引出し治具
KR100463374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JP3482058B2 (ja) 溶接用ワイヤの取り出し部材
KR100859369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JP4530653B2 (ja) 溶接ワイヤ収納容器及び容器入り溶接ワイヤ
KR200465424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US20040011374A1 (en) Hair holding cap for a hair braider
JPH0347738Y2 (ko)
JPH0355579Y2 (ko)
JPH0215894Y2 (ko)
KR100706025B1 (ko)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 용기
KR200467474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JPH0334424B2 (ko)
JPH0544369Y2 (ko)
JP2003019560A (ja) ペイルパック巻溶接用ワイヤの払出し治具
JPH05245641A (ja) 溶接用ワイヤ収納容器
JPH0586962U (ja) ペイルパック溶接ワイヤー引き出し用押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