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331B1 -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331B1
KR100836331B1 KR1020070058434A KR20070058434A KR100836331B1 KR 100836331 B1 KR100836331 B1 KR 100836331B1 KR 1020070058434 A KR1020070058434 A KR 1020070058434A KR 20070058434 A KR20070058434 A KR 20070058434A KR 100836331 B1 KR100836331 B1 KR 100836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blow
egr pipe
stora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2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characterised by means for attaching parts of an EGR system to each other or to eng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1Manufacture or assembly of EGR systems; Materials or coating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의 결합부에서 블로바이 오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엔진 정지시 신기속에 포함된 블로바이 오일이 EGR 파이프(10')에 부딪혀 흘러내림으로써 쓰로틀바디(20')와 흡기매니폴드(30')의 결합부위(A')에서 블로바이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신기와 배기가스가 흡기매니폴드(30) 중심에서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설계된 EGR 파이프(10)의 선단부 바깥 둘레에 일정량의 오일을 저장할 수 있는 오일저장홈(11)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정지시 신기속에 포함된 블로바이 오일이 EGR 파이프(10)에서 흘러내려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30)의 결합부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엔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흡기매니폴드, 쓰로틀바디, EGR 파이프, 블로바이 오일, 오일저장홈

Description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an oil leak preventing structure for a vehicle's engine}
도 1은 종래의 흡기매니폴드와 쓰로틀바디 결합부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EGR 파이프 11 : 오일저장홈
30 : 흡기매니폴드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의 결합부에서 블로바이 오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신기와 배기가스가 흡기매니폴드 중심에서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설계된 EGR 파이프의 선단부 바깥 둘레에 오일저장홈을 형성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내연기관엔진은 압축행정시 실린더 벽과 피스톤사이의 틈새로 미량의 혼합기(가스)가 새어 나오게 되는데 이 현상을 블로바이 현상이라고 하며, 그 혼합기를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라고 한다.
실린더 벽과 피스톤 사이의 틈을 없앨 수는 없기 때문에 블로바이 현상은 모든 차에게 나타나며 이러한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스톤링과 엔진오일이 밀봉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엔진오일이 오래되면 점도가 낮아져 실린더 벽에 달라붙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되어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가 벌어지게 되기도 하고, 에어필터를 통하여 유입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로 인하여 실린더 벽이 마모되면 그 틈새로 블로바이 현상이 가속화되기도 한다.
블로바이 가스는 다른말로 크랭크 케이스 에미션(crankcase emission)이라고도 하며 블로바이 가스의 성분 70~95%가 미연소된 연료(HC)이고 나머지는 연소가스와 부분 산화된 혼합가스 및 미량의 엔진오일로 구성되어 있다.
블로바이 가스가 크랭크 케이스 안(실린더헤드부분)에 체류하면 엔진 내부가 부식되고 엔진 오일이 빠지기 때문에 옛날에는 크랭크 케이스의 환기를 위해 대기속으로 방출하거나 한때는 모회사차량의 경우 에어필터를 통하여 걸러진 블로바이 가스를 순환시키기도 하였으나 대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대부분의 차들이 필터를 통하지 않고 인테이크의 중간부위에 연결하거나 흡기매니폴더에 직접 연결하여 재연소시킨다.
한편 비활성가스로서의 배기를 소량 혼합기에 섞어 연소온도와 속도를 낮추는 배기재순환장치(EGR;exhaust-gas recirculation)를 채택한 차량 엔진에 있어서 신기와 배기가스의 혼합정도는 각 연소실에 유입되는 EGR량의 차이를 발생시켜 완전연소를 방해하여 질소 산화물(NOx) 저감 효과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신기와 배기가스의 원활한 혼합을 위하여 신기의 속도가 마찰에 의해 줄어드는 흡기매니폴드 벽면보다 유속이 따른 흡기매니폴드 중심에서 혼합되도록 EGR 파이프를 설계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엔진 정지시 신기속에 포함된 블로바이 오일이 EGR 파이프(10')에 부딪혀 흘러내림으로써 쓰로틀바디(20')와 흡기매니폴드(30')의 결합부위(A')에서 블로바이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신기와 배기가스가 흡기매니폴드 중심에서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EGR 파이프가 설계된 것에 있어서 엔진 정지시 EGR 파이프에 부딪혀 흘러내리는 블로바이 오일이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의 결합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의 결 합부위 내부에 위치하는 EGR 파이프의 선단부 바깥 둘레에 오일저장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신기와 배기가스가 흡기매니폴드(30) 중심에서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EGR 파이프(10)가 설계된 것에 있어서, 상기 EGR 파이프(10)가 위치하는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30)의 결합부위 내부에 엔진 정지시 상기 EGR 파이프(10)에 부딪혀 흘러내린 블로바이 오일을 일시 저장하는 오일저장홈(11)을 마련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EGR 파이프(10)의 선단부 바깥 둘레에 블로바이 오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저장홈(11)을 형성한 형태를 갖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저장홈(11)의 위치 및 형태는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엔진 정지시 EGR 파이프(10)에 부딪혀 흘러내린 블로바이 오일이 오일저장홈(11)에 저장됨으로써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30)의 결합부위로 누출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엔진 정지시 EGR 파이프(10)의 오일저장홈(11)에 저장된 오일은 엔진 시동시 신기의 유입에 의하여 연소실에 흡입되어 연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기와 배기가스가 흡기매니폴드(30) 중심에서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설계된 EGR 파이프(10)의 선단부 바깥 둘레에 일정량의 오일을 저장할 수 있는 오일저장홈(11)의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정지시 신기속에 포함된 블로바이 오일이 EGR 파이프(10)에서 흘러내려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30)의 결합부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엔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신기와 배기가스가 흡기매니폴드(30) 중심에서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EGR 파이프(10)가 설계된 것에 있어서, 상기 EGR 파이프(10)가 위치하는 쓰로틀바디와 흡기매니폴드(30)의 결합부위 내부에 엔진 정지시 상기 EGR 파이프(10)에 부딪혀 흘러내린 블로바이 오일을 일시 저장하는 오일저장홈(11)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EGR 파이프(10)의 선단부 바깥 둘레에 블로바이 오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저장홈(11)을 형성한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KR1020070058434A 2007-06-14 2007-06-14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KR100836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434A KR100836331B1 (ko) 2007-06-14 2007-06-14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434A KR100836331B1 (ko) 2007-06-14 2007-06-14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331B1 true KR100836331B1 (ko) 2008-06-09

Family

ID=3977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434A KR100836331B1 (ko) 2007-06-14 2007-06-14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0492A1 (de) * 2013-12-18 2015-06-25 Daimler Ag Luftverteiler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sowie ansaugsystem mit einem solchen luftvertei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158A (ja) 1998-04-28 1999-11-09 Mazda Motor Corp 吸気マニホルド
KR20010036759A (ko) * 1999-10-11 2001-05-07 정주호 플라스틱 흡기 매니폴드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50025414A (ko) * 2003-09-08 2005-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KR20050026118A (ko) * 2003-09-09 2005-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 매니폴드의 오일 누유개선을 위한 이지알 포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158A (ja) 1998-04-28 1999-11-09 Mazda Motor Corp 吸気マニホルド
KR20010036759A (ko) * 1999-10-11 2001-05-07 정주호 플라스틱 흡기 매니폴드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50025414A (ko) * 2003-09-08 2005-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KR20050026118A (ko) * 2003-09-09 2005-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 매니폴드의 오일 누유개선을 위한 이지알 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0492A1 (de) * 2013-12-18 2015-06-25 Daimler Ag Luftverteiler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sowie ansaugsystem mit einem solchen luftverte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3992A (zh) 充气运动控制阀和进气流道系统
JPH0232466B2 (ko)
CN107339130A (zh) 在增压发动机操作期间用于反向曲轴箱通风的系统
JP2011506846A (ja) 過給直接噴射式燃焼機関の燃焼室
BRPI0408505A (pt) método e aparelho para determinar uma posição do operador de válvula
JP2007056747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106050464A (zh) 内燃机
KR100836331B1 (ko) 차량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리크 방지구조
CN102425507B (zh) 配有废气再循环(egr)的汽油机混合分层进气系统及方法
JP2011506848A (ja) 熱エンジンの非対称燃焼室
EP2063081B1 (en) Piston crown with double re-entrant piston bowl
JPS5947126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JP2010209884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CN102425508A (zh) 配有废气再循环(egr)的汽油机混合进气系统及方法
RU2699856C2 (ru) Система сгора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арианты) и головка блока цилиндров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этой системе
JP7348609B2 (ja) ブローバイガス混合継手およびエンジン
RU2006139890A (ru) Впускной и выпускной тракты дизелей
CN102367755B (zh) 配有废气再循环egr的汽油机进气滚流发生装置
JP2009144647A (ja) 予混合圧縮着火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12097683A (ja) 内燃機関
JP2007162530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GB2522848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4105628A (ja) 2行程内燃機関用気化器
JP2013234590A (ja) 排気還流装置
CN202451272U (zh) 配有废气再循环(egr)的汽油机进气涡流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