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780B1 -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780B1
KR100835780B1 KR1020010038412A KR20010038412A KR100835780B1 KR 100835780 B1 KR100835780 B1 KR 100835780B1 KR 1020010038412 A KR1020010038412 A KR 1020010038412A KR 20010038412 A KR20010038412 A KR 20010038412A KR 100835780 B1 KR100835780 B1 KR 10083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region
trench
oxide film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712A (ko
Inventor
석세운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7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651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of electrically active spe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1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multilayer mask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7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isolation region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e.g. to avoid interaction of isolation region with adjacen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92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막의 형성 방법은, 제 1 웰 영역과 제 2 웰 영역이 규정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형성한 후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 전체 구조 상부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포토레지스트층을 증착한 후 트랜치의 절반부를 포함하여 제 1 웰 영역만을 덮도록 패터닝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 2 웰 영역의 제 1 산화막을 식각하여 제 2 웰 영역의 트랜치의 측벽에 제 1 산화막을 남기고 트랜치 바닥의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트랜치 바닥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한 후 붕소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제 2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어닐 공정을 실시하고 제 2 산화막, 제 1 산화막, 패드 질화막 및 패드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CMP 공정을 실시하여 평탄화시킨 후 제 1 및 제 2 웰 영역에 불순물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N-웰 및 P-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붕소 세그리게이션(boron segregation),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an isolation layer in a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소자분리막 영역의 단면도.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자분리막의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의 레이아웃.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의 레이아웃.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반도체 기판 120: 산화막 130: N-웰 영역 140: P-웰 영역
150, 160: 접합 영역 220: 트랜치
230: 패드 산화막 240: 패드 질화막
250: 제 1 산화막 260: 포토레지스트
270: 제 2 산화막 280: 제 1 접합 영역
290: 제 2 접합 영역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자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장치에서 N-웰 영역과 P-웰 영역 사이의 도펀트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자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소자분리막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에 트랜치를 형성하고 이 트랜치 내부를 절연 물질(120)로 채운후 어닐 공정을 진행하고 CMP 처리한 후 패드 질화막(도시 안됨) 및 패드 산화물(도시 안됨)을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이 형성되고, 그 후에 불순물 이온 주입에 의해 N-웰(130) 및 P-웰(140)을 형성한 후, 문턱 전압 조절 이온 주입을 실시하고, 게이트(도시 안됨) 및 접합 영역(150,16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으로는, N-웰 및 P-웰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킹(masking) 공정을 진행할 때 2.7um 정도의 두꺼운 포토레지스트층을 사용하기 때문에 포토레지스트층의 경사를 제어하기 어렵고 포토리소그라피시에 N-웰 영역과 P-웰 영역이 오정렬이 될 위험성이 많다. 더우기, N-웰 및 P-웰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할 때 필 드 영역 하부의 웰 경계가 되는 곳에서 도펀트의 이동이 발생하여 웰 경계면이 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상세히 설명하면, 필드 영역 하부의 웰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 P-웰 영역의 붕소 이온이 필드 영역 하부의 산화물에 의해 포획(trap)되면서 N-웰 영역의 인이 P-웰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붕소 세그리게이션(segregation)이라 한다. 이러한 붕소 세그리게이션에 의해 웰 경계 부분의 P-웰의 이온 농도가 낮아져 N-웰의 인 집중화가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N-웰 영역과 P-웰 영역 사이의 항복 전압에도 변동이 생기게 된다. 이는 소자의 동작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CMOS 소자 설계시 웰을 분리하는 데 많은 영역을 할애하게 되어 소자의 집적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시 트랜치의 바닥 부분의 일부를 깊게 식각하고 고농도의 붕소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N-웰 영역과 P-웰 영역의 도펀트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함으로써, 항복 전압의 변동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순물 이온 주입에 의해 N-웰 및 P-웰을 형성할 때 웰 마스킹 공정시에 야기되는 포토레지스트 경사 변화와 오정렬에 의한 마진 손실을 보상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은, 제 1 웰 영역과 제 2 웰 영역이 규정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형성한 후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 전체 구조 상부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포토레지스트층을 증착한 후 트랜치의 절반부를 포함하여 제 1 웰 영역만을 덮도록 패터닝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 2 웰 영역의 제 1산화막을 식각하여 제 2 웰 영역의 트랜치의 측벽에 제 1 산화막을 남기고 트랜치 바닥의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트랜치 바닥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한 후 붕소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제 2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어닐 공정을 실시하고 제 2 산화막, 제 1 산화막, 패드 질화막 및 패드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CMP 공정을 실시하여 평탄화시킨 후 제 1 및 제 2 웰 영역에 불순물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N-웰 및 P-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제 도 2a 내지 2d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웰 영역과 제 2 웰 영역이 규정된 반도체 기판(210) 상부에 패드 산화막(230)과 패드 질화막(240)을 형성한 후 소자분리막이 형성될 소정 영역에 트랜치(220)를 형성한다. 이 때, 패드 산화막(230)은 대략 140Å의 두께로, 패드 질화막(240)은 대략 1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웰 영역 및 제 2 웰 영역은 각각 이후에 N-웰 및 P-웰이 형성될 영역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체 구조 상부에 제 1 산화막(250)을 대략 1500 내지 2,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트랜치(220)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다. 트랜치의 절반을 포함하여 제 1 웰 영역만을 덮도록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 현상하여 패터닝한다. 이와 같이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 패턴(260)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 2 웰 영역의 제 1 산화막(250)을 식각하여 제 2 웰 영역의 트랜치 측벽에만 제 1 산화막(250)이 남기고, 제 2 웰 영역의 트랜치 바닥 부분의 반도체 기판(210)을 노출시킨다.
도 2c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10)이 노출된 트랜치의 바닥 부분을 더 깊이 식각한다. 이 때 식각하는 깊이는 대략 2,000Å의 깊이로 한다. 이와 같이 트랜치의 바닥을 더 깊이 식각함으로써 N-웰 영역과 P-웰 영역의 격리 효과가 더욱 높아지며, 이후에 N-웰과 P-웰 영역이 형성된 후에 이러한 더 깊은 트랜치에 의해 소자분리막의 하부가 반도체 기판에 접촉하게 된다. 트랜치 바닥을 식각한 후, 붕소 이온을 30keV의 전압에서 3.0 x 1013 ions/cm3의 주입량을 사용하여 주입시키면, 포토레지스트층(260), 패드 질화막(230) 및 트랜치 측벽의 제 1 산화막(250)이 배리어로 작용하여 트랜치 바닥의 노출된 반도체 기판 내에만 고농도의 붕소 이온이 주입되게 된다. 이러한 고농도의 붕소 이온 주입 부분에 의해 이후에 형성되는 N-웰 영역과 P-웰 영역의 경계부에 인이 침투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260), 제 1 산화막(250), 패드 질화막(240) 및, 패드 산화막(230)을 순차적으로 제거한 후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제 2 산화막(270)을 형성한다. 그 후에, 어닐 처리하고 CMP 공정에 의해 반도체 기판이 노출되도록 평탄화시킨 후에 소자분리막(트랜치)을 경계로 양 쪽에 각각 다른 타입의 웰을 형성한다. 그 후, 종래의 SRAM 메모리 셀 형성 방법에서와 같이, 문턱 전압 조절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고, 게이트를 형성한 후 N-웰에는 제 1 접합 영역을 P-웰에는 제 2 접합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시 트랜치 바닥의 일부를 깊게 식각하고 고농도의 붕소 이온 주입을 실시함으로써 N-웰 영역과 P-웰 영역의 경계 지역에서의 도펀트 이동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항복 전압의 변동을 방지하고, N-웰 및 P-웰이 오정렬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제 1 웰 영역과 제 2 웰 영역이 규정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 영역과 상기 제 2 웰 영역 사이의 상기 패드 질화막, 상기 패드 산화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구조 상부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포토레지스트층을 증착한 후 트랜치의 절반부를 포함하여 제 1 웰 영역만을 덮도록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 2 웰 영역의 제 1산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웰 영역의 트랜치의 측벽에 상기 제 1 산화막을 남기고 트랜치 바닥의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치 바닥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한 후 붕소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층, 상기 제 1 산화막, 상기 패드 질화막 및 상기 패드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제 2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산화막에 대해 CMP 공정을 실시하여 평탄화시킨 후 상기 제 1 및 제 2 웰 영역에 불순물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N-웰 및 P-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산화막은 140Å의 두께로, 상기 패드 질화막은 1000Å의 두께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 이온 주입 공정은 30keV의 전압에서 3.0 x 1013ions/cm3의 농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막은 1500 내지 2000Å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 바닥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할 때 트랜치 바닥으로부터 2000Å의 깊이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웰 영역은 N-형 웰 영역이며, 상기 제 2 웰 영역은 P-형 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웰 영역에는 제 1 접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P-형 웰 영역에는 제 2 접합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8. 제 1 웰 영역과 제 2 웰 영역이 규정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 영역과 상기 제 2 웰 영역 사이의 상기 패드 질화막, 상기 패드 산화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구조 상부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웰 영역에서 트랜치 바닥의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웰 영역의 트랜치 바닥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한 후 붕소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치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제 2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산화막은 140Å의 두께로, 상기 패드 질화막은 1000Å의 두께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 이온 주입 공정은 30keV의 전압에서 3.0 x 1013ions/cm3의 농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막은 1500 내지 2000Å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 바닥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할 때 트랜치 바닥으로부터 2000Å의 깊이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웰 영역은 N-형 웰 영역이며, 상기 제 2 웰 영역은 P-형 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20010038412A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083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412A KR100835780B1 (ko)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412A KR100835780B1 (ko)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712A KR20030002712A (ko) 2003-01-09
KR100835780B1 true KR100835780B1 (ko) 2008-06-05

Family

ID=2771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412A KR100835780B1 (ko)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21B1 (ko) * 2003-04-04 2010-08-0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디자인 룰 개선방법
KR100972902B1 (ko) * 2003-09-24 2010-07-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5483A (ja) * 1997-05-30 1998-12-18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04114A (ko) * 1997-06-27 1999-01-15 윤종용 에피층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JP2000357732A (ja) * 1999-04-30 2000-12-2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素子、半導体素子、トレンチ形成方法、半導体素子形成方法
US6228726B1 (en) * 2000-03-06 2001-05-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to suppress CMOS device latchup and improve interwell iso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5483A (ja) * 1997-05-30 1998-12-18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04114A (ko) * 1997-06-27 1999-01-15 윤종용 에피층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JP2000357732A (ja) * 1999-04-30 2000-12-2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素子、半導体素子、トレンチ形成方法、半導体素子形成方法
US6228726B1 (en) * 2000-03-06 2001-05-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to suppress CMOS device latchup and improve interwell iso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712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3757B1 (e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djacent p-type doped regions hav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s without liner layers therebetween and methods of forming same
JP3691963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849518B2 (en) Dual trench isolation using single critical lithographic patterning
US20070037359A1 (en) Method of forming align key in well structure formation process and method of forming element isolation structure using the align key
KR100845103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672156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및 이의 형성방법
US6946710B2 (en) Method and structure to reduce CMOS inter-well leakage
KR101024734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57548B1 (ko)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100835780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JP3733252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198161B2 (en) Vertical transisto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70946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402100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및 그 구조
CN113611654B (zh) 降低浅沟槽隔离的高度差的制作方法
WO19880041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lf-aligned trench isolation
KR100523606B1 (ko)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의 소자 분리 방법
KR20010054164A (ko) 듀얼 에스티아이(sti) 웰 형성방법
KR101099564B1 (ko)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18530B1 (ko) 보더리스 콘택홀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23087695A (ja) ソース/ドレイン及びコンタクト開口の制御された寸法を有する小型化されたトランジスタ構造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KR101077057B1 (ko)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266028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22672B1 (ko) 트렌치형 소자분리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0144492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 절연막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