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251B1 -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 Google Patents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251B1
KR100834251B1 KR1020017005709A KR20017005709A KR100834251B1 KR 100834251 B1 KR100834251 B1 KR 100834251B1 KR 1020017005709 A KR1020017005709 A KR 1020017005709A KR 20017005709 A KR20017005709 A KR 20017005709A KR 100834251 B1 KR100834251 B1 KR 10083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istor
terminal
load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0948A (ko
Inventor
프릭호드코디미트리피
카이로몰린스요셉아이
비셔헨드릭에이
Original Assignee
엔엑스피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406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342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엔엑스피 비 브이 filed Critical 엔엑스피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8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bipolar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이동 전화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하(ZL)에 전류(IO)를 제공하기 위한 증폭기는 기준 단자(GND)에 접속된 제 1 주 단자와 제어 단자 및 부하(ZL)에 신호(IO)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주 단자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T1)와, 신호(IO)의 값을 결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sensing means)을 포함한다. 감지 수단은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1 주 단자에 접속된 제 1 주 단자,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단자에 접속된 제어 단자, 및 신호(IO)의 표시인 또 다른 신호(IF)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주 단자를 구비한 제 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증폭기는 또 다른 신호(IF)의 직류 성분(IDC2)을 공급하기 위한 검출 수단(DMNS)을 포함한다. 검출 수단(DMNS)은 전력 공급 단자와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주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저항(R)과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주 단자와 기준 단자 (GND)(혹은 전력 공급 단자(VDD))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를 포함한다. 신호(IO)의 직류 성분은 신호(IO)에 비례하고 또한 부하(ZL)에 공급되는 전력에도 비례한다. 또 다른 신호(IF)는 부하(ZL)에 공급된 신호(IO)의 표시이기 때문에, 또 다른 신호(IF)의 직류 성분(IDC2)은 부하(ZL)에 공급되는 전력의 척도(measure)가 된다. 이 방법은 부하(ZL)에 공급되는 전력 양을 모니터하고 그 전력을 바람직한 레벨로 조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Description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AN AMPLIFIER FOR USE IN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부하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이 증폭기는 기준 단자에 접속된 제 1 주 단자, 제어 단자, 그리고 신호를 부하에 제공하기 위한 제 2 주 단자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와, 신호의 값을 결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증폭기는 미국 특허 제 5,285,143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증폭기에서는, 감지 전류가 부하 전류로부터 생성되는데, 이 감지 전류는 부하 전류의 정확한 표시 정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축척(scale down)된다. 이 축척된 감지 전류는 전력 감지 저항을 부하 전류와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생성되고 이 저항의 양단에 부하 전압을 발생시킨다. 실질적으로 부하 전압과 같은 이 감지 전압은 전압 팔로워에 의해 파일럿 감지 저항에 인가된다. 파일럿 감지 저항은 전력 감지 저항과 소정의 사전결정된 비(ratio)를 갖고 있다. 파일럿 감지 저항에 흐르는 감지 전류는 파일럿 감지 저항에 대한 전력 저항의 비에 따라서 축척된다. 전류 미러는 전압 팔로워에 전류를 공급한다.
개시된 증폭기의 문제점은 예를 들어, 저항에 의해 형성된 감지 소자(sensing element)가 제 1 트랜지스터에 직렬로 접속되었다는 점이다. 비록 감지 신호(전류)의 높은 정확도가 원칙상 이런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할지라도, 그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회로는 아주 복잡하게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서두에 언급된 타입의 증폭기는 감지 수단(sensing means)이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1 주 단자(first main terminal)에 접속된 제 1 주 단자와, 제 1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접속된 제어 단자와, 신호의 표시(representation)인 다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주 단자를 구비한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증폭기가 상기 다른 신호의 직류 성분(DC-component)을 제공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많은 응용예에 있어서, 특히 이동 전화기에 관해서는, 증폭기는 전력 소비가 비교적 높은 소위 클래스 A 모드(class A mode)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낮은 에너지 모드, 예를 들면 클래스 B 혹은 클래스 C 모드로 동작한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들 모드에서 신호는 그 신호에 비례하고 또한 부하에 공급된 전력에도 비례하는 직류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신호는 부하에 제공되는 신호의 표시이기 때문에, 상기 다른 신호는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위한 척도(measure)인 직류 성분을 포함한다. 이 척도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모니터링하고 바람직한 레벨로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검출 수단이 전력 공급 단자와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주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과,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주 단자와 기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성의 검출 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캐패시터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주 단자와 전력 공급 단자 사이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폭기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1은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2), 그리고 저항(R)과 캐패시터(C)에 의해 형성된 검출 수단(DMNS)을 포함하는 증폭기의 일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부하(ZL)는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collector)와 기준 단자(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T2)의 에미터(emitter)는 기준 단자(GND)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는 제어 터미널(CNTRL)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은 전력 공급 단자(VDD)와 제어 터미널(CNTRL)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C)는 제어 터미널(CNTRL)와 기준 단자(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T2)는,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2)에 흐르는 또 다른 신호(IF)가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 및 부하(ZL)에 흐르는 신호 전류(IO)의 일부가 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만일 제 1 및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T2)가 적절한 방법, 예를 들면, 제 1 혹은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1,T2) 모두를 같은 집적 회로 내에서 통합하는 방법에 의해서 정합(matched)된다면, 또 다른 신호(IF)는 신호 전류(IO)의 정확하지만 크기는 아주 작아진 복사본(copy)이 된다. 증폭기가 가령 소위 클래스 C 모드로 동작한다는 가정 하에서는 신호(IO)는 신호(IO)의 직류 성분을 포함하며, 그 결과 그것은 부하(ZL)에 제공되는 전력량의 측정치가 되기도 한다. 또 다른 신호(IF)는 신호(IO)와 정확하게 정합되기 때문에 또 다른 신호(IF)는 또한 신호(IO)의 직류 성분과 정확하게 정합하는 직류 성분(IDC2)를 포함한다. 따라서 직류 성분(IDC2)은 부하(ZL)에 공급되는 전력양의 정확한 표시(representation)가 된다. 캐패시터(C)는 교류 전류를 위한 단락 회로를 형성한다. 이런 이유로, 직류 성분(IDC2)만이 저항(R)에 흐르게 되어, 저항 양단에 직류 전압을 야기시킨다. 이 직류 전압은 제어 터미널(CNTRL)을 통해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 직류 전압은 부하(ZL)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정확한 척도이기 때문에, 이 직류 전압은 부하(ZL)에 공급되는 전력 양을 모니터링하고 그 전력을 바람직한 레벨로 조절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대신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같은 다른 능동 증폭기 소자가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신호(IO)를 부하(ZL)에 제공하기 위한 증폭기에 있어서,
    기준 단자(GND)에 접속된 제 1 주 단자, 제어 단자 및 신호(IO)를 부하(ZL)로 공급하기 위한 제 2 주 단자를 구비한 제 1 트랜지스터(T1)와,
    상기 신호(IO)의 값을 결정하는 감지 수단(sensing means)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 수단은 제 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1 주 단자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제 1 주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주 단자는 상기 신호(IO)의 표시(a representation)인 또 다른 신호(IF)를 공급하며,
    상기 증폭기는 상기 또 다른 신호(IF)의 직류(DC) 성분을 공급하는 검출 수단(DMNS)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DMNS)은 전력 공급 단자(VDD)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 2 주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저항(R)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 2 주 단자와 상기 기준 단자(GND)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C)를 포함하는
    증폭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피시터(C)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 2 주 단자와 상기 전력 공급 단자(VDD) 사이에 접속되는
    증폭기.
  4. 변조된 고주파 신호(modulated high-frequency signal)를 전송시키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한 송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로서,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타입의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ZL)는 상기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전화기.
KR1020017005709A 1999-09-08 2000-08-30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KR100834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2921.5 1999-09-08
EP99202921 1999-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948A KR20010080948A (ko) 2001-08-25
KR100834251B1 true KR100834251B1 (ko) 2008-05-30

Family

ID=824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709A KR100834251B1 (ko) 1999-09-08 2000-08-30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45539B1 (ko)
EP (1) EP1127407B1 (ko)
JP (1) JP2003509888A (ko)
KR (1) KR100834251B1 (ko)
CN (1) CN1201481C (ko)
DE (1) DE60044705D1 (ko)
WO (1) WO2001018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07477T1 (de) * 2003-06-18 2008-09-15 Nxp Bv Schaltungsanordnung zur detektion der ausgangsleistung
JP3822197B2 (ja) * 2003-08-12 2006-09-13 ローム株式会社 音声信号出力装置
WO2007042855A1 (en) * 2005-10-14 2007-04-19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ystem, chip and method enabling a radio signal recep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5035A2 (en) * 1989-10-23 1991-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verload protection drive circuit for a power transis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5341A (en) * 1980-06-30 1982-10-19 Rca Corporation Power protection circuit for transistors
BE894437A (nl) * 1982-09-20 1983-03-21 Bell Telephone Mfg Versterker en aan verwante schakelingen
JPH07113861B2 (ja) * 1988-01-29 1995-1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素子の状態検出及び保護回路とそれを用いたインバータ回路
JPH0495407A (ja) * 1990-08-10 1992-03-27 Oki Electric Ind Co Ltd 線形化電力増幅装置
US5220290A (en) * 1991-06-03 1993-06-15 Motorola, Inc. Power amplifier
US5285143A (en) 1991-08-06 1994-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asurement of load current in a multi-phase power amplifier
US5343141A (en) * 1992-06-09 1994-08-30 Cherry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istor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DE69522454D1 (de) * 1995-10-31 2001-10-04 St Microelectronics Srl Sofortleistungsverlustmesser in einem Leistungstransis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5035A2 (en) * 1989-10-23 1991-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verload protection drive circuit for a power transist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Low-voltage low-power controllable preamplifier for electret microphones - IEE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948A (ko) 2001-08-25
EP1127407B1 (en) 2010-07-21
EP1127407A1 (en) 2001-08-29
JP2003509888A (ja) 2003-03-11
CN1201481C (zh) 2005-05-11
DE60044705D1 (de) 2010-09-02
WO2001018958A1 (en) 2001-03-15
US6545539B1 (en) 2003-04-08
CN1336034A (zh) 200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585A (en) Power detector that employs a feedback circuit to enable class B operation of a detector transistor
US6307364B1 (en) Power sensor for RF power amplifier
US7071677B2 (en) Accurate and efficient sensing method for bi-directional signals
KR100547236B1 (ko) 전력증폭기에서의 바이어스 안정화 회로
KR910009088B1 (ko) 온도 안정 rf 검출기
KR100456184B1 (ko) 다이내믹레인지가 넓은 소형화 가능한 송신기의 검파회로
US6430403B1 (en) Temperature compensated, zero bias RF detector circuit
KR100805398B1 (ko) 전력 증폭기 회로 및 무선 통신 장치
KR100834251B1 (ko)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JP3203363B2 (ja) ピーク検出器
US6812788B2 (en) Amplifying circuit
US6545541B2 (en) Power amplifier embedded cell bias detection, methods of detecting bias in power amplifiers and systems utilizing embedded cell bias detection
US6339702B1 (en) Output power detection circuit of transmitter
KR100426150B1 (ko) 방출 전류와 흡입 전류를 부하에 공급되는 출력 전류로서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원 장치
KR0173963B1 (ko) 교환기 가입자 정합 회로의 dc 피딩 회로
KR100190852B1 (ko) 수신신호레벨검출기의히스테리시스회로_
JP4698441B2 (ja) 発振型近接センサ、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発振型近接センサにおけるゲート電流の制御方法
CN110545083A (zh) 跨阻放大器
JPH05114850A (ja) 近接スイツチ
JPH0865128A (ja) 近接スイッチ
JPH04165410A (ja) 直流電源装置
JPH0616119B2 (ja) 赤外線検出装置
JPH1138048A (ja) 電流検出回路及び電流制限回路
JPH08204475A (ja) 電圧−電流変換回路
EP1261083A1 (en) Driver circuit apparatus, measuring circuit apparatus and amplifier circuit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28

Effective date: 200804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10056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28

Effective date: 200804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