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100B1 -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100B1
KR100834100B1 KR1020060078394A KR20060078394A KR100834100B1 KR 100834100 B1 KR100834100 B1 KR 100834100B1 KR 1020060078394 A KR1020060078394 A KR 1020060078394A KR 20060078394 A KR20060078394 A KR 20060078394A KR 100834100 B1 KR100834100 B1 KR 10083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rail
guide
switching device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357A (ko
Inventor
정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삼
Priority to KR102006007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10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4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rollers or sliding shoe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4Fluid-pressure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주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텅 레일을 주레일에 밀착, 분리시켜 선로를 변경하는 것으로, 주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며 가이드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들과,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연결부를 각각 제 1,2밀착연결간과, 상기 가이드 블록에 지지되어 가이드 로드의 양측에 지지된 제 1,2밀착 연결간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과, 제 1,2연장연결부에 절연부재가 개재되며 각 제 1,2연장연결부와 텅 레일을 연결하는 제1,2연결수단들을 구비한다.
선로, 전환, 텅레일, 유압

Description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apparatus for converting railro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선로 전환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은 선로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압을 이용하여 텅레일(tongue rail)을 좌우 이송시켜 전환함과 아울러 전환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선로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전환장치는 레일의 내측에 설치된 텅 레일을 좌우로 이동시켜서 한 쌍의 주레일에 텅레일을 선택적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철로의 주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철도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그 진로를 변경하여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선로 전환장치는 기계식 선로전환기, 전기식 선로 전환기, 유압식 선로 전환기 등으로 대별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85741호에는 텅레일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 전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유압식 선로 전환기는 실린더 로드와, 보조로드, 에리고 스프링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유압동작부를 제어하는 유압제어부와 전기제어부를 가진다.
개시된 유압식 전환기는 텅 레일이 이동되어 레일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조작에 따른 상대적인 신뢰성이 낮다.
등록특허 제 0443463호에는 선로전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로 전환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마련되며, 텅레일의 밀착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쇄정간과 상기 쇄정간을 이동시키는 작동손잡이를 구비하는 전철기, 상기 한 쌍의 텅레일에 개재되는 첨단간, 상기 전철기의 쇄정간과 첨단간 사이에 상기 첨단간의 축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접속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 20-0300740호와 공개특허 제 0070215호에는 선로전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쓰이는 상기 전기식 선로 전환기는 마찰클러치, 전자클러치, 기어, 교류(AC) 전동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기 선로전환기는 열차의 진로구성 신호조작에 의해 전동기, 클러치, 기어 순으로 동작하여 텅레일(tongue rail)을 주 레일에 밀착시킨 후 위치를 고정한다.
위와 같이, 동작하는 전기선로전환기는 상대적으로 무거워 긴급사고 복구상 황, 비상 훈련 상황 시에 운반, 보수가 어렵다. 또한 관리자가 보수나 정비, 점검을 주기적으로 하여도 열차 진로구성 시 기본(주레일) 텅레일 간의 밀착분량, 전동기의 권선, 기어의 소손이 발생한다. 또한 전환기의 힘을 결정하는 클러치(마찰연축기)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클러치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오일의 점성과 내부의 스프링 열팽창계수가 변하여 클러치 내부 마찰판의 접촉압력이 자주 변해 계절이 변하면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온도변화에 평상시 관리자의 보수나 정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차의 진로 구성 시 텅 레일(tongue rail)과 주 레일의 밀착 및 분리에 따른 신뢰성을 높이고 주 레일과 텅 레일의 밀착이 텅 레일을 이송시키는 이송력에 의해 주 레일에 밀착된 텅 레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텅 레일의 이동시 텅 레일과 슬라이딩 상판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주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텅 레일을 주레일에 밀착, 분리시켜 선로를 변경하는 것으로,
주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며 가이드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들과, 상기 가이드 로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연결부를 가지는 제 1,2밀착연결간과, 상기 가이드 블록에 지지되어 가이드 로드의 양측에 지지된 제 1,2밀착 연결간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과, 제 1,2연장연결부에 절연부재가 개재되며 각 제 1,2연장연결부와 텅 레일을 연결하는 제1,2연결수단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수단에는 상기 제 1,2밀착연결간의 이송력에 의해 주레일에 밀착된 텅 레일의 밀착위치를 고정하는 제1,2잠금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2연결수단은 각각 상기 제1,2연장연결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 1,2연결간과, 상기 양측의 주 레일과 텅 레일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2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제1,2가이드 하우징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설치되며 제 1,2연결간과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1,2구동로드와, 각 제1,2구동로드에 설치되어 양측의 텅레일에 고정된 제 1,2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진 제 1,2훅 홀더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연결수단은 각 제1,2연결간과 양측의 텅 레일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잠금수단은 각 제 1훅 홀더에 힌지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 하우징에 형성된 제1잠금홀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제1걸림부를 가지는 제1훅부재와, 상기 제1훅부재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1홀더 하우징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제1훅 홀더의 전진 시 상기 걸림부를 상승시키는 제1링크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2잠금수단은 각 제 2훅홀더에 힌지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2가이드 하우징에 형성된 제2잠금홀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걸림부를 가지는 제2훅부재와, 상기 제2훅부재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2훅홀더 하우징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제2훅홀더의 전진 시 상기 제2걸림부를 상승시키는 제2링크들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전환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호 평행한 주레일에 텅 레일을 밀착, 분리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10)는 상호 평행한 주레일(11)(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레일(11)(12)에 선택적으로 선로를 변경하기 위한 텅레일(13)(14)을 밀착, 분리시키는 것으로, 주 레일(11)(12)들 사이의 침목(10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0a)에 의해 지지되며 가이드 로드(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20)들과, 상기 가이드 로드(21)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연결부(31)(41)를 각각 제 1,2밀착연결간(32)(42)과, 상기 가이드 블록(20)에 지지되어 가이드 로드(21)의 양측에 지지된 제 1,2밀착 연결간(32)(4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50)과, 제 1,2연장연결부(31)(41)에 절연부재(48)가 개재되며 각 제 1,2연장연결부(31)(41)와 텅 레일(13)(14)을 연결하는 제1,2연결수단(60)(70)을 구비한다. 이 제 1,2연결수단(60)(70)은 제 1,2밀착연결간(32)(42)의 이송력에 의해 주레일(11)(12)에 밀착된 텅 레일(13)(14)의 밀착위치를 고정하는 제1,2잠금수단(65)(7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텅레일(13)(14)의 단부와 대응되는 측의 침목(100)에는 텅레일(13)(14)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마찰방지수단(80)이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이드 블록(20)은 고정브라켓(20a)에 의해 침목(100)에 고정되며 주레일(11)(12)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홀(20b)에 가이드 로드(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가이드 로드(21)가 지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50)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동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복동실린더는 본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본체(51)와 이 실린더 본체(5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로드(52)(5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압유 탱크로부터 유압유를 펌핑하기 위한 유압펌프,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유를 복동실린더의 각 포트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컨트롤밸브를 포함하는 유압공급회로인 유압유 공급수단(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압유 공급수단(9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동실린더 본체(51)의 양측에 형성된 제1,2포트(91)(92)에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1,2연결관(93)(94)과, 상기 제 1,2연결관(93)(94)에 설치되어 유압유 펌프(95)로부터 공급 되는 유압유를 선택적으로 제1,2포트(91)(92)로 공급하기 위한 2포트 3위치 컨트롤 밸브(96)와, 상기 제 1,2연결관(93)(94)에 설치되는 첵크밸브(97)들 및 설정된 유압 이상의 압력이 작용 시 유압유를 탱크로 귀환시키기 위한 릴리이프 밸브(98)들을 구비하여 열차 입환이 잦은 선로구간에서 열차 배향 운전시 활출기능을 보유토록 하기 위해 구비한다.
상기 제 1,2밀착 연결간(32)(42)은 가이드로드(21)의 양 단부와 구동수단의 로드(52)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밀착연결간(32)은 일측의 가이드로드(21)와 로드(52)와 결합되는 고정부(32a)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연장 연결부(31)는 상기 로드(52) 및 가이드로드(21)와 평행한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며 단부에는 제1결합공(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밀착연결간(42)은 일측의 가이드로드(21)와 로드(52)와 결합되는 고정부(42a)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연장 연결부(41)는 상기 로드(52) 및 가이드로드(21)와 평행한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며 단부에는 제2결합공(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연장결합부(31)(41)의 사이에는 절연부재(48)가 설치되는데, 이 절연부재(48)는 상기 제 1,2연결수단과 제1,2연장결합부(31)(41)의 결합 시 궤도 회로장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절연을 한다.
상기 제 1,2연결수단(60)(70)은 상기 제 1,2연장연결부(31)(41)와 텅레일(13)(14)에 설치된 브라켓(13a)(14a)을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 1연결수단(60)은 제1연장연결부(31)와 절연부재(48)가 개재된 상태로 결합되는 제 1연결간(61)과, 상기 주 레일과 텅 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 하우징(62)과, 상 기 제1가이드 하우징(62)을 따라 슬라이딩 설치되며 제 1연결간(61)과 힌지연결되는 제1구동로드(63)와, 이 제1구동로드(63)에 설치되어 일측의 텅레일(13)에 설치된 제 1브라켓(13a)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4a)를 가지는 제 1훅홀더(64)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재(64a)는 제 1구동로드(63)에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13a)에 형성된 관통공과 결합되는 볼트와 이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수단(70)은 실질적으로 제1연결수단(6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제 2연결수단(70)은 제2연장연결부(41)와 절연부재(48)가 개재된 상태로 결합되는 제 2연결간(71)과, 상기 주 레일과 텅 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 하우징(72)과, 상기 제2가이드 하우징(62)을 따라 슬라이딩 설치되며 제 2연결간(71)과 힌지연결 되는 제2구동로드(73)와, 이 제2구동로드(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측의 텅레일(14)에 설치된 제 2브라켓(14a)에 결합되는 결합부재(74a)를 가지는 제 2훅 홀더(74)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재(74a)는 제 2구동로드(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13a)에 형성된 관통공과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2연결수단(60)(7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2연장연결부(31)(41)와 제 1,2브라켓(13a)(14a)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데, 상기 제1,2연장연결부와 제 1,2브라켓을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2연결수단(60)(70)에는 각각 주레일(11)(12)과 텅레일(13)(14)의 밀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제1,2잠금수단(65)(75)을 구비한 다. 상기 제1잠금수단(65)은 상기 제1훅홀더(64)에 힌지 연결되며 제1구동로드(6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 하우징(62)에 형성된 제1잠금홀(66)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제1걸림부(67a)를 가지는 제1훅부재(67)와, 상기 제 1훅부재(67)와 제1힌지핀(69a)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링크(68)와, 상기 각 제2링크(68)와 제 2구동로드(63)에 힌지 연결되는 제2힌지핀(69b)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64)에 대한 제 2힌지핀(69b)의 위치는 제1힌지핀(69a)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훅부재(67)가 전진하면서 제 1걸림부(67a)가 제1잠금홀(66)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잠금수단(70)은 실질적으로 제 1잠금수단(60)과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제1잠금수단(75)은 상기 제2훅홀더(74)에 힌지 연결되며 제2구동로드(7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제2가이드 하우징(72)에 형성된 제1잠금홀(76)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걸림부(77a)를 가지는 제2훅부재(77)와, 상기 제 2훅부재(77)와 제3힌지핀(79a)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3링크(78)와, 상기 각 제2링크(78)와 제 2구동로드(73)에 힌지 연결되는 제4힌지핀(69b)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결합부재(74)에 대한 제 4힌지핀(79b)의 위치는 제3힌지핀(79a)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훅부재(77)가 전진하면서 제 2걸림부(77a)가 제1잠금홀(77)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2잠금수단들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주레 일(11)(12)과 텅레일(13)(14)의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마찰방지수단(80)은 상기 텅레일(12)(13)의 하면에 설치되어 텅레일(113)(14)의 이동시 마찰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텅레일(13)(14)의 단부와 대응되는 하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상판(81)과, 상기 슬라이딩 상판(81)에 매립되며 상단이 노출되는 노출된 오일레스 베어링 부재(82)들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의 작용을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텅레일(13)(14)이 주레일(11)(12)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행중인 기차의 진행 방향을 변경 즉 정위전환동작을 위해서는 먼저 유압공급수단(90)의 유압펌프(95)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유를 컨트롤 밸브(96)를 조작하여 실린더 본체(51)에 마련된 제1포트(91)에 유압유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포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유는 실린더의 로드(52)를 정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1밀착 연결간(32)의 제 1연장연결부(31)와 절연부재(48)를 통하여 연결된 연결간(61)이 이동되어 상기 제 1구동로드(63)를 가이드 하우징(62)를 따라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63)에 지지된 제1구동로드(63)가 이동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좌측 텅레일(13)이 주레일(12)에 밀착된다.
이 과정에서 제 1구동로드(63)에 지지된 제1훅홀더(64)와 힌지 연결된 제1잠금수단(65)의 제1훅부재(67)가 전진하게 되는데, 상기 제 1훅부재(67)는 제1힌지핀(69a)에 의해 제1링크(68)의 일측 단부가 제1훅부재(67)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제1구동로드(63)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훅부재(67)의 이송력에 제1훅부재(67)의 단부인 제 1걸림부(67a)가 들리게 되어 제1가이드 하우징(63)에 형성된 제1잠금홀(66)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주레일(11)과 좌측의 텅레일(13)의 밀착상태가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텅레일(13)이 주레일(11)에 밀착상태는 밀착검지센서(미도시)에 의해 확인된다. 밀착이 완료되면 이 밀착검지센서에 의해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의 공급을 차단된다. 이와 같이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정위 전환시 좌측의 텅레일(13)과 좌측의 주레일(11)의 밀착에 의해 열차의 진로를 변경한다.
그리고 열차의 진행방향 변경을 위한 반위 전환동작을 위해서는 유압공급수단(90)의 유압펌프(95)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유를 컨트롤 밸브(96)를 조작하여 실린더 본체에 마련된 제2포트(92)에 유압유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제2포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유는 실린더의 로드(53)를 반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2밀착연결간(42)의 제 2연장연결부(41)와 절연부재(48)개재된 상태로 연결된 제2연결간(71)이 이동되어 상기 제 2구동로드(73)를 제2가이드 하우징(62)을 따라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로드(73)에 지지된 제 2훅홀더(74)가 이동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좌측 텅레일(13)과 우측 텅레일(14)이 이동되어 우측 텅레일(14)과 우측의 주레일(12)과 밀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밀착연결간(32)은 후퇴되고 이와 연결된 제 2구동로드(63)가 후퇴된다. 따라서 이에 지지된 제1훅홀더(64)가 후퇴된다. 따라서 상기 제1훅홀더(64)와 인지 연결된 제1훅부재(67)가 후퇴함으로써 제 1걸림부(67a)가 제1걸림홈(66)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제2잠금수단(75)의 제2훅부재(77)가 전진하게 되는데, 상기 제 2훅부재(77)는 제3힌지핀에 의해 제2링크(78)의 일측 단부가 제2훅부재(77)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제2가이드 로드(73)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훅부재(77)의 이송력에 제2훅부재(77)의 단부가 들리게 되어 제1가이드 하우징(63)에 설치된 제2잠금홀(77)에 제2걸림부(77a)가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텅레일(14)이 주레일(12)에 밀착상태는 밀착검지센서(미도시)에 의해 확인된다. 밀착이 완료되면 이 밀착검지센서에 의해 유압펌프로의 유압공급을 차단한다. 위와 같이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정위 전환 시 좌측의 텅레일(14)과 좌측의 주레일(13)의 밀착에 의해 열차의 진로를 변경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선로전환장치는 주레일에 대한 텅레일의 이송력을 이용하여 텅레일과 주레일을 밀착상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오동작 및 밀착분량으로 인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한 쌍의 주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텅 레일을 주레일에 밀착, 분리시켜 선로를 변경하는 유압식 선로전환장치에 있어서,
    주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며 가이드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들과, 상기 가이드 로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으로 제1,2연장연결부가 각각 연장되는 제 1,2밀착연결간과, 상기 가이드 블록에 지지되어 가이드 로드의 양측에 지지 된 제 1,2밀착 연결간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과, 제 1,2연장연결부에 절연부재가 개재되며 각 제 1,2연장연결부와 텅 레일을 연결하는 제1,2연결수단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수단에는 상기 제 1,2밀착연결간의 이송력에 의해 주레일에 밀착된 텅 레일의 밀착위치를 고정하는 제1,2잠금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수단은 각각 상기 제1,2연장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1,2연결간과, 상기 양측의 주 레일과 텅 레일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2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제1,2가이드 하우징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설치되며 제 1,2연결간과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1,2구동로드와, 각 제1,2구동로드에 설치되어 양측의 텅 레일에 고정된 제 1,2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가진 제 1,2훅홀더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수단은 각 제 1훅홀더에 힌지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 하우징에 형성된 제1잠금홀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제1걸림부를 가지는 제1훅부재와, 상기 제1훅부재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1홀더 하우징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제1훅 홀더의 전진 시 상기 걸림부를 상승시키는 제1링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잠금수단은 각 제 2훅홀더에 힌지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2가이드 하우징에 형성된 제2잠금홀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걸림부를 가지는 제2훅부재와, 상기 제2훅부재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홀더 하우징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제2훅 홀더의 전진 시 상기 제2걸림부를 상승시키는 제2링크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텅레일들의 단부측 하면에는 텅레일의 이동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 방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수단은 침목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상판과, 상기 슬라이딩 상판에 매립되며 상면이 노출되어 상기 텅 레일의 하면과 접촉되는 오일레스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유 공급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복동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유압유 공급수단은 열차가 배향으로 운행 시 세팅된 압력 이상 발생되면 주레일에 밀착된 텅레일이 강제적으로 열리게 하여 텅레일을 보호하는 릴리프 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KR1020060078394A 2006-08-18 2006-08-18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KR10083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94A KR100834100B1 (ko) 2006-08-18 2006-08-18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94A KR100834100B1 (ko) 2006-08-18 2006-08-18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57A KR20080016357A (ko) 2008-02-21
KR100834100B1 true KR100834100B1 (ko) 2008-06-02

Family

ID=3938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394A KR100834100B1 (ko) 2006-08-18 2006-08-18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12B1 (ko) 2011-11-29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부하변동에 따른 실린더의 출력보상이 가능한 선로 전환 장치
KR20200011257A (ko) 2018-07-24 2020-02-03 (주)제이.케이.에스 선로전환기용 유압식 쇄정 실린더의 내구성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05Y1 (ko) * 2008-09-05 2011-06-10 제드테크(주) 선로 전환 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866A (ja) * 1992-12-01 1994-06-24 Central Japan Railway Co 転てつ装置用の鎖錠装置
KR20020070215A (ko) * 2002-07-31 2002-09-05 연장익 선로전환장치
KR20060068589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세화 선로 변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866A (ja) * 1992-12-01 1994-06-24 Central Japan Railway Co 転てつ装置用の鎖錠装置
KR20020070215A (ko) * 2002-07-31 2002-09-05 연장익 선로전환장치
KR20060068589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세화 선로 변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12B1 (ko) 2011-11-29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부하변동에 따른 실린더의 출력보상이 가능한 선로 전환 장치
KR20200011257A (ko) 2018-07-24 2020-02-03 (주)제이.케이.에스 선로전환기용 유압식 쇄정 실린더의 내구성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57A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9672C (zh) 电梯门驱动装置
CN111139692B (zh) 一种轨道交通的轨道梁道岔机构
KR100834100B1 (ko) 유압식 선로 전환장치
CN105755914A (zh) 应用于高温超导磁悬浮系统的机械道岔及转向方法
CN1051594C (zh) 模块化的运输机轨道连接装置
JP2010184622A (ja) 車両のバッテリ交換装置およびバッテリ交換方法
KR100900907B1 (ko)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PT1387905E (pt) Método de montagem de aparelhos de mudança de via em carris bem como aparelho de mudança de via para a realização deste método
KR20210008471A (ko) 충전 스테이션에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고속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930076A (zh) 用于电梯轿厢门和层门的联接装置
CA2579666C (en) Suspension conveyance apparatus
KR102003028B1 (ko)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CN201501663U (zh) 轨道小车跨越沟槽用自动接轨器
CN103401125A (zh) 一种分段滑触线电源连接方法及其连接装置
US11780478B1 (en) Railroad switch device
US5161758A (en) Connecting system for trolley rails for transport vehicle
US20090308986A1 (en) Hydraulic motor for railway switches
CN101351398B (zh) 吊具分隔设备
KR100839084B1 (ko) 선로전환장치
JP4221320B2 (ja) 転てつ機
WO2010144069A1 (ru) Механизм привода параллельных платформ
AU2006323209B2 (en) A system for a greaseless switch assembly
CN102582660B (zh) 一种电动液压转辙机用间歇式启动板装置
CN104499385B (zh) 中低速磁浮系统f型钢连接结构
CN209516510U (zh) 可折叠的电缆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